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다케다 노부요시 (1583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케다 노부요시는 158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다케다 가문의 명적을 계승하여 가이, 에지리 등을 지배했다. 1590년 시모사국 고가네 성으로 옮겨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로 개명하였고, 1602년 히타치국 미토번 25만 석을 받아 다케다 가문을 부흥시켰으나, 1603년 21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가문은 다시 단절되었다. 미토번은 이후 그의 이복 동생인 도쿠가와 요리노부와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이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토번주 - 도쿠가와 요리후사
    도쿠가와 요리후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11번째 아들이자 미토 번의 초대 번주로서, 미토 도쿠가와 가문을 창설하고 고산케의 기슈 도쿠가와 가문과 관계를 맺었으며, 쇼군 이에미쓰의 신임을 받아 부장군이라 불렸으나 미토 번에 대한 실질적인 통치는 제한적이었다.
  • 미토번주 - 도쿠가와 쓰나에다
    도쿠가와 쓰나에다는 에도 시대 미토 번의 3대 번주로, 선대 번주 도쿠가와 미쓰쿠니의 양자였으나, 재정난 속에서 개혁을 추진하다 농민 반발로 실패했고, 노가쿠에 심취했으며 쇼군 후보로 거론되기도 했다.
  • 도토미국 사람 - 유키 히데야스
    유키 히데야스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차남으로 태어나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양자로 보내졌으며, 유키 가문의 가독을 잇고 세키가하라 전투 이후 에치젠의 영주가 되었다.
  • 도토미국 사람 - 이치키 기토쿠로
    이치키 기토쿠로는 일본의 법학자, 관료, 정치인으로, 도쿄제국대학 졸업 후 내무대신, 문부대신 등을 역임하고 추밀원 의장과 궁내대신을 지냈으며, 일본 행정법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 사쿠라번주 - 홋타 마사모리
    홋타 마사모리는 하급 무사 출신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유모 가스가노츠보네와의 인척 관계를 통해 로쥬까지 오른 다이묘로, 이에미쓰 사망 후 순사하여 충절의 상징으로 여겨지지만 출신 배경에 대한 논쟁 또한 존재하는 인물이다.
  • 사쿠라번주 - 도이 도시카쓰
    도이 도시카쓰는 에도 막부 초기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히데타다, 이에미쓰 3대 쇼군을 섬기며 막부의 정치, 행정, 재정 등 여러 분야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막번 체제 확립과 외교, 통화 제도 개혁에 기여했으나, 후반에는 정치적 영향력이 약화된 인물이다.
다케다 노부요시 (1583년)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족도쿠가와 씨、다케다 씨
가명어만、시치로(七郎)
계명浄鑑院殿英誉善香崇巌大禅定門
묘소조후쿠사、즈이류산
생애
출생덴쇼 11년 9월 3일(1583년10월 18일)
사망게이초 8년 9월 11일(1603년10월 15일)
아명후쿠마쓰마루、만치요마루
개명다케다 노부요시、마쓰다이라 노부요시
가계
아버지도쿠가와 이에야스
어머니시모야마도노(묘신인)
양아버지아나야마 가쓰치요
양어머니겐쇼인
형제자매노부야스、가메히메、도쿠히메、히데야스、히데타다、다다요시、후리히메、노부요시、다다테루、마쓰다이라 마쓰치요、센치요、요시나오、요리노부요리후사
정실덴쇼인기노시타 가쓰토시의 딸)
약혼녀호치(마에다 도시이에의 딸)
자녀없음
관직 및 봉록
막부에도 막부
주군도쿠가와 이에야스
시모사 국사쿠라 번 주군 → 히타치 국미토 번 주군

2. 출신

덴쇼 11년(1583년) 9월 3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째 아들로 하마마츠에서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후쿠마쓰마루'''이다. 어머니는 가이 다케다 씨 가신 아키야마 토라야스[2]의 딸 오토마(시모야마도노·묘신인)이다. 아키야마씨는 가이 다케다 씨의 지류이다. 아나야마 노부요시(노부쿠니, 노부키미의 동생)의 아내였다는 설도 있다.

3. 생애

1583년 9월 3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째 아들로 하마마쓰에서 태어났다. 아명은 후쿠마쓰마루였다. 어머니는 가이 다케다씨 가신 아키야마 노부토모의 딸 시모야마도노(묘진인)였다.[5] 아나야마 노부요시(다케다 노부요시의 동생)의 가신이었다는 설도 있다.

1582년 3월, 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의 고슈 정벌로 다케다 가쓰요리가 자결하면서 다케다 가문은 멸망했다. 같은 해 6월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한 후, 가이와 시나노 지역을 둘러싼 덴쇼 임오의 난에서 아나야마 노부키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귀속되었다. 노부키미와 겐쇼인의 아들인 쇼센요(다케다 노부하루)가 당주가 되었지만, 1587년 1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아나야마 다케다 가문은 단절되었다.

이에야스와 그의 측실인 오토마노 카타(다케다 가신 아키야마씨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째 아들 후쿠마쓰마루(후의 다케다 노부요시)는 겐쇼인의 후견을 받으며 다케다 가문의 명적을 계승했다. 노부요시는 가이 가와치 영을 비롯해 에지리 영, 스루가 서시, 가토 스즈를 지배하고, 원복하여 다케다 시치로 노부요시라 칭했다.

1590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시모사국 고가네성 3만 석으로 옮겨갔다. 이후 마쓰다이라성으로 복성하여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로 개명했다. 1593년에는 시모사쿠라성 10만 석을 받았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에도성 니시노마루를 지키는 루스이역을 맡았다.

1602년, 히타치국 미토 25만 석에 봉해지면서 다케다 유신들을 이끌고 다케다 씨를 부흥시켰다. 그러나 1603년 9월 11일, 선천적으로 병약했던 노부요시는 2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습창이었다.[5]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다케다 씨는 다시 단절되었다.

미토번은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었고, 요리노부가 슨푸로 이봉된 후에는 또 다른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이어받아 미토 도쿠가와 가의 시조가 되었다. 노부요시를 섬기던 가신들 상당수는 미토 가문을 섬기게 되었다. 묘소는 이바라키현 나카시히타치오타시에 있다.

3. 1. 다케다 가문 계승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다섯째 아들로 태어난 노부요시는 어머니가 다케다 가문 출신이었기 때문에 다케다 가문을 계승하게 되었다. 1582년(덴쇼 10년), 오다 노부나가혼노지의 변으로 사망한 후,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아나야마 가문을 자신의 세력으로 끌어들였다. 아나야마 가문은 아나야마 노부키미와 그의 정실 겐쇼인의 아들인 가쓰치요가 이었지만, 1587년(덴쇼 15년) 가쓰치요가 16세의 나이로 사망하면서 아나야마 다케다 가문은 단절되었다.[5]

이에 이에야스는 자신의 다섯째 아들인 후쿠마쓰마루(후의 노부요시)에게 다케다 가문을 잇게 했다. 겐쇼인이 후견인이 되었고, 노부요시는 가이국 가와치 지역을 비롯한 여러 영지를 다스리며 다케다 노부요시로 이름을 바꾸었다. 1590년(덴쇼 18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간토 지방으로 이동하면서 노부요시는 시모사국 고가네성 3만 석으로 옮겨갔다. 이후 마쓰다이라로 성을 바꾸고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로 개명했다.

1593년, 임진왜란 중에는 시모사쿠라성 10만 석을 받았다.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에도성을 지키는 역할을 맡았다. 1602년(게이초 7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했다는 의심을 받은 사타케씨를 대신하여 히타치국 미토번 25만 석을 받고, 다케다 가문을 부흥시켰다.[5]

그러나 1603년(게이초 8년), 노부요시는 2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그는 평소 병약했으며, 사인은 습창이었다.[5]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다케다 가문은 다시 단절되었다. 노부요시의 미토번은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어받았고, 이후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미토 도쿠가와 가문의 시조가 되었다.

3. 2. 마쓰다이라 성 복귀와 임진왜란 참전

1590년(덴쇼 18년) 2월부터 7월까지 오다와라 정벌이 있은 후, 같은 해에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간토 이봉에 따라 시모사국 고가네성 3만 석으로 옮겼다. 노부요시는 마쓰다이라성으로 복귀하여 '''마쓰다이라 노부요시'''(松平信吉|마쓰다이라 노부요시일본어)로 개명하였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정실 고다이인의 조카인 기노시타 가쓰토시(木下勝俊|기노시타 가쓰토시일본어)의 딸을 아내로 맞이했기 때문에, 이에야스는 히데요시를 배려하여 노부요시에게 영지를 늘렸다.[5]

이듬해인 1591년(덴쇼 19년) 어머니가 사망하자 겐쇼인이 노부요시의 양어머니가 되었다. 1593년(분로쿠 2년) 임진왜란 때 시모사쿠라성 10만 석이 주어졌다.[5] 1600년(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에도성 니시노마루(西野丸)에 있어 유수거역을 맡았다.[5]

3. 3. 세키가하라 전투와 미토 번주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에도성 니시노마루(西野丸)에서 유수거역을 맡았다.[5]

1602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했다는 혐의를 받은 사타케씨를 대신하여, 그 영지였던 히타치 미토 25만 석에 봉해졌고, 구 아나야마 가신을 중심으로 하는 다케다 유신을 붙여 다케다씨를 재흥했다.

3. 4. 사망과 다케다 가문 단절

1582년(덴쇼 10년) 3월, 오다 노부나가도쿠가와 이에야스 연합군의 고슈 정벌로 다케다 가쓰요리가 자결하면서 다케다 가문은 멸망했다. 같은 해 6월 혼노지의 변으로 오다 노부나가가 사망한 후, 가이와 시나노 지역을 둘러싼 덴쇼 임오의 난에서 아나야마 노부키미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에게 귀속되었다. 노부키미와 겐쇼인의 아들인 쇼센요(다케다 노부하루)가 당주가 되었지만, 1587년(덴쇼 15년) 16세의 나이로 사망하여 아나야마 다케다 가문은 단절되었다.

도쿠가와 이에야스와 그의 측실인 오토마노 카타(다케다 가신 아키야마씨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째 아들 후쿠마쓰마루(후의 다케다 노부요시)는 겐쇼인의 후견을 받으며 다케다 가문의 명적을 계승했다. 노부요시는 가이 가와치 영을 비롯해 에지리 영·스루가 서시·가토 스즈를 지배하고, 원복하여 다케다 시치로 노부요시라 칭했다.

1590년(덴쇼 18년) 오다와라 정벌 이후, 시모사국 고가네성 3만 석으로 옮겨갔다. 이후 마쓰다이라성으로 복성하여 마쓰다이라 노부요시로 개명했다. 1593년(분로쿠 2년)에는 시모사쿠라성 10만 석을 받았다. 1600년(게이초 5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는 에도성 니시노마루를 지키는 루스이역을 맡았다.

1602년(게이초 7년), 히타치국 미토 25만 석에 봉해지면서 다케다 유신들을 이끌고 다케다 씨를 부흥시켰다. 그러나 1603년(게이초 8년) 9월 11일, 선천적으로 병약했던 노부요시는 21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했다. 사인은 습창이었다.[5] 자녀가 없었기 때문에 다케다 씨는 다시 단절되었다.

미토번은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요리노부가 이었고, 요리노부가 슨푸로 이봉된 후에는 또 다른 이복동생인 도쿠가와 요리후사가 이어받아 미토 도쿠가와 가의 시조가 되었다. 노부요시를 섬기던 가신들 상당수는 미토 가문을 섬기게 되었다.

4. 가족 관계


  • 아버지: 도쿠가와 이에야스
  • 어머니: 묘신인(1564–1591), 오토마노 카타
  • 양아버지: 아나야마 가쓰치요(별칭: 다케다 노부하루) (1572–1587)
  • 양어머니: 겐쇼인 (1622년 사망)
  • 정실: 텐쇼인
  • 측실: 오쓰노 카타

5. 묘소

이바라키현 나카시히타치오타시에 묘소가 있다. 나카시의 조후쿠지에 묘가 있으며, 법명은 죠겐인덴에이요젠코스고겐(常玄院殿英誉善光崇源)이다.[5] 훗날 조카 도쿠가와 미쓰쿠니에 의해 즈이류산에 다시 묻혔다.

6. 등장 작품

참조

[1] 문서 ちなみに福松丸は、信吉の兄・松平忠吉(忠康)の幼名である。
[2] 문서 秋山虎泰(虎康)は秋山虎繁(信友)の甥と伝わる。
[3] 서적 戦国大名武田氏の役と家臣 岩田書院
[4] 웹사이트 水戸德川家墓所 https://www.edu.pref[...] 茨城県教育委員会 2022-11-26
[5] 문서 가려움증등이 격렬하고 오래 계속되면 죽음에 이르는 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