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말라야 연방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말라야 연방은 1948년 영국이 말라야 연합을 해체하고 신설한 영국의 왕실령이었다. 말레이인들의 반발과 불안정한 국정 운영 등 어려움 속에서 1957년 영국 연방의 독립 회원국이 되어 독립을 쟁취했다. 이후 싱가포르, 사라왁, 사바와 함께 새로운 연합을 결성하여 말라야 연방은 종식되었고, 2년 후 싱가포르가 탈퇴하면서 현재의 말레이시아로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말레이시아의 옛 나라 - 믈라유 왕국
    믈라유 왕국은 수마트라에 존재했던 고대 왕국으로, 다양한 어원에서 기원한 '멜라유' 또는 '말레이'라는 명칭으로 불렸으며, 스리비자야의 중심지로서 전성기를 누렸으나 마자파히트 왕국에 정복된 후 마지막 왕자가 말라카 술탄국을 건국했다.
  • 말레이시아의 옛 나라 - 말라야 연합
    말라야 연합은 영국이 말레이 반도 통치를 위해 말레이 연방, 비연방 말레이 주, 해협 식민지를 통합하여 1946년에 출범했으나, 술탄 권한 축소와 시민권 문제로 반발을 사 1948년 말라야 연방으로 대체되었다.
  • 영국에 관한 - 브렉시트
    브렉시트는 영국의 유럽 연합 탈퇴를 의미하며, 2016년 국민투표로 결정되어 2020년 1월 31일 공식 탈퇴 후 영국 경제, 정치,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 영국에 관한 - 영국령 홍콩
    영국령 홍콩은 1841년부터 1997년까지 영국의 지배를 받았던 홍콩으로, 아편 전쟁을 거치며 홍콩섬과 주룽반도가 할양되고 신제 지역이 조차되어 영토가 확장되었으며, 일본 점령기를 제외하고 무역항이자 금융 중심지로 발전하다가 1997년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되어 특별행정구가 되었다.
  • 영국령 말라야 - 싱가포르 식민지
  • 영국령 말라야 - 말라야 대학교
    말라야 대학교는 1949년 해협식민지 말라야 연방 정부 의과대학과 래플스 칼리지가 통합되어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설립된 공립 종합대학교로, 말레이시아 국내 1위 및 동남아시아 최상위권 대학으로 평가받으며 세계 대학 랭킹에서 상위 300위 안에 꾸준히 이름을 올리고 있다.
말라야 연방 - [옛 나라]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말라야 연방
로마자 표기Persekutuan Tanah Melayu
현지 명칭ڤرسكوتوان تنه ملايو
지위영국 보호국 (1948–1957)
주권 국가 (1957–1963)
통칭말라야
존속 기간1948년 2월 1일 – 1963년 9월 16일
건국일1948년 2월 1일
독립1957년 8월 31일
해체1963년 9월 16일
이전 국가말라야 연합
말라카 직할 식민지
페낭 직할 식민지
후신 국가말레이시아
수도쿠알라룸푸르
최대 도시수도
공용어말레이어 (공식어)
영어
시간대말라야 표준시
UTC 오프셋+7:30
국기 및 국장
말라야 연방 국기
국기 (1950–1963)
말라야 연방 국장
국장 (1952–1963)
국가
국가 (1948–1957)하느님, 국왕/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국가 (1957–1963)나의 조국
정치
정치 체제영국 보호령으로서의 연방제 (1948–1957)
연방제 의회 선출군주제 입헌군주제 (1957–1963)
국가 원수조지 6세 (1948–1952)
엘리자베스 2세 (1952–1957)
아브둘 라만 (1957–1960)
히사무딘 (1960)
푸트라 (1960–1963)
정부 수반툰쿠 압둘 라만 (수석 장관, 1955–1957)
툰쿠 압둘 라만 (총리, 1957–1963)
입법부말라야 연방 연방 입법 평의회 (1948–1959)
말레이시아 의회 (1959 이후)
상원드완 느가라 (1959 이후)
하원드완 라꺗 (1959 이후)
영국 고등 판무관
고등 판무관에드워드 겐트 (1948)
헨리 거니 (1948–1951)
제럴드 템플러 (1952–1954)
도널드 맥길리브레이 (1954–1957)
경제
통화말라야 달러 (1948–1953)
말라야 및 영국령 보르네오 달러 (1953–1967)

2. 역사

말레이시아는 원래 영국의 식민지였다. 1946년 영국의 왕실령인 말라야 연합이 설립되었으나, 말레이인들의 반발로 1948년 해체되고 말라야 연방이 신설되었다.

말라야 연방은 1955년 첫 총선을 치렀고,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했다.[2][8] 투앙쿠 압둘 라만이 초대 국왕으로, 툰쿠 압둘 라흐만이 초대 총리로 취임했다. 그러나 불안정한 국정 운영, 국제 사회의 낮은 공인, 내부 인종 문제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툰쿠 압둘 라흐만 수상은 국가 확대를 제안했다. 영국의 왕실령으로 남아있던 싱가포르, 사라왁, 북보르네오가 이에 참여했으나, 브루나이는 참여하지 않았다.

1963년 9월 16일 싱가포르, 사라왁, 북보르네오와 함께 새로운 연합을 결성했고, 이로써 말라야 연방은 종식되었다. 새 연합은 2년 후 싱가포르가 탈퇴하면서 현재의 '말레이시아'로 존재하고 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전, 말라야 연방은 아시아 대륙에 있던 영국 최후의 식민지였다(섬 지역 제외).

2. 1. 말라야 연합의 해체와 연방 설립 (1946-1948)

1946년 영국은 말레이시아에 말라야 연합을 설립했으나, 이는 말레이인들의 강한 반발을 초래했다. 지나치게 관대한 이민 정책으로 말레이인들의 생활이 악화되었고, 이슬람의 상징인 술탄제가 폐지되었기 때문이다.[5] 결국 1948년 영국은 말라야 연합을 해체하고 말라야 연방을 신설했다.

말라야 연방은 영국의 왕실령이자 해협 식민지의 하나였지만, 같은 영국령 해협 식민지였던 싱가포르는 포함되지 않았다. 이는 자유 무역 등의 이유로 말라야 연합 시절부터 지속되었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11개 주는 말레이 연합이라는 단일 영국 관할 식민지를 형성했다. 그러나 말레이 민족주의자들의 반대로 연합은 해체되었고, 말레이 주 통치자들의 상징적 지위를 회복한 말레이 연방으로 대체되었다.

연방 내에서 말레이 주는 영국의 보호령이었고, 페낭과 말라카는 영국의 식민지로 남았다. 이전의 말레이 연합과 마찬가지로, 연방에는 싱가포르가 포함되지 않았다.

1946년 6월부터 12월까지 영국-말레이 플레노 회의에서 말레이 협정이 작성되었다. 회의 결과 100페이지 분량의 "청색 서적"이 만들어졌다.[6] 1948년 1월 21일, 킹 하우스에서 말레이 통치자들과 영국 정부 대표 에드워드 젠트 경이 이 협정에 서명했다.[7] 이 협정은 말레이 연합 창설 협정을 대체했고, 1948년 2월 1일 말레이 연방 수립의 기반이 되었다. 또한 말레이 통치자들의 지위도 회복되었다.

2. 2. 연방의 발전과 독립 (1948-1957)

말레이시아는 원래 영국의 식민지였으며, 1946년 영국의 왕실령인 말라야 연합이 설립되었다. 하지만 중국인 및 인도인 등 지나치게 관대한 이민정책으로 말레이인들의 생활이 악화되었으며, 말레이인과 이슬람의 상징이었던 술탄제의 폐지 등으로 반발을 초래하였다. 결국 1948년 영국은 말라야 연합을 해체하고, 대신에 말라야 연방을 신설하였다.[5]

말라야 연방은 영국의 왕실령이자 해협 식민지의 하나였는데, 같은 영국령이자 또다른 해협 식민지였던 싱가포르는 속하지 않았다. 이는 말라야 연합 시절부터였는데, 이유는 자유 무역 등이었다.

1946년부터 1948년까지 11개 주는 말레이 연합이라는 단일 영국 관할 식민지를 형성했다. 말레이 민족주의자들의 반대 때문에 연합은 해체되었고, 말레이 주 통치자들의 상징적인 지위를 회복한 말레이 연방으로 대체되었다.[5] 연방 내에서 말레이 주는 영국의 보호령이었던 반면, 페낭과 말라카는 영국의 식민지로 남았다. 그 이전의 말레이 연합과 마찬가지로 연방에는 전통적인 관계에도 불구하고 싱가포르는 포함되지 않았다.

말레이 협정은 1946년 6월부터 12월까지 영국-말레이 플레노 회의에서 작성되었다. 회의가 끝날 무렵, 플레노 회의는 100페이지 분량의 "청색 서적"을 만들었다.[6] 이 협정은 1948년 1월 21일 킹 하우스에서 말레이 통치자들과 영국 정부 대표인 에드워드 젠트 경에 의해 서명되었다.[7] 이 협정은 말레이 연합을 창설한 협정을 대체했고, 1948년 2월 1일 말레이 연방의 수립을 준비했다. 말레이 통치자들의 지위도 회복되었다.

1955년 첫 총선이 치러졌고, 2년 후인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연방은 영국으로부터 완전한 독립을 쟁취하게 된다.[2][8] 느그리슴빌란 주의 술탄 투앙쿠 압둘 라만이 초대 국왕으로, 툰쿠 압둘 라흐만이 초대 총리로 취임했다. 그러나 불안정한 국정 운영, 국제 사회의 낮은 공인, 내부적인 인종 문제 등 전후 안정되지 못하였고, 이에 압둘 라흐만 수상의 제창으로 국가 확대를 이루게 된다. 영국의 왕실령으로 남아있던 싱가포르, 사라왁, 사바가 이에 참여했으나, 정작 말라야 연방의 말레이 연합주들과 유사한 브루나이는 참여하지 않았다.

2. 3. 말레이시아로의 재편 (1963)

1963년 9월 16일, 말라야 연방은 싱가포르, 사라왁, 사바(북보르네오)와 함께 새로운 연합을 결성하여 '말레이시아'로 재편되었다.[9][10] 이로써 말라야 연방은 종식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전까지 말라야 연방은 아시아 대륙에 있던 영국의 마지막 식민지였다(섬 지역 제외).

새 연합은 2년 후인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가 탈퇴하면서 현재의 '말레이시아'로 이어지고 있다.[11]

말레이시아는 1963년 말라야 연방이 싱가포르, 사라왁, 영국령 북보르네오(현 사바)와 새로운 연방을 구성하면서 성립되었다. 하지만 말레이계 주민이 많은 가운데 시행된 정책에 중국계 주민들이 반발하여 말레이계 주민과의 충돌이 발생하고, 사상자를 내는 폭동으로까지 발전하였다. 이후 문화적 차이로 인해 화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1965년 8월 9일 싱가포르는 말레이시아 연방으로부터 추방되는 형식으로 분리 독립하였다.

3. 회원국

주/지역깃발
조호르--
크다--
클란탄--
말라카--[12]
느그리 슴빌란--
파항--
페낭--
페락--
프를리스--
슬랑오르--
트렝가누--


4. 정치 체제

말레이시아 연방의 정부는 행정권을 가진 영국 고등판무관(British High Commissioner)이 이끌었으며, 말레이시아 연방 행정평의회와 말레이시아 연방 입법평의회의 자문을 받았다.


  • 말레이시아 연방 행정평의회는 7명의 공무원과 7명의 민간인으로 구성되었다.
  • 말레이시아 연방 입법평의회는 고등판무관을 의장으로 하여, 14명의 공무원과 해협식민지, 사업 단체 및 모든 인종을 대표하는 50명의 민간인으로 구성되었다. 여기에 9개 주 의회의 주지사(Yang Di Pertua), 수상(Chief Minister) 2명과 해협식민지 대표 2명이 민간인 의원으로 참여했다.
  • 말레이시아 군주협의회(Malay Conference of Rulers)는 이민 문제에 대해 고등판무관에게 자문을 제공했다. 각 주의 영국 거주관(British Resident)은 수상(Chief Minister)으로 대체되었다.

5. 시민권

말레이시아 연방의 시민권 조건은 법 집행과 귀화 신청을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법률에 따라 다음과 같은 사람들에게는 자동으로 시민권이 부여되었다.

자동 시민권 부여 대상
각 주 술탄의 시민
페낭 또는 말라카에서 태어나 연방에서 15년 동안 계속 거주한 영국 국민
연방에서 태어나고 아버지가 연방에서 태어났거나 15년 동안 계속 거주한 영국 국민
말레이시아어에 능통하고 일상생활에서 말레이시아 전통을 따르는 연방에서 태어난 사람
부모가 연방에서 태어나 15년 동안 계속 거주한 연방에서 태어난 사람



귀화(신청을 통한)를 통해 다음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시민권을 취득할 수 있었다.

귀화 시민권 취득 조건
신청 전 12년 중 최소 8년 이상 말레이시아 연방에서 태어나 거주한 경우
신청 전 20년 중 최소 15년 이상 말레이시아 연방에 거주한 경우



두 경우 모두(귀화를 통한) 신청자는 품행이 단정해야 하며, 충성을 맹세하고 연방에 거주하는 이유를 명확히 밝혀야 하며, 말레이시아어 또는 영어에 능통해야 했다.

말라야 연방은 헌법을 통해 말레이시아인의 권리와 특별한 지위뿐만 아니라 각 주의 말레이시아 통치자의 권리, 권한 및 주권을 보장한다.[13]

6.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권한 분리

연방 협정(Perjanjian Persekutuan)은 연방 정부와 주 정부의 권한을 설정했다. 재정 문제는 각 주에서 처리해야 했다. 술탄은 종교 문제와 말레이시아 관습에 대한 전권을 부여받았다. 외교 정책과 국방은 계속해서 영국 정부가 관리했다. 연방 협정은 말라야 연방 헌법이 되었으며 1948년 2월 1일에 공식적으로 선포되었다.[6]

7. 입법 평의회

말레이 연방 입법 평의회는 1948년 쿠알라룸푸르(Kuala Lumpur) 투앙쿠 압둘 라흐만 홀에서 첫 회의를 열었다. 회의는 영국 고등판무관인 에드워드 젠트 경이 개회했다. 참석자 중에는 영국 식민지 담당 국무장관인 리스트웰 경도 포함되었다. 평의회 구성원은 다음과 같았다.


  • 영국 고등판무관 (의장)
  • 주무장관, 재무장관, 법무장관 (당연직(ex officio) 회원 3명)
  • 각 말레이 주의 주의회 의장 및 각 정착지 평의회에서 선출된 1명의 회원 (주 및 정착지 회원 11명)
  • 공무원 회원 11명
  • 임명된 "비공식" 회원 34명


비공식 회원은 말레이 연방 시민 또는 영국 신민이어야 했다.

1948년 평의회의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았다.

구분
말레이 대표 (모든 수상 포함)28명
중국계 대표14명
인도계 대표6명
유럽계 대표 (당연직 및 공무원 회원)14명



첫 회의에서 다토' 온 자파르는 말레이 연방 시민들은 연방 문제에 대한 외부 세력의 간섭을 원하지 않는다고 강조했고, 중국계 대표인 응 충 켕(Ong Chong Keng)은 중국인들은 말레이 연방에 충실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회의에서 구성된 소규모 위원회는 다음과 같다.


  • 재정 상임위원회
  • 선거위원회
  • 특권위원회


첫 번째 회의에서는 쿠알라룸푸르 시 법안, 권력 이양 법안, 대출 및 부채 법안이 통과되었다.[14]

8. 정당 등록 거부

1950년, 말레이아 연방 정부는 말레이 민족주의당(Parti Kebangsaan Melayu Malaya, PKMM)의 정당 등록을 거부했다.[15] PKMM는 앙카탄 펨무다 인사프(Angkatan Pemuda Insaf)와 앙카탄 와니타 세다르(Angkatan Wanita Sedar)라는 두 개의 조직을 가지고 있었다.[15] 처음에는 PKMM은 공산주의적 성향을 띠지 않았으나, 1946년 10월 모크타르우딘 라소(Mokhtaruddin Lasso)가 초대 의장으로 선출된 후 공산주의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15] 1947년에는 젊은 말레이인 연합(Kesatuan Melayu Muda, KMM)이 PKMM과 합병되었고, 부르하누딘 알-헬미(Burhanuddin al-Helmy)가 두 번째 PKMM 의장이 되었다.[15] 부르하누딘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아(British Malaya)의 합병인 말레이 라야(Melayu Raya) 건설을 목표로 PKMM을 이끌었다.[15] 1947년 12월, 이삭 하지 모하메드(Ishak Haji Mohamed)가 세 번째 PKMM 의장이 되면서 PKMM은 공산주의에서 민족주의로 전환했다.[15] PKMM은 통일 말레이 국민조직(United Malays National Organisation, UMNO)과 식민지화에 반대하며, 급진적인 말레이 정당들의 연합체인 푸삿 테나가 라야트(Pusat Tenaga Rakyat, PUTERA)를 설립했다.[15] 이후 1948년 말레이아 연방 설립을 위한 연방 협정에 철저히 반대했던 전말레이 공동행동평의회(All-Malaya Council of Joint Action, AMCJA)와 합병했다.[15] PKMM은 말레이아 연방에서 선출된 관리들을 "식민청(Colonial Office)"의 "꼭두각시"라고 비난했으며, "말레이아를 민주 정부로 준비하는 것"에는 근거가 없다고 주장했다.[15]

9. 사법 제도

말라야 연방의 사법 제도는 하급 법원, 고등 법원, 항소 법원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층 구조였다.[1] 역대 수석 대법관은 다음과 같다.[1]

재임 기간이름
1950년 ~ 1951년서 스태퍼드 포스터-서튼 경 (이후 나이지리아 수석 대법관, 1955년)
1951년 ~ 1956년서 찰스 매슈 경
1957년 ~ 1963년서 제임스 베버리지 톰슨 경


10. 인구 통계

말라야 연방 인구[16]
민족 집단1948년1951년
말레이계2,457,0142,631,154
중국계1,928,9652,243,971
인도계536,646566,371
기타64,80275,726
총계4,987,4275,517,222



1957년 말레이시아 연방의 인구는 6,278,758명이었다. 인종 구성은 말레이계가 49.8%, 중국계가 37.2%, 인도계가 11.1%, 기타가 2%였다.

인구
조호르주926,850명
케다주701,964명
켈란탄주505,522명
누그리스 슴비란주364,524명
파항주313,058명
페락주1,221,446명
플리리스주90,885명
셀랑고르주1,012,929명
트르응가누주278,269명
페낭572,100명
말라카291,211명


참조

[1] 웹사이트 Federation of Malaya is inaugurated - Singapore History http://eresources.nl[...] 2015-08-21
[2] 문서 Cabinet Memorandum by the Secretary of State for the Colonies 1956-02-21
[3] 웹사이트 Federation of Malaya Independence Act 1957 (c. 60) http://www.statutela[...] 2016-12
[4] 웹사이트 No.10760: Agreement relating to Malaysia http://untreaty.un.o[...] United Nations 2010-07-29
[5] 서적 Multinational Federation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5-08-21
[6]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Federation Of Malaya Announced http://hids.arkib.go[...] National Archives of Malaysia 2019-09-13
[7] 서적 Massacre in Malaya: Exposing Britain's My Lai https://books.google[...] History Press 2015-08-21
[8] 뉴스 1957: Malaya celebrates independence http://news.bbc.co.u[...] 2016-08-09
[9] 웹사이트 United Nations Treaty No. 8029, Manila Accord between Philippines, Federation of Malaya and Indonesia (31 July 1963) http://treaties.un.o[...] 2013-07-23
[10] 웹사이트 Exchange of notes constituting an agreement relating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ila Accord of 31 July 1963 http://treaties.un.o[...] 2013-07-23
[11] 문서 Independence of Singapore Agreement 1965 and Proclamation of Singapore
[12] 문서 Formation of the Malay States and Settlements of Penang and Malacca http://www.legislati[...]
[13] 웹사이트 Formation of The Federation of Malaya http://hids.arkib.go[...] National Archives of Malaysia 2019-09-13
[14] 웹사이트 Inaugural Conference of The Federation of Malaya Legislative Council http://hids.arkib.go[...] National Archives of Malaysia 2019-09-13
[15] 웹사이트 Rejection of the registration of the Malay Nationalist Party of Malaya http://www.arkib.gov[...] 2017-09
[16] 서적 Annual Report on the Federation of Malaya: 195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