맨위로가기

녹미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녹미어는 골설어과에 속하는 어류인 아시아아로와나의 다양한 색상 변종을 일컫는 말이다. 녹미어는 최대 90cm까지 성장하며, 녹색, 은색, 붉은 꼬리 골든, 골드 크로스백, 슈퍼 레드 등 다양한 색상 변종이 존재한다. 판 구조론과 유전자 연구에 따르면 아시아아로와나는 오랜 기간 동안 독자적인 진화 과정을 거쳐왔으며, 멸종 위기에 처해 CITES에 의해 국제 거래가 엄격하게 규제된다. 아시아 문화권에서 행운과 번영을 상징하며, 수족관 사육 시에는 대형 수족관, 수질 관리, 육식성 먹이 공급 등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녹미어의 높은 가격은 불법 거래를 부추겨 납치, 폭력, 살인 등의 범죄를 야기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캄보디아의 물고기 - 베트남메기
    베트남메기는 동남아시아에서 양식되는 팡가시우스속 어류로, 저렴한 가격 덕분에 흰살 생선 대체재로 유통되지만, 생산 및 유통 과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 캄보디아의 물고기 - 가이양
    가이양은 메콩강과 짜오프라야강 유역이 원산지인 대형 메기로, 식용 및 관상용으로 양식되거나 유통되지만 서식지 파괴와 남획으로 야생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물고기 - 고래상어
    고래상어는 세계에서 가장 큰 어류로 플랑크톤 등을 먹으며 열대 및 온대 해역에 널리 분포하지만, 혼획, 선박 충돌, 서식지 파괴, 해양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말레이시아의 물고기 - 수마트라 바브
    수마트라 바브(*Puntius tetrazona*)는 수마트라, 보르네오 섬 등 동남아시아에 서식하며 네 개의 검은 줄무늬가 있는 소형 열대어로, 관상어로서 인기가 많고 다양한 색상 변종이 개발되었으며 군집 생활을 하고 수질과 온도 변화에 잘 적응한다.
녹미어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슈퍼 레드 아로와나
슈퍼 레드 아로와나
분류
학명Scleropages formosus (Müller & Schlegel, 1844)
이명Scleropages macrocephalus Pouyaud et al., 2003
Scleropages aureus Pouyaud et al., 2003
Scleropages legendrei Pouyaud et al., 2003
영어 이름Asian arowana
인도네시아어 이름Siluk Merah
보존 상태
IUCN위기 (EN) https://www.iucnredlist.org/species/152320185/89797267
CITES부록 I
분포
아시아 아로와나의 이전 주요 분포 지역. 현재는 이전 분포 지역에서 대부분 사라졌음.
아시아 아로와나의 이전 주요 분포 지역. 현재는 이전 분포 지역에서 대부분 사라졌음.
학술 정보
유전적 다양성미토콘드리아 DNA 유전자 기반의 아시아 아로와나 Scleropages formosus의 유전적 다양성 https://doi.org/10.1016/j.bse.2012.04.017
유전적 다양성 평가아시아 아로와나(Scleropages formosus)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를 위한 세 가지 DNA 마커 시스템 비교 https://doi.org/10.1002/1522-2683(200204)23:7/8<1025::AID-ELPS1025>3.0.CO;2-Y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AFLP 및 마이크로 위성체를 이용한 3가지 아시아 아로와나(Scleropages formosus) 사육 주식의 유전적 다양성 모니터링 https://doi.org/10.1016/j.aquaculture.2004.04.003
어류다나우 센타룸 국립공원과 칼리만탄 바라트 카푸아스 호수 지역의 어류 http://rmbr.nus.edu.sg/rbz/supplement13.html
분자 특성아시아 아로와나(Scleropages formosus) 색상 변종 간의 관련성에 대한 분자 특성 https://doi.org/10.1016/j.gene.2011.08.025
형태 및 유전적 증거아시아 아로와나 Scleropages formosus(Osteoglossidae)의 다양한 색상 변종은 뚜렷한 종이다: 형태 및 유전적 증거 https://doi.org/
먹이Scleropages formosus 먹이 품목 http://www.fishbase.org/TrophicEco/FoodItemsList.php?vstockcode=6670&genus=Scleropages&species=formosus

2. 진화와 분류

아시아아로와나(Asian arowana, 학명: ''Scleropages formosus'')는 골설어과(Osteoglossidae)에 속하는 어류로, 아시아 지역에 서식한다. 이들은 아로와나의 일종으로, 진화 과정에서 독특한 특징을 갖게 되었다.

아시아아로와나의 진화는 판 구조론적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다. 대륙이 분리되기 전, 골설어과의 조상들은 하나의 대륙에서 서식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대륙 분리로 인해 각 지역의 아로와나들은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며 분화되었고, 아시아아로와나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진화했다.

유전자 연구는 아시아아로와나의 진화적 역사를 뒷받침한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시아아로와나의 조상은 약 1억 4천만 년 전에 호주아로와나와 분화되었다. 이는 아시아아로와나가 오랜 기간 동안 독자적인 진화 과정을 거쳐왔음을 시사한다.

분류학적으로, 아시아아로와나는 골설어과에 속하며, 현재 학명은 ''Scleropages formosus''이다. 이 종은 1840년 독일의 박물학자 뮐러(Johannes Peter Müller)와 슐레겔(Hermann Schlegel)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2. 1. 자연 발생 색상 변종

녹미어는 다양한 자연 발생 색상 변종으로 유명하다. 녹색은 흔히 볼 수 있는 변종이며, 은색도 존재한다. 이 외에도 붉은 꼬리 골든, 골드 크로스백, 레드가 있으며, 각 변종은 특정 지역에서 발견된다. 2003년에는 형태 계측학과 계통 발생 분석을 기반으로 녹미어를 4개의 별도 종으로 분류하자는 제안이 있었지만, 대부분의 연구자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았다.

3. 형태

녹미어는 최대 90cm까지 자라며, 길고 큰 가슴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 몸 뒤쪽에는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위치한다. 입은 비스듬하며 아래턱에는 두 개의 수염이 있다. 비늘은 크고 환린이며, 금속성 색상을 띤다. 비늘에는 뚜렷한 모자이크 패턴의 융기된 능선이 있다.

3. 1. 색상별 특징

녹미어는 다양한 색상 변종으로 나타나며, 각 변종은 독특한 외형적 특징을 지닌다.

  • 그린 아로와나: 전반적으로 녹색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비늘은 연한 녹색에서 진한 녹색까지 다양한 음영을 보이며, 지느러미 역시 녹색을 띤다.
  • 실버 아시아 아로와나: 은색 비늘이 특징이며, 밝고 반짝이는 외형을 자랑한다. 몸 전체가 은빛으로 빛나며, 지느러미는 투명하거나 연한 회색을 띤다.
  • 레드테일 골든 아로와나: 몸통은 황금색을 띠고, 꼬리 지느러미는 붉은색을 띤다. 황금색과 붉은색의 조화가 특징적이며, 꼬리의 붉은색이 더욱 선명할수록 가치가 높게 평가되기도 한다.
  • 골드 크로스백 아로와나: 황금색 비늘이 몸 전체를 덮고 있으며, 등 부분의 비늘은 더욱 진한 황금색을 띠어 마치 등에서 빛이 나는 듯한 인상을 준다. 비늘의 황금색이 얼마나 균일하고 진하게 나타나는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 슈퍼 레드 아로와나: 붉은색을 띠는 아로와나로, 입술, 수염, 지느러미 등 붉은색 발현 부위가 많고, 비늘 전체에 붉은색이 나타난다. 붉은색의 정도와 발현 부위에 따라 다양한 등급으로 나뉜다.

4. 생태

아시아아로와나는 일반적으로 낮에는 판다누스 뿌리나 다른 물체에 숨어 보호를 받으며, 밤에는 먹이를 찾아 나선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생활하거나 소규모 그룹을 이루어 활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4. 1. 번식

아시아아로와나는 성적으로 늦게 성숙한다. 암컷은 한 번에 30~100개의 비교적 큰 알을 낳는다. 수정된 알과 유충은 수컷의 입 안에서 부화한다. 수컷은 구강 부화를 통해 지극한 부성애를 보여준다.

4. 2. 행동

아시아아로와나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행동 양식을 보인다. 낮에는 판다누스 뿌리나 다른 물체에 숨어 보호를 받으며, 밤에는 먹이를 찾아 나선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단독으로 생활하거나 소규모 그룹을 이루어 활동하는 모습이 관찰된다.

5. 인간과의 관계

녹미어는 수족관에서 사육될 수 있으며, 멸종 위기에 놓여 CITES에 의해 국제 거래가 엄격하게 규제된다. 서식지 파괴와 남획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며, CITES는 상업적 거래를 금지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양식 개체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거래를 허용하고 있다. 이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개체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사육 및 거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수족관에서 녹미어를 사육할 때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 녹미어는 성장하면 최대 90cm까지 자라기 때문에, 성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려면 대형 수족관이 필요하다. 다른 Scleropages 종과 함께 기를 때는 개체 간의 공격성을 고려하여 넉넉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녹미어는 점프력이 뛰어나 탈출할 수 있으므로, 수족관 뚜껑을 반드시 덮어두어 탈출을 방지해야 한다.

수질 관리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깨끗하고 연수이며 약산성(pH 6.0~7.0)의 물을 유지해야 녹미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주기적인 물갈이와 여과 시스템 관리를 통해 적절한 수질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녹미어는 육식성이므로, 새우, 귀뚜라미, 작은 물고기 등 육류를 주식으로 하는 고품질의 식단을 제공해야 한다. 영양 불균형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골고루 급여하여 균형 잡힌 영양 공급에 신경 써야 한다.

5. 1. 문화적 의미

아시아 아로와나는 아시아 문화권에서 매우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특히 행운과 번영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지며, 이는 아시아 아로와나가 중국 신화 속 용을 닮았다는 인식과 깊이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연관성 때문에 아시아 아로와나는 오랫동안 높은 인기를 누려왔다. 풍수지리적 관점에서도 아시아 아로와나는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 물과 붉은색, 금색 등과의 조화가 부와 행운을 가져다준다고 여겨지며, 액운을 막아주는 존재로 인식되기도 한다.

대한민국에서도 아시아 아로와나는 부와 성공을 상징하는 물고기로 인식된다. 특히 사업가나 연예인들 사이에서 선호도가 높으며, 이는 아시아 아로와나가 단순한 애완동물을 넘어 재물과 행운을 가져다주는 존재로 여겨지기 때문이다.

5. 2. 보존 현황

아시아아로와나는 멸종 위기에 처해 있으며, 국제 거래는 CITES에 의해 엄격하게 규제된다. 서식지 파괴와 수족관에서의 수요 증가로 인한 남획이 주요 위협 요인으로 작용한다.

CITES는 아시아아로와나의 상업적 거래를 금지하지만,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양식 개체에 대해서는 예외적으로 거래를 허용하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개체의 보호와 지속 가능한 사육 및 거래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5. 3. 사육 시 주의사항

아시아아로와나를 수족관에서 사육할 때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녹미어는 성장하면 90cm까지 자라기 때문에, 성어를 위한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려면 대형 수족관이 필요하다. 다른 Scleropages 종과 함께 기르려면 개체 간의 공격성을 고려하여 넉넉한 공간을 제공해야 한다. 녹미어는 점프력이 뛰어나 탈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수족관 뚜껑을 반드시 덮어두어 탈출을 방지해야 한다.

수질 관리 또한 중요한 요소이다. 깨끗하고 연수이며 약산성(pH 6.0~7.0)의 물을 유지해야 녹미어의 건강을 유지할 수 있다. 주기적인 물갈이와 여과 시스템 관리를 통해 적절한 수질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녹미어는 육식성이므로, 새우, 귀뚜라미, 작은 물고기 등 육류를 주식으로 하는 고품질의 식단을 제공해야 한다. 영양 불균형은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종류의 먹이를 골고루 급여하여 균형 잡힌 영양 공급에 신경 써야 한다.

6. 논란

녹미어는 고가에 거래되는 아시아 아로와나와 관련된 논란에 휩싸여 있다. 아시아 아로와나의 높은 가격은 불법 거래를 부추겼고, 이로 인해 납치, 태형, 살인과 같은 심각한 범죄가 빈번하게 발생했다. 이러한 불법 거래는 녹미어의 생존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관련 범죄로 인해 많은 인명 피해를 발생시키며 사회적 문제로 이어진다.

참조

[1] 간행물 "''Scleropages formosus''" 2019
[2] 웹사이트 Appendices {{!}}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3] 논문 Genetic variability of the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based on mitochondrial DNA genes
[4] 논문 Comparison of three DNA marker systems for assessing genetic diversity in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5] 논문 Monitoring the genetic diversity of three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captive stocks using AFLP and microsatellites
[6] 논문 The fishes of Danau Sentarum National Park and the Kapuas Lakes Area, Kalimantan Barat, Indonesia http://rmbr.nus.edu.[...] 2013-04-21
[7] 논문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relatedness among colour variants of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8] 논문 The different colour varieties of the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Osteoglossidae) are distinct species: morphologic and genetic evidences
[9] 웹사이트 Fishbase - Scleropages formosus food items. http://www.fishbase.[...]
[10] 논문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vertebrate radiations
[11] 웹사이트 The reason the freshwater fish arowana live across the sea https://www.brh.co.j[...] Biohistory Journal 2013-04-22
[12] 웹사이트 Catalog of Fishes http://research.cala[...] 2013-04-22
[13] 논문 The types of ''Osteoglossum formosum'' Müller & Schlegel, 1840 (Teleostei, Osteoglossidae)
[14] 서적 Systematics, Zoogeography, and Conservation of the Freshwater Fishes of Peninsular Malaysia. Colorado State University
[15] 문서 West & NSK (Arowana Club.com), 2003.
[16] 웹사이트 General Parts of an Asian Arowana http://www.arowanacl[...] 2006-09-02
[17] 문서 "''Unoaquatic Arowana Group'', 1999."
[18] 논문 The reproductive biology of Scleropages formosus (Muller & Schlegel) (Osteoglossomorpha, Osteoglossidae) In Malaya, and the morphology of its pituitary gland
[19] 웹사이트 Chinese Belief http://www.dragonfis[...] 2006-05-10
[20] 뉴스 Superstitious Bangaloreans eat Arowana fish http://www.hindustan[...] 2006-05-10
[21] 논문 DNA fingerprinting: application to conservation of the CITES-listed dragon fish, Scleropages formosus (Osteoglossidae)
[22] 서적 Complete Encyclopedia of the Freshwater Aquarium Firefly Books Ltd.
[23] 웹사이트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System https://www.fws.gov/[...] 2013-04-22
[24] 웹사이트 The fate of the Asian arowana in the hands of the aquarium industry http://www.geocities[...] 2009-10-25
[25] 서적 Complete Encyclopedia of the Freshwater Aquarium Firefly Books Ltd.
[26] 논문 A strain-specific and a sex-associated STS marker for Asian arowana (Scleropages formosus, Osteoglossidae) 2003-09
[27] 웹사이트 The fish people kill to own https://www.usatoday[...] 2016-05-25
[28] 문서 Anglo Aquarium (n.d.); Shin Min Daily News, 2005
[29] 웹사이트 Koi Family http://www.bernds-po[...] 2017-04-06
[30] 뉴스 Good article on Arowana feeding.. https://www.monsterf[...] 2017-04-06
[31] 웹사이트 Asian Bonytongue (''Scleropages formosus'') https://www.fws.gov/[...] 2021-03-18
[32] 간행물 "''Scleropages formosus''" 2013-03-17
[33] 문서 Pouyaud et al., 2003
[34] 문서 ITIS, 2006.
[35] 문서 Kottelat and Widjanarti, 2005.
[36] 간행물 Fishbase 2006
[37] 논문 Kumazawa 2000
[38] 서적 Catalog of Fishes 2006
[39] 간행물 FishBase 2006
[40] 간행물 Ismail 1989
[41] 간행물 Ismail 1989
[42] 웹사이트 West & NSK (Arowana Club.com) 2003
[43] 단체 Unoaquatic Arowana Group 1999
[44] 웹사이트 Fishindex.com 2004
[45] 뉴스 Shin Min Daily News 2005
[46] 간행물 Kottelat 1996
[47] 웹사이트 Fishindex.com 2004
[48] 서적 Dawes 2001
[49] 웹사이트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Threatened and Endangered Species System (TESS)
[50] 서적 Ismail 1989
[51] 서적 Ismail 1989
[52] 서적 Ismail 1989
[53] 간행물 Lee
[54] 서적 Dawes 2001
[55] 서적 Dawes 2001
[56] 웹사이트 Anglo Aquarium
[57] 웹사이트 Scleropages formosus (Müller & Schlegel, 1844) 녹미어 https://www.cbd.int/[...]
[58] 논문 Pouyaud 2003
[59] 간행물 ITIS 2006
[60] 간행물 Kottelat and Widjanarti 2005
[61] 간행물 Fishbase 20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