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본문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동 보성선원에 있는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보물 제1801호) 안에서 발견된 조선 전기의 불경들입니다. 2013년 4월 29일에 보물 제1802호로 지정되었으며, 2021년 6월 29일 「문화재보호법시행령」 개정에 따라 지정 번호가 삭제되었습니다.
복장전적은 다음과 같은 4권의 불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 권5 (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諺解卷五): 1449년(세종 31)에 세종의 명으로 수양대군이 번역을 시작하여 1462년(세조 8)에 세조가 완성한 을해자본입니다. 전체 10권 중 권5만이 복장에서 수습되었습니다. 본문에는 한글로 토를 달고 방점을 찍었습니다.
- 금강반야바라밀경 (金剛般若波羅蜜經): 1440년(세종 22)에 경기도 가평군 화악산 영제암에서 판각된 목판본입니다. 말미에는 진언과 간기가 있습니다.
- 인천안목 (人天眼目): 1395년(태조 4)에 승려 무학이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회암사에서 간행한 판본입니다.
- 천태사교의집해 권하 (天台四敎儀集解卷下): 1464년(세조 10)에 간경도감에서 간행한 판본입니다.
이 복장전적들은 조선 태조, 세종, 세조 시기의 불경으로, 완결성 및 희귀성 측면에서 중요한 자료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 『대불정여래밀인수증료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 언해』는 1461년(세종 31)에 혜각존자 신미, 김수온 등 고승과 학자가 참여하여 번역된 것으로, 한글 연구에도 중요한 자료입니다.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은 1647년(인조 25)에 제작된 것으로, 복장 후령통, 조성발원문 등 조성 당시의 원형을 갖추고 있어 17세기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복장전적 |
국가 | 대한민국 |
유형 | 보물 |
지정 번호 | 1802 |
지정일 | 2013년 4월 29일 |
주소 |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로8안길 35 (송현동) |
시대 | 조선시대 |
소유자 | (재)선학원 보성선원 |
수량 | 4건 4점 |
문화재청 ID | 12,18020000,22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