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1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514년은 명나라 정덕 9년, 일본 에이쇼 11년, 후 레 왕조 홍순 6년에 해당한다. 주요 사건으로 1월 베네치아의 대화재, 8월 찰디란 전투, 9월 오르샤 전투 등이 있었으며, 헝가리 반란 지도자 죄르지 도자, 건축가 도나토 브라만테 등이 사망했다. 잉글랜드의 헨리 8세는 프랑스와 평화 조약을 맺고 누이 메리 튜더를 프랑스 루이 12세와 결혼시켰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14년 - 오르샤 전투
오르샤 전투는 1514년 리투아니아-폴란드 연합군이 모스크바 대공국 군대를 격파한 전투이며, 모스크바의 세력 확장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했고, 16세기 유럽의 대규모 전투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1514년 | |
---|---|
지도 정보 | |
연도 정보 | |
1514년 | 서기 1514년 |
주요 사건 | |
발생 | 1월 1일 -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가 건설됨. 1월 23일 - 카스티야 왕국의 페르난도 2세가 사망하고, 그의 딸 후아나 1세가 여왕이 됨. 4월 11일 - 이탈리아 전쟁에서 라벤나 전투가 벌어져 프랑스군이 승리함. 4월 27일 - 잉글랜드 왕국의 헨리 8세가 제노바와의 동맹을 체결함. 5월 3일 - 콘스탄티노폴리스에서 오스만 제국과 베네치아 공화국 간의 평화 조약이 체결됨. 5월 23일 - 아나스타시우스 1세가 사망한 이후, 기독교 교회에 분열이 생김. 8월 23일 - 찰디란 전투에서 오스만 제국의 셀림 1세가 사파비 제국의 이스마일 1세를 격파함. 9월 8일 - 오르샤 전투에서 리투아니아 대공국, 폴란드 왕국 연합군이 모스크바 대공국을 격파함. 12월 23일 - 오스만 제국의 셀림 1세가 카이로에 입성함. |
탄생 | |
탄생 | 2월 16일 - 게오르크 요아힘 레티쿠스, 독일의 지도 제작자, 천문학자 (사망: 1574년) 3월 8일 - 히데타다, 일본 에도 막부 제2대 쇼군 (사망: 1632년) 4월 15일 - 한스 아이켄, 독일의 예술가 (사망: 1568년) 12월 31일 - 안드레아스 베셀리우스, 벨기에의 해부학자, 의사 (사망: 1564년) |
사망 | |
사망 | 1월 9일 - 안나 드 브르타뉴, 프랑스 왕국의 왕비 (탄생: 1477년) 1월 23일 - 페르난도 2세, 아라곤 왕국의 왕 (탄생: 1452년) 4월 11일 - 가스통 드 푸아, 프랑스 왕국의 장군 (탄생: 1489년) 5월 3일 - 앙투안 드 로렌, 로렌 공국의 공작 (탄생: 1489년) 5월 23일 - 아나스타시우스 1세, 키프로스의 총대주교 (탄생: 1435년) 8월 15일 - 헤라르트 다비트, 네덜란드의 화가 (탄생: 1460년) 9월 17일 - 피에르 드 라 루, 플랑드르의 작곡가 (탄생: 1460년) 10월 10일 - 루이 12세, 프랑스 왕국의 왕 (탄생: 1462년) |
2. 연호
3. 기년
4. 사건
1월 10일 – 베네치아의 리아토에서 대화재가 발생했다.[1]
2월 12일 – 캄브레 동맹 전쟁: 현재 이탈리아의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의 관리인 자코모 바도에르가 신성 로마 제국의 다가오는 군대를 피해 후퇴 명령을 내리며, 우디네, 치비달레, 코르몬스를 버리고 사칠레로 후퇴했다.[2]
3월 12일 –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 국왕이 레오 10세에게 보낸 거대한 외국 사절단이 로마에 도착했는데, 여기에는 한노라는 인도 코끼리도 포함되어 있었다.
3월 13일 – 프랑스의 루이 12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1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3]
4월 29일 – 신성 로마 제국과 덴마크 왕국 간의 린츠에서 한 달간의 협상 끝에 양국의 대표들이 동맹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황제의 13세 딸 이사벨라와 새로운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2세의 결혼으로 확보될 예정이며, 크리스티안 국왕에게 25만 라이헨스 굴덴의 지참금이 지급된다. 이는 500년 후 1억 1,800만 달러에 해당한다.[4]
5월 2일 – 뷔르템베르크 공작 울리히에 대한 빈곤한 콘라드 농민 반란이 보이텔스바흐에서 시작되었다.[5]
5월 15일 – 크리스티에른 페데르센이 룬드 근처에서 발견된 원본을 편집한 삭소 그라마티쿠스의 12세기 스칸디나비아 역사 《덴마크인들의 행적》의 최초 인쇄본이 파리에서 요도쿠스 바디우스에 의해 "Danorum Regum heroumque Historiae"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6월 13일 – 당시 세계 최대의 군함으로 1,000톤이 넘는 헨리 그레이스 아 디우가 영국의 새로운 울리치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진수식을 치렀다.[6][7]
7월 14일 – 헝가리 반란 지도자 죄르지 도자가 헝가리 트란실바니아(현재 루마니아의 티미쇼아라)의 템슈바르에서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할 때까지 6일 동안 고문을 받았다. 도자의 왕이 되려는 야망을 비난하며, 헝가리 국왕 슈테판 8세 바토리는 도자를 불 위에 놓인 철 왕좌에 묶은 다음, 빨갛게 달군 금관을 씌우라고 명령한다.[8]
7월 20일 –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이 오슬로에서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다. 이 즉위식은 1818년 칼 14세 요한 국왕의 즉위까지 304년 동안 노르웨이에서 마지막 즉위식이 되었다.
8월 7일 – 잉글랜드의 헨리 8세 국왕이 토마스 울지가 협상한 캄브레 동맹 전쟁에서 프랑스와 독자적인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8월 13일 – 헨리 8세 국왕의 누이인 메리 튜더가 8월 7일 평화 조약에 따라 프랑스 루이 12세 국왕과 대리 결혼을 했다.
8월 23일 – 찰디란 전투: 셀림 1세가 샤 이스마일 1세의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한다.
9월 7일 – 술탄 셀림 1세가 지휘하는 오스만 군대가 사파비 페르시아의 수도 타브리즈에 도착하여 샤 이스마일의 항복을 받는다.
9월 8일 – 벨라루스인의 지원을 받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의 군대(3만 명)가 모스크바 대공국의 러시아 군대(8만 명)를 오르샤 전투에서 패퇴시켰다.[9][10]
9월 15일 – 토마스 울지가 잉글랜드의 요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1]
10월 9일 - 프랑스의 루이 12세와 메리 튜더 결혼.[12]
11월 5일 – 메리 튜더가 프랑스 왕비로 공식적으로 즉위했다.[11]
11월 23일 – 헨리 8세 국왕이 2월 5일 웨스트민스터에서 소집될 영국 의회를 소환했다.
11월 28일 – 헤르섹자데 아흐메드 파샤가 오스만 제국의 그랜드 비지어 직에서 물러나다.
12월 4일 – 후안 로드리게스 데 폰세카와 피에트로 마르티레 댕기에라가 1508년부터 1509년까지의 핀손-솔리스 항해 자료를 기록하며 중앙 아메리카의 최초 인쇄 지도를 완성하다.
12월 18일 – 오스만 제국의 장군 두카긴자데 아흐메드 파샤가 셀림 1세 술탄에 의해 새로운 그랜드 비지어로 임명되지만, 3개월도 채 지나지 않아 파면되고 처형된다.
12월 29일 – 마테라 백작 조반니 카를로 트라몬타노가 자신의 개인적인 부채를 청산하기 위해 귀족들과 백성들에게 24,000 두캇의 세금을 요구한 다음날 마테라에서 암살당하다.[13]
알브레히트 뒤러가 그의 유명한 판화 《멜랑콜리아 I》를 제작했다.
파올로 리치가 아우크스부르크로 이주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의 《코멘타리올루스》가 쓰여지는데, 이 책에서 그는 지동설 이론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태평양을 발견한 발보아가 파나마 다리엔의 총독직을 페드라리아스 다빌라와 교체하다.
4. 1. 유럽
1월 10일 – 베네치아의 리아토에서 대화재가 발생했다.[1]2월 12일 – 캄브레 동맹 전쟁: 현재 이탈리아의 프리울리-베네치아 줄리아 지역에서 베네치아 공화국의 관리인 자코모 바도에르가 신성 로마 제국의 다가오는 군대를 피해 후퇴 명령을 내리며, 우디네, 치비달레, 코르몬스를 버리고 사칠레로 후퇴했다.[2]
3월 12일 – 포르투갈의 마누엘 1세 국왕이 레오 10세에게 보낸 거대한 외국 사절단이 로마에 도착했는데, 여기에는 한노라는 인도 코끼리도 포함되어 있었다.
3월 13일 – 프랑스의 루이 12세가 신성 로마 제국의 막시밀리안 1세와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3]
4월 29일 – 신성 로마 제국과 덴마크 왕국 간의 린츠에서 한 달간의 협상 끝에 양국의 대표들이 동맹 협정에 서명했다. 이 협정은 황제의 13세 딸 이사벨라(Isabella of Austria)와 새로운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2세(Christian II of Denmark)의 결혼으로 확보될 예정이며, 크리스티안 국왕에게 25만 라이헨스 굴덴(Rhenish gulden)의 지참금(dowry)이 지급된다. 이는 500년 후 1억 1,800만 달러에 해당한다.[4]
5월 2일 – 뷔르템베르크 공작 울리히(Ulrich, Duke of Württemberg)에 대한 빈곤한 콘라드(Poor Conrad) 농민 반란이 보이텔스바흐(Beutelsbach (Weinstadt))에서 시작되었다.[5]
5월 15일 – 크리스티에른 페데르센(Christiern Pedersen)이 룬드(Lund) 근처에서 발견된 원본을 편집한 삭소 그라마티쿠스(Saxo Grammaticus)의 12세기 스칸디나비아 역사 《덴마크인들의 행적》(Gesta Danorum)의 최초 인쇄본이 파리에서 요도쿠스 바디우스(Jodocus Badius)에 의해 "Danorum Regum heroumque Historiae"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6월 13일 – 당시 세계 최대의 군함(warship)으로 1,000톤이 넘는 헨리 그레이스 아 디우(Henry Grace à Dieu)가 영국의 새로운 울리치 조선소(Woolwich Dockyard)에서 건조되어 진수식을 치렀다.[6][7]
7월 14일 – 헝가리 반란 지도자 죄르지 도자가 헝가리 트란실바니아(현재 루마니아의 티미쇼아라)의 템슈바르에서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할 때까지 6일 동안 고문을 받았다. 도자의 왕이 되려는 야망을 비난하며, 헝가리 국왕 슈테판 8세 바토리는 도자를 불 위에 놓인 철 왕좌에 묶은 다음, 빨갛게 달군 금관을 씌우라고 명령했다.[8]
7월 20일 –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이 오슬로에서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다. 이 즉위식은 1818년 칼 14세 요한 국왕의 즉위까지 304년 동안 노르웨이에서 마지막 즉위식이 되었다.
8월 7일 – 잉글랜드의 헨리 8세 국왕이 토마스 울지가 협상한 캄브레 동맹 전쟁에서 프랑스와 독자적인 평화 조약을 체결했다.
8월 13일 – 헨리 8세 국왕의 누이인 메리 튜더가 8월 7일 평화 조약에 따라 프랑스 루이 12세 국왕과 대리 결혼을 했다.
9월 8일 – 벨라루스인의 지원을 받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의 군대(3만 명)가 모스크바 대공국의 러시아 군대(8만 명)를 오르샤 전투에서 패퇴시켰다.[9][10]
9월 15일 – 토마스 울지가 잉글랜드의 요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1]
10월 9일 - 프랑스의 루이 12세와 메리 튜더 결혼.[12]
11월 5일 – 메리 튜더가 프랑스 왕비로 공식적으로 즉위했다.[11]
11월 23일 – 헨리 8세(Henry VIII of England) 국왕이 2월 5일 웨스트민스터에서 소집될 영국 의회를 소환했다.
알브레히트 뒤러(Albrecht Dürer)가 그의 유명한 판화(engraving) 《멜랑콜리아 I》(Melencolia I)를 제작했다.
파올로 리치(Camillo Renato)(Paolo Ricci (Camillo Renato))가 아우크스부르크(Augsburg)로 이주했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Nicolaus Copernicus)의 《코멘타리올루스》(Commentariolus)가 쓰여지는데, 이 책에서 그는 지동설(heliocentrism) 이론을 개괄적으로 설명했다.
4. 2. 오스만 제국
7월 14일, 헝가리 반란 지도자 죄르지 도자가 헝가리 트란실바니아(현재 루마니아의 티미쇼아라)의 템슈바르에서 전투에서 패배하고, 사망할 때까지 6일 동안 고문을 받았다. 헝가리 국왕 슈테판 8세 바토리는 도자를 불 위에 놓인 철 왕좌에 묶은 다음, 빨갛게 달군 금관을 씌우라고 명령했다.[8] 7월 20일에는 크리스티안 2세 국왕이 오슬로에서 노르웨이 국왕으로 즉위했는데, 이는 1818년 칼 14세 요한 국왕의 즉위까지 304년 동안 노르웨이에서 마지막 즉위식이었다.8월 7일, 잉글랜드의 헨리 8세 국왕이 토마스 울지가 협상한 캄브레 동맹 전쟁에서 프랑스와 독자적인 평화 조약을 체결했고, 8월 13일에는 헨리 8세 국왕의 누이인 메리 튜더가 프랑스 루이 12세 국왕과 대리 결혼을 했다. 8월 23일에는 찰디란 전투에서 셀림 1세가 샤 이스마일 1세의 페르시아 군대를 격파했다.[9][10] 9월 7일에는 술탄 셀림 1세가 지휘하는 오스만 군대가 사파비 페르시아의 수도 타브리즈에 도착하여 샤 이스마일의 항복을 받았다.
9월 8일, 벨라루스인의 지원을 받은 리투아니아 대공국과 폴란드 왕국의 군대(3만 명)가 모스크바 대공국의 러시아 군대(8만 명)를 오르샤 전투에서 패퇴시켰다.[9][10] 9월 15일에는 토마스 울지가 잉글랜드의 요크 대주교로 임명되었다.[11] 태평양을 발견한 발보아는 파나마 다리엔의 총독직을 페드라리아스 다빌라와 교체했다.
4. 3. 아시아
8월 23일 - 찰디라르 전투가 벌어졌다. 태평양을 발견한 발보아가 파나마 다리엔의 총독직을 페드라리아스 다빌라와 교체하였다.5. 탄생
- 1월 23일 - 명나라의 정치가 해서가 태어났다.
- 10월 28일 - 조선 12대 국왕 인종의 정비 인성왕후가 태어났다.
- 3월 8일 (영정 11년 2월 12일) - 니고 슈게히사(尼子晴久)가 태어났다.
- 5월 28일 (영정 11년 5월 5일) - 시마즈 타카히사(島津貴久)가 태어났다.
- 9월 4일 (영정 11년 8월 16일) - 쇼닌 공서(正親町公叙)가 태어났다.
- 10월 22일 (영정 11년 10월 5일) - 다케다 노부토요(武田信豊)가 태어났다.
- 11월 9일 (영정 11년 10월 23일) - 오가사와라 나가토키(小笠原長時)가 태어났다.
- 하이루이(海瑞)가 태어났다.
- 이판룡(李攀龍)이 태어났다.
- 안도 준키(安東舜季)가 태어났다.
- 우츠노미야 오키츠나(宇都宮興綱)가 태어났다.
- 카마다 마사토시(鎌田政年)가 태어났다.
- 키소 요시야스(木曾義康)가 태어났다.
- 쿠사노 나오키요(草野直清)가 태어났다.
- 케이쥬인(慶寿院)이 태어났다.
- 소라 치요요리(相良治頼)가 태어났다.
- 츠마키 히로타다(妻木広忠)가 태어났다.
- 호소카와 우지츠나(細川氏綱)가 태어났다.
- 호소카와 하루모토(細川晴元)가 태어났다.
- 아카오 키요츠나(赤尾清綱)가 태어났다.
5. 1. 동아시아
- 1월 23일 - 명나라의 정치가 해서가 태어났다.
- 10월 28일 - 조선 12대 국왕 인종의 정비 인성왕후가 태어났다.
- 3월 8일 (영정 11년 2월 12일) - 니고 슈게히사(尼子晴久)가 태어났다.
- 5월 28일 (영정 11년 5월 5일) - 시마즈 타카히사(島津貴久)가 태어났다.
- 9월 4일 (영정 11년 8월 16일) - 쇼닌 공서(正親町公叙)가 태어났다.
- 10월 22일 (영정 11년 10월 5일) - 다케다 노부토요(武田信豊)가 태어났다.
- 11월 9일 (영정 11년 10월 23일) - 오가사와라 나가토키(小笠原長時)가 태어났다.
- 하이루이(海瑞)가 태어났다.
- 이판룡(李攀龍)이 태어났다.
- 안도 준키(安東舜季)가 태어났다.
- 우츠노미야 오키츠나(宇都宮興綱)가 태어났다.
- 카마다 마사토시(鎌田政年)가 태어났다.
- 키소 요시야스(木曾義康)가 태어났다.
- 쿠사노 나오키요(草野直清)가 태어났다.
- 케이쥬인(慶寿院)이 태어났다.
- 소라 치요요리(相良治頼)가 태어났다.
- 츠마키 히로타다(妻木広忠)가 태어났다.
- 호소카와 우지츠나(細川氏綱)가 태어났다.
- 호소카와 하루모토(細川晴元)가 태어났다.
- 아카오 키요츠나(赤尾清綱)가 태어났다.
5. 2. 유럽
1514년 유럽에서는 다양한 분야의 인물들이 태어났다. 1월 23일에는 명나라의 정치가 해서가 태어났고, 12월 31일에는 벨기에의 의학자이자 근대 해부학의 창시자인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가 태어났다.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는 인체 해부를 통해 의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2월 16일에는 오스트리아의 수학자, 천문학자인 게오르크 레티쿠스가 태어났다. 3월 8일에는 일본의 센고쿠 다이묘인 니고 슈게히사가, 5월 28일에는 시마즈 타카히사가 태어났다.
4월 2일에는 이탈리아의 콘도티에레이자 우르비노 공국의 공작인 귀도발도 2세 델라 로베레가 태어났다. 10월 28일에는 조선 12대 국왕 인종의 정비 인성왕후가 태어났다.
6. 사망
- 1월 9일 - 브르타뉴의 앙느(Anne de Bretagne), 브르타뉴 공작령 여공작 (* 1477년)
- 2월 28일 (영정 11년 2월 4일) - 이마데가와 공흥(今出川公興), 센고쿠 시대의 공경 (* 1446년)
- 3월 11일 - 도나토 브라만테(Donato Bramante), 이탈리아의 건축가 (* 1444년경)

- 3월 30일 (영정 11년 3월 5일) - 가모우 사다히데(蒲生貞秀), 센고쿠 시대의 무장, 가인 (* 1444년?)
- 4월 21일 (영정 11년 3월 27일) - 이치조 후유요시(一条冬良), 센고쿠 시대의 공경, 관백 (* 1464년)
- 5월 3일 - 브란덴부르크의 안나(Anna von Brandenburg (1487-1514)), 덴마크의 프리드리히 1세의 첫 번째 왕비 (* 1487년)
- 5월 15일 (영정 11년 4월 21일) - 오다 나리하루(小田成治), 센고쿠 시대의 센고쿠 다이묘 (* 1449년)
- 5월 28일 (영정 11년 5월 5일) - 다테 나가무네(伊達尚宗), 센고쿠 시대의 센고쿠 다이묘, 다테 씨(伊達氏)의 13대 당주 (* 1453년)
- 6월 23일 -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공작 하인리히 1세(Heinrich I. (Braunschweig-Wolfenbüttel)),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 후작 (* 1463년)
- 6월 29일 (영정 11년 6월 7일) - 나스 스케나가(那須資永), 센고쿠 시대의 무장 (* 생년 미상)
- 7월 20일 - 도자 게르게이(Dózsa György), 헝가리의 용병 (* 1470년)
- 9월 22일 (영정 11년 8월 24일) - 나가오 카게하루(長尾景春), 센고쿠 시대의 무장 (* 1443년)
- 10월 3일 (영정 11년 9월 15일) - 료안 게이고(了庵桂悟), 센고쿠 시대의 임제종 승려 (* 1425년)
- 12월 12일 (영정 11년 11월 16일) - 니치요(日要), 센고쿠 시대의 니치렌종 승려 (* 1436년)
- 나가노 후지나오(長野藤直), 센고쿠 시대의 센고쿠 다이묘, 나가노 고도 씨(長野工藤氏)의 12대 당주 (* 1450년)
- 1월 2일 – 윌리엄 스미스(William Smyth), 잉글랜드의 주교이자 정치가 (생년 1460년)
- 6월 25일 – 수스터 베르트켄(Suster Bertken), 네덜란드 은둔자 (생년 1426년)
- 10월 21일 – 츠바이브뤼켄 변경백 알렉산더(Alexander, Count Palatine of Zweibrücken)이자 펠덴츠 백작 (1489-1514) (생년 1462년)
- 10월 25일 – 윌리엄 엘핀스톤(William Elphinstone), 스코틀랜드의 주교이자 정치가 (생년 1431년)
- 11월 28일 – 하르트만 셰델(Hartmann Schedel), 독일 지도 제작자 (생년 1440년)
- 12월 – 콘월 공작 헨리(Henry, Duke of Cornwall), 잉글랜드의 헨리 8세(Henry VIII of England)의 셋째 아들 (사산아)
- 날짜 미상
- * 아그네스 핑거린(Agnes Fingerin), 독일 자선가이자 사업가
6. 1. 동아시아
1514년 동아시아 지역은 일본 센고쿠 시대의 혼란이 지속된 시기였다.6. 2. 유럽
1월 9일에는 프랑스의 샤를 8세와 프랑스의 루이 12세의 왕비였던 브르타뉴의 앙느가 사망했다.[14] 3월 11일에는 이탈리아 건축가 도나토 브라만테가 사망했다.[15] 5월 3일에는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작 부인이자 덴마크의 프리드리히 1세의 첫 번째 왕비였던 브란덴부르크의 안나가 사망했다. 6월 23일에는 브룬스비크-뤼네부르크 공작 하인리히 4세가 사망했다. 7월 20일에는 트란실바니아 농민 반란 지도자인 죄르지 도우자가 사망했다.참조
[1]
서적
The Unesco Courier
https://books.google[...]
Unesco
[2]
DB
Badoer, Giacomo
https://www.treccani[...]
[3]
서적
The Court of France in the Sixteenth Century, 1514-1539
https://www.google.c[...]
Joseph Knight Company
[4]
서적
Dronning Elisabeth af Danmark
https://books.google[...]
G.E.C. Gad
1901
[5]
서적
Ecology, Economy and State Formation in Early Modern Germany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6-29
[6]
서적
The Chronology of British History
Century Ltd
[7]
서적
Ships of the World: an Historical Encyclopedia
Houghton Mifflin
[8]
백과사전
[9]
서적
Polish battles and campaigns in 13th–19th centuries
https://wceo.wp.mil.[...]
Wojskowe Centrum Edukacji Obywatelskiej im. płk. dypl. Mariana Porwita Stowarzyszenie Historyków Wojskowości
2016
[10]
서적
Polish Perspectives
https://books.google[...]
Pałac Kultury i Nauki
[11]
서적
Cassell's Chronology of World History
https://archive.org/[...]
Weidenfeld & Nicolson
[12]
서적
The Sisters of Henry VIII: The Tumultuous Lives of Margaret of Scotland and Mary of France
Da Capo Press
[13]
서적
Dizionario biografico degli italiani
Istituto dell'Enciclopedia Italiana
[14]
서적
Splendour, Gravity & Emotion: French Medieval Manuscripts in Dutch Collections
https://books.google[...]
Waanders
[15]
서적
Renaissance and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