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닥냉이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닥냉이속은 배추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전 세계적으로 265종이 있으며, 캘리포니아주에서는 10종이 발견된다. 다닥냉이속에는 아프리카다닥냉이, 털다닥냉이, 넓은잎다닥냉이, 가든 크레스 등 다양한 종이 포함되어 있다. 일부 종은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기도 하며, 식용 및 약용으로 활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다닥냉이속 - 콩다닥냉이
    콩다닥냉이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30~50cm까지 자라며 샐러드나 나물로 먹을 수 있고, 병솔 모양의 총상꽃차례가 특징이다.
  • 다닥냉이속 - 마카
    마카는 페루 안데스 산맥 원산의 십자화과 식물로, 뿌리는 식품 및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되며, 갱년기 장애 완화, 항피로, 항비만 및 성욕 증진에 대한 잠재적 효능이 연구되고 있다.
다닥냉이속 - [생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Lepidium flavum
학명Lepidium
명명자L. (1753)
종 수265종 (하위 종 참고)
이명Carara Medik. (1792)
Cardamon Fourr. (1868)
Cardaria Desv. (1815)
Cardiolepis Wallr. (1822)
Coronopus Zinn (1757)
Cotyliscus Desv. (1815)
Cynocardamum Webb & Berthel. (1836)
Cyphocardamum Hedge (1968)
Dileptium Raf. (1817)
Eudistemon Raf. (1830)
Hymenophysa C.A.Mey. (1831)
Iberis Hill (1756), nom. illeg.
Jundzillia Andrz. ex DC. (1821), not validly publ.
Lasioptera Andrz. ex DC. (1821)
Lepia Desv. (1815)
Lepicochlea Rojas (1918)
Lepidiberis Fourr. (1868)
Lepidion St.-Lag. (1880), orth. var.
Lithodraba Boelcke (1951)
Monoploca Bunge (1845)
Nasturtiastrum Gillet & Magne (1863)
Nasturtioides Medik. (1792)
Nasturtiolum Medik. (1792)
Nasturtium Mill. (1754), nom. rej.
Neolepia W.A.Weber (1989)
Papuzilla Ridl. (1916)
Physolepidion Schrenk ex Fisch. & C.A.Mey. (1841)
Semetum Raf. (1840)
Senckenbergia G.Gaertn., B.Mey. & Scherb. (1800)
Senebiera DC. (1799)
Sennebiera Willd. (1809)
Sprengeria Greene (1906)
Stroganowia Kar. & Kir. (1841)
Stubendorffia Schrenk ex Fisch. (1844)
Uranodactylus Gilli (1959)
Winklera Regel (1886)
한국 정보
속명 (한국어)다닥냉이속
참고 문헌고경식·김윤식, 원색한국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988년 8월 10일, 서울, 98쪽

2. 종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서는 다닥냉이속에 속하는 265종을 인정한다.[1] 캘리포니아주에서는 10종이 발견된다.[4]


  • 아프리카다닥냉이(''Lepidium africanum'')
  • 아멜룸다닥냉이(''Lepidium amelum'')
  • 아미섬다닥냉이(''Lepidium amissum'') - 와이타케레 괴혈병풀(뉴질랜드); 멸종
  • 아레티오이데스다닥냉이(''Lepidium aretioides'')
  • 아르모라키아다닥냉이(''Lepidium armoracia'')
  • 아페탈룸다닥냉이(''Lepidium apetalum'') – ''두 싱 차이''(중국어 병음, 중국)[5]
  • 아르부스쿨라다닥냉이(''Lepidium arbuscula'')
  • 아스케르소니이다닥냉이(''Lepidium aschersonii'') – 가시 겨자냉이
  • 방크시다닥냉이(''Lepidium banksii'')
  • 바르네비아눔다닥냉이(''Lepidium barnebyanum'')
  • 비플리카툼다닥냉이(''Lepidium biplicatum'')
  • 보나리엔세다닥냉이(''Lepidium bonariense'') – 겨자냉이
  • 캄페스트레다닥냉이(''Lepidium campestre'') – 밭 겨자풀, 밭 냉이
  • 카타피크논다닥냉이(''Lepidium catapycnon'')
  • 코로노푸스다닥냉이(''Lepidium coronopus'') – 돼지냉이
  • 데이비시다닥냉이(''Lepidium davisii'') – 데이비스 겨자풀[6]
  • 덴시플로룸다닥냉이(''Lepidium densiflorum'') – 흔한 겨자냉이
  • 데스보우이다닥냉이(''Lepidium desvauxii'') – 덤불 겨자냉이
  • 디크티오툼다닥냉이(''Lepidium dictyotum'')
  • 디디뭄다닥냉이(''Lepidium didymum'')
  • 드라바다닥냉이(''Lepidium draba'') – 흰털 겨자냉이
  • 드루몬디다닥냉이(''Lepidium drummondii'')
  • 에키나툼다닥냉이(''Lepidium echinatum'')
  • 에콰도리엔세다닥냉이(''Lepidium ecuadoriense'')
  • 엥글레리아눔다닥냉이(''Lepidium englerianum'')
  • 파시큘라툼다닥냉이(''Lepidium fasciculatum'') – 묶음 겨자냉이
  • 플라붐다닥냉이(''Lepidium flavum'')
  • 플렉시카울레다닥냉이(''Lepidium flexicaule'')
  • 폴리오숨다닥냉이(''Lepidium foliosum'') – 잎이 많은 겨자냉이
  • 프레몬티이다닥냉이(''Lepidium fremontii'') – 사막 겨자풀
  • 게니스토이데스다닥냉이(''Lepidium genistoides'')
  • 긴닌데렌세다닥냉이(''Lepidium ginninderrense'')
  • 그라미니폴리움다닥냉이(''Lepidium graminifolium'')
  • 호에이-인술레다닥냉이(''Lepidium howei-insulae'') – 겨자 & 크레스
  • 히페난티온다닥냉이(''Lepidium hypenantion'')
  • 히소피폴리움다닥냉이(''Lepidium hyssopifolium'')
  • 헤테로필룸다닥냉이(''Lepidium heterophyllum'') – 스미스 겨자풀, 스미스 크레스
  • 자레디이다닥냉이(''Lepidium jaredii'') – 자레드 겨자풀
  • 털다닥냉이(''Lepidium lasiocarpum'')
  • 넓은잎다닥냉이(''Lepidium latifolium'') – 겨자풀, 디탄더
  • 라티페스다닥냉이(''Lepidium latipes'')
  • 리라토지눔다닥냉이(''Lepidium lyratogynum'')
  • 메랄리이다닥냉이(''Lepidium merrallii'')
  • 메도키넨세다닥냉이(''Lepidium medocinense'')
  • 마카(''Lepidium meyenii'') (동의어 ''L. peruvianum'')
  • 모노플로코이데스다닥냉이(''Lepidium monoplocoides'') – 날개 겨자냉이
  • 몬타눔다닥냉이(''Lepidium montanum'') – 서부 겨자풀, 산 겨자풀
  • 나눔다닥냉이(''Lepidium nanum'') – 난쟁이 겨자풀
  • 네소필룸다닥냉이(''Lepidium nesophilum'')
  • 니티둠다닥냉이(''Lepidium nitidum'') – 반짝이는 겨자풀
  • 오블롱굼다닥냉이(''Lepidium oblongum'')
  • 올레라세움다닥냉이(''Lepidium oleraceum'') – 쿡스 괴혈병풀(멸종위기)
  • 옥시카르붐다닥냉이(''Lepidium oxycarpum'') – 잎갈래 겨자풀
  • 옥시트리쿰다닥냉이(''Lepidium oxytrichum'')
  • 파필리페룸다닥냉이(''Lepidium papilliferum'') – 슬릭스팟 겨자풀
  • 파필로숨다닥냉이(''Lepidium papillosum'') – 사마귀 겨자냉이
  • 페디셀로숨다닥냉이(''Lepidium pedicellosum'')
  • 페레그리눔다닥냉이(''Lepidium peregrinum'')
  • 페르폴리아툼다닥냉이(''Lepidium perfoliatum'')
  • 페루비아눔다닥냉이(''Lepidium peruvianum'')
  • 플레보페탈룸다닥냉이(''Lepidium phlebopetalum'')
  • 폴리도지눔다닥냉이(''Lepidium pholidogynum'')
  • 피나티피둠다닥냉이(''Lepidium pinnatifidum'')
  • 플라티페탈룸다닥냉이(''Lepidium platypetalum'') – 가는 겨자냉이
  • 슈도히소피폴리움다닥냉이(''Lepidium pseudohyssopifolium'')
  • 슈도루데랄레다닥냉이(''Lepidium pseudoruderale'')
  • 슈도타스마니쿰다닥냉이(''Lepidium pseudotasmanicum'')
  • 푸베룰룸다닥냉이(''Lepidium puberulum'')
  • 퀴텐세다닥냉이(''Lepidium quitense'')
  • 로툰둠다닥냉이(''Lepidium rotundum'') – 잎맥 겨자냉이
  • 루데랄레다닥냉이(''Lepidium ruderale'') – 좁은 잎 겨자풀
  • 사기툴라툼다닥냉이(''Lepidium sagittulatum'')
  • 사티붐다닥냉이(''Lepidium sativum'') – 가든 크레스
  • 스칸덴스다닥냉이(''Lepidium scandens'')
  • 스쿠아마툼다닥냉이(''Lepidium squamatum'')
  • 스트릭툼다닥냉이(''Lepidium strictum'')
  • 투르베리다닥냉이(''Lepidium thurberi'') – 터버 겨자풀, 터버 겨자풀
  • 버지니쿰다닥냉이(''Lepidium virginicum'') – 버지니아 겨자풀
  • 실로데스다닥냉이(''Lepidium xylodes'')

3. 한국의 다닥냉이속

3. 1. 다닥냉이의 생태계 교란 문제

3. 2. 한국 자생종

4. 활용

4. 1. 식용

4. 2. 약용

참조

[1] 웹사이트 Lepidium L. https://powo.science[...] 2024-04-03
[2] 웹사이트 Lepidium http://www.efloras.o[...]
[3] 서적 The Mysteries of the Flowers https://archive.org/[...] Frederick A. Stokes company
[4] 서적 California Desert Flowers: An Introduction to Families, Genera, and Species
[5] 웹사이트 Tropicos.org http://www.tropicos.[...] Missouri Botanical Garden 2011-12-20
[6] 웹사이트 Sensitive Plants of the JRA http://www.blm.gov/p[...] Idaho BLM 2014-05-02
[7] 서적 원색한국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1988-08-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