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달서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달서구는 1988년 대구직할시의 구로 설치되었으며, 1938년까지 존재했던 달성군 달서면에서 명칭을 가져왔다. 대구의 신개발 중심 지역으로, 구마고속도로 등 여러 고속도로가 연결되어 교통의 요충지이며, 대구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이 통과한다. 23개의 행정동과 24개의 법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성서산업단지가 위치하여 대구 경제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두류공원, 대구수목원 등 관광 시설과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등 주요 시설이 위치해 있으며, 청송군, 광주광역시 북구, 미국 워싱턴군, 베트남 땀끼, 중국 칭다오시 쓰팡구, 옌청시, 둥타이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구 달서구 - 대구 상인동 가스 폭발 사고
    1995년 대구 상인동에서 롯데백화점 신축 공사 중 파손된 가스관에서 누출된 가스가 지하철 공사 현장으로 유입되어 발생한 가스 폭발 사고로, 100명 이상의 사망자와 200명 이상의 부상자가 발생하고 주변 건물과 차량이 파손되는 큰 피해를 야기하여 안전 불감증에 대한 비판과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불러일으켰다.
  • 대구 달서구 - 이월드
    이월드는 대구광역시에 있는 테마파크로, 여러 안전사고와 2019년 롤러코스터 사고로 안전 불감증 논란이 있었다.
  • 대구 달서구의 행정 구역 - 월배동
    월배동은 대구 달서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덕산과 청룡산 사이 달비골에서 유래되었으며 과거 월배면, 조암면으로 나뉘었다가 통합, 대구시 편입과 달성군 환원을 거쳐 달서구에 편입되어 주거 지구와 주요 기관이 위치해 있다.
  • 대구 달서구의 행정 구역 - 두류동
    두류동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법정동으로, 두류산에서 명칭이 유래되었으며 대구타워와 이월드가 위치해 있다.
  • 대구광역시의 구 - 수성구
    대구광역시 수성구는 1980년 동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구로, 2021년 기준 418,883명의 인구와 76.46km²의 면적을 가지며, 범어동과 황금동을 중심으로 경제가 발전하고 수성못 주변에 관광 및 문화 시설이 발달하였고, 23개의 행정동과 26개의 법정동, 대구도시철도 2, 3호선, 국립대구박물관, 대구미술관, 수성대학교 등이 위치하며 국내외 여러 도시와 자매 도시 관계를 맺고 있다.
  • 대구광역시의 구 - 서구 (대구광역시)
    대구 서구는 대구광역시 중서부에 위치하며 섬유, 염색, 기계공업 중심의 경제 지역이고 대구 도시철도 2, 3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충지이자 한국폴리텍6대학 본부대학이 위치한 곳이다.
달서구 - [지명]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한자 표기達西區
로마자 표기Dalseo-gu
면적62.34 km2
인구 (2024년 9월 기준)523,712명
인구 밀도8895명/km2
방언경상도
웹사이트달서구청
달서구 기
달서구 기
지리
대구 달서구 지도
대구 달서구 지도
두류공원과 83타워(대구타워)
두류공원과 83타워(대구타워)
행정
국가대한민국
지역영남
광역 자치 단체대구광역시
하위 행정 구역23개 동
시장이태훈(국민의힘)
국회의원갑: 유영하(국민의힘)
을: 윤재옥(국민의힘)
병: 권영진(국민의힘)
상징
나무은행나무
장미
비둘기

2. 명칭 유래

'달서'라는 명칭은 1938년까지 존재한 경상북도 달성군 달서면에서 가져왔다.[5] 그러나 달서면은 당시 성서면, 월배면과 함께 존재하였고, 현재의 서구에 더 일치되어서 명칭에 대한 논란을 부르고 있다.

3. 역사


  • 1988년 1월 1일 남구와 서구의 일부 지역을 합쳐 대구직할시 달서구가 설치되었다.[6]
  • 1988년 5월 1일 달서구는 자치구로 승격되었다.[7]
  • 1989년 6월 1일 성서2동이 성서2동과 성서4동으로 분리되었다. (15행정동)
  • 1990년 6월 1일 월배2동이 월배2동과 월배4동으로, 송현2동이 송현2동과 본동으로 분리되었다. (17행정동)
  • 1992년 9월 1일 구청이 월성동 281번지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월배1동이 월배1동과 월배5동으로 분리되었다. (18행정동)
  • 1994년 7월 1일 월배4동이 월배4동과 월배6동으로 분리되었다. (19행정동)
  • 1995년 4월 20일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일부(2.58km2)가 성서공단 3차단지로 편입되면서 달서구 면적이 62.26km2로 확장되었다.
  • 1996년 1월 1일 성서3동이 성서3동과 신당동으로 분리되었다. 행정동 명칭을 법정동 명칭에 맞춰 월배1동은 월성1동, 월배2동은 상인2동, 월배3동은 진천동, 월배4동은 상인1동, 월배5동은 월성2동, 월배6동은 상인3동, 성서1동은 장기동, 성서2동은 감삼동, 성서3동은 이곡동, 성서4동은 죽전동으로 변경되었다.[8] (20행정동)
  • 1997년 3월 15일 상인2동이 상인2동과 도원동으로 분리되었다. (21행정동)
  • 2003년 3월 31일 장기동이 장기동, 용산1동, 용산2동으로, 이곡동이 이곡1동, 이곡2동으로 분리되었다.[9] (24행정동)
  • 2005년 4월 30일 법정동 파산동(巴山)이 호산동(虎山)으로 변경되었다.[10]
  • 2011년 5월 9일 성당1동과 성당2동이 성당동으로, 두류1동과 두류2동이 두류1·2동으로 통합되었다.[11] (22행정동)
  • 2021년 11월 29일 월성1동 일부와 진천동이 진천동, 유천동, 월성1동으로 분리되었다. (23행정동)

4. 지리

달서구는 동쪽으로 성당로를 경계로 남구 대명동, 큰장로를 경계로 중구 남산동과 접하고, 서쪽으로는 달성군 다사읍, 고령군 다산면과 접한다. 남쪽으로는 달성군 가창면·화원읍, 북쪽으로는 달구벌대로를 경계로 서구 내당동과 접경하고 있다. 대구 신개발 중심지역으로 구마고속도로가 통과하고,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88고속도로가 연결되는 교통의 요충지이다. 향후 낙동강변 도로가 건설될 예정이며, 지하철 1호선의 기점과 지하철 2호선이 통과하는 지역으로 무한한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1988년 월성지구를 시작으로 상인·성서·대곡·용산·장기지구 등 대단위 아파트단지가 조성되면서 인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국토 동남권 최대 규모의 첨단산업단지인 성서산업단지가 위치하여 대구 경제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5. 행정 구역

달서구는 1988년 1월 1일 남구와 서구 일부 지역을 통합하여 설치되었다.[12] 1995년 3월 1일에는 달성군 화원읍 구라리 일부가 편입되었다.

달서구 행정 구역


달서구 행정 구역도

5. 1. 행정동 및 법정동 목록

2022년 3월을 기준으로 달서구의 주민등록 인구는 다음과 같다.[12]

행정동한자면적 (km2)세대인구 (명)
성당동聖堂洞1.9910,62523,046
두류1·2동頭流1·2洞1.338,30814,398
두류3동頭流3洞1.114,1038,185
본리동本里洞1.098,19520,430
감삼동甘三洞1.1811,28826,130
죽전동竹田洞0.746,89713,519
장기동長基洞3.117,19817,058
용산1동龍山1洞1.2212,47230,667
용산2동龍山2洞1.3311,45528,601
이곡1동梨谷1洞1.829,32622,921
이곡2동梨谷2洞2.047,12916,342
신당동新塘洞9.3817,85031,990
월성1동月城1洞11,89037,084
월성2동月城2洞6.308,45515,787
진천동辰泉洞20,92751,239
유천동流川洞10,80633,452
상인1동上仁1洞1.3913,12435,943
상인2동上仁2洞0.909,37419,641
상인3동上仁3洞3.686,21111,079
도원동桃源洞10.6413,89135,220
송현1동松峴1洞2.4610,34019,348
송현2동松峴2洞0.979,40318,011
본동本洞1.106,10712,237
달서구達西區62.34235,374542,328



달서구의 행정동은 23개, 법정동은 24개이다.


6. 인구

연도총인구
1990년359,556명
1995년477,620명
2000년586,183명
2005년593,877명
2010년605,752명
2013년610,358명

[13]

7. 관광

두류공원 성당못


달서구에는 문화예술회관, 83타워, 이월드, 성당못, 선사유적공원 등이 있으며, 두류공원 내 야외공연장이 있어 위락·휴양·문화시설을 고루 갖춘 대구의 신중심 도시로 변모하고 있다.

8. 문화재

달서구에는 다음과 같은 문화재가 있다.

이름지정 번호
대구 진천동 입석사적 제411호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1~12보물 제1051-2호
금강경삼가해 권2보물 제772-4호
동인지문사육-권7~9보물 제710-6호
예념미타도량참법보물 제1320호
무예제보번역속집보물 제1321호
용비어천가 권8, 9, 10보물 제1463호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군공책보물 제1334-1호
화원 우배선 의병진 관련자료-교지(교첩)보물 제1334-1호
대장일람집보물 제1335호
번역명의집보물 제1369호
사마방목보물 제1464호
도은선생집보물 제1465호
진일유고보물 제1466호
신한첩 - 신한첩 곤보물 제1629-2호


9. 교통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도시철도 2호선이 달서구를 지나간다. 성당못역은 남구에 있지만 달서구와의 경계에 있고, 내당역은 서구에 있지만 달서구와의 경계에 있다.[1]

9. 1. 도시철도

계명대역 1번 출구


달서구 중 월배 일대에는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곡역, 진천역, 월배역, 상인역, 월촌역, 송현역)이 지나가고, 성서 및 두류동 일대에는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강창역,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이곡역, 용산역, 죽전역,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 반고개역)이 지나간다.

  • ※ 성당못역은 남구에 있지만, 달서구와의 경계에 있다.
  • 내당역은 서구에 있지만, 달서구와의 경계에 있다.

9. 2. 시내버스

대구광역시 일원 및 경상북도 경산시, 영천시, 구미시, 칠곡군, 고령군 각 일부 지역을 운행한다. 대구광역시에서 운행되고 있는 시내버스는 준공영제 및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추가로 경산시의 시내버스와도 상호 환승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현재 급행(좌석버스) 8개 노선, 순환(이하 도시형버스) 4개 노선, 간선 67개 노선, 지선 32개 노선이 있다.[1]

10. 교육 기관



계명대학교 정문

11. 주요 시설

11. 1. 행정기관 및 공공기관

11. 2. 도서관


  • 대구광역시립두류도서관: 두류공원 이월드 건너편에 있는 시립도서관으로 1981년에 문을 열었으며, 20만 권 이상의 책과 1만 1천 점 이상의 비도서(E-Book, DVD 등)를 가지고 있다.
  • 구립 도원도서관: 도원동에 있는 구립도서관으로 11만 권 이상의 책과 2천 점 이상의 비도서(E-Book, DVD) 자료를 가지고 있다.
  • 구립 달서어린이도서관: 상인1동에 있는 구립도서관으로 유아열람실, 이야기방, 초등학생열람실 등을 갖춘 대구 지역 최초의 어린이 전문 도서관이다.
  • 구립 성서도서관: 이곡1동에 있는 구립도서관으로 2008년 12월에 문을 열었다.
  • 구립 본리도서관: 본리동에 있는 구립도서관으로 2011년 1월에 문을 열었다.
  • 구립 달서가족문화도서관: 대천동에 있는 구립도서관으로 2018년 4월에 문을 열었다.
  • 구립 달서영어도서관: 송현동에 있는 구립도서관으로 2019년 8월에 문을 열었다.
  • 새벗도서관: 상인2동에 있는 사립도서관으로 3만 8천여 권의 책과 1천여 점의 영상자료를 가지고 있다.
  • 달서다문화가족도서관: 신당동 성서종합사회복지관 안에 있는 결혼이민자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도서관으로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발행된 단행본 2천500여 권과 각 나라별 주간지, 월간지, 신문 등 정기간행물을 가지고 있다.
  • 대구점자도서관: 송현동에 있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 도서관이며, 2,800여 권의 책, 10,770점의 녹음테이프, 666점의 CD 도서 등을 가지고 있다.
  • 달서구 공립 작은도서관: 달서구 죽전동행정복지센터, 장기동행정복지센터, 용산1동행정복지센터, 이곡2동행정복지센터 및 달서구 웃는얼굴아트센터에서는 공립 작은 도서관을 운영하고 있다.

11. 3. 산업단지

12. 자매 도시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2
[3]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4] 웹인용 2021년 12월 주민등록 인구 https://jumin.mois.g[...]
[5] 문서 경상북도 달성군 수성면, 달서면, 성북면 3개 면 대구부 편입 1938-10-01
[6] 법률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12-31
[7] 법률 법률 제4004호 지방자치법 1988-04-06
[8] 조례 달서구 조례 제373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1996-01-06
[9] 조례 달서구 조례 제583호 2003-01-30
[10] 조례 달서구 조례 제648호 동의명칭과구역에관한조례 2005-04-30
[11] 조례 달서구 조례 제872호 행정운영동의 설치 및 동장정수 조례 2011-03-02
[12] 문서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안전부
[13] 문서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