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토 온 자파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다토 온 자파르는 조호르의 최고 장관의 아들로, 초기 말레이 민족주의 운동에 참여하여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말레이인의 복지를 위한 기사를 썼다. 그는 조호르의 이브라힘 술탄의 정책을 비판하여 추방당하기도 했으며, 이후 싱가포르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다가 조호르로 돌아와 식량 관리관으로 일했다. 말레이시아 연합에 반대하여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를 창설하고 초대 회장을 맡았으나, 인종 기반 정책에 환멸을 느껴 탈퇴 후 말라야 독립당을 창당했으나 지지를 얻지 못했다. 그는 1962년에 사망했으며, 말레이시아 각지에 그의 이름을 딴 시설과 지명이 남아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르케스계 말레이시아인 - 후세인 온
후세인 온은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말레이시아의 제3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국민 통합과 경제 발전에 힘썼다. - 튀르키예계 말레이시아인 - 후세인 온
후세인 온은 1976년부터 1981년까지 말레이시아의 제3대 총리를 역임했으며, 국민 통합과 경제 발전에 힘썼다. - 말레이시아의 정치인 - 안와르 이브라힘
안와르 이브라힘은 말레이시아의 정치인으로, 말레이시아 대학교에서 학위를 받고 ABIM 창립 및 UMNO 요직을 거쳐 부총리를 역임했으며, 이후 국민정의당을 창당하여 야당 대표를 지내고 2022년 총선 후 제10대 총리가 되었다. - 말레이시아의 정치인 - 압둘 타입 마흐무드
압둘 타이브 마흐무드는 1981년부터 2014년까지 33년간 사라왁 주수상을 역임하며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환경 파괴 비판도 받았고, 법조계 경력 후 정계에 입문하여 1981년 주수상에 취임, 경제 개발 정책과 환경 보존 정책을 추진했으며,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사라왁 주지사를 역임하며 논란과 재산 축적 의혹 속에 2024년 2월 21일 사망한 말레이시아 정치인이다.
| 다토 온 자파르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존칭 접두사 | 양 버르호마트 다토' 기사 |
| 본명 | 온 빈 자파르 |
| 출생일 | 1895년 2월 12일 |
| 출생지 | 조호르 조호르바루 부킷 감비르 |
| 사망일 | 1962년 1월 19일 |
| 사망지 | 조호르 조호르바루, 말라야 연방 (현재의 말레이시아) |
| 안장 | 마무디아 왕실 묘지 |
| 배우자 | 라피아 압둘라 자밀라 오스만 체 카 할리마 후세인 |
| 자녀 | 후세인 온 |
| 친척 | 온 하피즈 가지 (증손자) 히샴무딘 후세인 (손자) 압둘 라만 모하메드 야신 (처남) 웅쿠 압둘 아지즈 (조카) 사예드 후세인 알 아타스 (조카) 사예드 무하마드 나키브 알 아타스 (조카) |
| 부모 | 자파르 무하마드 로쿠이야 하님 |
| 작위 | DK II (조호르) SPCM DPMJ KBE |
| 공직 | |
| 조호르 주 수상 | order: 7대 |
| 임기 시작 | 1947년 6월 1일 |
| 임기 종료 | 1950년 5월 18일 |
| 이전 | 웅쿠 압둘 아지즈 압둘 마지드 |
| 이후 | 사예드 압둘 카디르 모하메드 |
| 통일말레이국민조직 총재 | order: 초대 |
| 임기 시작 | 1946년 5월 11일 |
| 임기 종료 | 1951년 8월 25일 |
| 이전 | 직책 신설 |
| 이후 | 툰쿠 압둘 라만 |
| 말레이시아 의회 의원, 쿠알라 트렝가누 슬라탄 | order: 초대 |
| 임기 시작 | 1959년 9월 11일 |
| 임기 종료 | 1962년 1월 19일 |
| 이전 | 선거구 신설 |
| 이후 | 이스마일 카심 |
| 소속 정당 | |
| 소속 정당 | 말레이시아 통일말레이국민조직 (1946–1951) 말라야 독립당 (1951–1953) 국민당 (1954–1962) |
2. 초기 생애
온 자파르는 조호르 바루의 말레이 학교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1904년 서퍽의 올데버러 로지 스쿨에서 공부하기 위해 영국으로 건너갔으며, அங்கு서 스포츠에 뛰어난 재능을 보여 크리켓과 축구팀 주장을 맡았다.[3]
말라야로 돌아온 후 말레이 칼리지 쿠알라 강사르(MCKK)에서 2년간(1910년~1911년) 공부했다. 전기 작가 람라 아담에 따르면, 이는 영국 생활로 약해진 말레이어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었다.[3]
MCKK 졸업 후 조호르 정부 서기 사무실에서 견습 서기로 일하다 1년 후 정식 서기가 되었다. 여러 부서에서 근무하다 1917년 조호르 군사력에 중위로 입대, 2년 후 다시 공무원으로 복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가족 소유의 집 매각 문제로 조호르 궁과 갈등을 빚어 1920년 6월 해고되었으나, 1921년 토지 수입 보조 징수관으로 복직했다.[3]
2. 1. 가계 및 유년 시절
온 자파르의 아버지는 전 조호르의 최고 장관이었던 자파르 무하마드였다. 그의 어머니는 로카이야 하님(Roquaiya Hanim, 다른 표기로는 로가야 하님(Rogayah Hanim) 또는 루키예 하님(Rukiye Hanım), 1864–1904)으로, 오스만 제국의 코카서스 지역 출신이며, 체르케스 또는 조지아 출신이었다. 그녀는 오스만 궁정에서 조호르 술탄에게 첩으로 바쳐졌을 가능성이 높다.[1][2] 그의 어머니는 세 번 결혼했고, 마지막 결혼은 그의 아버지와 했다. 온 자파르의 가족은 조호르 궁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기 때문에, 조호르의 이브라힘 술탄은 그를 양아들처럼 대했다. 그는 조호르 바루의 말레이 학교에서 교육을 시작했다. 1904년, 그는 1910년까지 당시 조호르의 툰쿠 마코타와 함께 서퍽에 있는 사립 학교인 올데버러 로지 스쿨에 다니기 위해 영국으로 갔다. 그는 스포츠에 뛰어났으며 학교의 크리켓과 축구팀의 주장을 맡았다.[3]그는 말라야로 돌아와 말레이 칼리지 쿠알라 강사르(MCKK)에 입학하여 1910년부터 1911년까지 2년 동안 공부했다. 전기 작가 람라 아담에 따르면, 그가 MCKK에 입학한 주요 이유 중 하나는 영국에서 보낸 시간 이후 상당히 약해진 말레이어 실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3]
MCKK 졸업 후, 그는 조호르 정부 서기 사무실에서 견습 서기로 일했으며 1년 후 정식 서기가 되었다. 그는 이 직책에서 여러 부서에서 근무한 후 1917년 중위 계급으로 조호르 군사력에 입대했다. 2년 후, 그는 다시 공무원으로 복귀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그는 자신의 가족의 조상 대대로 내려온 집의 매각에 불만을 표출한 후 조호르 궁과 문제가 생겼다. 왕궁은 이 문제를 좋게 보지 않고 1920년 6월 그의 직무를 해고했다. 그는 1921년 토지 수입 보조 징수관으로 다시 공무원으로 복귀했다.[3]
2. 2. 교육
온 자파르는 조호르 바루의 말레이 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904년 영국으로 건너가 1910년까지 서퍽에 있는 사립 학교인 올데버러 로지 스쿨에서 공부했다. 그는 스포츠에 뛰어났으며 학교 크리켓팀과 축구팀 주장을 맡았다.[3]1910년 말라야로 돌아와 말레이 칼리지 쿠알라 강사르(MCKK)에 입학하여 1911년까지 공부했다. 전기 작가 람라 아담에 따르면, 그가 MCKK에 입학한 주된 이유는 영국에서 시간을 보내면서 약해진 말레이어 실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기 때문이다.[3]
3. 정치 경력
다토 온 자파르는 1920년대 조호르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말레이인의 권익 보호에 앞장섰다. 그는 술탄 이브라힘의 정책을 비판하는 기사를 써서 추방되기도 했지만, 이후에도 말레이인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정치 경력을 시작했다.[3]
말라야 연방 설립 이후, 말레이시아 중국인 협회(MCA)의 탄 칭록과의 관계는 소원해졌다. 술탄 이브라힘은 온이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 활동에 전념하면서 주 업무를 소홀히 한다고 판단하여 1950년 온에게 선택을 요구했고, 온은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를 선택하고 조호르의 멘테리 베사르 직을 사임했다.[9]
이후 온은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의 인종 기반 정책에 반대하며 모든 인종에게 당원 자격을 개방할 것을 주장했지만 받아들여지지 않자, 1951년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를 탈당하고 말라야 독립당(IMP)을 창당했다.[10] 그러나 말라야 독립당(IMP)은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했고, 온은 다시 Parti Negara를 창당하여 활동했지만, 툰쿠 압둘 라만의 국민 전선 연합에 밀려 정치적 영향력을 잃었다.[10]
3. 1. 초기 정치 활동과 언론인 생활
초기 말레이 민족주의는 1920년대 조호르에서 뿌리내렸고, 다토 온 자파르는 언론인이 되어 말레이인의 복지에 관한 기사를 썼다. 온의 기사 중 일부는 술탄 이브라힘의 정책을 비판했고, 이로 인해 술탄과의 개인적인 관계가 악화되었다. 1927년, 술탄 이브라힘은 온이 싱가포르에 본사를 둔 영어 타블로이드지인 ''선데이 미러(Sunday Mirror)''에 조호르 군대 요원의 열악한 대우와 오랑 아슬리의 복지에 대한 비판 기사를 게재한 후 그를 조호르에서 추방했다.[3] 그는 싱가포르로 망명하여 1930년 말레이 신문인 ''와르타 말라야(Warta Malaya)''의 편집자가 되었다. 그 후 6년 동안 ''렘바가 말라야(Lembaga Malaya)'', ''와르타 아하드(Warta Ahad)'' 및 ''렘바가(Lembaga)''를 포함한 4개의 다른 신문을 편집했다.[3] 온은 말레이인의 불만을 계속 다룬 후 매우 유명해졌고, 술탄 이브라힘은 1936년 온에게 조호르로 돌아오도록 요청했다.[3]1941년, 말라야 일본 점령 이후, 온은 행정 시스템에 징집되어 조호르에서 식량 관리관으로 근무했다.
3. 2.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 창설
1946년 5월 1일, 온 자파르는 동료 정치인들과 함께 말레이시아 연합에 반대하는 말레이인들을 결집시키기 위해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를 창설했다.[3] 말레이시아 연합은 말레이인의 특권과 말레이 통치자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4] 온은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의 초대 회장직을 맡았다.[3]말라얀 연합 제안은 영국이 말레이 통치자들의 영적, 도덕적 권위와 관련된 분야를 제외하고 말레이 주에 대한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갖도록 규정했는데, 이는 말레이인들에게 큰 반발을 샀다.[4] 특히, 술탄 이브라힘이 해롤드 맥마이클과 조약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 것은 조호르 주 헌법을 위반한 것이라는 비판이 거셌다.[5] 1946년 2월 1일 술탄 아부 바카르 주 모스크에서 열린 집회에서 시위대는 술탄 이브라힘의 퇴위를 요구하며, 그가 말레이 민족에 대한 반역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5]
이러한 소식은 런던에 있던 술탄 이브라힘에게 전해졌고, 술탄은 제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지만, 온은 말라얀 연합에 반대하는 더 많은 지지를 얻기 위해 다른 말레이 주에서 집회를 계속 조직했다.[6] 결국 5월에 통일 말레이 국민 조직 (UMNO)을 결성하기에 이르렀다.[6]
술탄 이브라힘은 온과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 지도자들을 달래기 위해 개인적으로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에 5000USD를 기부했고, 온은 1946년에 조호르의 멘테리 베사르(Menteri Besar)로 임명되었다.[7]
3. 3. 말라야 연합 반대 운동
1941년 말라야 일본 점령 이후, 온은 조호르에서 식량 관리관으로 근무했다. 그는 동료인 하지 안와르 빈 압둘 말릭, 하지 시드 알위 빈 시드 셰이크 알-하디, 모하메드 노아 오마르와 함께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를 창설하여 말레이시아 연합에 대항하여 말레이인을 결집시키려 했다.[3] 말레이시아 연합은 말레이인의 특권과 말레이 통치자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되었다.[3] 온은 1946년 5월 1일 UMNO의 회장직을 맡았다.[3]말라얀 연합 제안은 영국이 말레이 통치자들의 영적, 도덕적 권위와 관련된 분야를 제외하고 말레이 주에 대한 완전한 행정 권한을 갖도록 규정했는데, 말레이인들은 이를 매우 존중했다.[4] 말레이인과 중국인 사이의 공동체적 긴장이 높았고, 비말레이인에게 시민권을 부여하는 전망은 말레이인들에게 용납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다.[4]
특히, 조호르의 정치인들은 술탄 이브라힘이 해롤드 맥마이클과 조약을 체결하는 데 동의한 것에 대해 극도로 불쾌해했으며, 술탄이 주에 대한 정당한 통제를 가정하는 어떤 외국 세력도 금지하는 조호르 주 헌법의 조건을 위반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5] 1946년 2월 이전에, 아왕 빈 하산이 이끄는 7명의 정치 반대자들이 술탄의 조약 서명 결정에 항의하기 위해 집회를 조직했고, 당시 바투 파핫의 구청장으로 재직 중이던 온 자파르가 집회에 초청되었다.[5]
집회는 1946년 2월 1일 술탄 아부 바카르 주 모스크에서 열렸으며, 시위자들은 민족주의 구호를 외치고 술탄 이브라힘의 퇴위를 요구했으며, 조약 서명으로 말레이 민족에 대한 반역을 저질렀다고 비난했다.[5] 집회 소식은 2월 22일 당시 런던의 그로스베너 하우스 호텔에 머물고 있던 술탄 이브라힘에게 전해졌다. 술탄 이브라힘은 식민 사무소에 접근하여 제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지만, 이는 정치 반대자들을 달래지 못했고 온은 말라얀 연합에 반대하는 그의 외침에 대한 추가적인 지원을 모으기 위해 다른 말레이 주에서 더 많은 집회를 계속 조직했으며, 5월에 통일 말레이 국민 조직(UMNO)을 결성했다.[6]
온 자신을 포함한 말레이인과 UMNO 지도자들을 달래기 위해, 술탄 이브라힘은 개인적으로 UMNO에 5000USD의 거액을 기부했고 온은 1946년에 조호르의 멘테리 베사르로 임명되었다.[7]
3. 4. 조호르 주 최고 장관 재임
온 자파르는 1920년대부터 조호르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하며 말레이인의 복지에 관한 기사를 썼다. 그의 기사 중 일부는 술탄 이브라힘의 정책을 비판하여 술탄과의 관계가 악화되기도 했다.[3] 1927년, 술탄 이브라힘은 온이 조호르 군대 요원의 열악한 대우와 오랑 아슬리의 복지에 대한 비판 기사를 ''선데이 미러(Sunday Mirror)''에 게재하자 그를 조호르에서 추방했다.[3] 그는 싱가포르로 망명하여 ''와르타 말라야(Warta Malaya)'' 등 여러 신문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말레이인의 불만을 대변하는 기사를 썼고, 1936년 술탄 이브라힘의 요청으로 조호르로 돌아왔다.[3]1941년 말라야 일본 점령 이후, 온은 조호르에서 식량 관리관으로 근무했다.
1946년, 말라얀 연합에 반대하는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가 창설되자 온은 회장직을 맡았다.[4] 말라얀 연합은 말레이인의 특권과 말레이 통치자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이다.[4] 특히 조호르의 정치인들은 술탄 이브라힘이 해롤드 맥마이클과 조약을 체결한 것에 대해 조호르 주 헌법을 위반했다며 반발했다.[5] 1946년 2월 1일 술탄 아부 바카르 주 모스크에서 열린 집회에서 시위대는 술탄 이브라힘의 퇴위를 요구하며 그를 말레이 민족에 대한 반역자로 비난했다.[5]
술탄 이브라힘은 말라얀 연합 제안에 대한 지지를 철회했지만, 온은 말라얀 연합에 반대하는 더 많은 지지를 얻기 위해 다른 말레이 주에서 집회를 계속 조직했다.[6]
술탄 이브라힘은 온을 포함한 말레이인과 UMNO 지도자들을 달래기 위해 UMNO에 5000USD를 기부하고, 1946년에 온을 조호르의 멘테리 베사르(Menteri Besar, 주 최고 장관)로 임명했다.[7]
그러나 말라야 연방 설립 이후, 말레이시아 중국인 협회(MCA)를 이끌던 탄 칭록과의 관계는 소원해졌다.[8] 술탄 이브라힘은 온이 UMNO 활동에 전념하면서 주 업무를 소홀히 한다고 판단하여 1950년 초 온에게 UMNO와 주 업무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요청했고, 온은 UMNO를 선택하여 멘테리 베사르 직을 사임했다.[9]
3. 5. UMNO 탈퇴와 이후 정치 활동
온은 말레이 국민 통일 기구(UMNO)의 인종 기반 공동체주의 정책에 점점 더 환멸과 혐오감을 느껴, 모든 인종의 말레이시아인에게 당원 자격을 개방하고 UMNO를 말레이시아 국민 기구로 개명할 것을 요구했다. 그의 권고가 받아들여지지 않자 그는 1951년 8월 26일 당을 탈퇴하고 말라야 독립당(IMP)을 창당했다.[10] 그러나 IMP는 말레이시아인들로부터 충분한 지지를 받지 못했고, 결국 온은 말레이인에게 호소하기 위해 비말레이인에 대한 회원 자격 제한을 둔 Parti Negara를 창당하기 위해 탈퇴했다. 그는 1959년 선거에서 자신의 새 정당으로 쿠알라 테렝가누 셀라탄 선거구에서 승리했다.[10]어느 정당도 툰쿠 압둘 라만의 새로운 국민 전선 연합에 대항하여 대중적인 지지를 얻지 못했고, 그는 결국 말레이시아 정치 생활에서 잊혀졌다.
4. 사망
다토 온은 1962년 1월 19일, 66세의 나이로 조호르바루의 종합 병원 장교 병동에서 사망했다.[11] 그는 조호르바루에 있는 마무디아 왕립 영묘에서 아버지 자파르 무하마드의 묘 옆에 묻혔다.
5. 유산 및 평가
다토 온 자파르는 말레이시아에서 그의 이름을 딴 여러 장소가 있을 정도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5. 1. 업적
다토 온 자파르는 말레이시아에서 여러 곳에 그의 이름이 붙여질 정도로 존경받는 인물이다. 그의 업적은 다음과 같다.| 명칭 | 설명 |
|---|---|
| 반다르 다토 온 | 조호르 바루에 있는 교외 지역으로, 조호르 랜드 버하드가 개발했다. |
| 불라탄 다토 온 | 말레이시아 국립은행 본부 옆에 있는 작은 로터리이다. |
| 잘란 다토 온 | 쿠알라룸푸르의 거리로, 이전에는 잘란 브록만 또는 브록만 로드라고 불렸다.[12] |
| 메나라 다토 온 |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UMNO 본부이다. |
| 콜레지 다토 온 | 셀랑고르 방이에 있는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의 기숙사이다. |
| 콜레지 다토 온 자파르 | 조호르 스쿠다이에 있는 말레이시아 기술 대학교의 기숙사이다. |
| 콜레지 다토 온 | 클란탄 마창에 있는 마라 기술 대학교의 기숙사이다. |
| SK 다토 온 자파르 | 수방 자야의 스콜라 와와산 내 구성 학교 중 하나이다. |
6. 수상 내역
다토 온 자파르는 말레이시아와 외국에서 여러 훈장을 받았다. 주요 훈장 및 수여 내역은 다음과 같다.
- 1941년 조호르 왕관 훈장 기사단장(DPMJ)으로 임명되어 '다토' 작위를 받았다.[13]
- 1947년 조호르 왕실 가문 훈장 2등급(DK II)을 받았다.[14][15]
- 2015년 쿠라 시 만자 키니 훈장 기사단 대사령관(SPCM)으로 임명되어 '다토 세리' 작위를 받았다.[16]
- 1953년 명예 대영 제국 훈장 기사단장(KBE)을 받아 '경' 칭호를 얻었다.[17]
6. 1. 말레이시아 훈장
| 훈장 | 내용 |
|---|---|
| 기사단장 (DPMJ) – 다토 (1941년)[13] | |
| 2등급 (DK II) (1947년)[14][15] | |
| 기사단 대사령관 (SPCM) – 다토 세리 (2015년)[16] |
6. 2. 외국 훈장

7. 대중문화
2007년 영화 ''1957: 말라야의 마음''에서 자에프룰 노딘이 연기했으며, 슈하이미 바바가 감독했다.[1]
참조
[1]
논문
The Myth and Reality of Rukiye Hanim in the Context of Turkish Malay Relations (1864–1904)
2015-06
[2]
웹사이트
Taking root, branching out
http://www.thestar.c[...]
2007-04-01
[3]
웹사이트
Aristocrat who spoke his mind
http://thestar.com.m[...]
2007-06-18
[4]
서적
Forgotten wars: Freedom and Revolution in Southeast Asia
[5]
서적
Forgotten wars: Freedom and Revolution in Southeast Asia
[6]
서적
Forgotten wars: Freedom and Revolution in Southeast Asia
[7]
서적
Forgotten wars: Freedom and Revolution in Southeast Asia
[8]
서적
Forgotten wars: Freedom and Revolution in Southeast Asia
[9]
서적
One Man's Will: A Portrait of Dato' Sir Onn bin Ja'afar
[10]
웹사이트
Splits in Umno and Opposition unity
https://www.malaysia[...]
2007-08-17
[11]
서적
Reflections of pre-independence Malaya
https://www.worldcat[...]
Pelanduk Publications
[12]
웹인용
LETTER {{!}} Putrajaya must honour Onn Jaafar
https://www.malaysia[...]
2021-04-16
[13]
서적
Reflections of pre-independence Malaya
https://www.worldcat[...]
Pelanduk Publications
[14]
뉴스
STATE HONOUR FOR LADY IBRAHIM
https://eresources.n[...]
1947-09-17
[15]
서적
Pengemudi Bahtera Merdeka Johor
https://www.worldcat[...]
Yayasan Warisan Johor
[16]
웹사이트
Perak honours six with posthumous awards
https://www.thestar.[...]
2015-11-28
[17]
간행물
1953-05-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