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래상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래상어는 열대 및 난류 해역에 서식하는 세계 최대의 어류이다. 12m 이상, 무게 25톤 이상으로 성장하며, 회색 바탕에 독특한 반점과 줄무늬를 가진다. 플랑크톤을 주로 먹으며, 입을 크게 벌려 물과 함께 먹이를 섭취하는 여과 섭식 방식을 사용한다. 고래상어는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아 스노클링이나 다이빙 관광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개체 수 감소로 인해 국제적으로 보호받고 있다. 일부 수족관에서 사육되며, 짝짓기 모습은 아직 관찰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염상어목 - 얼룩말상어
얼룩말상어는 인도-태평양 열대 해역에 서식하며 어린 시절 얼룩말 무늬에서 성체가 되면 표범 무늬로 변하는 독특한 외형을 지닌 난생 상어로, 온순한 성격과 외모로 인기를 얻지만 서식지 파괴와 어획으로 인해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보호받고 있다. - 1828년 기재된 물고기 - 팬더그루퍼
팬더그루퍼는 흰색 바탕에 검은 점이 있는 바리과 물고기로, 인도양과 서부 태평양의 산호초 지역에 서식하며 관상어 및 식용으로 이용되고, 자성 선숙형 어종으로 암컷에서 수컷으로 성전환하며, 과도한 어획으로 인해 보호받고 있다. - 1828년 기재된 물고기 - 다금바리
다금바리는 농어목 바리과에 속하는 대형 어류로 일본, 동중국해 등에 분포하며 고급 어종으로 낚시나 저인망으로 어획되어 다양한 요리에 사용된다. - 연골어류 - 판새류
판새류는 상어, 가오리, 홍어 등을 포함하는 연골어류 아강으로, 아가미구멍과 여러 열의 이빨을 가지며 기름으로 가득 찬 간으로 부력을 조절하고, 턱 구조의 다양성을 보이는 특징을 지니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전 세계 해역과 일부 담수에 분포하지만 멸종 위기에 처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연골어류 - 전두어류
전두류는 연골어류에 속하며 고생대 상어의 특징을 지니고 바닥 근처에 서식하는 어류 분류군으로, 1쌍의 아가미틈과 아가미덮개를 가지며 데본기에 출현하여 현재는 은상어목만 현존한다.
고래상어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Rhincodon typus |
명명자 | A. Smith, 1828년 |
속 | Rhincodon |
속 명명자 | A. Smith, 1829년 |
과 | 징베에자메과(Rhincodontidae) |
영명 | Whale shark |
스페인어 이름 | tiburón ballena |
한국어 이름 | 고래상어 |
최대 크기 | 18.8m |
멸종 위기 등급 | EN |
CITES 부속서 | A2 |
화석 기록 | 약 2840만 년 전 ~ 현재 |
다른 이름 | Micristodus punctatus Gill, 1865 Rhineodon Denison, 1937 Rhiniodon typus A. Smith, 1828 Rhinodon pentalineatus Kishinouye, 1901 Rhinodon typicus Müller & Henle, 1839 |
생물학적 특징 | |
몸길이 | 최대 18.8 미터 |
몸무게 | 알려진 최대 몸무게는 21.5톤 |
먹이 | 플랑크톤, 작은 물고기, 오징어 등 |
수온 | 21°C |
분포 및 서식지 | |
서식 범위 | 전 세계 열대 및 온대 해역 |
분포 지역 | [[파일:Rhincodon typus distmap.png|250px|분포지역]] |
기타 정보 | |
![]() | |
학명의 로마자 표기 | Rhincodon typus (린코돈 튀푸스) |
2. 분포
고래상어는 전 세계 모든 열대 및 아열대, 온대(위도 ±30° 이내)의 따뜻한 해수대 표층 해역에 서식한다.[108] 기본적으로 단독 생활을 하지만, 특정 시기마다 먹이를 먹기 위해 특정 해안에 모이는 습성이 있으며, 먹이가 풍부한 해역에서는 무리를 이루기도 한다.[108] 보통 연안에서 발견되지만, 환초나 석호, 강 어귀의 입구처럼 육지 가까이에서 발견되기도 한다. 최소 1286m 깊이까지 생존할 수 있으며,[159] 회유하는 어종이다.[160][108] 암컷은 특정 해역에 머무르는 경향이 있는 반면, 수컷은 더 넓은 해역을 회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08]
주요 발견 지역은 다음과 같다.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남쪽과 동쪽 해안
- 남대서양의 세인트헬레나섬
- 지부티의 타주라만
- 벨리즈의 글래든 스핏
- 호주 서쪽의 닝갈루 해안
- 인도의 락샤드위프 제도와 쿠치만[158]
- 온두라스의 우틸라섬
- 필리핀의 남레이테주, 소르소곤주, 남카마리네스주, 바탕가스주
- 멕시코의 유카탄반도(이슬라무헤레스, 이슬라홀보쉬), 바하칼리포르니아주
- 인도네시아의 우중쿨론 국립공원
- 마다가스카르의 노지베섬
- 모잠비크의 이냠바느 근처 토포 해변
- 탄자니아의 마피아섬, 펨바섬, 잔지바르
- 아라비아해와 오만만의 섬들
- 이스라엘의 에일라트 (드물게 발견)
- 일본 근해 (초여름부터 가을까지 회유)[108]
2011년에는 400마리가 넘는 고래상어가 멕시코 유카탄 반도에 모여들었는데, 이는 기록된 고래상어 모임 중 가장 큰 규모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162] 유카탄 반도에서의 모임은 5월에서 9월 사이에 주로 일어나며, 이를 관찰하기 위한 생태관광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163]
2012년 2월 7일에는 파키스탄 카라치 해안에서 약 11m에서 12m 길이에 무게 약 15ton에 달하는 고래상어가 포획되기도 했다.[161]
대한민국에서는 2012년부터 제주도 해안과 동해안에서 고래상어가 꾸준히 출몰하고 있다. 이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 원인으로 추정된다.[164]
3. 외관
고래상어는 현존하는 어류 중 가장 큰 종으로, 최대 몸길이는 20m에 달한다는 기록도 있지만[106][107], 현재까지 과학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가장 큰 개체 기록은 2001년 아라비아해에서 발견된 길이 약 18.8m의 암컷이다[109]. 평균적인 성체는 길이 약 9.7m, 무게 약 9ton 정도 된다[166]. 1947년 파키스탄 카라치 근해에서 잡힌 개체는 길이 12.65m, 둘레 7m, 무게 약 25.5ton로 측정된 바 있다.
몸은 전형적인 방추형이며, 머리 부분이 가장 폭이 넓어 보통 1.5m 정도이다. 머리는 넓고 편평하며, 다른 많은 상어들과 달리 입이 머리 앞쪽에 위치한다[11]. 입은 폭이 최대 1.5m까지 벌어질 수 있으며[165], 안에는 300~350줄의 아주 작은 이빨들이 촘촘히 나 있다[165][13]. 이 이빨은 먹이를 잡는 데 쓰이지 않고, 10개[165](일부 자료에서는 20개[13])의 여과섭식용 여과판(filter pads)으로 플랑크톤 등을 걸러 먹는다. 머리 앞쪽 양 끝에는 작은 눈이 있으며, 눈 바로 뒤에는 분수공이 있다. 눈 표면은 피부치아(dermal denticles)로 덮여 있으며, 외부 위협 시 눈을 안쪽으로 집어넣어 보호할 수 있다[15][16][113]. 5쌍의 큰 아가미는 가슴지느러미 시작 부분 앞쪽 위에 열려 있다[14].
몸 색깔은 등이 짙은 회색 또는 회청색이고 배는 흰색이다. 등과 옆면에는 연한 노란색 또는 흰색의 반점과 줄무늬가 배열되어 있는데, 특히 몸통 부분은 흰색 격자 무늬 안에 반점이 들어 있는 독특한 패턴을 보인다. 이 무늬는 체스판의 바둑판무늬에 비유되기도 하며, 사람의 지문처럼 개체마다 고유하여 개체 식별에 활용된다[14]. 피부는 매우 두껍고 단단하며 거친데, 그 두께는 약 10cm에서 최대 15cm에 달한다[165][14]. 몸의 양 옆면에는 머리 뒤쪽부터 꼬리자루까지 이어지는 3개의 뚜렷한 능선(ridge)이 있다[14].
지느러미는 몸 뒤쪽에 위치한 2개의 등지느러미, 한 쌍의 가슴지느러미, 한 쌍의 배지느러미, 그리고 하나의 항문지느러미를 가지고 있다[14]. 꼬리지느러미는 위쪽 엽(lobe)이 아래쪽 엽보다 큰 이형미상 형태이며, 성체는 반달 모양에 가깝지만 어린 개체는 위쪽 엽만 두드러지게 발달해 있다[14].
4. 크기
고래상어는 현존하는 어류 중 가장 크며, 고래류를 제외하면 세계에서 가장 큰 동물이다. 하지만 이 종의 최대 크기와 성장 패턴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4][28]
제한적인 증거(주로 수컷 대상)에 따르면, 성적 성숙은 대략 길이 8m에서 9m 사이에서 이루어지며, 암컷은 이와 비슷하거나 더 큰 크기에서 성숙하는 것으로 보인다.[10][25][26][27]
여러 연구에서 척추의 성장륜이나 수년에 걸쳐 다시 관찰된 상어들의 측정값을 분석하여 고래상어의 성장과 수명을 추정하고자 했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성장 곡선을 모델링하여 점근선 길이(이론상 도달할 수 있는 최대 크기)를 예측하는데, 연구 결과에 따라 15m에서 21.9m에 이르는 다양한 추정치가 나왔다.[7][50][49][28][5]
2020년 닝갈루 리프 주변에서 10년간 고래상어 개체 성장을 추적한 연구는 이 종이 크기에서 성적 이형을 보이며, 암컷이 수컷보다 더 크게 자란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에 따르면 수컷은 평균적으로 8m에서 9m 길이에 도달한다. 같은 연구에서 암컷 데이터는 상대적으로 적었지만, 평균 길이를 약 14.5m로 추정했다. 다만 수족관에서 사육된 고래상어 데이터를 포함하면 이 값은 12.1m로 낮아진다. 연구자들은 이 추정치가 평균적인 점근선 크기를 나타낼 뿐 가능한 최대 크기는 아니며, 지역에 따라 크기 차이가 있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28]
이전의 성장 연구들은 대부분 수컷 데이터를 기반으로 했고, 10m가 넘는 개체에 대한 데이터는 부족했다. 또한, 모든 연구가 수컷과 암컷의 성장 곡선을 분리하여 분석하지 않고 두 성별의 데이터를 합쳐서 사용하기도 했다. 성별에 따른 성장 곡선을 만든 연구에서는 수컷의 점근선 길이를 18m 이상으로 추정하기도 했지만, 이 연구들 역시 대부분 미성숙한 수컷만을 대상으로 하여 성장 곡선의 상한선을 정확히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28]
보고된 가장 큰 개체에 대한 상세 기록이 부족하여 고래상어의 정확한 최대 길이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과학 문헌에는 길이가 18m에서 20m에 달하는 고래상어가 보고되기도 했지만, 실제로 관찰되는 대부분의 고래상어는 이보다 작다.[4]
고래상어의 크기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육지에서나 물속에서나 모두 어렵다. 육상에서는 꼬리 지느러미를 자연스러운 각도로 두는지 최대한 펼치는지에 따라 전체 길이가 달라질 수 있다. 과거에는 물속에서 크기를 잴 때 알려진 크기의 물체와 비교하거나 매듭지은 밧줄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을 썼지만 정확도가 떨어졌다.[26] 최근에는 수중 및 항공 사진측량 기술을 활용하여 수중 측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다.[26][29][30]
1800년대 이후 매우 큰 고래상어에 대한 여러 기록이 존재한다. 주요 기록은 다음과 같다.
- 1868년, 아일랜드의 자연과학자 에드워드 퍼시벌 라이트(Edward Perceval Wright)는 세이셸에서 여러 마리의 작은 고래상어 표본을 확보했다. 그는 길이가 약 13.72m를 넘는 고래상어를 목격했다는 이야기를 들었으며, 자신이 약 15.24m가 넘는 개체를 관찰했다고 주장했고, 심지어 약 21.34m가 넘는다는 이야기도 들었다고 기록했다.[31]
- 휴 맥코믹 스미스(Hugh M. Smith)는 1919년 태국에서 대나무 어망에 걸린 거대한 고래상어에 대해 기술했다. 상어가 너무 무거워 육지로 끌어올리지 못해 직접 측정은 못 했지만, 여러 출처를 통해 최소 10 와(태국의 길이 단위)는 된다는 것을 확인했다. 스미스는 당시 1와가 약 1.7m에서 1.8m, 혹은 2m 정도로 해석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32] 이후 이 상어는 약 18m 크기로 인용되기도 했지만, 이 추정치의 정확성에는 의문이 제기된다.[10][4]
- 1934년, '마웅가누이'(Maunganui)호가 남태평양에서 고래상어와 충돌했다. 배의 선수에 걸린 상어는 한쪽으로 약 4.57m, 다른 쪽으로 약 12.19m 정도 튀어나와 총 길이는 약 약 16.76m로 추정되었다.[33][34]
- 스콧 에커트(Scott A. Eckert)와 브렌트 스튜어트(Brent S. Stewart)는 1994년부터 1996년까지 고래상어의 위성 추적 결과를 보고했는데, 추적된 15마리 중 두 마리의 암컷은 각각 15m와 18m로 측정되었다고 보고했다.[35]
- 1995년에는 인도 라트나기리 해안에서 20.75m 길이의 고래상어가 좌초되었다는 보고가 있었다.[36][37]
- 2001년 아라비아해에서는 표준 길이가 15m이고 총 추정 길이가 18.8m인 암컷이 보고되었다.[38] 2015년 해양 메가파우나 크기에 대한 검토 연구에서 맥클레인(McClain)과 동료들은 이 개체를 가장 신뢰할 수 있고 정확하게 측정된 사례로 간주했다.[4]
- 2012년 2월 7일, 파키스탄 카라치 해안에서 약 150km 떨어진 곳에서 큰 고래상어가 죽은 채 떠 있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 개체의 길이는 11m와 12m 사이였고, 무게는 약 15000kg이었다.[39]
5. 먹이
고래상어는 돌묵상어, 넓은주둥이상어와 함께 여과 섭식을 하는 세 종류의 상어 중 하나이다.[160][172] 주요 먹이는 플랑크톤으로, 여기에는 작은 해조류, 요각류, 크릴, 물고기 알, 새끼 크리스마스섬홍게 유충[169][61], 해파리, 두족류 유생 등이 포함된다. 또한 작은 물고기(정어리, 멸치, 고등어, 작은 참치 등)나 오징어와 같은 작은 유영동물도 먹는다.[170][66][67] 물고기나 산호가 집단으로 산란할 때는 그 알과 이리(정자 덩어리)를 먹기도 한다.[170][66][115] 영국 BBC 프로그램인 플래닛 어스는 고래상어가 작은 물고기 떼를 먹거나, 물고기들이 알을 낳는 시기에 맞춰 알과 치어를 먹는 모습을 촬영하였다.[170][66]
고래상어는 여러 줄로 배열된 작은 이빨 흔적을 가지고 있지만, 이는 먹이를 먹는 데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는다. 고래상어는 먹이를 능동적으로 섭취하는 편인데,[160][172] 이는 물을 펌핑하지 않고 헤엄치면서 수동적으로 여과 섭식하는 돌묵상어와 대조된다.[6][63] 섭식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뉜다. 하나는 입을 크게 벌리고 앞으로 나아가면서 물과 먹이를 입안으로 밀어 넣는 램 여과(ram filtration영어) 방식이고, 다른 하나는 입을 열고 닫으면서 물을 능동적으로 빨아들인 후 아가미를 통해 배출하는 흡입 섭식(active suction feeding영어) 방식이다.[67] 램 여과 방식은 먹이 밀도가 낮을 때 주로 사용된다.[67]
두 방식 모두 입안의 여과 패드(filtration pad영어)가 먹이와 물을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독특한 검은색 체와 같은 구조는 아가미갈퀴(鰓耙)가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고래상어의 먹이 분리는 교차류 여과(cross-flow filtration영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물은 여과 패드 표면과 거의 평행하게 흘러 아가미틈(鰓裂)으로 빠져나가고, 밀도가 높은 먹이 입자는 목구멍 뒤쪽으로 넘어간다.[171][62] 이 방식은 여과 패드 표면이 막히는 것을 최소화하는 매우 효율적인 방법이다. 고래상어가 여과 패드에 쌓인 찌꺼기를 제거하기 위해 '기침'하는 모습도 관찰되었다.[62]
어린 고래상어는 하루에 약 21kg의 플랑크톤을 먹는 것으로 추산된다.[65] 해수면 근처에 떠다니는 먹이를 효율적으로 먹기 위해 몸을 수직에 가깝게 세우는 자세를 취하기도 한다.[115]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에서는 고래상어가 이런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수조 깊이를 10m로 설계했다.
여과 섭식 방식 때문에 고래상어는 미세 플라스틱 섭취에 취약하며, 실제로 배설물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되기도 했다.[68] 고래상어는 먹이가 풍부한 곳이나 번식지를 찾아 계절에 따라 이동하는 습성이 있다.[160][172][173][6][63][64]
성체 고래상어의 천적은 거의 없지만, 2024년에는 어린 개체가 범고래에게 포식당하는 영상이 촬영된 바 있다.
6. 인간에 대한 태도
고래상어는 거대한 크기에도 불구하고 사람을 공격하지 않는다. 성격이 매우 유순하여 때로는 사람을 따르기도 한다.[174][175] 새끼 고래상어는 특히 온순하며 다이버들과 장난을 치기도 한다.[69] 피오나 에이어스트 Fiona Ayerst영어와 같은 수중 사진작가들은 고래상어가 사람에게 아무런 위험 없이 가까이 헤엄치는 모습을 촬영해왔으며,[69][177][178] 스킨 스쿠버 다이버들에게 자주 목격된다.[174]
그러나 고래상어를 만지거나 타는 행위는 고래상어에게 큰 방해가 되고 심각한 해를 끼칠 수 있으므로,[73][74][75]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이를 엄격히 금지하고 위반 시 벌금을 부과한다.[70][71][72] 상어 연구가들과 환경보호론자들 역시 이러한 행위를 반대한다.[176]
고래상어는 매우 겁이 많고 환경 변화에 약해 사육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일본 오사카시의 가이유칸이나 오키나와현의 오키나와 추라우미 수족관 등에서는 장기 사육에 성공한 기록이 있다.
주요 관찰 지역은 다음과 같다.[174][69][76]
- 온두라스의 이슬라스데라바이아 주 (베이 제도)
- 태국
- 인도네시아 (보네 볼랑고 Bone Bolangoid, 첸드라와시만 Cendrawasih Bayid)
- 필리핀 (마미길리 (남 아리 환초) Maamingili디베히어 포함)
- 몰디브
- 홍해
- 오스트레일리아 서해안 (닝갈루 해안 (닝갈루 암초), 크리스마스섬)
- 타이완
- 파나마 (코이바섬 Isla Coibaes)
- 벨리즈
- 모잠비크 (토포 해변 Praia do Tofopt)
- 남아프리카 공화국 (소드와나만 (이시망갈리소 습지 공원))[178]
- 갈라파고스 제도
- 세인트헬레나
- 멕시코 (이슬라 무헤레스, 라파스 La Pazes, 바히아 데 로스 안헬레스 Bahía de los Ángeleses)
- 세이셸
- 말레이시아 (서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반도 동부 섬 포함)
- 인도
- 스리랑카
- 오만
- 아랍에미리트 푸자이라
- 푸에르토리코
- 기타 카리브해 지역
- 지부티 타주라만 Golfe de Tadjoura프랑스어 연안 (어린 개체)[77]
7. 사육
고래상어는 소수의 공공 수족관에서 사육되는 인기 있는 종이지만, 거대한 크기 때문에 매우 큰 수조가 필요하고 특수한 먹이 요구 사항이 있다.[87] 성격은 매우 온순하지만 겁이 많고 환경 변화에 약해 사육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거대한 크기와 상징성 때문에 사육에 대한 비판적인 여론도 존재하는데, 특히 일부 개체가 사육 중 조기에 폐사하거나 상대적으로 작은 수조에 사육된 사례 등이 논란이 되었다.[88][89]
고래상어를 사육하려는 최초의 시도는 1934년 일본 이즈의 자연 만을 그물로 막은 생簀(いけす, 가두리)에서 약 4개월 동안 사육되었을 때였다.[90][127] 수족관 시설에서의 사육은 1980년 일본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당시 오키나와 해양 박람회 수족관)에서 시작되었다.[87][128] 1980년 이후 오키나와에서는 여러 마리가 사육되었는데, 대부분 어부들이 설치한 연안 그물에 우연히 잡힌 개체(2009년 이후 없음)였고, 두 마리는 좌초된 개체였다.[87] 초기에는 포획이나 좌초로 인해 약해진 개체가 많아 사육 성공률이 낮았으나,[87][89] 사육 기술이 발전하면서 장기 사육이 가능해졌다.[87] 2021년 기준으로 오키나와 츄라우미 수족관에서 1995년부터 사육된 "진타"라는 개체는 26년 이상 생존하여 고래상어 장기 사육 세계 기록을 보유하고 있으며,[91][87][129] 현재 몸길이 약 8.8m로 성장하여 기능적 성숙이 확인되어 사육 상태에서의 번식을 목표로 연구 중이다.[129][130]
오키나와에 이어 오사카 가이유칸 수족관 역시 1990년부터 고래상어 사육을 시작했으며, 이 두 기관에서 고래상어 사육에 대한 기초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92][132] 가이유칸, 가고시마의 이오월드 수족관(2000년부터), 노토지마 수족관(2010년부터) 등에서는 고래상어가 일정 크기(가이유칸 약 6m, 이오월드 5.5m, 노토지마 6m)로 성장하면 방류하며, 이때 위치 추적 장치를 부착하여 생태 연구에 활용하고 있다.[133][134][135][136][137] 과거 8회의 조사를 통해 수심 1500m까지 잠수하거나 필리핀까지 이동하는 등의 행동이 밝혀졌다.[136][137]
과거 일본 내에서는 요코하마 하케이지마 씨파라다이스, 오이타 마린팰리스 수족관(우미타마고), 오타루 수족관, 시모다 해중 수족관, 아와시마 마린파크 등에서도 사육된 기록이 있다.[138][139][140][141][142] 특히 오이타에서는 1995년, 대만에서 포획된 어미로부터 발견된 치어 중 한 마리를 반입하여 세계 최초로 몸길이 62cm의 치어 단계부터 사육을 시작했다.[143] 이 개체는 약 3년간 사육되어 몸길이 약 3.7m까지 성장했으나 결국 폐사했지만, 이를 통해 성장 속도가 매우 빠르다는 점이 밝혀졌다.[144][145]
아시아 다른 지역에서는 타이완의 국립해양생물박물관 및 수족관, 중국의 치멜롱 오션 킹덤, 다롄 수족관, 광저우 동물원 수족관, 칭다오 극지해양세계, 옌타이 수족관 등에서도 사육 기록이 있다.[90][147] 두바이의 아틀란티스 더 팜에서도 2008년 구조된 개체를 재활시킨 후 약 19개월간 사육하다 2010년에 방류했다.[93][94][180] 싱가포르의 마린 라이프 파크는 고래상어 사육을 계획했으나 2009년에 취소했다.[95][96]
아시아 외 지역에서 고래상어를 사육한 곳은 미국 애틀랜타의 조지아 수족관이 유일하다.[90] 이는 상대적으로 긴 운송 시간과 고래상어를 수족관으로 운반하는 데 필요한 복잡한 물류(28~36시간) 때문이다.[92] 현재 "타로코(Taroko)"와 "유솬(Yushan)"이라는 수컷 2마리가 있으며(2007년 도착),[97] 과거 "랄프(Ralph}"와 "노턴(Norton)"(2007년 폐사),[89] "앨리스(Alice)"(2021년 폐사), "트릭시(Trixie)"(2020년 폐사) 등 여러 개체가 사육 중 폐사하였다.[179] 조지아 수족관의 고래상어는 모두 타이완에서 식용 어획 쿼터로 잡힌 개체들을 수입한 것이었으나,[92][98] 타이완은 2008년 이 어업을 완전히 중단했다.[98]
한국에서는 2012년 7월 7일 제주 앞바다의 정치망에 걸린 고래상어 두 마리가 아쿠아플라넷 제주로 운송되었다. 그러나 그중 한 마리가 같은 달 18일 만성 신부전으로 폐사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자, 나머지 고래상어를 즉각 방사하라는 여론이 일었다. 이에 아쿠아플라넷 제주는 남은 고래상어에 연구 조사를 위한 위치 추적 장치를 부착한 채 방사를 결정했으나,[181][182] 이 개체마저 이후 실종되었다.
8. 생식
현재까지 고래상어의 짝짓기 과정 전체가 관찰된 적은 없다.[51] 다만, 세인트헬레나에서 두 차례 교미가 목격되었고,[51] 2019년에는 호주 닝갈루 리프 상공에서 비행기를 통해 더 큰 수컷이 미성숙한 작은 암컷과 교미하려는 시도가 촬영된 바 있다.[52]
고래상어는 난태생으로 번식한다. 이는 1996년 7월 타이완에서 약 10.6m 크기의 임신한 암컷이 포획되면서 밝혀졌는데, 당시 뱃속에는 약 300마리 이상의 새끼가 들어 있었다.[160][183][184][6][53][54][122] 알은 암컷의 몸 안에서 부화하며, 새끼는 40cm에서 60cm 정도 크기로 태어난다.[185][55][122] 암컷은 한 번의 교미로 얻은 정자를 몸 안에 저장했다가 오랜 기간에 걸쳐 여러 차례 나누어 새끼를 낳는 것으로 보인다.[185][55]
고래상어의 성장, 수명, 번식에 대해서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7][25][49] 척추의 성장대를 이용해 나이, 성장, 수명을 추정해왔으나, 성장대가 매년 생기는지에 대한 불확실성이 있었다.[50][5][7] 2020년 연구에서 척추 성장대의 탄소-14 동위원소 비율을 1950~60년대 핵무기 실험 시기와 비교하여 성장대가 매년 형성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연구는 10m 암컷의 나이를 50세, 9.9m 수컷의 나이를 35세로 추정했다.[49] 여러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고래상어의 수명은 약 70년에서 100년 사이로 추정되며,[186] 최대 약 130년에 이를 수도 있다는 연구도 있다.[5][6][7]
성적 성숙은 늦게 이루어지는데,[49] 수컷은 약 25세,[7] 암컷을 포함한 평균적인 성숙 연령은 약 30세 정도로 추정된다.[186][122] 수컷은 생애 초기에는 암컷보다 빠르게 성장하지만, 최종적으로는 암컷보다 작은 크기에 도달하는 경향이 있다.[28]
2009년 3월 필리핀 소르소곤주 필라르 해변에서는 38cm 크기의 아주 작은 새끼 고래상어가 발견되어 구조 후 방류되었다. 이는 현재까지 발견된 가장 작은 개체로 기록되었다.[187][56] 이러한 발견과 함께 세인트헬레나, 필리핀 티카오 해협, 갈라파고스 제도 등지에서 어린 새끼나 임신한 암컷이 꾸준히 발견되면서 이 지역들이 고래상어의 중요한 번식지 또는 산란장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187][188][56][57][58][59][60] 특히 갈라파고스 제도의 다윈 섬 주변에서는 성체 암컷이 집중적으로 관찰되어 번식에 중요한 장소로 여겨진다.[59][60]
9. 보존 상태
고래상어의 정확한 전 세계 개체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 종은 어업, 혼획으로 인한 손실, 선박 충돌[78] 및 긴 수명과 늦은 성숙[2] 등의 요인으로 인해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 의해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되어 있다.[153][78] 2018년 6월, 뉴질랜드 뉴질랜드 환경보전부는 뉴질랜드 위협 분류 시스템에 따라 고래상어를 "이동성"으로 분류하고 "해외 안전"이라는 조건을 덧붙였다.[79]
국제적인 보호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2003년, 고래상어는 살아있는 개체와 그 일부의 국제 거래를 규제하기 위해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거래에 관한 협약(CITES)의 CITES 부속서 II에 추가되었다.[195][85] 또한, 고래상어는 다른 여섯 종의 상어와 함께 본 협약(CMS)의 회유성 상어 MOU에 등재되어 있다.[80]
몇몇 국가에서는 고래상어 보호를 위한 자체적인 조치를 시행하고 있다. 필리핀에서는 1998년부터 상업적인 목적으로 고래상어를 포획, 판매, 수입 및 수출하는 것이 금지되었다.[189][81] 인도는 2001년 5월부터,[190][82] 대만은 2007년 5월부터 이러한 조치를 따르고 있다.[191][83] 하지만 이러한 보호 노력에도 불구하고, 대만과 필리핀 등 많은 아시아 국가에서는 여전히 밀렵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2014년에는 중국에서 매년 수백 마리의 고래상어가 지느러미, 가죽, 기름을 얻기 위해 불법적으로 포획되고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86]
환경 재해도 고래상어에게 위협이 된다. 2010년 딥워터 허라이즌 기름 유출 사고로 인해 약 4,900,000 배럴의 기름이 미시시피강 삼각주 남쪽 지역으로 유입되었다. 이 지역은 걸프만 북부에서 관찰된 고래상어의 약 3분의 1이 발견되는 중요한 서식지였다. 사고 당시 고래상어가 먹이를 먹는 수면 위에 기름띠가 형성되어 먹이 활동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으나, 사고로 인한 고래상어 사체는 발견되지 않았다.[194][84]
한편, 2006년 싱가포르의 리조트 월드 센토사는 공원 내에 고래상어를 전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나, 7개 환경보호단체의 거센 반발에 부딪혔다. 결국 2009년, 이 계획은 다른 대안을 찾는 것으로 보류되었다.[192][193]
10. 인간과의 문화
베트남 문화에서 고래상어는 Cá Ông|까옹vi이라는 신으로 불리는데, 이는 "물고기님" 또는 존경의 의미를 담아 "물고기 할아버지"라는 뜻이다.[196][103] 베트남에서는 고래상어와 고래류를 모두 Cá Ông|까옹vi이라 부르며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왔다.[150]
필리핀에서는 butandingfil과 balilanfil이라고 부른다.[197][100] 고래상어는 필리핀 페소 100PHP 지폐 뒷면에 그려져 있다.[197] 필리핀 법률에 따라 스노클러는 고래상어로부터 최소 약 1.22m의 거리를 유지해야 하며, 고래상어를 만지는 사람은 벌금이나 징역형을 받을 수 있다.[198][101]
마다가스카르에서는 고래상어를 마다가스카르어로 marokintanamg라고 부르는데, 이는 상어 등에 있는 무늬 때문에 "많은 별"이라는 뜻이다.[99]
일본에서는 jinbei-zame|진베이자메일본어(ジンベエザメ)라고 부른다. 이는 등 쪽의 회색 바탕에 흰색 반점 무늬가 일본 전통 옷인 jinbei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gurano bintangid("동쪽의 별")이라고 한다.[102]
고래상어 주위에는 종종 정어리나 가다랑어 등 크고 작은 어류가 무리 지어 다니는데, 일본 어부들은 이러한 관계를 경험적으로 알고 있어 고래상어를 풍어의 길조나 행운의 신처럼 여겨왔다. 관동 지방의 방언인 “에비스자메”(생물학적으로 실존하는 에비스자메와는 다름)라는 명칭이나, 다른 지역에서 “에비스”, “에벳산” 등으로 불리며 숭배되어 온 어업신에는 고래류뿐만 아니라 고래상어도 포함된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신앙은 현재까지도 이어져 사당이 소중히 지켜지고 있다. 미야기현 긴카산 앞바다에 나타난다는 바다 괴물 “진베이사마”의 정체 역시 고래상어가 아닐까 추정되며,[124] 배 밑으로 들어가 배를 지탱할 정도로 거대하고, 이것이 나타나면 가다랑어가 풍어를 이룬다고 전해진다.[125]
반면, 거대한 몸집과 강한 힘, 사포 같은 피부 때문에 작은 배가 고래상어에 닿으면 전복되거나 파손될 수 있어 어부들에게 두려움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123]
일본 각지에는 다음과 같은 방언 명칭이 있다.
지역 | 방언 명칭 |
---|---|
지바현 | じんべえ (지베에) |
미사키 (가나가와현) | えべすざめ (에베스자메) |
고치현 | さめ (사메) (고치현에서는 보통 상어류를 후카(ふか)라고 부르지만, 고래상어만 사메라고 부른다.)[149] |
이바라키현 | いびすさが (이비스사가), じんべ (진베) |
지바현, 가나가와현, 시즈오카현 | えびすざめ (에비스자메) |
후쿠이현 | じんべい (진베이) |
가고시마현 | くじらぶか (쿠지라부카) |
오키나와현 | みずさば (미즈사바) |
고래상어는 2015년~2017년판 말디브 1000 루피야 지폐에도 푸른바다거북과 함께 등장한다.
영어(whale shark), 독일어(Walhai), 프랑스어(requin baleine), 이탈리아어(squalo balena), 중국어(鯨鯊) 등 많은 언어에서 "고래상어"를 의미하는 이름을 가지고 있다. 대만에서는 고기 맛 때문에 "두부鯊"라는 별명도 있다.
고래상어의 지느러미는 '정수 지느러미'라 불리며 최고급으로 여겨진다. 특히 중국 요리에서 상어 지느러미를 선호하는 경향이 개발도상국 어부들의 무분별한 상어 남획으로 이어지는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된다. 고래상어 고기는 식용되는 경우가 드물지만, 맛은 담백하다고 알려져 있다.[126]
고래상어는 어업 활동 중 혼획되거나 선박 프로펠러에 의한 부상, 관광 활동에 의한 교란, 원유 유출 등 해양 오염으로 인해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106] 이러한 위협 때문에 2003년 워싱턴 조약 부속서 II에 등재되어 국제적인 보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105][107]
참조
[1]
웹사이트
Rhincodon typus in the Paleobiology Database
https://paleobiodb.o[...]
2021-12-17
[2]
IUCN
Rhincodon typus
2021-11-19
[3]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4]
논문
Sizing ocean giants: patterns of intraspecific size variation in marine megafauna
2015-00-00
[5]
학술지
Age and growth of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http://www.publish.c[...]
2014-00-00
[6]
웹사이트
Rhincodon typus
http://www.fishbase.[...]
FishBase
2006-09-17
[7]
학술지
Comparing length-measurement methods and estimating growth parameters of free-swimming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near the South Ari Atoll, Maldives
http://www.publish.c[...]
2018-00-00
[8]
웹사이트
Rhincodon or Rhiniodon? A Whale Shark by Any Other Name
http://elasmo-resear[...]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9]
학술지
Deep-diving behaviour of a whale shark Rhincodon typus during long-distance mov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
2009-02-03
[10]
학술지
A review of the biology and ecology of the whale shark
1997-00-00
[11]
웹사이트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http://marinebio.org[...]
2018-05-17
[12]
학술지
A note on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mith, stranded off Mangalore
https://core.ac.uk/d[...]
1959-00-00
[13]
웹사이트
Species Fact Sheet, Rhincodon typus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6-09-19
[14]
서적
CITES identification manual
Environment Australia
2002-00-00
[15]
학술지
Armored eyes of the whale shark
2020-06-29
[16]
웹사이트
Whale Sharks Have Tiny Teeth on Their Eyeballs
https://www.smithson[...]
[17]
학술지
Wound-healing capabilities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and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2021-02-00
[18]
학술지
Draft sequencing and assembly of the genome of the world's largest fish,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mith 1828
2017-12-00
[19]
웹사이트
How whale shark rhodopsin evolved to see, in the deep blue sea
https://www.scienced[...]
[20]
웹사이트
Whale sharks see in dark due to mutation behind blindness in humans
https://www.japantim[...]
2023-04-09
[21]
웹사이트
Whale Sharks Can See in the Dark Due to Genetic Mutation; Light-Sensing Pigment in Retina Works in Dim Environment
https://www.sciencet[...]
2023-04-03
[22]
학술지
Whale shark rhodopsin adapted to deep-sea lifestyle by a substitution associated with human disease
2023-03-28
[23]
웹사이트
Mutation behind night blindness in humans helps whale sharks see in the dark
https://www.science.[...]
2023-03-26
[24]
학술지
Whale shark rhodopsin adapted to its vertically wide-ranging lifestyle
https://www.biorxiv.[...]
2021-10-01
[25]
학술지
Whale shark (Rhincodon typus) biology and ecology: A review of the primary literature
2007-03-01
[26]
학술지
A review of the biology, fisheries and conservation of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2012-00-00
[27]
학술지
Size and maturity status of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at Ningaloo Reef in Western Australia
http://www.sciencedi[...]
2007-03-01
[28]
학술지
Asymptotic Growth of Whale Sharks Suggests Sex-Specific Life-History Strategies
2020-00-00
[29]
학술지
How large is the world's largest fish? Measuring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with laser photogrammetry
2011-00-00
[30]
학술지
Aerial photogrammetry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in the Bay of La Paz, using an unoccupied aerial vehicle
https://link.springe[...]
2022-07-05
[31]
서적
Six months at the Seychelles: letter to A. Searle Hart, LL. D., S.F.T.C.D.
British Library, Historical Print Editions
2011-00-00
[32]
학술지
A Whale Shark (Rhineodon) in the Gulf of Siam
1925-11-13
[33]
학술지
Whale Sharks Rammed by Ocean Vessels: How These Sluggish Leviathans Aid in Their Own Destruction
Boston Society of Natural History
1938-00-00
[34]
서적
The Jaws of Death: Shark as Predator, Man as Prey
https://books.google[...]
HarperCollins Publishers Limited
1992-00-00
[35]
학술지
Telemetry and Satellite Tracking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in the Sea of Cortez, Mexico, and the North Pacific Ocean
2001-02-01
[36]
논문
Turtles and whale shark landed along ratnagiri coast, maharashtra
https://core.ac.uk/r[...]
1996
[37]
논문
Stranding of a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mith) at Pamban, Gulf of Mannar
https://core.ac.uk/d[...]
2008
[38]
논문
Stable isotope profiles in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uggest segregation and dissimilarities in the diet depending on sex and size
2011
[39]
웹사이트
Experts to cut up 40.1-foot long whale shark today
http://tribune.com.p[...]
2012-02-10
[40]
논문
Whale Shark
https://www.iucnredl[...]
IUCN
2020-11-28
[41]
논문
Call of the deep
https://knowablemaga[...]
Annual Reviews
2022-06-06
[42]
뉴스
Whale sharks in Gulf of Mexico swim near the surface, take deep dives
https://phys.org/new[...]
2022-06-06
[43]
웹사이트
Whale Sharks Move in Mysterious Ways: Watch Them Online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16-08-12
[44]
뉴스
Drive to conserve whale shark
https://www.thehindu[...]
2017-08-30
[45]
뉴스
Whale sharks found off Gujarat coast no expats, they are Indian
https://timesofindia[...]
2016-05-12
[46]
뉴스
'What a privilege': Swimming with endangered whale sharks in Qatar
https://www.aljazeer[...]
2020-07-28
[47]
논문
An Unprecedented Aggregation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in Mexican Coastal Waters of the Caribbean Sea
2011-04-29
[48]
웹사이트
Yucatan Whale Sharks Swimming in Troubled Waters
https://www.future50[...]
2015-01-27
[49]
논문
Annual Bands in Vertebrae Validated by Bomb Radiocarbon Assays Provide Estimates of Age and Growth of Whale Sharks
2020-04-06
[50]
논문
Preliminary Study of Vertebral Growth Rings in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from the East Coast of South Africa
2000
[51]
서적
Evidence that St. Helena island is an important multi-use habitat for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 with the first description of putative mating in this species
https://peerj.com/pr[...]
2016
[52]
웹사이트
Attempted Whale Shark Mating Caught on Camera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https://www.livescie[...]
2019-06-24
[53]
논문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is a livebearer: 300 embryos found in one 'megamamma' supreme
1996-07
[54]
웹사이트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sharklady[...]
Sharklady
2006-09-26
[55]
논문
Paternity analysis in a litter of whale shark embryos
2010-08-04
[56]
웹사이트
Tiny whale shark rescued – World news – World environment
https://www.nbcnews.[...]
2009
[57]
웹사이트
St Helena whale sharks cause stir in Atlanta
http://www.sams.sh/L[...]
South Atlantic Media Services
2016-05-12
[58]
뉴스
'Largest number in years': Over 100 new whale sharks spotted in Donsol
https://www.rappler.[...]
Rappler.com
2019-08-30
[59]
논문
Adult female whale sharks make long-distance movements past Darwin Island (Galapagos, Ecuador) in the Eastern Tropical Pacific
http://link.springer[...]
2016-10
[60]
논문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easonal Presence, Residence Time and Habitat Use at Darwin Island, Galapagos Marine Reserve
2014-12-31
[61]
뉴스
Shark-cam captures ocean motion
http://news.bbc.co.u[...]
2009-07-30
[62]
논문
Feeding anatomy, filter-feeding rate, and diet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during surface ram filter feeding off the Yucatan Peninsula, Mexico
http://www.washingto[...]
2010
[63]
웹사이트
Elasmo Research
http://www.elasmo-re[...]
ReefQuest
2006-09-17
[64]
웹사이트
Whale shark
http://www.flmnh.ufl[...]
Ichthyology at the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17-05-11
[65]
웹사이트
Whale Sharks are BIG eaters!
http://www.sharks.or[...]
The Shark Research Institute
2016-04-24
[66]
방송
Jurassic Shark
Discovery Channel
2006-08-05
[67]
웹사이트
Rhincodon typus (whale shark)
http://animaldiversi[...]
2016-09-01
[68]
논문
Microplastics in fecal samples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and from surface water in the Philippines
2021
[69]
사진
Pictures of the Day: Tuesday, Aug. 04, 2009
https://content.time[...]
Time magazine
2009-08-04
[70]
웹사이트
Scuba diver fined for pulling whale shark tail in Thailand
https://divemagazine[...]
2024-07-11
[71]
웹사이트
Whale Sharks ⋅ Saint Helena Island Info ⋅ About St Helena, in the South Atlantic Ocean
http://sainthelenais[...]
2024-07-11
[72]
웹사이트
Government of Western Australia, Department of Fisheries. Whale Shark
https://www.fish.wa.[...]
[73]
논문
Establishing a quantifiable model of whale shark avoidance behaviours to anthropogenic impacts in tourism encounters to inform management actions
http://uhra.herts.ac[...]
University of Hertfordshire
2014
[74]
뉴스
Man filmed riding world's biggest shark in tourism stunt
https://www.newsweek[...]
2024-07-11
[75]
웹사이트
Friend of the Sea Sustainable Whale Shark Watching Standard
https://friendofthes[...]
[76]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Bullhead, Mackerel and Carpet Sharks
https://books.google[...]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02-04-26
[77]
웹사이트
Snorkelling with whale sharks in Djibouti
http://gulfnews.com/[...]
2013-04-02
[78]
간행물
Global collision-risk hotspots of marine traffic and the world's largest fish, the whale shark
2022
[79]
서적
Conservation status of New Zealand chondrichthyans (chimaeras, sharks and rays), 2016
https://www.doc.govt[...]
Department of Conservation
2018
[80]
웹사이트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the conservation of migratory sharks
http://www.cms.int/s[...]
Convention on migratory species
2012-02-13
[81]
웹사이트
Whale Sharks Receive Protection in the Philippines
http://hayop.0catch.[...]
1998-03-27
[82]
웹사이트
National Regulations on Whale Shark fishing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Sustainability, Environment, Water, Population and Communities
[83]
뉴스
COA bans fishing for whale sharks
http://www.taipeitim[...]
Taipei Times
2007-05-27
[84]
뉴스
Whale Sharks Killed, Displaced by Gulf Oil?
https://web.archive.[...]
2010-09-24
[85]
웹사이트
Whale shark
http://www.cites.org[...]
[86]
뉴스
Hundreds of sharks killed in China
http://www.abc.net.a[...]
ABC News
2014-02-05
[87]
서적
The Elasmobranch Husbandry Manual II
Ohio Biological Survey
2017
[88]
뉴스
Whale Shark's Death Sparks Debate
http://www.wsbtv.com[...]
wsbtv
2007-11-30
[89]
뉴스
Conservationists round on Chinese whale shark aquarium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0-10-25
[90]
웹사이트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mith, 1828 in Captivity
http://elasmollet.or[...]
2012-09
[91]
웹사이트
令和二年度 沖縄美ら海水族館 年報
https://churaumi.oki[...]
Okinawa Churaumi Aquarium
2021-05-28
[92]
서적
The Elasmobranch Husbandry Manual II
Ohio Biological Survey
2017
[93]
뉴스
Dubai hotel releases whale shark back into the wild
http://usatoday30.us[...]
2010-03-20
[94]
서적
The Elasmobranch Husbandry Manual II
Ohio Biological Survey
2017
[95]
뉴스
No whale sharks at Sentosa IR
http://wildsingapore[...]
Wild Singapore News
2009-05-16
[96]
뉴스
Resorts World considering alternatives to whale shark exhibit
http://www.asiaone.c[...]
2009-05-16
[97]
뉴스
Aquarium gains two new whale sharks
http://www.cnn.com/2[...]
CNN
2007-06-01
[98]
뉴스
Transporting the World's Largest Fish: A Whale [Shark] of a Task
https://www.promegac[...]
Promega Connections
2013-09-18
[99]
뉴스
Madagascar emerges as whale shark hotspot
https://www.bbc.co.u[...]
2018-05-17
[100]
웹사이트
Ocean Ambassadors – Sharks
http://www.oneocean.[...]
[101]
웹사이트
Swimming with whale sharks in the Philippines
http://edition.cnn.c[...]
CNN
2015-07-21
[102]
웹사이트
Rewards from Gurano Bintang Shark Conservation
https://www.kompas.i[...]
2022-02-05
[103]
웹사이트
Whale Shark
http://dsc.discovery[...]
Discovery.com
2013-09-05
[104]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https://cites.org/en[...]
2018-02-12
[105]
웹사이트
Rhincodon typus
https://www.speciesp[...]
UNEP
2018-02-12
[106]
논문
Rhincodon typus
2018-02-12
[107]
웹사이트
Rhincodon typus
http://www.fishbase.[...]
2017-10-00
[108]
웹사이트
WEB魚図鑑
2023-03-24
[109]
논문
Stable isotope profiles in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uggest segregation and dissimilarities in the diet depending on sex and size
2011-00-00
[110]
서적
Six months at the Seychelles : letter to A. Searle Hart, LL. D., S.F.T.C.D.
British Library, Historical Print Editions
2011-00-00
[111]
논문
Turtles and whale shark landed along ratnagiri coast, maharashtra.
http://eprints.cmfri[...]
1996-00-00
[112]
웹사이트
平成29年度国際漁業資源の現況 ジンベエザメ 日本周辺
http://kokushi.fra.g[...]
水産庁 水産研究・教育機構
2018-11-20
[113]
웹사이트
ジンベイザメの目は“大量の歯”に覆われていると判明…一体どういうこと?研究チームに聞いた|FNNプライムオンライン
https://www.fnn.jp/a[...]
2020-07-04
[114]
다큐멘터리
Jurassic Shark
2006-08-05
[115]
방송
ワイルドライフ メキシコ カリブ海 圧巻!巨大ジンベエザメ大集結 青い海の謎
2013-01-14
[116]
논문
Feeding anatomy, filter-feeding rate, and diet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during surface ram filter feeding off the Yucatan Peninsula, Mexico
2010-00-00
[117]
논문
Satellite tracking of juvenile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in the Northwestern Pacific
2007-00-00
[118]
웹사이트
Whale sharks in Gulf of Mexico swim near the surface, take deep dives
https://phys.org/new[...]
[119]
웹사이트
最新報告!謎だらけ巨大魚ジンベエザメ - ダーウィンが来た!
https://www.nhk.jp/p[...]
[120]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の目にはおびただしい数の「歯」が生えている、その理由とは? - GIGAZINE
https://gigazine.net[...]
2020-07-11
[121]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が水深2000mで過ごせる秘密は?…微弱な青い光キャッチ、視覚独自に進化か
https://www.yomiuri.[...]
2023-04-22
[122]
서적
講談社の動く図鑑move 魚
講談社
2012-00-00
[123]
서적
標準原色図鑑全集4 魚
保育社
1966-00-00
[124]
서적
日本妖怪大事典
角川書店
2005-00-00
[125]
서적
綜合日本民俗語彙
平凡社
1955-00-00
[126]
웹사이트
“売れない魚”の寿司が、なぜ20年も売れ続けているのか
https://www.itmedia.[...]
[127]
웹사이트
みとしーを知ろう
https://web.archive.[...]
2020-09-07
[128]
서적
沖縄美ら海水族館が日本一になった理由
光文社新書
2012-00-00
[129]
웹사이트
令和元年度沖縄美ら海水族館年報 第16号
https://analytics.tw[...]
[130]
웹사이트
世界初!雄のジンベエザメの性成熟過程を解明 -世界最長飼育記録をもつ「ジンタ」を20年以上にわたり調査-
https://churaumi.oki[...]
2020-09-07
[131]
웹사이트
水族館の新しいこころみ!ジンベエザメの繁殖に向けた飼育展示について
https://churaumi.oki[...]
2020-09-07
[132]
웹사이트
海遊館ヒストリー
https://www.kaiyukan[...]
2020-09-07
[133]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故郷の海へ放流 大阪の水族館を「引退」日本経済新聞
https://www.nikkei.c[...]
[134]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の遊泳経路調査
http://ioworld.jp/st[...]
[135]
웹사이트
のとじま水族館ジンベエザメの搬出について
https://www.pref.ish[...]
[136]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の回遊経路調査について
https://www.kaiyukan[...]
[137]
웹사이트
太平洋でがんばれ ジンベエザメを故郷に放流 海遊館
https://www.asahi.co[...]
[138]
웹사이트
東日本唯一のジンベエザメ死ぬ
https://jisin.jp/reg[...]
2020-09-07
[139]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死亡について
http://www.seaparadi[...]
2020-09-07
[140]
웹사이트
おたる水族館でジンベエザメの展示を開始。北海道では初のケース。新たな観光の目玉になるか?
https://tabiris.com/[...]
[141]
뉴스
【下田海中水族館】ジンベイザメがやってきた!8月1日より展示開始
https://www.excite.c[...]
[142]
웹사이트
あわしまマリンパークでジンベイザメ展示中
http://www.hakubutu.[...]
[143]
웹사이트
沼口麻子(シャークジャーナリスト)×増子均(サムイダイビングサービス)のサメ対談 ジンベエザメの謎に迫る!
https://oceana.ne.jp[...]
[144]
간행물
「海に魅せられた 50年」「マリーンパレス」の40年と「うみたまご」の10年 27ページ参照
https://www.umitamag[...]
2020-09-07
[145]
웹사이트
ジンベエザメのジジ
https://www.asahi-ne[...]
2020-09-07
[146]
웹사이트
【アメリカ】ジョージア州・アトランタにあるジョージア水族館で優雅に泳ぐジンベイザメを観察!世界最大級の巨大水槽も
https://www.travelbo[...]
[147]
웹사이트
珠海長隆海洋王国 ダイバーがジンベエザメと泳ぐ
http://japanese.chin[...]
[148]
뉴스
インドネシア/秘境のサメ、観光客を魅了
日経産業新聞
2017-12-07
[149]
서적
標準原色図鑑全集4 魚
保育社
1966
[150]
웹사이트
Whale shark#Naming
2018-02
[151]
논문
Draft sequencing and assembly of the genome of the world’s largest fish,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mith 1828
https://doi.org/10.1[...]
2017-07-14
[152]
논문
Shark genomes provide insights into elasmobranch evolution and the origin of vertebrates
https://www.nature.c[...]
2018-11
[153]
IUCN
Rhincodon typus
2000-05-11
[154]
웹사이트
Appendices CITES
https://cites.org/en[...]
2022-01-14
[155]
웹사이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156]
웹인용
Rhincodon or Rhiniodon? A Whale Shark by any Other Name
http://elasmo-resear[...]
ReefQuest Centre for Shark Research
[157]
논문
Deep-diving behaviour of a whale shark ''Rhincodon typus'' during long-distance mov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
[158]
뉴스
인도 해안에서 고래상어 발견 (Whale sharks found off Gujarat coast no expats, they are Indian)
http://m.timesofindi[...]
The Times of India
2014-08-30
[159]
논문
Deep-diving behaviour of a whale shark ''Rhincodon typus'' during long-distance movement in the western Indian Ocean
2009
[160]
웹인용
Rhincodon typus
http://www.fishbase.[...]
FishBase
2006-09-17
[161]
뉴스
Experts to cut up 40.1-foot long whale shark today
http://tribune.com.p[...]
The Express Tribune
2014-02-14
[162]
논문
An Unprecedented Aggregation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in Mexican Coastal Waters of the Caribbean Sea
http://www.plosone.o[...]
2011-04-29
[163]
웹사이트
Yucatan whale sharks swimming troubled waters
https://www.future50[...]
2016-01-08
[164]
뉴스
고래상어 동해안 잇따라 출연 그 이유는?
http://www.edaily.co[...]
2015-05-17
[165]
웹인용
Species Fact Sheet, ''Rhincodon typus''
http://www.fao.org/f[...]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06-09-19
[166]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1983
[167]
서적
The Jaws of Death: Shark as Predator, Man as Prey
http://books.google.[...]
HarperCollins Publishers Limited
1992
[168]
웹인용
Summary of Larg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Smith, 1828
http://homepage.mac.[...]
Home Page of Henry F. Mollet, Research Affiliate, Moss Landing Marine Laboratories
2013-12-14
[169]
뉴스
바다에서 움직이는 상어를 찍은 모습(Shark-cam captures ocean motion)
http://news.bbc.co.u[...]
BBC News
2008-11-17
[170]
비디오
Jurassic Shark
Discovery Channel
2006-08-05
[171]
논문
Feeding anatomy, filter-feeding rate, and diet of whale sharks ''Rhincodon typus'' during surface ram filter feeding off the Yucatan Peninsula, Mexico
https://docs.google.[...]
2010
[172]
웹인용
Elasmo Research
http://www.elasmo-re[...]
ReefQuest
2006-09-17
[173]
웹사이트
Whale shark
http://www.flmnh.ufl[...]
Icthyology at the Florida Museum of Natural History
2006-09-17
[174]
서적
Sharks of the World: An Annotated and Illustrated Catalogue of Shark Species Known to Date: Bullhead, Mackerel and Carpet Sharks
http://books.google.[...]
Food &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2002-04-26
[175]
웹사이트
Favorite Wins of 2013
http://www.break.com[...]
2014-09-24
[176]
논문
Establishing a quantifiable model of whale shark avoidance behaviours to anthropogenic impacts in tourism encounters to inform management actions
http://uhra.herts.ac[...]
University of Hertfordshire
2014
[177]
뉴스
He's behind you! Diver's close encounter with enormous shark
http://www.dailymail[...]
The Daily Mail
2009-07-01
[178]
잡지
Pictures of the Day
http://content.time.[...]
Time magazine
2009-08-04
[179]
뉴스
Aquarium gains two new whale sharks
http://www.cnn.com/2[...]
CNN
2007-06-01
[180]
뉴스
Dubai hotel releases whale shark back into wild
http://www.breitbart[...]
Associated Press (AP)
2016-02-03
[181]
뉴스
아쿠아플라넷, 고래상어 생태연구를 위해 방사 결정
http://sports.hankoo[...]
2016-01-31
[182]
뉴스
고래상어‘파랑’이 31일 바다로 돌아간다
http://news.khan.co.[...]
2016-02-03
[183]
저널
The whale shark, ''Rhincodon typus'', is a livebearer: 300 embryos found in one ‘megamamma’ supreme
http://www.springerl[...]
1996-07
[184]
웹인용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sharklady[...]
2006-09-26
[185]
저널
Paternity analysis in a litter of whale shark embryos
[186]
간행물
Biology of Whale Shark
http://www.environme[...]
Department of the Environment and Heritage (Australian Government)
[187]
웹인용
Tiny Whale shark pup caught and released in the Philippines
http://www.wildlifee[...]
Wildlife Extra News
2010-06-11
[188]
웹인용
St Helena whale sharks cause stir in Atlanta
http://www.sams.sh/L[...]
South Atlantic Media Services
2016-02-03
[189]
웹인용
Whale Sharks Receive Protection in the Philippines.
http://www.flmnh.ufl[...]
2008-04-17
[190]
웹사이트
National Regulations on Whale Shark fishing
http://www.environme[...]
[191]
웹사이트
COA bans fishing for whale sharks
http://www.taipeitim[...]
[192]
뉴스
Resorts World considering alternatives to whale shark exhibit
http://www.asiaone.c[...]
Asia One Travel
2009-05-16
[193]
뉴스
Animal welfare groups oppose whale sharks at Singapore casino
http://www.news.com.[...]
News Limited
2009-03-19
[194]
뉴스
Whale Sharks Killed, Displaced by Gulf Oil?
http://news.national[...]
National Geographic News
2010-09-24
[195]
웹사이트
Whale shark
http://www.cites.org[...]
[196]
웹인용
Whale Shark
http://dsc.discovery[...]
Discovery.com
2011-11-03
[197]
웹사이트
Ocean Ambassadors – Sharks
http://www.oneocean.[...]
2013-05-23
[198]
웹인용
Swimming with whale sharks in the Philippines
http://edition.cnn.c[...]
CNN
2015-08-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