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야쓰시로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시야쓰시로군은 1878년 야쓰시로군의 일부로 발족한 야마나시현의 군이다. 1889년 정촌제 시행으로 22개의 정촌이 설치되었으며, 이후 여러 차례의 합병과 분할을 거쳐 2006년 가미쿠이시키촌이 고후시와 후지카와구치코정으로 분할 편입되면서 소멸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마나시현의 폐지된 군 - 나카코마군
나카코마군은 1878년 야마나시현 고마군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미나미알프스시, 가이시, 고후시, 주오시, 쇼와정 일부를 포함했던 군으로, 1926년 군청 폐지 후 2006년 주오시 발족과 함께 소멸되었다. - 야마나시현의 폐지된 군 - 미나미코마군
미나미코마군은 야마나시현에 위치한 군으로, 과거 22개 촌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4개의 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마나시현에서는 이 지역을 '교난'이라고 부른다. - 야마나시현의 군 - 나카코마군
나카코마군은 1878년 야마나시현 고마군에서 분리되어 현재의 미나미알프스시, 가이시, 고후시, 주오시, 쇼와정 일부를 포함했던 군으로, 1926년 군청 폐지 후 2006년 주오시 발족과 함께 소멸되었다. - 야마나시현의 군 - 미나미코마군
미나미코마군은 야마나시현에 위치한 군으로, 과거 22개 촌으로 시작하여 현재는 4개의 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야마나시현에서는 이 지역을 '교난'이라고 부른다. - 야마나시현 - 고후시
고후시는 야마나시현의 현청 소재지이자 중핵시로, 산으로 둘러싸인 고후 분지 중앙에 위치하며, 다케다 신겐의 거점과 막부 직할령으로 번영했던 역사 깊은 도시이며, 쇼센쿄 계곡 등의 관광 명소와 문화 시설을 갖추고, 미국 데스모이너스 등과 자매 결연을 맺은 인구 약 19만 명의 도시이다. - 야마나시현 - 니라사키시
니라사키시는 야마나시현 북서부에 위치하며,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과 인접하고 가마나시 강과 시오 강이 흐르는 평탄지에 시가지가 형성되어 농업이 중심이며, 활발한 축구 문화와 미국 및 중국과의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는, 1954년에 탄생한 도시이다.
니시야쓰시로군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위치 | 일본 야마나시현 |
종류 | 군 |
중심 도시 | 이치카와미사토정 |
일본어 표기 | 西八代郡 |
로마자 표기 | Nishiyatsushiro-gun |
행정 | |
자치체 | 이치카와미사토정 |
인구 통계 | |
인구 | 정보 없음 |
기타 | |
언어 | 일본어 |
국가 | 일본 |
2. 군역
1878년 출범 당시의 군역은 이치카와미사토정 외에 아래 구역에 해당한다. 원래 후지강의 좌안이 니시야쓰시로군, 우안이 미나미코마군이었지만, 합병을 거치면서 서서히 미나미코마군에 편입되면서 대폭 축소되었다.
현재는 다음 1개의 정으로 구성된다.
- 이치카와미사토정
3. 역사
- 1878년 12월 19일 - 군구정촌 편제법이 야마나시현에서 시행되면서, 야쓰시로군의 일부로 '''니시야쓰시로군'''이 발족되었다.[2]
- 1889년 7월 1일 - 정촌제 시행으로, 아래의 정촌이 발족.(22촌)
- * '''가미쿠이시키촌'''(上九一色村): 현 고후시,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
- * '''시모쿠이시키촌'''(下九一色村):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
- * '''오쓰카촌'''(大塚村), '''우에노촌'''(上野村), '''다카다촌'''(高田村), '''이치카와다이몬촌'''(市川大門村):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 * '''야마호촌'''(山保村):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
- * '''도요와촌'''(豊和村):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
- * '''하치노시리촌'''(八之尻村):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 * '''하지카시마촌'''(羽鹿島村): 현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
- * '''오치이촌'''(落居村), '''이와마촌'''(岩間村), '''구스호촌'''(楠甫村), '''가모가리쓰무기촌'''(鴨狩津向村), '''미야하라촌'''(宮原村), '''쓰즈라사와촌'''(葛籠沢村): 현 이치카와미사토정
- * '''구나도촌'''(久那土村), '''후루세키촌'''(古関村), '''교와촌'''(共和村), '''도미사토촌'''(富里村), '''오코우치촌'''(大河内村):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
- * '''사카에촌'''(栄村): 현 미나미코마군 난부정
- 1900년 4월 24일 - 이치카와다이몬촌이 정제 시행으로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이 됨.(1정 21촌)
- 1942년 7월 1일 - 도요와촌·하치노시리촌·하지카시마촌이 합병하여, '''다이도촌'''(大同村)이 발족.(1정 19촌)
- 1951년 4월 1일 - 이와마촌·구스호촌·미야하라촌·쓰즈라사와촌·가모가리쓰무기촌·오치이촌이 합병하여, '''로쿠고촌'''(六郷村)이 발족.(1정 14촌)
- 1954년
- * 4월 1일 (3정 12촌)
- ** 로쿠고촌이 정제 시행으로 '''로쿠고정'''(六郷町)이 됨.
- ** 도미사토촌이 정제 시행과 개칭으로 '''시모베정'''(下部町)이 됨.
- * 5월 15일 - 다카다촌이 이치카와다이몬정에 편입.(3정 11촌)
- * 11월 3일 (4정 8촌)
- ** 오쓰카촌·우에노촌 및 시모쿠이시키촌의 일부가 합병하여, '''미타마정'''(三珠町)이 발족.
- ** 시모쿠이시키촌의 잔여부가 후루세키촌에 편입.
- 1955년
- * 2월 11일 - 오코우치촌이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시모야마촌·도요오카촌과 합병하여, 새로이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이 발족.(4정 7촌)
- * 4월 1일 (4정 5촌)
- ** 사카에촌이 미나미코마군 무쓰아이촌과 합병하여 미나미코마군 난부정이 발족.
- ** 야마호촌의 일부가 이치카와다이몬정, 잔여부가 구나도촌에 분할편입.
- 1956년 9월 30일 (4정 1촌)
- * 다이도촌의 일부가 이치카와다이몬정, 잔여부가 미나미코마군 가지카자와정에 분할편입.
- * 시모베정·구나도촌·후루세키촌·교와촌이 합병하여, 새로이 '''시모베정'''이 발족.
- 1958년
- * 1월 1일 - 이치카와다이몬정의 일부가 미나미코마군 가지카자와정에 편입.
- * 4월 1일 - 시모베정의 일부가 미나미코마군 나카토미정에 편입.
- 2004년 9월 13일 - 시모베정이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나카토미정과 합병하여, 새로이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이 발족.(3정 1촌)
- 2005년 10월 1일 - 이치카와다이몬정·미타마정·로쿠고정이 합병하여,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이 발족.(1정 1촌)
- 2006년 3월 1일 - 가미쿠이시키촌의 일부가 고후시, 잔여부가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에 분할편입.(1정)
메이지 22년 (1889년) 7월 1일 | 메이지 22년 ~ 쇼와 28년 (1889년 ~ 1953년) | 쇼와 29년 ~ 쇼와 30년 (1954년 ~ 1955년) | 쇼와 31년 ~ 헤이세이 15년 (1956년 ~ 2003년) | 헤이세이 16년 ~ 현재 (2004년 ~ 현재) | 현재 |
---|---|---|---|---|---|
이와마촌(岩間村) | 쇼와 26년(1951년) 4월 1일 로쿠고촌(六郷村) | 쇼와 29년(1954년) 4월 1일 로쿠고정(六郷町) | 로쿠고정(六郷町) | 헤이세이 17년(2005년) 10월 1일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 |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 |
구스보촌(楠甫村) | |||||
미야하라촌(宮原村) | |||||
가즈라가사와촌(葛籠沢村) | |||||
가모가리쓰무케촌(鴨狩津向村) | |||||
오치이촌(落居村) | |||||
이치카와다이몬촌(市川大門村) | 메이지 34년(1901년) 4월 24일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 |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 |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 | ||
다카다촌(高田村) | 다카다촌(高田村) | 쇼와 29년(1954년) 5월 15일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에 편입 | |||
야마호촌(山保村) | 야마호촌(山保村) | 쇼와 30년(1955년) 4월 1일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에 분할 편입 | |||
쇼와 30년(1955년) 4월 1일 구나도촌(久那土村)에 분할 편입 | 쇼와 31년(1956년) 9월 30일 시모베정(下部町) | 헤이세이 16년(2004년) 9월 13일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身延町) |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身延町) | ||
구나도촌(久那土村) | 구나도촌(久那土村) | 구나도촌(久那土村) | |||
도미사토촌(富里村) | 도미사토촌(富里村) | 쇼와 29년(1954년) 4월 1일 시모베정(下部町)으로 개칭 | |||
교와촌(共和村) | 교와촌(共和村) | 교와촌(共和村) | |||
후루세키촌(古関村) | 후루세키촌(古関村) | 후루세키촌(古関村) | |||
시모쿠이시키촌(下九一色村) | 시모쿠이시키촌(下九一色村) | 쇼와 29년(1954년) 11월 3일 후루세키촌(古関村)에 편입 | |||
쇼와 29년(1954년) 11월 3일 미타마정(三珠町) | 미타마정(三珠町) | 헤이세이 17년(2005년) 10월 1일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 |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 | ||
오쓰카촌(大塚村) | 오쓰카촌(大塚村) | 쇼와 29년(1954년) 11월 3일 미타마정(三珠町) | |||
우에노촌(上野村) | 우에노촌(上野村) | ||||
도요와촌(豊和村) | 쇼와 17년(1942년) 7월 1일 다이도촌(大同村) | 다이도촌(大同村) | 쇼와 31년(1956년) 9월 30일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에 분할 편입 | ||
하치노시리촌(八之尻村) | |||||
하지카시마촌(羽鹿島村) | 쇼와 31년(1956년) 9월 30일 미나미코마군 가지카자와정에 분할 편입 | 헤이세이 22년(2010년) 3월 8일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富士川町) |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富士川町) | ||
가미쿠이시키촌(上九一色村) | 가미쿠이시키촌(上九一色村) | 가미쿠이시키촌(上九一色村) | 가미쿠이시키촌(上九一色村) | 헤이세이 18년(2006년) 3월 1일 고후시(甲府市)에 분할 편입 | 고후시(甲府市) |
헤이세이 18년(2006년) 3월 1일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富士河口湖町)에 분할 편입 |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富士河口湖町) | ||||
오코우치촌(大河内村) | 오코우치촌(大河内村) | 쇼와 30년(1955년) 2월 11일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身延町) |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身延町) |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身延町) |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身延町) |
사카에촌(栄村) | 사카에촌(栄村) | 쇼와 30년(1955년) 4월 1일 미나미코마군 난부정(南部町) | 미나미코마군 난부정(南部町) | 미나미코마군 난부정(南部町) | 미나미코마군 난부정(南部町) |
3. 1. 군 발족 이전
1878년 12월 19일 군구정촌 편제법이 야마나시현에서 시행되면서, 야쓰시로군의 일부로 '''니시야쓰시로군'''이 발족되었다.[2]
메이지 초기 시점의 지배는 다음과 같다.
지행 | 마을 수 | 마을 이름 | |
---|---|---|---|
막부령 | 이치카와 대관소 | 78개 마을 | 우에노무라, 오오츠카무라, 하타쿠마무라, 아라이무라, 시모아시카와무라, 하시무라, 후루세키무라, 쇼진무라, 혼스무라, 이치카와오오몬무라, 인자와무라, 타카다무라, 시모오오토리이무라, 쿠로사와무라, 쿠마자와무라, 하치노지리무라, 야마야무라, 오치이무라, 카고자와무라, 미야하라무라, 이와시타무라, 고하치무라, 테라도코무라, 미네무라, 쿠보무라, 오오야마무라, 시바쿠사무라, 오오이소코이소무라, 네고무라, 세토무라, 하가시마무라, 쿠스보무라, 이와마무라, 가모카리즈무케무라, 미사와무라, 히다타무라, 키리부사키무라, 구루마다무라, 미치무라, 미즈후네무라, 후루세키무라, 나카쿠라무라, 가마가쿠무라, 시모다하라무라, 카미다하라무라, 미야키무라, 잇시키무라, 이치노세무라, 키타가와무라, 이와카케무라, 스기야마무라, 오오이타이라무라, 키요자와무라, 츠네하무라, 우에노다이라무라, 나미타카시마무라, 모모가쿠보무라, 시모부무라, 유오쿠무라, 카미야기자와무라, 시모야기자와무라, 오비가네무라, 오오아라이무라, 츠바키쿠사리무라, 오오쿠즈레무라, 마루타키무라, 카쿠우치무라, 와다무라, 히가미무라, 오오시마무라, 우치후네무라, 카미사노무라, 이데무라, 토시마무라, 시모사노무라, 오리몬무라, 야사카무라, 산쵸무라 |
다안 도쿠가와가 | 2개 마을 | 나카야마무라, 타카하기무라 |
- 게이오 4년
- * 5월 24일 (1868년 7월 13일) - 다안 도쿠가와가가 입번하여 '''다안번'''이 되었다.
- * 9월 4일 (1868년 10월 19일) - 이치카와 대관소 관할지가 '''이치카와현'''의 관할이 되었다.
- * 10월 28일 (1868년 12월 11일) - 다안번령을 제외한 전역이 '''카이후'''의 관할이 되었다.
- 메이지 2년
- * 7월 20일 (1869년 8월 27일) - 카이후가 '''고후현'''으로 개칭되었다.
- * 12월 26일 (1870년 1월 27일) - 다안번이 폐번되었다.
- 메이지 3년
- * 구 다안번령이 공식적으로 고후현의 관할이 되었다.
- * 11월 20일 (1871년 1월 10일) - 고후현이 '''야마나시현'''으로 개칭되었다.
- 1874년부터 1875년에 걸쳐 아래의 마을들이 통합되었다.
- * 구잇시키무라 ← 후루세키무라, 하시무라, 쇼진무라, 혼스무라, 오리몬무라, 야사카무라, 시모아시카와무라, 산쵸무라, 타카하기무라, 아라이무라, 나카야마무라, 하타쿠마무라 (1874년 11월)
- * 산보무라 ← 미네무라, 쿠보무라, 오오야마무라 (1874년 10월)
- * 토요와무라 ← 시모오오토리이무라, 쿠로사와무라 (1875년 1월)
- * 카와토무라 ← 쿠마자와무라, 고하치무라, 테라도코무라, 이와시타무라 (1875년 6월)
- * 쿄와무라 ← 시모다하라무라, 미야키무라, 카미다하라무라, 잇시키무라 (1875년 6월)
- * 후리무라 ← 키타가와무라, 이치노세무라, 스기야마무라, 이와카케무라, 오오이타이라무라, 키요자와무라, 츠네하무라, 우에노다이라무라, 나미타카시마무라, 모모가쿠보무라, 시모부무라, 유오쿠무라 (1875년 4월)
- * 오오코우치무라 ← 카미야기자와무라, 시모야기자와무라, 오비가네무라, 오오아라이무라, 츠바키쿠사리무라, 마루타키무라, 오오쿠즈레무라, 카쿠우치무라, 와다무라, 히가미무라, 오오시마무라 (1874년 1월)
- * 사카에무라 ← 우치후네무라, 이데무라, 토시마무라, 카미사노무라, 시모사노무라 (1874년 10월 31일)
3. 2. 군 발족 이후
(1889년) 7월 1일(1889년 ~ 1953년)
(1954년 ~ 1955년)
(1956년 ~ 2003년)
(2004년 ~ 현재)
로쿠고촌(六郷村)
로쿠고정(六郷町)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에 편입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에 분할 편입
구나토촌(久那土村)에 분할 편입
시모베정(下部町)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南巨摩郡 身延町)
미노부정(身延町)
시모베정(下部町)으로 개칭
후루세키촌(古関村)에 편입
미타마정(三珠町)
이치카와미사토정(市川三郷町)
미타마정(三珠町)
다이도촌(大同村)
이치카와다이몬정(市川大門町)에 분할 편입
미나미코마군 가지카자와정(南巨摩郡 鰍沢町)에 분할 편입
미나미코마군 후지카와정(南巨摩郡 富士川町)
후지카와정(富士川町)
고후시(甲府市)에 분할 편입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南都留郡 富士河口湖町)에 분할 편입
후지카와구치코정(富士河口湖町)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南巨摩郡 身延町)
미노부정(身延町)
미노부정(身延町)
미노부정(身延町)
미나미코마군 난부정(南巨摩郡 南部町)
난부정(南部町)
난부정(南部町)
난부정(南部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