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카람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18세기 러시아의 중요한 작가이자 역사학자이다. 그는 시, 역사서, 논문, 번역, 잡지 창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며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단편 작품은 혁신적인 언어와 스타일로 대중에게 독서의 즐거움을 선사하며 러시아의 독서 수준을 향상시켰다. 카람진은 또한 12권으로 구성된 역사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를 저술하여 러시아 역사 연구에 기여했으며, 러시아 알파벳에 Ё/ё 자를 도입하는 등 언어학적 업적도 남겼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프랑스어-러시아어 번역가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20세기 러시아의 대표적인 시인이자 소설가, 번역가인 보리스 파스테르나크는 시집 《나의 누이, 삶》으로 러시아 시단에 반향을 일으켰고,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거부하며 인간 존엄성과 자유를 옹호하는 작품을 창작했으며, 대표작 《닥터 지바고》로 노벨 문학상을 수상했으나 소련 당국의 압력으로 수상을 거부하는 등 파란만장한 삶을 살았다. - 프랑스어-러시아어 번역가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는 19세기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사상가로, 시베리아 유형 경험이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 심리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묘사한 걸작들을 통해 실존주의와 심리주의 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고, 기독교적 인도주의와 러시아 민족주의를 포함한 사상과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으나 현재까지도 전 세계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성찰을 주는 작가이다. - 러시아의 보수주의 - 푸틴주의
푸틴주의는 권위주의, 개인숭배, 강력한 대통령 권한 강화를 특징으로 하며, 러시아 국내 정치에서는 권력 집중화, 실로비키 영향력 증대, 언론 통제, 외교적으로는 러시아 민족주의, 신제국주의, 반서방 정서가 두드러지는 개념이다. - 러시아의 보수주의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표도르 미하일로비치 도스토옙스키는 19세기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사상가로, 시베리아 유형 경험이 작품 세계에 영향을 미쳤으며, 인간 심리와 사회의 어두운 면을 묘사한 걸작들을 통해 실존주의와 심리주의 문학에 큰 영향을 끼쳤고, 기독교적 인도주의와 러시아 민족주의를 포함한 사상과 반유대주의적 발언으로 논란이 되기도 했으나 현재까지도 전 세계 독자들에게 깊은 감동과 성찰을 주는 작가이다. - 울리야놉스크 출신 - 알렉산드르 케렌스키
알렉산드르 케렌스키는 러시아 혁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변호사이자 정치인으로, 임시 정부의 총리를 지냈으나 10월 혁명으로 실각하여 망명했다. - 울리야놉스크 출신 - 블라디미르 레닌
블라디미르 레닌은 러시아의 혁명가이자 정치가로서 10월 혁명을 주도하여 러시아 제국을 무너뜨리고 소비에트 연방 건설에 핵심 역할을 수행했으며, 마르크스주의를 러시아 혁명에 적용하여 볼셰비키 당을 이끌면서 그의 이론과 전략은 소련의 사회주의 건설과 국제 공산주의 운동에 큰 영향을 주었지만, 그의 통치는 희생과 논란, 전체주의적 독재와 폭력 정치에 대한 비판을 야기했다.
니콜라이 카람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 |
로마자 표기 | Nikolay Mikhaylovich Karamzin |
출생일 | 1766년 12월 12일 (구력 12월 1일) |
출생지 | 즈나멘스코예, 심비르스크 우예즈드, 카잔 현, 러시아 제국 |
사망일 | 1826년 6월 3일 (구력 5월 22일) |
사망지 | 상트페테르부르크, 러시아 제국 |
직업 | 작가, 역사가, 시인 |
활동 | |
활동 기간 | 1781–1826년 |
사조 | 감상주의 |
주요 작품 | 가엾은 리자 러시아 국가사 |
서명 | |
![]() |
2. 생애
== 생애 ==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18세기 러시아의 중요한 산문 작가로, 당대뿐 아니라 후대에도 막대한 영향을 미쳤다. 시, 역사서, 논문, 번역, 잡지 창간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지만, 특히 그의 단편 작품들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언어와 스타일, 주제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의 작품들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독서의 즐거움을 선사하며, 러시아의 낮았던 독서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 이는 푸시킨과 같은 후대 대문호들의 작품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벨린스키가 카람진을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라고 평가한 것은 과장이 아니라는 것이다.
카람진은 심비르스크 현(현재 울랴놉스크주) 근처 지멘스코예 가문 영지, 혹은 오렌부르크주 미하일로프카 마을(현재 프레오브라젠카 마을)에서 퇴역 장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다. 출생지에 대한 여러 주장이 있으나, 최근 오렌부르크 역사학자들의 반박이 활발하다.[1][2][3] 그의 아버지 미하일 예고로비치 카람진(1724~1783)은 소박한 수입의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러시아 제국군 예비역 대위였다. 카람진 가문은 1606년 세묘 카람진에 의해 설립되었고, 니콜라이의 할아버지 예고르 카람진은 아내 예카테리나 악사코바와 함께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장교 및 관리로 일하다 심비르스크로 이주했다.[4][5][6] 카람진 자신은 그의 성이 세례받은 타타르인이자 가장 오래된 조상인 카라-미르자(Kara-mirza)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7][1][1] 그의 어머니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카람지나(결혼 전 파주히나)는 중산층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아버지 피터 파주힌은 뛰어난 군 경력을 쌓았다.[8][9][10]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는 니콜라이가 2살 조금 넘었을 때인 1769년 사망했고, 1770년 미하일 카람진은 에브도키아 가브릴로브나 드미트리예바와 재혼했다.[1][1] 카람진은 형제자매와 친척 형제자매를 포함해 여러 형제자매와 함께 자랐다.
카람진은 모스크바에서 스위스-독일인 교사 요한 마티아스 샤덴에게서 교육을 받았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이반 드미트리예프와 교류하며 외국 작가들의 에세이 번역에 힘썼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심비르스크로 잠시 돌아갔다가 다시 모스크바에서 학자들과 교류하며 문학 활동을 재개했다. 1789년에는 독일, 프랑스, 스위스, 영국을 여행했고, 귀국 후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를 출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 작품은 그가 편집한 "모스크바 잡지"에 연재되었고, 이후 6권으로 출판되었다. "모스크바 잡지"를 통해 "가난한 리자"와 "보야르의 딸 나타샤"와 같은 창작 이야기를 발표하며 러시아 독자들에게 감상주의 문학을 소개했다. 1802년 결혼 1년 만에 아내를 잃는 큰 슬픔을 겪은 후, 180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거의 23년 동안 역사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를 집필했다. 그의 주요 작품으로는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 <가엾은 리자>, <대귀족의 딸 나탈리야> 등이 있으며, 다양한 잡지를 출판하며 러시아의 독서 문화 확산에 크게 공헌했다. 1766년 12월 12일(율리우스력 12월 1일) 러시아 제국 심비르스크 근교에서 태어나 1826년 5월 22일(율리우스력) 타우리드 궁전에서 사망했다. 사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에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1766년 12월 12일(율리우스력 12월 1일) 러시아 제국 심비르스크 근교의 지멘스코예 가문 영지 또는 오렌부르크 주 미하일로프카 마을(현재 오렌부르크주 프레오브라젠카 마을)에서 태어났다. [1][2][3] 출생지에 대한 기록이 상이하며, 최근 오렌부르크 역사학자들은 기존 설에 대해 반박하고 있다. 그의 아버지 미하일 예고로비치 카람진(1724~1783)은 러시아 제국군 예비역 대위 출신으로, 소박한 수입의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이었다. [4][5][6] 카람진 가문은 1606년 세묘 카람진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니콜라이의 할아버지 예고르 카람진은 아내 예카테리나 악사코바와 함께 심비르스크로 이주하기 전까지 니즈니노브고로드에서 고위 장교 및 관리로 일했다. 카람진 자신은 자신의 성이 세례받은 타타르인이자 가장 오래된 조상인 카라-미르자(Kara-mirza)에서 유래했다고 주장했으나, 이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고 최초로 기록된 카람진은 1534년에 살았다. [7][1][1]어머니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 카람지나(결혼 전 파주히나)는 중산층 러시아 귀족 가문 출신으로, 그녀의 가문은 1620년 장기 복무 군인 이반 데미도비치 파주힌이 폴란드-러시아 전쟁 중 공로로 토지와 작위를 받으면서 설립되었다. [8][9] 그녀의 아버지 피터 파주힌은 프라포르시크에서 대령까지 승진한 뛰어난 군 경력을 가졌고, 1733년부터 심비르스크 보병 연대에서 복무했다. 가족 전설에 따르면, 이 가문은 1496년 이반 3세 휘하에서 봉사하기 위해 므스티슬라블을 떠난 리투아니아 슈략타 출신 표도르 파주흐에 의해 설립되었다. [10] 예카테리나 페트로브나는 1730년에서 1735년 사이에 태어나 니콜라이가 2살 조금 넘었을 때인 1769년에 사망했다. 1770년 미하일 카람진은 두 번째 부인인 에브도키아 가브릴로브나 드미트리예바(1724~1783)와 재혼하였고, 니콜라이는 그녀를 계모로 맞이했다. 그는 형제자매 세 명과 친척 형제자매 두 명이 있었다. [1][1]
니콜라이 카람진은 스위스-독일인 교사 요한 마티아스 샤덴 밑에서 교육을 받기 위해 모스크바로 보내졌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로 이주하여 이반 드미트리예프와 친분을 맺고 외국 작가들의 에세이를 러시아어로 번역하는 일에 힘썼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잠시 머문 후 심비르스크로 가 은퇴 생활을 보내다가 모스크바로 돌아와 다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2. 2. 문학 활동 시작
카람진은 1784년 모스크바에서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를 만나 프리메이슨의 이상에 영향을 받았다. 이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이반 드미트리예프와 친분을 맺고 외국 작가들의 에세이를 번역하며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1789년에는 서유럽 여행을 떠나 프랑스 혁명을 목격하고 큰 충격을 받았다. 이 여행의 경험은 1791년 ''모스크바 잡지''에 연재된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로 이어졌다. 이 작품은 당시 러시아에서 일기·서간체 형식의 여행기라는 새로운 장르를 유행하게 만들었다. 여행 후 모스크바에서 학자들과 교류하며 다시 문학 활동에 집중했다.2. 3. 프리메이슨 활동
니콜라이 카람진은 1784년 모스크바 프리메이슨의 일원인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를 만났다. 프리메이슨의 자유, 평등, 형제애 사상과 플라토닉 사랑, 그리고 일반 대중(농노)에 대한 계몽과 교육에 대한 열정은 카람진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고, 그의 철학과 세계관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프리메이슨의 영향은 그의 작품 활동과 사회 참여에 고스란히 드러났다.2. 4. 결혼과 역사 연구
1802년, 카람진은 결혼 1년 만에 젊은 아내를 잃는 슬픔을 겪었다. 이러한 큰 충격을 받은 후, 그는 1803년부터 죽는 날까지 거의 23년에 걸쳐 역사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를 집필하기 시작했다. 이 작품은 그의 대표적인 역사 저술로 평가받으며 러시아 역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2. 5. 사망
니콜라이 카람진은 1826년 5월 22일 (율리우스력) 타우리드 궁전에서 사망했다. 사후 알렉산드르 네프스키 수도원에 안장되었다.3. 작가로서의 활동
== 작가로서의 활동 ==
니콜라이 미하일로비치 카람진은 18세기 러시아 작가 중 가장 중요한 산문 작가로 꼽힌다. 시, 역사서, 논문, 번역, 잡지 창간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지만, 특히 단편 작품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언어, 스타일, 주제를 선보이며 큰 성공을 거두었다. 카람진의 작품들은 귀족 계층에 국한되었던 독서의 즐거움을 일반 대중에게까지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고, 러시아의 낮은 독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이는 푸시킨과 같은 후대 작가들의 등장과 성공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으며, 벨린스키가 카람진을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라고 평가한 이유이기도 하다.
1784년, 카람진은 프리메이슨 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를 만나 자유, 평등, 형제애를 중시하는 프리메이슨 사상과 농노 계몽에 대한 열정에 영향을 받았다. 1789년 유럽 여행 중 보고 느낀 점을 1791년 '''모스크바 잡지'''에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로 연재하면서 일기/서간체 형식의 여행기 유행을 불러일으켰다. 1791년 '''모스크바 잡지'''를 창간하고 1802년 '''유럽 통보'''를 출간하며 지식인들을 위한 토론의 장을 마련했다. 정치인이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던 러시아 사회에서 작가들이 정신적, 정치적 지도자 역할을 수행했던 시대적 상황을 고려하면, 카람진의 잡지 출판은 큰 의미를 지닌다.
카람진의 주요 작품들은 1790년대에서 1802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발표되었다. 1802년 아내의 죽음이라는 큰 슬픔을 겪은 후, 180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거의 23년 동안 '''러시아 국가의 역사'''를 집필했다. 이 작품은 12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역사서로, 카람진의 역사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알렉산더 1세의 총애를 받으며 궁정에서 그의 역사서를 낭독하기도 했다. 하지만 11권 이상 진행하지 못하고 1613년 미하일 로마노프의 즉위에서 집필을 마무리했다. 그는 1826년 타우리드 궁전에서 사망했다.
카람진은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을 번역하기도 했으며, '''아글라야''', '''아오니트'''와 같은 문예집을 출간하고, 다양한 시와 논문, 그리고 '''나의 사소한 것들'''에 수록된 가벼운 작품들을 남겼다. 그의 우아하고 유려한 문체는 푸시킨과 나보코프의 찬사를 받았으며, 러시아 문학 언어의 발전에 기여했다. 그의 작품들은 프랑스 산문 작가들의 간결한 문장을 본뜬 것으로, 기존의 긴 주기적인 단락을 사용하는 슬라브 학교의 문체와 차별화된다. 또한, 카람진은 더 "여성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장려했는데, 이 또한 당시 러시아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11][12]
3. 1. 문학적 특징
카람진은 우아하고 유려한 문체와 간결한 문장으로 유명하다. 알렉산더 푸쉬킨(Alexander Pushkin)과 블라디미르 나보코프(Vladimir Nabokov)에게 찬사를 받았을 정도로 그의 글쓰기 스타일은 오래된 슬라브 학교의 긴 주기적인 단락보다는 프랑스 산문 작가들의 간결한 문장을 본떠 만들어졌다. [11] [12] 그는 "여성적인" 글쓰기 스타일을 장려하기도 했으며, [11] [12] 이는 러시아 문학 언어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그는 감상주의 문학을 러시아에 소개하고 유행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그의 작품들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독서의 즐거움을 알려주어 당시 러시아의 낮았던 독서 수준을 끌어올리는 계기를 제공했다. 이는 훗날 푸쉬킨과 같은 대문호들의 작품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이기도 하다. 카람진의 작품 활동은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3. 2. 주요 작품
니콜라이 카람진의 대표적인 산문 작품으로는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 <가련한 리자>, <대귀족의 딸 나탈리야>, <보른홀름 섬>, <시에라 모레나>, <율리야> 등이 있다. 특히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는 1791년 ≪모스크바 잡지≫에 연재되어 당시 러시아에서 일기/서간체 형식의 여행기 유행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감상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으로 꼽히는 <가련한 리자>와 <귀족의 딸 나타샤>(원문에는 '나탈리야'로 기재되어 있으나, 다른 자료를 참고하여 '나타샤'로 표기함)는 그의 문학적 업적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1802년에는 <여자 대관 마르파>를 저술하기도 했다. 역사서로는 전 12권으로 이루어진 대작 ≪러시아 국가의 역사≫가 있으며, 문예집 ≪아글라야≫와 ≪아오니트≫도 출간했다. 이 외에도 다수의 시 작품과 논문을 남겼으며, 다양한 잡지를 출간하여 러시아의 독서 문화 확산에 기여했다. 고트홀트 에프라임 레싱과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작품 번역도 진행했다. 러시아의 구전 서사시인 『부이리나(Былина)』에 등장하는 영웅 일리야 무로메츠(Илья Муромец)를 소재로 한 작품도 남겼다. 일본에서는 후지누마 타카시(藤沼貴)가 『근대 러시아 문학의 원점』을 통해 카람진을 연구했으며,[26] 조무라 기치타로(除村吉太郎)는 <가련한 리자>를 번역했다.4. 역사학자로서의 활동
== 역사학자로서의 활동 ==
니콜라이 카람진은 18세기 러시아의 중요한 작가일 뿐만 아니라, 역사학자로서도 큰 업적을 남겼다. 그의 저술 활동은 러시아 역사 연구에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다. 특히, 12권으로 구성된 대작 ''러시아 국가의 역사''는 러시아 역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이 책에서 카람진은 키예프 루시 개념을 정립하여 러시아 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방대한 자료 수집과 꼼꼼한 주석은 후대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자료가 되었다. 1613년 미하일 로마노프의 즉위까지를 다룬 이 책은 초기 러시아 연대기에 대한 낭만적인 묘사 때문에 비판받기도 하지만, 동시대 유럽의 역사 서술 경향과의 연관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카람진은 이 책에서 이반 3세를 러시아 위대함의 설계자로 묘사하여 '전제정치의 서사시'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지만, 자치제를 옹호하는 글을 쓰기도 했다는 점 또한 주목할 만하다. 전투 장면 묘사의 뛰어남과 러시아 연대기 주요 인물들의 강렬한 묘사 또한 그의 역량을 보여주는 부분이다. 그는 러시아에서 서구식 서평과 수필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하며, 때로는 러시아 보수주의의 창시자로 평가받기도 한다. 알렉산더 1세는 그를 국가 역사가로 임명하여 그의 정치적 조언을 중시했고, 미하일 스페란스키의 개혁에 대한 그의 비판은 러시아 제국의 공식 이데올로기의 기반이 되었다. 그의 역사 연구는 키예프 대공국의 명칭을 키예프 루시로 정립한 것, 유리 돌고루키의 아내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출신으로 추정한 것, 드미트리 우글리츠키의 죽음에 대한 암살설 지지, 팔레모나스 왕조의 전설에 대한 의문 제기 등 다양한 측면을 포함한다. 이파티예프 사본은 카람진이 코스트로마의 이파티예프 수도원에서 발견한 것이다.[27] 카람진의 역사 연구는 러시아 역사 이해에 중요한 기여를 했지만, 그의 보수적인 성향과 특정 인물에 대한 긍정적 묘사는 비판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부분이다. 이는 당시 러시아 사회의 정치적, 이데올로기적 맥락 속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4. 1. 역사 연구
카람진은 1803년부터 사망할 때까지 약 23년에 걸쳐 러시아 역사 서술에 헌신했다. 그의 저술 이전까지 러시아 역사 연구는 미흡했으며, 바실리 타티셰프의 시도는 부족한 문체와 비판 정신으로 인해 서투른 스케치에 그쳤다.[27] 하지만 카람진은 자료 수집에 엄청난 열정을 쏟았고, 그의 저서에 담긴 방대한 주석들은 흥미로운 정보의 보고로 평가받는다. 다만, 초기 러시아 연대기에 지나친 낭만적 분위기를 부여했다는 비판도 존재한다. 이는 당시 유럽 전역에 영향을 미쳤던 월터 스콧 경의 작품과 유사한 측면이 있다. 그는 공개적으로 자치제를 옹호하는 글을 남겼으나, 그의 역사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는 '전제정치의 서사시'로 불리기도 한다. 특히 이반 3세를 러시아 위대함의 설계자로 묘사한 반면, 이전에는 표트르 대제에게 돌렸던 영광을 이반 3세에게 부여했다. 이반 뇌제의 행위는 혐오감을 표현하며 묘사하고 있다. 카람진은 전투 장면 묘사 능력이 뛰어났고, 러시아 연대기 주요 인물들의 성격을 강렬하게 그려냈다. 비평가로서도 큰 공헌을 하였으며, 러시아 서구식 서평과 수필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때로는 러시아 보수주의의 창시자로도 평가받는다. 알렉산더 1세는 그를 국가 역사가로 임명하고 그의 정치적 조언을 중시했으며, 1812년 알렉산더 1세를 위해 작성된 '구 러시아와 신 러시아에 대한 회고록'에서 그의 보수적 견해가 명확히 드러난다. 미하일 스페란스키의 개혁에 대한 그의 날카로운 비판은 이후 러시아 제국의 공식 이데올로기의 기초가 되었다. 또한, 카람진은 키예프 대공국을 키예프 루시라는 개념으로 정립하고, 여러 공국의 역사적 사실들을 밝혀냈다. 그는 우글리치 공 드미트리의 죽음에 대해 암살설을 지지했고, 팔레모나스 왕조의 전설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27] 참고로, 카람진은 이파티예프 사본을 코스트로마의 이파티예프 수도원에서 발견하였다.4. 2. 『러시아 국가의 역사』
12권으로 구성된 카람진의 대표 저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는 러시아 역사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27] 이 책을 통해 그는 키예프 루시 개념을 정립하며 러시아 역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27] 초기 러시아 연대기에 대한 방대한 자료를 제공하여[27] 후대 연구자들에게 귀중한 기초를 마련했으며,[27] 특히 1613년 미하일 로마노프의 즉위까지 다루고 있다.[27] 하지만 안타깝게도 카람진은 12권을 모두 완성하지 못하고 사망했다.[27] 저술 과정에서 그는 방대한 자료 수집에 힘썼으며,[27] 책에 덧붙인 주석들은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다.[27] 초기 러시아 연대기에 대한 낭만적인 묘사는 비판받을 여지가 있으나,[27] 동시대 유럽의 역사 서술 경향과도 연관되어 당시 유럽 전역에 큰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27] 카람진은 자치제를 옹호하는 글을 남기기도 했지만,[27] 『러시아 국가의 역사』는 '전제정치의 서사시'로 불리기도 하며 이반 3세를 러시아 위대함의 설계자로 묘사한 점이 주목할 만하다.[27] 이는 그가 이전에 표트르 대제에게 부여했던 영광과는 대조적인 측면이다.[27] 이반 뇌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27] 전투 장면 묘사는 뛰어나고 러시아 연대기 주요 인물들을 강렬하게 그려냈다.[27] 또한 그는 러시아에서 서구식 서평과 수필의 창시자로 평가받기도 하며,[27] 때로는 러시아 보수주의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한다.[27] 알렉산더 1세는 그를 국가 역사가로 임명하고 그의 정치적 조언을 중시했으며,[27] 미하일 스페란스키의 개혁에 대한 그의 비판은 이후 러시아 제국의 공식 이데올로기의 기반이 되었다.[27] 그는 키예프 대공국의 명칭을 키예프 루시로 정립하였고,[27] 유리 돌고루키의 아내가 콘스탄티노폴리스 출신이라고 주장했으며,[27] 드미트리 우글리츠키의 죽음에 대해 암살설을 지지했다.[27] 또한 팔레모나스 왕조의 전설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27] 이파티예프 사본은 카람진이 코스트로마의 이파티예프 수도원에서 발견한 것이다.[27]4. 3. 역사관
카람진은 자치제를 공개적으로 찬양하는 글을 썼다.[27] 그의 저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는 '전제정치의 서사시'로 불리며, 이반 3세를 러시아 위대함의 설계자로 묘사했다.[27] 이는 그가 이전에 표트르 대제에게 돌렸던 영광을 이반 3세에게 부여한 것으로, 서구 사상의 영향을 더 받았던 시기의 견해 변화를 보여준다.[27] 이반 뇌제의 행위는 혐오감을 표하며 묘사되고 있다.[27] 또한, 카람진은 때때로 러시아 보수주의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하는데, 알렉산더 1세는 그를 국가 역사가로 임명하고 그의 정치적 조언을 중시했다.[27] 1812년 알렉산더 1세를 위해 작성된 '구 러시아와 신 러시아에 대한 회고록'에서 그의 보수적인 견해가 명확히 드러난다.[27] 미하일 스페란스키가 제안한 개혁에 대한 그의 통렬한 비판은 이후 수년간 러시아 제국의 공식 이데올로기의 기반이 되었다.[27] 그는 키예프 대공국을 키예프 루시라는 개념으로 정의하고, 유리 돌고루키의 아내 아에파 오세네비치를 콘스탄티노폴리스 출신으로 결론지었다.[27] 또한 드미트리 우글리츠키의 죽음에 대해 암살설을 지지했으며, 팔레모나스 왕조의 전설에 대해서도 의문을 제기했다.[27] 참고로, 그는 이파티예프 사본을 코스트로마에 있는 이파티예프 수도원에서 발견했다.[27]5. 언어학자 및 문헌학자로서의 활동
카람진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했지만, 그의 문학적 업적은 당대 러시아 문학의 수준을 끌어올리는 데 크게 기여했다. 그의 단편 작품들은 언어, 스타일, 주제 면에서 혁신적이었으며,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독서의 즐거움을 선사했다. 카람진 이전에는 소수의 귀족들만이 독서를 즐겼지만, 그의 작품들은 문학의 대중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이는 후대의 푸시킨, 주콥스키 등 대문호들의 작품들이 제대로 평가받을 수 있는 토양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벨린스키가 카람진을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라고 평가한 것은 이러한 그의 공헌을 반영한 것이다. 1791년에는 ≪모스크바 잡지≫를, 1802년에는 ≪유럽 통보≫를 창간하여 지식인들에게 질 좋은 토론의 장을 제공했으며, 이러한 잡지들은 러시아 사회의 지적 발전에 기여했다. 또한, 그는 문예집 ≪아글라야≫와 ≪아오니트≫를 출간했고, 많은 시 작품과 논문들을 남겼다. 특히, 1795년 이후 어느 시점에 러시아 알파벳에 요(Ё/ё) 자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러시아어 표기 체계의 발전에 기여했다. 하지만 Ё/ё는 필수적인 글자가 아니었기에, 사전이나 어린이 교재가 아닌 다른 책에서는 여전히 간단한 예(Е/е)가 자주 사용되었다.[14][15][16]
5. 1. 러시아 알파벳 개혁
카람진은 1795년 이후 어느 시점에 러시아 알파벳에 요(Ё/ё) 자를 도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에는 간단한 예(Е/е)가 사용되었지만, 기존의 유(Ю/ю)를 본뜬 드문 형태도 있었다.[14] Ё/ё는 필수적인 글자가 아니며, 사전이나 어린이 교재가 아닌 다른 책에서는 여전히 간단한 Е/е가 자주 사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15][16] 그는 기존의 'Е/е'를 보완하는 새로운 문자를 도입하여 러시아어 표기법을 개선했다. 이 문자는 필수는 아니지만, 여전히 널리 사용된다.6. 비평가로서의 활동
니콜라이 카람진은 18세기 러시아 문단에서 독보적인 영향력을 행사한 작가로, 시, 역사서, 논문, 번역, 잡지 창간 등 다방면에서 활동했다. 하지만 그의 가장 큰 업적은 단편 작품들에 있다. 카람진의 작품들은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언어와 스타일, 주제 의식으로 대중에게 '독서'의 즐거움을 선사했다. 귀족 중심의 문학 소비 풍토를 넘어 일반 대중에게까지 독서의 대중화를 이끌었고, 이는 러시아의 낮은 독서 수준을 끌어올리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토대 위에 푸시킨과 같은 위대한 작가들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공로로 벨린스키는 그를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라고 극찬했는데, 이는 과장이 아니다. 그의 활동은 단순히 문학적 성취를 넘어, 러시아 사회 전반의 문화적, 지적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는 1791년 '''모스크바 잡지'''를 창간하고, 1802년 '''유럽 통보'''를 발간하는 등 잡지 출판을 통해 지식인 사회에 활발한 담론의 장을 제공했다. 정치인이 제대로 자리잡지 못했던 당시 러시아 사회에서 작가들은 정신적 지도자이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존재였기에, 카람진의 잡지는 그런 맥락에서 더욱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는 일기·서간체 형식의 여행기를 유행시키며 당대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카람진의 대표적인 산문 작품으로는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 '''가엾은 리자''', '''대귀족의 딸 나탈리야''', '''보른홀름 섬''', '''시에라 모레나''', '''율리야''' 등이 있으며, 12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역사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도 그의 중요한 업적으로 남아있다. 그는 또한 '''아글라야''', '''아오니트'''와 같은 문예집을 출간하고, 다수의 시와 논문을 남겼다. 이처럼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는 러시아 문학의 황금기를 열었던 푸시킨 시대를 준비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그는 보리스 고두노프를 올리버 크롬웰과 같은 성격의 인물로 평가하고, 안나 이바노브나의 치세를 혹평하는 등, 정치적 견해를 적극적으로 드러냈다. 이는 그의 저술 활동을 통해서도 드러나는데, 특히 그의 잡지들은 당시 지식인 사회의 중요한 담론의 장이었다.
6. 1. 비평 활동
카람진은 러시아에서 서구식 서평과 수필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1791년에 창간한 모스크바 잡지와 1802년에 창간한 유럽 통보 등을 통해 당대 지식인들에게 활발한 토론의 장을 제공했다. 특히, 그의 잡지들은 러시아의 독서 수준 향상에 크게 기여했으며, 이는 후대 푸시킨과 같은 대문호들의 등장에 중요한 토대가 되었다. 그는 보리스 고두노프를 영국의 독재자 올리버 크롬웰과 유사한 인물로 평가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냈다. 또한, 로마노프 왕조의 황제 안나 이바노브나의 통치 기간을 혹평하는 등 당시 정치 상황에 대한 날카로운 비판을 서슴지 않았다. 이러한 카람진의 비평 활동은 러시아 문학의 발전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19세기 위대한 사실주의 비평가 벨린스키는 그를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라고 극찬했다.6. 2. 정치적 견해
카람진은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조언자로 활동하며, 미하일 스페란스키가 제안한 개혁을 비판하는 등 러시아 제국의 공식 이데올로기에 영향을 미쳤다. 그는 보수주의적 입장을 취했으며, 때로는 러시아 보수주의의 창시자로 여겨지기도 한다. 특히, 그는 차르 보리스 고두노프를 영국의 청교도 혁명 지도자 올리버 크롬웰과 같은 성격의 인물로 묘사하였고, 안나 이바노브나의 치세를 혹평하는 등 당대 정치에 대한 날카로운 시각을 보여주었다. 이는 그의 저술 활동을 통해 간접적으로 드러나는 정치적 견해로, 그가 발간한 잡지 ''모스크바 잡지''와 ''유럽 통보''는 당시 지식인 사회에 중요한 담론의 장을 제공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의미심장하다.7. 기념
러시아 여러 곳에서 니콜라이 카람진을 기리는 다양한 기념 사업이 진행되었다. 카람진의 이름을 딴 지명으로는 카람지나 마을(현재 울리아놉스크의 일부), 모스크바의 카람진 가로, 그리고 칼리닌그라드, 크라스노야르스크, 울리아놉스크주 마이나에 있는 니콜라이 카람진 거리가 있다. 울리아놉스크에는 카람진을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으며, 모스크바 순환도로 근처 오스타프예보 역사적 주택 박물관에도 그를 기리는 기념물이 있다. 러시아 천년 기념물(벨리키 노브고로드)에는 카람진의 동상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의 고향인 셈비르스크에는 1848년 4월 18일에 개관한 카람진 공공 도서관이 있다.
2016년 카람진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여 러시아 중앙은행은 러시아의 저명한 인물 시리즈에서 카람진을 기리는 2루블 은화를 발행했다.[18] 같은 해 울리아놉스크 주립 지역 과학 도서관은 카람진을 기리는 공개 문학 공모전을 개최했는데, 이 공모전에서는 카람진에 대한 시와 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시만 응모할 수 있었다.[17] 카람진을 묘사한 기념 우표도 두 종 발행되었다. 하나는 1991년 소련에서 발행된 10 러시아 코페크짜리 우표로, 러시아 역사가 우표 시리즈의 일부였고,[19] 다른 하나는 2016년에 발행된 25 러시아 루블짜리 우표로, 역시 저명한 러시아 역사가 우표 시리즈에 포함되었다.[20][21]
7. 1. 기념 장소
카람진의 업적을 기리는 여러 기념 장소가 러시아 전역에 존재한다. 그의 출생지인 심비르스크(현 울리야놉스크)에는 카람지나 마을이 있으며, 모스크바에는 카람진 가로가 있다. 니콜라이 카람진 거리는 칼리닌그라드, 크라스노야르스크, 울리아놉스크주 마이나에도 있다. 울리야놉스크와 모스크바의 오스타프예보 역사적 주택 박물관에는 카람진의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벨리키 노브고로드의 러시아 천년 기념물에도 그의 동상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그의 고향을 기리는 셈비르스크의 카람진 공공 도서관(1848년 4월 18일 개관)도 그의 업적을 기리는 중요한 장소이다. 2016년에는 울리아놉스크 주립 지역 과학 도서관에서 카람진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는 문학 공모전을 개최하기도 했다.[17] 같은 해 러시아 중앙은행은 카람진을 기리는 2루블 은화를 발행했으며,[18] 그의 초상이 그려진 기념 우표도 1991년 소련[19]과 2016년에 발행되었다.7. 2. 기타 기념 사업
2016년, 니콜라이 카람진 탄생 250주년을 기념하여 다양한 사업이 진행되었다. 울리아놉스크 주립 지역 과학 도서관에서는 카람진을 기리는 공개 문학 공모전을 개최했는데, 이 공모전은 카람진에 대한 시와 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한 시만 응모할 수 있었다.[17] 러시아 중앙은행은 저명한 인물 시리즈의 일환으로 카람진을 기리는 2루블 은화를 발행했다.[18] 또한, 카람진을 묘사한 기념 우표 두 종이 발행되었다. 하나는 1991년 소련에서 발행된 10 러시아 코페크짜리 우표로, 러시아 역사가 우표 시리즈의 일부였다.[19] 다른 하나는 2016년에 발행된 25 러시아 루블짜리 우표로, 역시 저명한 러시아 역사가 우표 시리즈에 포함되었다.[20] [21]8. 주요 작품 목록
== 주요 작품 목록 ==
니콜라이 카람진은 산문 작가로 더 잘 알려져 있지만, 시, 역사서, 논문, 번역, 잡지 창간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며 러시아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단편 작품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언어와 스타일, 주제로 독자들에게 '독서'의 재미를 선사하며 러시아의 독서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 특히 1790년대와 1802년 사이에 집중적으로 활동하며 많은 작품들을 남겼다. 대표적인 산문 작품으로는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 <가엾은 리자>, <대귀족의 딸 나탈리야>, <보른홀름 섬>, <시에라 모레나>, <율리야> 등이 있으며, 역사서로는 전 12권으로 된 대작 ≪러시아 국가의 역사≫가 있다. 또한 문예집 ≪아글라야≫와 ≪아오니트≫를 출간했고, 다수의 시와 논문을 남겼으며, 여러 잡지를 통해 독자층을 확대하고 독서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했다.
다음은 그의 주요 작품들을 유형별로 정리한 것이다. 아래에서 자세히 다루는 시 외에도, 그의 작품들은 당시 러시아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의 정치적 견해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러시아 국가의 역사≫는 러시아 역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기준점이 되었다. 하지만, 그의 작품 해석에 있어서는 당시 시대적 배경과 그의 정치적 성향을 균형 있게 고려해야 한다.
8. 1. 산문
니콜라이 카람진은 18세기 러시아에서 가장 중요한 산문 작가로 꼽힌다. 그의 단편 작품들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언어와 스타일, 주제를 다루었고, 귀족 계층을 넘어 대중에게까지 독서의 즐거움을 전파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해 러시아의 낮은 독서 수준을 향상시키는 계기를 마련했고, 푸시킨과 같은 후대 작가들의 등장에도 토대가 되었다. 벨린스키는 카람진을 "러시아 문학에 새로운 장을 연 사람"이라고 평가했다.카람진의 주요 산문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작품들이 있다. 그의 여행 경험을 바탕으로 쓴 ≪러시아 여행자의 편지(Письма русского путешественника)≫는 당시 러시아에서 일기·서간체 형식의 여행기 유행을 불러일으켰다. 또한, 감성적인 서사로 유명한 ≪가련한 리자(Бедная Лиза)≫, ≪대귀족의 딸 나탈리야(Наталья, боярская дочь)≫, ≪보른홀름 섬(Остров Борнгольм)≫, ≪시에라 모레나(Sierra Morena)≫, ≪율리야(Юлия)≫ 등의 작품들이 있다. 이외에도, 그는 ≪모스크바 잡지(Московский журнал)≫와 ≪유럽 통보(Европейский вестник)≫를 창간하여 당시 지식인들에게 토론의 장을 제공하고, 독자층 확대 및 수준 향상에 기여했다. 12권으로 구성된 방대한 역사서 ≪러시아 국가의 역사(Ис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Российского)≫도 그의 중요한 업적으로 남는다. 더불어 문예집 ≪아글라야(Аглая)≫와 ≪아오니트(Аониды)≫를 출간했으며, 다수의 시와 논문을 남겼다. 이러한 그의 다양한 활동은 푸시킨 시대를 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평가받는다.
카람진의 주요 산문 작품 목록은 다음과 같다.
- '''예브게니 이 유리야''' (''''), 영어 번역: ''Evgeniy and Julia'' (1789)
- '''베드나야 리자''' (''''), 영어 번역: ''Poor Liza'' (1792)
- '''나탈리아, 보야르스카야 도치''' (''''), 영어 번역: ''Natalya the Boyar's Daughter'' (1792)
- '''프레크라스나야 차레브나 이 샤스트리비 카를라''' (''''), 영어 번역: ''The Beautiful Princess and the Happy Dwarf'' (1792)
- '''오스트로프 보르골름''' (''''), 영어 번역: ''Island of Bornholm'' (1793)
- '''아프인스카야 지즈니''' (''''), 영어 번역: ''Athenian Life'' (1794)
- '''멜로도르 크 필랄레투''' (''''), 영어 번역: ''Melodor to Filalet'' (1794; 속편 ''Filalet to Melodor''와 함께)
- '''유리야''' (''''), 영어 번역: ''Julia'' (1796)
- '''마르파-포사드니차''' (''''), 영어 번역: ''Martha the Mayoress'' (1802)
- '''모야 이스포베트''' (''''), 영어 번역: ''My Confession'' (1802)
- '''추브스트비텔니 이 콜로드니''' (''''), 영어 번역: ''The Sensitive and the Cold'' (1803)
- '''리츠알 나셰고 브레메니''' (''''), 영어 번역: ''A Knight of Our Times'' (1803)
- '''Pisma russkogo puteshestvennika''' (''''), 영어 번역: ''Letters of a Russian Traveler'' (1791~92)
- '''Zapiska o drevney i novoy Rossii''' (''''), 영어 번역: ''Memoir on Ancient and Modern Russia'' (1811)
- '''Istoriya gosudarstva Rossiyskogo''' (''''), 영어 번역: ''History of the Russian State'' (1816~26)
8. 2. 시
니콜라이 카람진은 산문 작가로 더 유명하지만, 다수의 시 작품도 남겼다. 그의 시는 당시 러시아 문학계에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었다고 평가받는다. 주요 작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시 (Поэзия)''': 1787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카람진의 초기 시적 경향을 보여준다.
- '''다로바니야 (Дарования)''': 1796년에 발표된 ''Gifts''는 카람진의 재능과 잠재력을 보여주는 작품으로 해석된다.
- '''솔로베이 (Соловей)''': 1796년에 발표된 ''Nightingale''은 자연과 감성을 노래한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 '''프로테이, 또는 시인의 불일치 (Протей, или Несогласия стихотворца)''': 1798년에 발표된 ''Proteus, or Inconsistencies of a Poet''는 시인의 내면 갈등을 표현한 작품으로 분석된다.
- '''그의 폐하 알렉산드르 1세, 전 러시아의 독재자에게, 그가 왕위에 오른 것을 기념하여 (Его императорскому величеству Александру I, самодержцу всероссийскому, на восшествие его на престол)''': 1801년에 발표된 ''To His Imperial Highness Alexander I, All-Russian Autocrat, on the Occasion of His Rise to the Throne''는 알렉산더 1세 즉위를 기념하는 찬가 형식의 시이다. 이 시에서 카람진은 알렉산더 1세의 개혁과 러시아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을 제시했을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알렉산더 1세의 정책에 대한 비판적인 시각도 존재했음을 기억해야 한다.
- '''어리석은 자들에 대한 찬가 (Гимн глупцам)''': 1802년에 발표된 ''Hymn to the Fools''는 사회의 어리석음을 풍자적으로 비판한 작품으로 추정된다.
- '''에밀리아에게 (К Эмилии)''': 1802년에 발표된 ''To Emilie''는 사랑과 이별을 노래한 서정시로 보인다.
- '''덕행에게 (К добродетели)''': 1802년에 발표된 ''To Virtue''는 덕행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교훈적인 시로 해석된다.
- '''유럽의 해방과 알렉산드르 1세의 영광 (Освобождение Европы и слава Александра I)''': 1814년에 발표된 ''The Freeing of Europe and the Glory of Alexander I''는 나폴레옹 전쟁 이후 유럽의 해방과 알렉산더 1세의 업적을 찬양하는 내용으로 보인다. 그러나 알렉산더 1세의 정치적 행보에 대한 비판적 견해 또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카람진의 시들은 러시아어 문학 발전에 기여했으며, 그의 산문 작품과 함께 러시아 문학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그의 시들은 당시 러시아 사회의 다양한 측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그의 정치적 견해와 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참조
[1]
서적
Nikolai Mikhaĭlovich Karamzin, po ego sochinenіiam, pisʹmam i otzyvam sovremennikov
https://books.google[...]
A. I. Mamontov
[2]
서적
Nikolaĭ Mikhaĭlovich Karamzin
https://books.google[...]
Karl Kray
[3]
웹사이트
Gde rodilsia Karamzin?
https://www.ul.kp.ru[...]
2015-04-14
[4]
서적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c Dictionary
[5]
서적
Rodoslovnyĭ sbornik russkikh dvorianskikh familiĭ
http://www.runivers.[...]
A. S. Suvorin
[6]
서적
Rodoslovnaia kniga Kniazeĭ i Dvorian rossiĭskikh i vyezzhikh. Chastʹ II
Universitetskaia tipografiia u N. Novikova
[7]
웹사이트
Gerb roda Karamzinykh
https://gerbovnik.ru[...]
[8]
서적
Brockhaus and Efron Encyclopedic Dictionary
[9]
웹사이트
Gerb roda Pazukhinykh
https://gerbovnik.ru[...]
[10]
서적
Rodoslovnaia Pazukhinykh i rodoslovnye materialy Pazukhinskogo arkhiva
http://elib.shpl.ru/[...]
Tipografiia Imperatorskoĭ Nikolaevskoĭ voennoĭ akademii
[11]
서적
Women in Nineteenth-Century Russia: Lives and Culture
Open Book Publishers
2012-01-01
[12]
서적
Waiting for Pushkin: Russian Fiction in the Reign of Alexander I (1801–1825)
https://brill.com/vi[...]
Brill
2006-01-01
[13]
서적
Russia and Ukraine: Literature and the Discourse of Empire from Napoleonic to Postcolonial Times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14]
서적
Sign, Symbol and Script: An Account of Man's Efforts to Write
George Allen and Unwin
[15]
학술지
Pro bukvu ë
http://www.nkj.ru/ar[...]
2000-01-01
[16]
학술지
I eshchë raz o bukve ë
http://www.nkj.ru/ar[...]
2008-01-01
[17]
웹사이트
Poėticheskiĭ konkurs «Tebe, nash dobryĭ, chistyĭ geniĭ…», posviashchennyĭ 250-letiiu so dnia rozhdeniia Nikolaia Mikhaĭlovicha Karamzina
http://uonb.ru/index[...]
[18]
웹사이트
2 Rubles (250th Anniversary of the Writer N. M. Karamzin's Birth)
https://colnect.com/[...]
[19]
웹사이트
Russian historian N. M. Karamzin
https://colnect.com/[...]
Colnect
[20]
웹사이트
250th Anniversary of Birth of Nikolai M. Karamzin
https://colnect.com/[...]
[21]
웹사이트
175 years since the birth of V. O. Kliuchevskoi (1841-1911), historian, 250 years since the birth of N. M. Karamzin (1766−1826), writer, historian
https://colnect.com/[...]
[22]
웹사이트
カラムジン
http://dictionary.go[...]
2012-10-30
[23]
웹사이트
カラムジン
https://www.weblio.j[...]
2012-10-30
[24]
웹사이트
カラムジン
http://100.yahoo.co.[...]
2012-10-30
[25]
서적
万有百科大事典 1 文学
小学館
1973-08-10
[26]
웹사이트
カラムジンとは
https://kotobank.jp/[...]
2012-10-30
[27]
서적
История государства Российског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