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서관 (방송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도서관은 1978년생 대한민국의 방송인이자 유튜버이다. 2009년 다음 tv팟에서 게임 방송을 시작했으며, 이후 아프리카TV를 거쳐 현재는 유튜브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는 게임, 영화, 책 등을 바탕으로 콘텐츠를 제작하며, 시청자와의 소통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송 스타일로 '유교 방송'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2016년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강연, 저작권 문제, 아프리카TV 활동 중단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다양한 방송 출연 및 대외 활동을 펼치고 있다. 또한 2018년에는 《유튜브의 神》을 출간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치지직 스트리머 - 공혁준
공혁준은 WECG 국가대표 선발, 하스스톤 클랜 챔피언십 준우승, OGN 중계진 활동, 가짜사나이 출연, 머니게임 출연 등 다양한 활동을 해온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다. - 치지직 스트리머 - 이말년
이말년(본명 이병건)은 2009년 《이말년씨리즈》로 데뷔한 대한민국의 웹툰 작가이자 스트리머, 방송인으로, 웹툰 연재 외에도 '침착맨'이라는 닉네임으로 인터넷 방송을 진행하고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하며 활동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트위치 스트리머 - 학살 (프로게이머)
학살은 겐지 플레이로 이름을 알린 대한민국의 전직 오버워치 프로게이머로, RunAway 창립 멤버, 오버워치 에이펙스 시즌 4 MVP, 밴쿠버 타이탄스 2019 OWL 올해의 신인상 수상, 2019 오버워치 월드컵 국가대표 동메달 등의 경력을 가지고 있다. - 대한민국의 트위치 스트리머 - 잼미님
잼미님은 2019년 트위치에서 방송을 시작하여 게임과 소통을 주제로 활동하며 맥심 표지 모델로 활동했으나, 남성혐오 논란과 악성 댓글, 모친상 이후 우울증 등으로 방송을 중단하고 2022년 자살했다. - 게임 유튜버 - 은지원
은지원은 젝스키스 리더로 데뷔하여 솔로 가수와 예능인으로 활동하며 큰 인기를 얻고 젝스키스 재결합 후에도 다방면으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가수 겸 방송인이다. - 게임 유튜버 - 마이크크랙
마이크크랙은 마인크래프트 샌드박스 게임 콘텐츠를 제작하는 스페인 유튜버로, '#CoMPas' 팀 활동과 '마이크' 캐릭터 활용을 통해 인기를 얻어 스페인 최다 구독자 유튜버이자 포브스 선정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에 선정되었다.
대도서관 (방송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나동현 (羅棟鉉) |
출생일 | 1978년 10월 31일 |
출생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
직업 | 인터넷 방송인 |
소속 | 엉클대도, CJ ENM |
배우자 | 윰댕 (2015년 결혼, 2023년 이혼) |
활동 기간 | 2002년 ~ 현재 |
웹사이트 | 대도서관 유튜브 채널 |
경력 | |
경력 | 광주세계웹콘텐츠페스티벌 추진위 홍보대사 |
수상 | |
수상 내역 | 2013년 아프리카TV 방송대상 수상 2014년 아프리카TV BJ FESTIVAL 수상 2015년 아프리카TV BJ대상 수상 2016년 케이블TV 방송대상 수상 |
2. 방송 이전
대도서관은 1978년에 태어났다.[11] 어린 시절 대도서관은 좋은 음악을 많은 사람들에게 들려줄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이라고 느껴 라디오 PD를 꿈꿨다.[10] 고등학교 재학 중 아버지가 돌아가시면서 가세가 기울어 대학 진학을 포기했다.[10] 이후 2002년 세이클럽에서 음악 라디오 방송을 시작하며 방송에 대한 애정을 키웠다.[10] 군 제대 후 친구의 제안으로 교육 관련 IT 업체에 입사하여 컨텐츠 기획자로 일하며 영상 촬영 및 편집 기술을 익혔다.[10]
대도서관은 방송 콘텐츠로 어린 시절부터 즐겨 보았던 영화, 책, 드라마 등에서 영감을 얻는다고 한다.[13] 주로 유명 게임보다는 비교적 덜 알려진 게임이나 오픈 월드 게임을 다룬다.[14] 공략이 필요한 게임보다는 스토리텔링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오픈 월드 게임을 선호하는데, 구성과 요소가 탄탄하여 자신이 할 게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또한, 게임에 따라 콘셉트를 달리하여 스토리텔링을 진행하여 게임을 더 드라마틱하게 받아들이도록 돕는다.[8]
2009년, 고졸이라는 한계 때문에 자신을 브랜딩할 방법을 찾던 중, IT 업계 경험과 세이클럽 라디오 방송 경험을 바탕으로 평소 관심이 많았던 게임 방송을 다음 tv팟에서 시작하게 되었다. 이때 방송한 게임은 《시드 마이어의 문명 V》였다.[11][12]
3. 방송 특징
대도서관의 방송은 다음 두 가지 철칙을 따른다.
채팅창에 욕설이 공론화되면 채팅창 기능이 욕설에만 집중되기 때문에 이러한 철칙을 만들었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대도서관의 방송은 '유교 방송'이라고 불리기도 한다.[18]
다음 tv팟에서 아프리카TV로 플랫폼을 옮긴 후에는 채팅방 통제가 어려워져 관리 방식이 바뀌었다. 이전에는 매니저를 두지 않았는데, 이는 매니저와 시청자 간의 반목을 우려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튜브로 옮긴 후에는 매니저를 두었다. 하지만 친목 형성 분위기를 방지하기 위해 매니저는 자리에서 물러났고, 현재는 채팅에 직접 관여하지 않는 비밀 매니저(일명 암부)를 통해 채팅방을 관리하고 있다.
4. 사건・사고
대도서관은 여러 사건・사고에 연루된 적이 있다.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NDC) 강연 논란이 있었다. 비(非) 개발자로서 '게임 기획' 강연을 맡아 논란이 되었으나, 넥슨 측은 대도서관의 경험과 1인 미디어의 다양성을 고려한 초청이었다고 밝혔다. 대도서관은 강연 분야 선택에 오해가 있었다고 해명했다.
과거 마인크래프트 등 게임을 불법 다운로드하여 방송에 사용한 적이 있어 저작권 문제도 있었다. 이후 모든 방송에서 정품 게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방송에서도 정품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밝혔다. NDC 강연 이후 질의응답 시간에도 과거 불법 복제 게임 사용에 대해 질문을 받고 재차 사과했다.
2016년에는 아프리카TV로부터 상업방송 정책 위반으로 7일 방송 정지 조치를 받았다. 시노자키 아이 출연과 아케론 광고를 사전에 알리지 않았다는 이유였다. 대도서관은 아프리카TV가 과도한 호스팅비를 요구했으며, 사전 협의 후에도 정지를 철회하지 않았다고 주장하며 유튜브로의 이전을 선언했다. 아프리카TV는 금전적 요구는 사실무근이며, 인기 BJ의 경우 사전 협의가 필요하다고 반박했다. 이 사건으로 많은 유명 BJ들이 유튜브로 이동하는 계기가 되었다.
4. 1. NDC 행사 게임 기획 강연 논란
넥슨이 주최하는 개발자 컨퍼런스 '넥슨 개발자 컨퍼런스 16 (Nexon Developers Conference 2016, 이하 NDC 16)'의 참관자 모집이 시작되었다. NDC 강연 목록이 발표된 후 개발자,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비(非) 개발자가 '게임 기획'으로 강연에 나선다는 점에서 이 강연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이에 넥슨 측은 대도서관에게 직접 강연 요청을 했고 대도서관이 이를 수락하며 성사되었으며, NDC에는 매년 몇몇 초청인사의 강연이 있었고 대도서관 강연도 그런 맥락에서 추진되었다고 밝혔다.[15] 또한 "게임 업계 종사자뿐 아니라 학생, 유관 산업 전문가들이 모두 함께하는 NDC는 다채로운 주제의 강연을 통해 경험과 사례를 공유하는 장으로, 1인 미디어의 대표 창작자인 '대도서관'의 경험과 고민이 청중에게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판단, 발표자로 선발했다"며 "특히 1인 미디어는 여러 콘텐츠 산업이 유기적으로 접목된 사례로써, 올해 슬로건인 '다양성'과도 부합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16]
한편 대도서관은 "주최 측에서 처음 주신 강연정보 관련 엑셀 파일에 강연분야 체크가 필수였고, <종합>이나 <다양함> 등의 항목이 없길래 어쩔 수 없이 다 체크했는데, 항목들 중 <게임 기획>이 제일 위에 있어서 내 강연분야가 마치 게임기획인 양 보여서 오해를 부른 듯하다"고 밝혔다.[17]
4. 2. 저작권 문제
대도서관은 과거 마인크래프트 등 게임을 불법 다운로드하여 방송에 사용한 적이 있다. 이후 모든 방송에서 정품 게임을 사용하고 있으며, 방송에서도 정품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고 밝혔다.[18]4. 2. 1. 불법 다운로드 게임 사용 및 고소 논란
과거 불법 다운로드한 게임으로 방송을 진행하여 논란이 되었다. 마인크래프트 중계에 사용된 게임이 정품이 아니었고, 이 문제가 제기되자 감정적으로 대응하며 고소를 언급했다가 곧바로 사과했다.[18] 이후 정품 게임 사용을 약속했으며, 방송에서도 정품 사용을 권장하고 있다.[18]4. 2. 2. NDC 강연 이후 저작권 인식 관련 질문
NDC 강연이 끝나고 이어진 질의응답 시간에 과거에 불법 복제 게임으로 방송을 했던 사례를 들어 "저작권에 너무 무감각한 것은 아니냐"는 질문이 나왔다. 대도서관은 "4~5년 전 돈이 없던 시절 시청자들이 메일로 보내주던 (불법 복제) 게임들을 아무 생각 없이 했던 것이 정말 부끄럽다"며 "홍보 차원에서 눈감아주는 사례가 많긴 하지만, 게임 저작권은 엄연히 게임 개발사에 있다"고 거듭 사과했다.[19][20]4. 3. 아프리카TV 활동 중단 선언
2016년 10월 14일 대도서관의 개인 방송국이 아프리카TV로부터 7일 정지 조치를 받았다. 정지 이유는 '상업방송 정책 위반'으로, 대도서관은 아프리카TV측이 "시노자키 아이가 출연과 함께 아케론의 광고를 하는 것을 아프리카TV측에 미리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정지"하였다고 밝혔다.[21]또한 방송할 때에 아프리카TV가 매 광고 송출시마다 800만원 내지 1000만원에 달하는 호스팅비를 요구하고 있었고, 대도서관이 직접 말하기를 이 금액은 CJ측에서 매번 부담하였다고 했다. 이 호스팅비 납부가 매번 후불로 이루어졌는데 이번에는 호스팅비를 납부하겠다는 의사표시를 하였음에도 정지를 철회할 수 없다는 입장으로 일관하였고 방송 시청자들에게 상황을 알릴 시간조차 주지 않았다며 유감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또한 앞으로 아프리카TV에서는 방송을 진행하지 않으며 유튜브에서 라이브 방송을 할 것을 밝혔다.[21] 이 사건으로 아프리카TV에서 대도서관과 비슷한 입장을 갖고있었던 많은 유명 비제이들이 유튜브로 넘어오게 되었다.[21]
아프리카TV는 대도서관에게 금전적인 요구를 한 것은 사실무근이라면서 인기 BJ들의 경우 파워블로거처럼 사회적 파장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사전 협의를 요구했을 뿐이라고 주장했다.[21]
5. 대외 활동
6. 수상 경력
연도 | 상 이름 | 부문 | 결과 | 출처 |
---|---|---|---|---|
2013 | 아프리카TV 방송대상 | 최우수상 게임 부문 | 수상 | [22] |
최고의 방송상 | 수상 | |||
2014 | 아프리카TV BJ FESTIVAL | 콘텐츠 대상 | 수상 | [23] |
Star BJ 20 | 수상 | |||
2015 | 아프리카TV BJ대상 | The 20 | 수상 | [24] |
2016 | 케이블TV 방송대상 | 1인 크리에이터상 | 수상 | [25] |
2016 | 아프리카TV BJ대상 | The 20 게임부문 | 수상 | 불참 |
7. 방송 출연
연도 | 방송사 | 제목 | 역할 | 비고 |
---|---|---|---|---|
2014 | OGN | 《대배틀》 | MC | [26] |
2014 | tvN | 《아이에게 권력을?!》 | 나레이션 | [27] |
2016 | EBS1 | 《대도서관 JOB쇼》 | MC | [28] |
2018 | JTBC | 《랜선라이프》 | ||
2018 | SBS | 《백년손님》 | ||
2018 | KBS | 《대국민 토크쇼 안녕하세요》 | ||
2018 | KBS2 | 《1 대 100》 | ||
2018 | KBS1 | 《아침마당》 | ||
2018 | KBS Cool FM | 《박명수의 라디오쇼》 | ||
2018 | O tvN | 《어쩌다 어른》 | 강사 | |
2018 | CBS |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 강사 | |
2018 | MBC |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 조각을 내주겠다 스테인드글라스 | 참가자 |
2019 | tvN | 《왕이 된 남자》 | 야바위꾼 역 | |
2020 | MBN | 《보이스 트롯》 | 참가자 |
8. 영화
9. 저서
《YouTube영어의 神 (1인 크리에이터들의 롤모델 대도서관이 들려주는 억대 연봉 유튜버 이야기)》. 비즈니스북스. 2018년 5월 10일. ISBN 979-11-6254-016-9.
참조
[1]
뉴스
[유튜브 10주년] BJ 대도서관 “BJ 윰댕과 혼인신고? 주위 관심 높아 ‘깜짝’”
http://star.mbn.co.k[...]
2016-01-02
[2]
웹인용
대도서관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
2016-08-09
[3]
웹인용
WWCF2016 홍보대사
https://web.archive.[...]
2016-06-11
[4]
뉴스
[신설법인 현황] (2015년 7월24일~2015년 7월30일) 인천
http://www.hankyung.[...]
2016-01-09
[5]
뉴스
[유튜브 10주년] BJ 대도서관 “BJ 윰댕과 혼인신고? 주위 관심 높아 ‘깜짝’”
http://star.mbn.co.k[...]
2016-01-02
[6]
뉴스
‘방구석 연예인’이라고요? 억대 연봉 스타랍니다
http://www.hani.co.k[...]
2016-01-02
[7]
뉴스
“손에 땀나는 흥분 전달…‘운지’‘홍어’ 드립은 금기어죠”
http://weekly.donga.[...]
2016-01-02
[8]
뉴스
[썸타는 만남 A to Z] 대도서관 '대박 수입' 전격 공개한 진짜 이유
https://archive.toda[...]
2016-01-03
[9]
웹인용
한국 유튜브 구독자 순위 - 워칭투데이
https://web.archive.[...]
2019-05-15
[10]
뉴스
전 잘될 놈입니다” 대도서관
https://web.archive.[...]
2016-01-11
[11]
뉴스
대세에게 묻다! 1인 콘텐츠 창작자, 대도서관
http://lady.khan.co.[...]
2016-01-02
[12]
뉴스
대도서관 “경쟁력이요? 꾸준히 방송하는 거죠”
http://www.bloter.ne[...]
2015-01-09
[13]
뉴스
[커버스토리] 인기 콘텐트 위한 세 가지 비법…기획력·성실함·자신감
http://www.joongang.[...]
2016-03-26
[14]
뉴스
[BJ 대도서관의 게임 Inside] 소규모 게임 개발사의 활로 (1)
http://news.heraldco[...]
2016-01-05
[15]
뉴스
논란의 대도서관 강연, 넥슨은 왜 NDC 16 강연자로 '대도서관'을 초대했나
http://gamefocus.co.[...]
2016-04-20
[16]
웹인용
대도서관 트위터
https://twitter.com/[...]
2016-05-09
[17]
웹인용
대도서관 트위터
https://twitter.com/[...]
2016-05-09
[18]
뉴스
[서울신문이 만난 사람] 연간 수억대 수입 1인 창작자 나동현 씨
http://www.seoul.co.[...]
2016-01-22
[19]
뉴스
대도서관 "불법복제 논란 부끄럽다, 게임저작권은 개발사 몫"
http://www.hankyung.[...]
2016-05-07
[20]
뉴스
[NDC16]BJ 대도서관 "과거 저작권 문제, 부끄럽고 죄송하게 생각한다"
http://gamefocus.co.[...]
2016-05-07
[21]
뉴스
대도서관 "BJ에게 갑질" 폭로…아프리카TV "사실무근"
http://www.hankyung.[...]
2016-10-16
[22]
웹인용
2013년 아프리카TV 방송대상 수상자 목록
http://2013award.afr[...]
2016-01-10
[23]
웹인용
2014년 BJ 페스티벌 수상자 목록
http://2014festival.[...]
2016-01-10
[24]
웹인용
2015년 아프리카TV BJ대상 수상자 목록
http://2015award.afr[...]
2016-01-10
[25]
웹인용
케이블TV방송대상
https://web.archive.[...]
2016-06-11
[26]
뉴스
인기 BJ 대도서관, 온게임넷에 뜬다…모바일프로그램 대배틀 출연
https://web.archive.[...]
2016-01-07
[27]
뉴스
스타BJ 대도서관, '아이에게 권력을' 내레이션
https://web.archive.[...]
2016-01-07
[28]
웹인용
진행자소개
http://home.ebs.co.k[...]
2016-07-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