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SBS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SBS는 1990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지상파 TV 채널(SBS TV)과 라디오 채널(SBS 러브FM, SBS 파워FM, SBS V-Radio) 및 케이블 TV 채널을 운영한다. 1991년 TV 방송을 시작했으며, 1995년 전국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드라마, 예능, 시사/교양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작하며, 해외 방송사와의 제휴를 통해 콘텐츠를 제공한다. SBS는 한국 내 10개 지역 민영 방송사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으며, 과거 여러 논란과 비판에 휩싸이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영그룹 - 태영건설
    태영건설은 대한민국 건설 기업으로, 아파트 브랜드 '데시앙'으로 알려져 있으며 단독주택, 임대주택, 오피스텔 등 다양한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고, 본사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본점은 경기도 광명시 일직동에 위치한다.
  • 태영그룹 - SBS 미디어넷
    SBS 미디어넷은 SBS의 자회사로,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Biz, SBS M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스포츠, 경제, 라이프스타일, 음악, 예능 등 여러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방송공사
    한국방송공사(KBS)는 1927년 경성방송국으로 시작하여 대한민국 공영방송으로 자리 잡았으며, 텔레비전과 라디오 채널을 운영하고 수신료와 광고 수익으로 재원을 마련하며 정치적 편향성 등 문제로 비판을 받기도 한다.
  • 대한민국의 지상파 방송국 - 한국교육방송공사
    한국교육방송공사는 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송하는 대한민국의 공영 교육 방송사로, 지상파 TV, 라디오, 케이블/위성/IPTV 채널을 운영하며 본사는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에 위치한다.
  •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 - 가톨릭평화방송
    가톨릭평화방송은 천주교 서울대교구에서 설립하여 라디오와 TV 방송을 운영하며, 전국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cpbc+라는 OTT 서비스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민영 방송 - TBS (대한민국의 방송사)
    TBS는 1990년 개국한 대한민국의 방송사로, 서울특별시 미디어재단 TBS로 운영되다가 2024년 민영화될 예정이며, TBS FM, TBS eFM, TBS TV를 통해 교통 정보 제공 및 다양한 프로그램을 편성한다.
SBS - [회사]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회사명서울방송 (SBS)
서울방송 로고
서울방송 로고
서울 양천구 목동의 SBS 방송 센터
서울 양천구 목동의 SBS 방송 센터
한국어 회사명주식회사 에스비에스
로마자 표기Jusikhoesa Eseubieseu
과거 회사명서울방송 주식회사
로마자 표기 (과거)Seoul Bangsong Jusikhoesa
영문 회사명Seoul Broadcasting System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코스닥 : 034120
설립일1990년 11월 14일
설립자윤세영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61
서비스 지역대한민국 중심, 전 세계
주요 인물윤세영 (창립자)
박정훈 (사장)
제품텔레비전 프로그램
서비스방송
웹 포털
매출액₩792,884,228,900
매출액 기준 년도2015년
영업이익₩42,152,487,870
영업이익 기준 년도2015년
순이익₩34,884,042,815
순이익 기준 년도2015년
자산₩934,369,945,679
자산 기준 년도2015년
자본₩91,262,910,000
자본 기준 년도2015년 12월
주요 주주TY홀딩스: 36.92%
국민연금공단: 9.97%
직원 수1,141명
직원 수 기준 년도2015년 12월
모기업SBS 미디어홀딩스
자회사SBS A&T
미디어크리에이트
웹사이트SBS 공식 웹사이트
슬로건함께 만드는 기쁨
방송 정보
개국일 (AM 라디오)1991년 3월 20일
개국일 (TV)1991년 12월 9일
개국일 (FM 라디오)1996년 11월 14일 (파워FM), 1999년 1월 1일 (러브FM)
방송 구분민영 방송
SBS TV 채널 정보
SBS TV 채널 로고
SBS TV 채널 로고
개국일1991년 12월 9일
위성 채널5번 (HD)
디지털 채널SK, KT, LG: 5번
SBS 미디어홀딩스 정보
회사명SBS미디어홀딩스
영문 회사명SBS Media Holdings, Ltd.
종류주식회사
시장 정보코스닥 : 101060
국적대한민국
본사 위치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61 SBS 방송센터 19층
설립일2008년 3월 4일
업종서비스업 (방송 지주 회사)
대표자윤석민 (대표이사 부회장)
우원길 (대표이사 사장)
자본금699억 원 (2008년 9월 30일 기준)
주요 주주태영건설: 60.86%
키트라미: 5.72%
주요 자회사SBS
SBS 프로덕션
SBS 콘텐츠허브
SBS 드라마플러스
웹사이트SBS 미디어홀딩스 공식 웹사이트

2. 역사

SBS의 뿌리는 1963년 개국한 동아일보 계열 민영 라디오 방송국 동아방송(DBS)에 있다. 그러나 1980년 11월 30일, 전두환 신군부 정권의 언론통폐합 정책으로 동아방송은 한국방송공사(KBS)에 강제로 통합되어 KBS 라디오서울로 운영되었다.

민주화 이후 민영 방송 설립 요구가 커지면서, 1990년 정부의 민영 방송 재허가 방침에 따라 KBS 라디오서울은 11년 만에 다시 민간으로 이양될 기반이 마련되었다. 이는 과거 NHK 위성방송 수신에 대한 견제 목적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일제강점기의 경험 때문에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논란이 되기도 했다.[1] 이에 따라 1990년 ㈜서울방송(SBS)이 설립되어 1991년 방송을 시작했다.

SBS는 법적으로 서울, 경기, 인천수도권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역민방이다. 그러나 전국 9개 지역 민영 방송사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프로그램을 공급하며 실질적인 전국 네트워크 중심 방송국(키국) 역할을 수행한다. SBS와 이들 지역 민방 사이에는 직접적인 자본 관계는 없으나, SBS의 대주주인 TY홀딩스나 2대 주주인 ㈜귀뚜라미가 일부 지역 민방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설립 당시부터 건설 회사인 태영건설이 대주주로 참여했으며, 이는 SBS 소유 구조의 특징이다. 태영건설 창업주인 윤세영이 두 회사의 회장을 겸임하는 등 자본 및 인사상의 관계가 깊다. SBS 주식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다.

2. 1. 설립 및 초기 (1990년대)

1987년 민주화 이후, 정부는 문화방송(MBC)에 이어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 민영 상업 방송사 설립을 추진했다. 이는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한국방송공사(KBS)에 강제 통합되었던 구 동아방송(DBS)의 후신인 KBS 라디오서울을 11년 만에 민간에 다시 넘겨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 11월 14일, 건설 회사인 태영건설을 대주주로 한 ㈜서울방송이 설립되었다. 당시 태영건설이 지분의 30%를 소유한 것에 대해 일부에서는 노태우 정부와의 유착 의혹을 제기하며 "6공화국 스캔들"이라는 비판도 있었다.[2] 태영건설윤세영 회장이 초대 대표이사를 맡았다.

1991년 3월 20일, SBS 러브FM이 AM 라디오 방송(792㎑, 호출부호 HLSQ)을 시작하며 정식으로 개국했다.[3] 같은 해 7월 5일에는 일본 니혼TV와 업무 협정을 체결했고, 12월 7일에는 미국 NBC, 러시아 RTR과 방송 협정을 맺었다. 12월 9일 오전 10시, SBS TV(호출부호 HLSQ-TV)가 개국하여 서울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방송을 시작하고 상업광고를 실시했다.[4][5] 해외 지국 개설도 활발하여 1991년 2월 11일 워싱턴 지국, 10월 1일 파리 지국, 12월 13일 도쿄 지국(니혼TV 사옥 내)을 열었다.

1991년 12월 9일 SBS 개국식


1992년에는 자회사인 SBS 프로덕션과 미주 지사인 SBS USA(뉴욕 본사, 로스앤젤레스 지사)를 설립했으며, 프로농구단 안양 SBS 스타즈를 창단했다(2005년 매각). 7월 3일 모스크바 지국을 개설하고, 9월 7일에는 부산, 대구, 광주, 대전에 국내 지국을 열었다. 12월 9일 일산 스튜디오를 준공했다.

1993년에는 관악산용문산에 TV 중계소를 개소하여 방송 권역을 넓혔다. 2월 17일 중국 BTV, 대만 CTV와 방송 협정을 체결하고, 5월에는 베이징 지국을 개설했다. 7월 1일 경기도 고양시에 일산 AM 송신소를 신축 이전했으며, 12월 9일 등촌동 공개홀을 준공했다.

1995년 5월 14일, 부산(KNN), 대구(TBC), 광주(kbc), 대전(TJB)의 4개 지역 민영 방송사와 네트워크 협정을 체결하여 전국 방송 네트워크의 기틀을 마련했다.[6][7] 같은 해 11월 14일 고양시에 SBS 일산제작센터를 준공하고, 베트남 하노이 TV와 방송 협정을 체결했다. 강릉, 제주, 울산 등에도 국내 지국을 개설했다.

1996년 11월 14일, 음악 전문 FM 라디오 채널인 SBS 파워FM(107.7㎒, 호출부호 HLSQ-FM)을 개국했다.[8]

1997년에는 SBS 프로덕션이 분사되었고, 이듬해인 1998년에는 코스닥에 주식을 상장했다. 또한 정부의 방송 구조 합리화 정책에 따라 방송 기술 및 미술 부문을 담당하는 SBS 아트텍과 영상 제작 및 중계 부문을 담당하는 SBS 뉴스텍을 자회사로 분사시켰다. 인터넷 사업을 위한 자회사 SBSi(현 SBS 콘텐츠허브)를 설립하고 HDTV 시험 방송을 시작했다.

1999년 1월 1일에는 기존 AM 라디오 방송이었던 SBS 러브FM표준FM 방송(103.5㎒, 호출부호 HLSQ-SFM)을 개국하여 AM과 FM으로 동시에 프로그램을 송출하기 시작했다.[8] 같은 해, 회사명을 ㈜서울방송에서 ㈜SBS로 변경하고, 한국스포츠TV를 인수하여 스포츠 채널을 설립했다.

2. 2. 성장 및 확장 (2000년대)

2000년 11월 14일, SBS는 창사 10주년을 맞아 기념식을 열고 새로운 CI(기업 이미지 통합 디자인)를 선포하며 현재까지 사용되는 로고를 도입했다.[9][10] 당시 SBS는 "디지털을 통한 인본주의"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9][10]

2001년에는 고화질 지상파 디지털 방송을 도입했다.[8]

2002년 5월 31일, JIBS가 개국하면서 지역 민영 방송 네트워크가 전국적으로 완성되었다. 이로써 SBS는 서울 수도권 중심의 방송을 넘어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갖추게 되었다.

2004년 3월 1일에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으로 신사옥을 이전하여 SBS 방송 센터 시대를 열었다. 목동 방송센터는 주로 보도와 시사 프로그램 제작 및 사무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같은 해 11월부터는 일본의 모바일 방송 서비스 '모바HO!'에 뉴스, 드라마, 예능, 라디오 프로그램 등 다양한 콘텐츠 공급을 시작하며 해외 시장 진출을 본격화했다.

2005년 12월 1일에는 지상파 DMB 서비스 'SBSu'를 개국하여 방송 플랫폼을 다각화했다.[8]

2. 3. 혁신과 변화 (2010년대 ~ 현재)

2010년 1월, SBS는 기존의 "디지털을 통한 인본주의" 슬로건을 "함께, 기쁨을 만듭니다"로 변경하며 새로운 지향점을 제시했다.[9][10]

2012년 10월 29일, SBS TV는 대한민국 방송사 중 두 번째로 24시간 종일 방송을 시작하며 시청자 선택의 폭을 넓히려 시도했다. 그러나 이러한 24시간 방송 체제는 2017년에 중단되었고, 이후 심야 시간에는 정규 방송을 종료하는 방식으로 다시 운영되고 있다.

조직 내부적으로는 2014년 5월 1일, 방송 기술 및 미술 부문을 담당하던 SBS 아트텍과 영상 제작 및 중계 부문을 맡았던 SBS 뉴스텍을 합병하여 SBS A&T를 출범시켰다. 이는 제작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고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기 위한 조치였다.[24][25]

미디어 환경 변화에 발맞춰 케이블TV,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 IPTV 등을 통해 SBS 플러스, SBS 스포츠, SBS 골프 등 다양한 채널을 운영하며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다. 특히 SBS 스포츠는 2023년 시즌부터 일본 프로야구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홈 경기를 닛폰 TV 방송망으로부터 영상 제공을 받아 중계하고 있다. 이는 과거 이승엽 선수가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활동하던 시기의 중계 방식과 유사하다.

한편, 2023년 말 최대 주주인 태영건설이 심각한 경영 위기에 처하며 워크아웃을 신청함에 따라 SBS의 소유 구조에도 불확실성이 드리워졌다. 채권단은 태영건설의 자구 계획 이행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SBS 주식 매각까지 요구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였다. 그러나 현행 방송법은 지상파 방송사의 최대 주주 변경 시 방송통신위원회의 엄격한 사전 승인을 요구하며, 대기업의 지분 소유 한도(10%) 등 규제가 존재하여 실제 매각이 성사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18] 이 사태는 건설 자본이 지상파 방송사의 최대 주주로 있는 현행 소유 구조의 안정성에 대한 논의를 다시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되었다.

3. 방송

SBS는 공식적으로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지역민영방송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전국 네트워크의 중심 방송국(키국)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지역 민영방송국과는 프로그램 공급 계약을 맺고 있으며, 직접적인 자본 관계는 없다. 다만, SBS의 대주주인 TY홀딩스는 KNNG1방송의 일부 지분을, 2대 주주인 (주)귀뚜라미TBC의 대주주로서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주요 제작 시설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본사,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의 제작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의 공개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SBS프리즘타워 등이 있다. 목동 본사에서는 주로 보도 및 시사 프로그램, 일산 제작센터에서는 드라마와 예능, 등촌동 공개홀에서는 음악 및 예능 프로그램이 제작된다. 상암동 프리즘타워에서는 예능 프로그램 제작과 함께 SBS 미디어넷이 입주해 있다.

1998년 12월 1일, 방송 합리화 정책에 따라 방송기술 및 미술 부문이 SBS 아트텍으로, 영상제작 및 중계 부문이 SBS 뉴스텍으로 분사되었다. 이후 2014년 5월 1일 두 법인이 합병하여 SBS A&T가 출범했다.[24]

SBS는 케이블TV,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 IPTV 등을 통해 SBS 플러스,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골프 2, SBS funE, SBS Biz, SBS M 등 다수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SBS 스포츠2006년부터 이승엽요미우리 자이언츠 입단에 맞춰 일본 프로야구 중계를 시작했으며, 2023년 시즌에도 요미우리 자이언츠 홈 경기를 닛폰 TV 방송망으로부터 영상을 받아 중계하고 있다.

개국 초기부터 일본니혼 TV(NTV)와 제휴 관계를 맺고 있으며, 현재 SBS 도쿄지국은 시오도메의 니혼 TV 타워 내에 위치한다. 이 외에도 미국 NBC, 러시아 RTR, 중국 북경 TV, 베트남 하노이 TV 등 여러 해외 방송사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주식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종목코드: 034120), 실질적인 대주주는 건설 회사인 태영건설이다. 태영건설은 SBS 설립 초기부터 깊은 관계를 맺어왔으며, 윤세영이 두 회사의 회장을 겸임하기도 했다. 2023년 태영건설의 경영 위기로 워크아웃 절차에 들어가면서, 채권단으로부터 필요시 SBS 지분 매각 요구를 받게 되었다. 하지만 방송법상 최대 주주 변경 시 방송통신위원회의 승인이 필요하고, 지상파 방송사에 대한 출자 제한 규정(대기업 등은 10% 상한)이 있어 실제 매각 성사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18]

과거 프로농구단 안양 SBS 스타즈를 운영했으나 KT&G에 매각했으며, 미국 PGA 투어LPGA 투어 대회 스폰서로 참여하기도 했다.

3. 1. TV 방송

SBS TV는 대한민국의 주요 지상파 텔레비전 채널 중 하나로, 채널 번호는 '''6번'''이다. 드라마, 예능, 뉴스, 스포츠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3. 2. 라디오 방송

SBS는 지상파 라디오 방송 채널 3개를 운영하고 있다.

2006년 6월에는 인터넷 라디오 '고릴라' 서비스를 시작했다.

채널명주파수출력 (kW)호출 부호송신소 위치
SBS 러브FMFM 103.5 MHz10HLSQ-SFM관악산, 서울
FM 98.3 MHz0.05없음이천시, 경기도
SBS 파워FMFM 107.7 MHz10HLSQ-FM관악산, 서울
FM 100.3 MHz0.1없음생연동, 동두천시, 경기도
SBS V-RadioCH 12C DMB2없음관악산, 서울


3. 3. 지상파DMB 방송

2005년 지상파DMB 사업자로 선정되어 'SBS U'라는 이름으로 방송을 시작하였다. 2007년에는 광교산 지상파DMB 중계소를 준공하였다. SBS U의 호출 부호는 HLSQ-TDMB이다.

송신소 및 채널, 출력 정보는 다음과 같다.

송신소물리 채널(주파수)공중선 전력
관악산K-12Cch
(208.736 MHz)
2 kW
남산2 kW
파평20W
포천20W
용문산1 kW
하회100W
불광90W
계양산1 kW
만월90W
안산20W
광교산1 kW
운중20W
광주20W
용인90W
이동90W
안성90W


4. 프로그램

SBS는 드라마, 예능, 시사, 교양 등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방송하고 있다. 특히 SBS가 제작한 드라마는 한류 열풍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세계 여러 나라로 수출되었다.[13][14] 정보, 코미디, 음악, 리얼리티, 토크쇼, 오디션 등 다채로운 형식의 예능 프로그램 역시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 전역에서 높은 인기를 얻는 경우가 많다.[15][16] 또한 외교, 환경, 사회 문제 등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다큐멘터리와 탐사 보도 프로그램을 꾸준히 제작하고 있으며, 저녁 8시에 방송하는 메인 뉴스 프로그램 SBS 8 뉴스를 통해 차별화를 시도하기도 했다.[17]

이 외에도 케이블TV위성방송(Skylife)을 통해 SBS 플러스,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Biz, SBS M 등 여러 전문 채널을 운영하며 시청자들에게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다. 과거에는 일본프로야구 경기를 중계하는 등 스포츠 중계 분야에도 참여한 바 있다.

4. 1. 드라마

SBS 드라마는 한류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전 세계 여러 국가로 수출되었다. ''모래시계''는 한국 방송 역사상 높은 시청률을 기록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SBS를 상징하는 드라마로 평가받는다.[13] 이 외에도 ''파리의 연인'', ''청춘의 덫'', ''찬란한 유산'', ''러브레터'', ''아내의 유혹'', ''상속자들'', ''별에서 온 그대'' 등 수많은 드라마가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며 큰 인기를 얻었다.[14] 지상파 디지털 방송 전환 이후에는 고화질(HD) 드라마 제작 및 방송에 힘쓰고 있다.

4. 2. 예능

SBS는 정보, 코미디, 음악, 리얼리티, 토크쇼, 오디션 등 다양한 장르의 예능 프로그램을 방송한다. ''X맨'', ''패밀리가 떴다'', ''런닝맨'', ''인기가요'' 등 많은 프로그램이 아시아 전역에서 큰 인기를 얻었다.[15][16] 이 외에도 일요일이 좋다(K팝 스타), 웃찾사, 백년손님, 동상이몽, 괜찮아 괜찮아, 3대 천왕 등이 대표적인 예능 프로그램으로 꼽힌다.

4. 3. 시사/교양

SBS는 외교에서 환경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한 문제를 다루는 다큐멘터리를 제작한다. 대표적인 탐사 보도 프로그램인 그것이 알고 싶다는 1992년에 처음 방송되었으며, 저널리즘적 관점의 심층 취재로 사회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켜왔다.

뉴스 프로그램으로는 기존의 관행을 깨고 저녁 9시가 아닌 8시에 방송하는 주요 뉴스 프로그램 SBS 8 뉴스를 편성하여 "한 시간 빠른 뉴스"라는 슬로건을 내세웠다.[17] 이 외에도 모닝와이드, 나이트라인, SBS 시사토론, 궁금한 이야기 Y 등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이슈를 분석하고 다루는 다양한 뉴스 및 시사 프로그램을 제작하고 있다.

또한, 아침 정보 프로그램 좋은 아침, 저녁 생활 정보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우리 주변의 놀라운 이야기를 다루는 순간포착 세상에 이런 일이, 영재들의 이야기를 담은 영재발굴단, 동물들의 생태와 이야기를 전하는 TV 동물농장, 다양한 분야의 달인들을 소개하는 생활의 달인 등 다채로운 교양 프로그램을 방송하고 있다.

5. 조직

(대수)이름임기1대윤세영1990년 11월 14일 ~ 1994년 3월 8일2대윤혁기1994년 3월 9일 ~ 1999년 3월 8일3대송도균1999년 3월 9일 ~ 2005년 4월 7일4대안국정2005년 4월 8일 ~ 2007년 3월 11일5대하금열2007년 3월 12일 ~ 2009년 12월 31일6대우원길2010년 1월 1일 ~ 2013년 12월 1일7대이웅모2013년 12월 2일 ~ 2015년 12월 3일8대김진원2015년 12월 4일 ~ 2016년 12월 7일9대박정훈2016년 12월 8일 ~ 2023년 11월 30일10대방문신2023년 12월 1일 ~ 현재


5. 1. 주요 계열사

1998년 12월 1일 방송합리화 정책에 따라 SBS의 방송기술부문과 방송미술부문은 SBS 아트텍으로, 영상제작부문과 중계부문은 SBS 뉴스텍으로 각각 분사되었다. 이후 2014년 5월 1일 두 법인이 합병하여 SBS A&T가 출범하였다.[25] SBS는 지주회사인 SBS 미디어홀딩스를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주요 계열사를 두고 있다.

이름주요 사업 내용
SBS 미디어홀딩스SBS의 지주회사
SBS A&T방송 기술, 미술, 영상 제작, 중계 등 담당 (구 SBS 아트텍, SBS 뉴스텍 합병)
SBS 인터내셔널해외 사업 담당 (주로 로스앤젤레스에서 SBS 아메리카 운영)
SBS 미디어넷케이블TV 채널 운영 (SBS FiL, SBS Biz,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M, SBS 골프 2)
미디어넷 플러스케이블TV 채널 운영 (SBS 플러스, SBS funE)
SBS 콘텐츠 허브디지털 콘텐츠 유통 및 관리
스튜디오S드라마 제작
프리즘 스튜디오예능 및 비스크립트 프로그램 제작
빙지웍스[11]콘텐츠 제작사
블렌딩 주식회사음악 유통 (MBC와 합작)
SBS 디지털뉴스랩디지털 뉴스 서비스 개발 및 운영
SBS 아카데미방송 인력 교육 및 관리
SBS 문화재단방송 및 문화 발전 지원
서암학술장학재단장학 사업


5. 2. 해외 제휴 방송사

SBS는 개국 이래 여러 해외 방송사와 제휴 및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일본니혼 TV(NTV)와는 개국 초기부터 깊은 제휴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개국 당일에는 니혼TV의 뉴스 프로그램 'NNN 오늘의 사건'의 사쿠라이 요시코 캐스터가 SBS 뉴스 스튜디오에서 직접 방송을 진행했으며, 니혼TV 계열사인 후쿠오카 방송(FBS) 등에서 특파원을 받고 있다. 현재 SBS 도쿄지국은 시오도메에 위치한 니혼 TV 타워 내에 있으며, 도쿄 발 뉴스 화면에서는 신바시역 부근을 달리는 도카이도 신칸센이 배경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2004년 11월부터는 일본의 모바일 방송 서비스였던 모바 호(Ho!)에 텔레비전 뉴스, 드라마, 버라이어티, 라디오 프로그램 등을 공급했으나, 해당 서비스 종료로 현재는 중단되었다.

주요 해외 제휴 방송사는 다음과 같다.

국가/지역방송사
미국NBC
러시아RTR
중국베이징 TV(BTV)
프랑스TF1[25]
영국ITV
독일RTL 텔레비전
스페인안테나 3
홍콩TVB
대만CTV
베트남하노이 TV



이 외에도 다수의 방송사와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6. 한국 내 네트워크

SBS는 공식적으로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역 민영 방송사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전국 9개 지역 민영 방송사와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제휴하는 중심국(키국) 역할을 한다. 이들 지역 민방과는 직접적인 자본 관계 없이 프로그램 공급 계약을 통해 협력하고 있다. SBS는 네트워크 시간대에 방송할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송출하며, 협약 기간 동안 프로그램 공급료는 면제된다.

라디오 방송의 경우, SBS 파워FM의 일부 프로그램은 타 지역 민방 라디오에서 방송되기도 한다. 그러나 SBS 러브FM2008년부터 네트워크 프로그램 공급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이는 SBS와 KNN(부산경남방송)은 음악FM과 종합FM 2개의 라디오 채널을 보유한 반면, 다른 지역 민방은 음악FM 1개 채널만 운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타 지역 청취자들은 컴퓨터휴대 전화로 SBS 홈페이지의 'SBS 고릴라' 서비스를 통해 SBS 러브FM을 청취할 수 있다.[23]

6. 1. 개요

SBS는 지상파 민영 상업 방송국의 전국 네트워크 중심국(키국)이지만, 법적으로는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등 수도권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역 민영 방송사이다. 한국방송공사(KBS)나 문화방송(MBC)과 달리 독자적인 지역 방송국을 두지 않고, 전국 9개 지역 민영 방송사와 제휴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다. 이들 지역 민방과는 직접적인 자본 관계는 없으며 프로그램 공급 계약을 맺고 있다.[18] SBS는 네트워크 시간대에 방송할 프로그램을 제작, 송출하며 협약 기간 동안 프로그램 공급료는 면제된다.

다만, SBS의 대주주인 TY홀딩스는 KNN 주식의 10.9%와 G1방송 주식의 4.9%를 보유하고 있으며, 2대 주주인 (주)귀뚜라미TBC 주식의 24.2%(계열사 귀뚜라미정밀공업, 귀뚜라미보일러 지분 포함)를 보유한 대주주이다.

지역 민영 방송사영문방송대상구역개국일
KNNKNN부산·경남1995년 5월 14일
TBCTBC대구·경북
광주방송kbc광주·전남
대전방송TJB대전·세종·충남
울산방송ubc울산1997년 9월 1일
전주방송JTV전북1997년 9월 27일
청주방송CJB충북1997년 10월 18일
G1방송G1강원2001년 12월 15일
제주방송JIBS제주2002년 5월 31일



주식은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종목코드: 034120), 실질적인 대주주는 건설 회사인 태영건설이다. 태영건설은 SBS 설립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창업주 윤세영이 두 회사의 회장을 맡는 등 자본 및 인사 관계가 깊다. 2023년 태영건설의 경영 위기로 인해 워크아웃 조건으로 채권단으로부터 필요시 SBS 주식 매각 요구를 받았다.[18]

본사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서로 161(목동) SBS 방송 센터에 있으며,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동에 제작센터, 서울특별시 강서구 등촌동에 공개홀,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동SBS프리즘타워 등을 두고 있다. 목동 방송센터에서는 주로 보도·시사 프로그램, 일산제작센터에서는 드라마·예능 프로그램, 등촌동 공개홀에서는 음악·예능 프로그램, SBS프리즘타워에서는 예능 프로그램 제작 및 SBS 미디어넷이 입주해 있다.

1998년 12월 1일 방송 합리화 정책에 따라 방송기술·미술 부문이 SBS 아트텍으로, 영상제작·중계 부문이 SBS 뉴스텍으로 분사되었으며, 2014년 5월 1일 두 법인이 합병하여 SBS A&T가 출범하였다.[24][25]

케이블TV, 위성방송 (KT스카이라이프), IPTV 등을 통해 SBS 플러스, SBS 스포츠, SBS 골프, SBS 골프 2 등의 채널을 운영하고 있다.

일본니혼 TV(NTV)와 개국 초기부터 제휴 관계이며, 미국 NBC, 러시아 RTR, 중국 북경 TV, 베트남 하노이 TV 등과도 협력 관계를 맺고 있다.

라디오는 SBS 파워FMSBS 러브FM을 운영한다. 지역 민방의 경우 KNN을 제외하고는 음악FM 1개 채널만 운영하여 SBS 파워FM의 일부 프로그램만 네트워크로 공급받으며, SBS 러브FM2008년부터 네트워크 공급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SBS는 1963년 개국한 민영 라디오 방송 동아방송1980년 전두환 정부의 언론통폐합 조치로 한국방송공사(KBS)에 통합되어 KBS 라디오서울로 운영되다가, 1990년 민영 방송 재허가 방침에 따라 KBS로부터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6. 2. 지역 민영 방송사 목록

SBS는 공식적으로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등 수도권을 방송 권역으로 하는 지역 민영 방송사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전국 네트워크의 중심국(키국) 역할을 하고 있다. 다른 지역 민영 방송국들과는 직접적인 자본 관계 없이 프로그램 공급 계약을 통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다.[18] 다만, SBS의 대주주인 TY홀딩스는 KNNG1방송의 지분을 일부 보유하고 있으며, 2대 주주인 (주)귀뚜라미TBC의 대주주이다.

프로그램 제작국인 SBS를 포함한 전국의 9개 지역 민영 방송사는 다음과 같이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프로그램을 제휴한다.

약칭방송국명방송 대상 지역개국일
SBSSBS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경기도1990년 11월 14일
KNNKNN부산광역시·경상남도1994년 4월
TJB대전방송대전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충청남도1994년 4월 9일
JIBS제주방송제주특별자치도1994년 4월 10일
TBC대구방송대구광역시·경상북도1994년 8월 10일
kbc광주방송광주광역시·전라남도1994년 8월 10일
CJB청주방송충청북도1996년 7월 5일[12]
ubc울산방송울산광역시1996년 9월 4일
JTV전주방송전북특별자치도1997년 1월 25일
G1G1방송강원특별자치도1999년 11월 16일


7. 비판 및 논란

참조

[1] 뉴스 S. Korea to reintroduce private broadcasting https://eresources.n[...] 1990-06-15
[2] 뉴스 Seoul's private TV move comes under fire https://eresources.n[...] 1990-11-02
[3] 뉴스 건강한 사회를 위한 강한 방송 SBS 출범 http://sbspr.sbs.co.[...] Seoul Broadcasting System 2001-01-01
[4] 뉴스 SBS TV 9일 오전 10시 정식 개국 http://news.naver.co[...] Naver News 1991-12-04
[5] 뉴스 서울방송(SBS TV) 오늘 오전 개국[백지연] https://imnews.imbc.[...] Naver News 1991-12-09
[6] 뉴스 새 시대, 새로운 방송 SBS TV 개국 http://sbspr.sbs.co.[...] Seoul Broadcasting System 2001-01-01
[7] 뉴스 창사 5주년, 세계로 미래로 http://sbspr.sbs.co.[...] Seoul Broadcasting System 2001-01-01
[8] 뉴스 마음에서 마음으로, SBS 라디오 http://sbspr.sbs.co.[...] Seoul Broadcasting System 2001-01-01
[9] 뉴스 SBS의 새 캐릭터 '고미' 탄생 http://news.naver.co[...] Naver News 2005-07-01
[10] 뉴스 SBS, 창사 25주년 맞아 새 슬로건 발표..함께 만드는 '기쁨' http://news.chosun.c[...] 2015-11-13
[11] 웹사이트 스튜디오S, 드라마 제작사 빈지웍스 인수…본격 대형화 시동 https://n.news.naver[...]
[12] 웹사이트 CJB https://www.cjb.co.k[...]
[13] 뉴스 <방송> SBS '모래시계' 시청률 60% 돌파 https://n.news.naver[...] Naver News 1995-02-15
[14] 뉴스 SBS '파리의 연인' 완전해부 https://entertain.na[...] Naver News 2004-07-27
[15] 뉴스 'X맨' 중국서 인기...예능 프로그램도 '한류 열풍' https://entertain.na[...] Naver News 2007-03-05
[16] 뉴스 '런닝맨', 亞 9개국 수출..한류 예능 '일등공신' https://entertain.na[...] Naver News 2011-11-10
[17] 뉴스 SBS 창사 20주년…시청자와 함께한 '8시 뉴스' https://news.sbs.co.[...] Seoul Broadcasting System 2010-11-13
[18] 뉴스 韓国中堅建設、90歳創業者が再建へ執念 https://jbpress.isme[...] 日本ビジネスプレス
[19] 잡지 捏造・改変なんでもあり! やっぱり変わらない韓国メディアの「反日無罪」 http://news.nifty.co[...] SAPIO 2009-06-08
[20] 뉴스 SBS、日本の番組のパクリ認め正式謝罪 http://www.chosunonl[...] 2009-07-23
[21] 뉴스 SBS앵커“서울시장 취임식, 시민권리 뺏어” “오늘의 유머…” http://news.khan.co.[...] 2011-11-17
[22] 뉴스 SBSプラス、盧武鉉氏中傷のネット写真を放送で流し波紋 http://japanese.dong[...] 2017-05-19
[23] 뉴스 「AM放送」存廃問題、韓国では一足先に「停波」突入 「音質悪く受信も不便」 https://www.j-cast.c[...] J-CASTニュース
[24] 간행물 SBS 자회사 뉴스텍·아트텍 통합 http://www.journalis[...] 기자협회보 2014-05-07
[25] 간행물 SBS 자회사 뉴스텍·아트텍 통합 http://www.journalis[...] 기자협회보 2014-05-07
[26] 기타
[27] 잡지 SBS는 언론계의 또 다른 삼성인가 http://www.sisain.co[...] 시사IN 2009-03-16
[28] 기타
[29] 웹사이트 http://gorealra.sbs.[...]
[30] 웹사이트
[31] 기타
[32] 뉴스 CI 변경 기사 http://newslibrary.n[...]
[33] 기타
[34] Youtube SBS ID 2000 https://www.youtube.[...]
[35] Youtube [0403] SBS 로고송 (0403 SBS BoA Logo Song) https://www.youtube.[...]
[36] 기타
[37] 기타
[38] 기타
[39] 기타
[40]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