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OGN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OGN은 2000년 7월 24일 개국한 대한민국의 e스포츠 전문 방송 채널이다. 1998년 프랑스 월드컵 축구 시뮬레이션 게임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스타크래프트를 활용한 e스포츠 대회를 개최하면서 시작되었다. OGN은 스타크래프트 리그를 통해 e스포츠를 한국의 주요 스포츠로 발전시켰으며,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 오버워치 APEX 등 다양한 게임의 리그와 프로그램을 제작, 방송했다. 2015년 7월 24일, OGN으로 채널명을 변경하고 리브랜딩을 거쳤으나, 2021년부터는 인력 감축 및 재방송 위주의 편성을 하고 있으며, 2022년 5월 (주)오피지지에 매각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0년 비디오 게임계 - MBC 게임
    MBC 게임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게임 전문 방송 채널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와 예능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MBC 뮤직으로 전환되었다.
  • 2000년 비디오 게임계 - 플레이스테이션 2
    플레이스테이션 2는 소니에서 출시한 비디오 게임 콘솔로, DVD-ROM, CD-ROM, 하위 호환성을 지원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저렴한 가격과 DVD 플레이어 기능, 다양한 주변 기기와 방대한 게임 라이브러리로 오랜 기간 동안 시장을 지배하며 비디오 게임 콘솔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기기 중 하나이다.
  • 게임 텔레비전 네트워크 - MBC 게임
    MBC 게임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존재했던 대한민국의 게임 전문 방송 채널로, 스타크래프트 리그와 예능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MBC 뮤직으로 전환되었다.
  • 게임 텔레비전 네트워크 - SPOTV Games
    SPOTV Games는 2013년 12월 개국하여 e스포츠 리그와 게임 관련 프로그램을 중계하며 e스포츠 팬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했던 대한민국의 방송 채널이었으나, 2020년 3월 STATV로 채널명을 변경했다.
  • 2000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BS후지
    BS후지는 1998년 설립되어 2000년 개국한 일본의 위성방송국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방송하며 민영 BS 방송국 최초로 흑자를 달성했고, 기술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 'BS'를 방송명에 사용하는 유일한 민영 BS 방송 사업자이다.
  • 2000년 설립된 텔레비전 방송국과 채널 - BS아사히
    BS아사히는 TV아사히홀딩스의 자회사로, 2000년 텔레비전 방송을 개국하여 다양한 장르의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일본의 위성방송 사업자이다.
OGN - [TV프로그램]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OGN
로고
국가대한민국
본사 위치강남구, 서울특별시
언어한국어
화면 형식1080i
소유주온미디어 (2000–2009)
CJ ENM 엔터테인먼트 부문 (2009–2022)
OP.GG (2022–현재)
이전 이름온게임넷 (2015년 7월 23일까지)
웹사이트OGN
채널 정보
디지털 채널Btv 236
U+TV 119

2. 역사

온미디어의 어린이 채널 투니버스 기획 PD였던 황형준(現 OGN 본부장)은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때 축구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경기 결과를 예측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16강 이후 16경기 중 12경기를 맞췄으나, 박찬호 등판 경기 예측에는 실패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를 활용한 대회를 열었다.[9]

1997년 투니버스에서 방영된 《게임 플러스》와 1999년 스타리그의 전신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99 PKO), 2000년 최초의 스타리그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를 토대로 2000년 5월 22일 설립, 2000년 7월 24일 개국했다. 개국 초기에는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까지 12시간 방영했다.[10] 2001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오전 8시부터 4시간 동안 MTV 프로그램을 방영했다.[11]

2000년 7월 24일 24시간 방송을 시작, 게임 관련 모든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했다. OGN 프로그램은 시청률 조사 결과 10대와 20대 남성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2006년 6월 23일 프로게임팀 KOR을 인수해 온게임넷 스파키즈(현 CJ 엔투스에 흡수됨)를 창단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OSL)는 1999년 10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총 34번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대회를 개최했다. 2012년 6월, ''스타크래프트 II''로 공식 전환했다.

2015년 7월 24일, 개국 15주년을 맞아 채널명을 OGN으로 변경하고 브랜딩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인력을 감축하고 재방송 위주로 편성, 8월에는 올레 TV 송출이 종료되었다. 2022년 5월, OGN은 (주)오피지지(OP.GG)에 매각되었다.[12]

2012년부터 2015년까지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였던 더 챔피언스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로 변경되었다. 2019년, LCK는 라이엇 게임즈 자체 방송으로 전환, OGN의 LCK 방송은 종료되었다.

''오버워치'' APEX는 2016년 말부터 2018년 초까지 4개 시즌을 진행했다.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의 ''오버워치'' 리그 시작으로 APEX는 종료되었다.

2. 1. 설립 배경 및 초기 (1998년 ~ 2000년)

온미디어의 어린이 채널 투니버스 기획 PD였던 황형준(現 OGN 본부장)은 1998년 프랑스 월드컵 때 축구 시뮬레이션 게임으로 경기 결과를 예측하자는 아이디어를 냈다. 그는 게임 몰입도를 높이기 위해 캐스터와 해설자를 도입했고, 16강 이후 16경기 중 12경기를 맞춰 성공했다. 그러나 박찬호 등판 경기에서는 예측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제작에 실패했다. 이후 스타크래프트를 시뮬레이션 대체 게임으로 선정하여, 실패 경험과 노하우를 적용하고 선수와 해설자를 모아 스타크래프트 대회를 열었다.[9]

1997년 투니버스에서 방영된 게임 소개 프로그램 《게임 플러스》와 1999년 스타리그의 전신인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99 PKO), 2000년 최초의 스타리그인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를 토대로 2000년 5월 22일 설립되었다. 2000년 7월 24일 개국했으며, 초기에는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까지 12시간 방영되었다.[10]

2. 2. 개국 및 성장 (2000년 ~ 2015년)

1997년 투니버스에서 방영된 게임 소개 프로그램인 《게임 플러스》와 1999년 스타리그의 전신인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99 PKO), 그리고 2000년 최초의 스타리그로 알려진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를 토대로 하여 2000년 5월 22일 설립되어, 2000년 7월 24일 개국했다.[10] 개국 초기에는 오후 2시부터 다음날 오전 2시까지 12시간 방영되었다.[10] 2001년 1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오전 8시부터 4시간 동안 MTV 프로그램을 방영했다.[11]

2000년 7월 24일에 24시간 방송을 시작했으며, 게임과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했다. OGN의 각종 프로그램은 각종 시청률 기관의 조사 결과, 10대와 20대 남성 시청률 1위를 한 적이 있다. 2006년 6월 23일 프로게임팀 KOR을 인수해 온게임넷 스파키즈(현 CJ 엔투스에 흡수됨)를 창단했었다.

온게임넷 스타리그(OSL)는 온게임넷에서 방송하는 반기별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였다. 스타리그는 1999년부터 시작되었지만, 2001년이 되어서야 토너먼트가 프로적인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인 스타리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로 여겨졌다. 첫 번째 OSL에서 기욤 패트리는 스타리그가 시작된 이후 개인 리그에서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비한국인 선수가 되었다.

1999년 10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총 34번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OSL이 개최되었다. 2012년 6월 현재, 스타리그는 블리자드의 최신작 ''스타크래프트 II''로 공식 전환되었다.[4][5]

2. 3. OGN으로의 변화와 쇠퇴 (2015년 ~ 현재)

2015년 7월 24일, 온게임넷은 개국 15주년을 맞아 채널명을 OGN으로 변경하고 새롭게 브랜딩했다. 그러나 2021년 1월 1일부터 인력을 감축하고 재방송 위주로 편성하기 시작했으며, 같은 해 8월에는 올레 TV에서의 송출이 종료되었다. 2022년 5월, OGN은 (주)오피지지(OP.GG)에 매각되었다.[12]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 최고의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였던 더 챔피언스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후 라이엇 게임즈가 LCK 중계권을 OGN과 SPOTV로 분할하기로 결정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많은 팬들은 SPOTV의 e스포츠 방송 경험 부족과 OGN의 한국 e스포츠 발전에 대한 오랜 헌신을 고려할 때 이 결정에 실망했다.[6] 2019년, LCK는 라이엇 게임즈 자체 방송으로 전환되었고, OGN의 LCK 방송 운영은 종료되었다. 이와 함께 모든 LCK 경기는 새로운 경기장인 LoL Park에서 진행되었다.[7]

''오버워치'' APEX는 한국 최초의 주요 ''오버워치'' e스포츠 대회였으며, 이후 오버워치 리그에서 많은 선수들이 초기에 성공을 거두는 기반이 되었다. APEX는 2016년 말 첫 시즌을 시작하여 2018년 초까지 4개 시즌을 진행하며 당시 최고 수준의 ''오버워치'' 경쟁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가 자체 제작 ''오버워치'' 리그를 시작하면서 APEX는 종료되었고, OGN은 컨텐더스 코리아 중계 권한을 얻지 못했다. 블리자드는 ''오버워치'' e스포츠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하기 위해 제3자 토너먼트 주최자에게 많은 제약을 가했고, OGN은 OWL/OWC 서킷 밖에서 토너먼트를 개최하기 어려워졌다.[8]

3. 주요 리그 및 프로그램

OGN은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과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를 토대로 스타크래프트 대회를 열었다.[9] 2000년 7월 24일에 24시간 방송을 시작했으며, 게임과 관련된 모든 프로그램을 자체 제작했다. OGN의 각종 프로그램은 10대와 20대 남성 시청률 1위를 기록하기도 했다.

OGN은 스타크래프트 뿐 아니라, 리그 오브 레전드, 오버워치 등 다양한 게임 리그를 개최했다. 주요 리그 및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OGN은 다양한 게임 관련 프로그램을 제작, 방영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표를 참고할 수 있다.

프로그램명
생방송 게임콜
생방송 PC방
생방송 비비빅(비바 빅토리)
생방송 후비고
C U @ Battle.net
I LOVE STAR
해피 버스데이 온게임넷
스타리그 DAY
스쿨 쇼다운
스타 N 스타
동행
쇽쇽드라마 Brrr
심야의 라이브 배틀
I LOVE 온게임넷(10주년 특집)
게임박스
게임플러스 (G-People)
스타브레인
리얼스토리 프로게이머
전사도
스타 7224
라인업 엄 VS 김
김태형, 김정민의 경기 뒷담화
이기자! 테란, 싸우자! 프로토스, 나가자! 저그
PLAYPLE NOW
바투여신전
e스토리
라이브배틀
SD건담리그
열혈사커리그
케로로파이터 리그
길수현의 네이비필드
오르카 투나잇
지지배 (내숭발칙 여고생일기)
게임 익스프레스
스페셜포스 마스터리그
e-Sports Center
DO THE G
한영의 락유
티아라닷컴
e-stars Seoul 2011
SF 하이파이브 마스터즈
까요톱텐
고수와 하수가 만났을때.AVI
복수용달
아이템 DREAM
창천동 텐트하우스
종을 울려라! C2TOWN
스타 CSI
2009 NF LEAGUE
월드바투리그
창천리그
투혼 2010
케로로배틀
테트리스리그
B 스페셜포스 11차 마스터리그
투혼2010 SSF IV
난 스타본다 시즌 1,2,3
국가대표
G마켓 마구마구 프로리그
HOT6 카스온라인 동아시아대회
온게임넷 2010 NF League
레알전투! 배틀스타
셔틀탈출기 내가 용자라니
캐!공감!프로젝트,퀘이크하다가...
용선생의 매너파이터
2000 컬렉션
드리머
배틀Feel걸
스페셜걸스주니어시즌2
성캐의 야(夜)생중계 - 7차 던파걸 서바이벌 오디션
아발론 리그
서든어택 슈퍼리그
카오스 클랜 배틀
양민이 뿔났다
스페셜걸스 시즌3 G5
온게임넷 랭킹쇼 시즌1,2
하트비트 메가폰
황혼에서 새벽까지
온게임넷 어워즈
크리에이티브 던파
IeSF 벨로스터HD 국가대표 선발전
슈퍼앱코리아!
내가 니 앱이다! 시즌 1,2,3
게임톡
대한민국 게임상황실 GP
스마트 IT 수다
G맨 게임종결자 시즌 1,2,3
탕탕탕 강예빈이 쏜다
박완규의 스2라이크
Directors! 시즌 1,2
김정민의 스팀팩SC2
Hello SA SUDDEN ATTACK
기사님올라잇:사이퍼즈
레알귀농스쿨
728호 아저씨의 게임이야기
월드오브탱크 DEAD OR ALIVE
LOL 서머레슨
SK planet 스타 프로리그 12-13
더 테스터
카스2 임진왜란
TG 삼보 Intel A.V.A 오픈챌린지
도타 2나잇
갤럭시노트3배 전국민 모두의마블 대회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
롤챔스 코멘터리
액션토너먼트 던전앤파이터 & 사이퍼즈
YES GAME TALK
In & Out 시즌 1,2,3,4
클템의 夜한 방
권이슬의 심해탈출기
히로인 오브 더 스톰
간만에 스타 뒷담화
왓따! 풍선껌크게불기 챔피언쉽 시즌 1,2, 3,4
소원의 섬 캐릭아일랜드 시즌 1,2,3,4 (투니버스와 공동 방영)
만년다이아 이슬이를 부탁해
True LoL Show - 트롤쇼
백발백중 챌린지
서머너즈워: 정복자들 시즌 1,2,3
지구를 지켜라
워치맨 EXPANSION
붉은 수염의 비밀 : 파이러츠워
퍼펙트 센스 VR
PSS 부트캠프
게임플러스
켠왕켜놩
킬미더머니


3. 1. 온게임넷 스타리그 (OSL)

온게임넷 스타리그(OSL)는 온게임넷에서 방송했던 반기별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였다. 1999년 10월부터 2012년 8월까지 총 34번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OSL이 개최되었다. 스타리그는 1999년부터 시작되었지만, 2001년이 되어서야 프로적인 환경을 갖추게 되었다.[4]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프로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인 스타리그는 많은 사람들에게 세계에서 가장 권위 있는 ''스타크래프트'' 토너먼트로 여겨졌다.

99 프로게이머 코리아 오픈과 2000 하나로통신배 투니버스 스타리그를 토대로, OGN은 한국에서 ''스타크래프트''의 인기를 따라가기 위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으로 시작하여, 2000년에 스타리그를 자체 채널로 만들 수 있었다. 적은 상금과 소수의 팬으로 시작한 스타리그는 12년의 역사 동안 엄청난 성장을 이루었다. 이는 e스포츠를 한국의 주요 경쟁 스포츠로 끌어올렸으며, 다른 프로 스포츠보다 더 많은 시청자를 확보했다. 이러한 스타리그 행사는 정기적으로 5만 명 이상의 팬을 끌어모았다.[3] 첫 번째 OSL에서 기욤 패트리는 스타리그가 시작된 이후 개인 리그에서 우승한 최초이자 유일한 비한국인 선수가 되었다. 2012년 6월, 스타리그는 ''스타크래프트 II''로 공식 전환되었다.[4][5]

3. 2. 프로리그

프로리그는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팀 리그였으며, 과거에는 OGN과 MBC게임에서 주최했다. MBC게임 폐국 후 OGN에서 단독으로 주최했다. 프로리그는 팬들이 좋아하는 팀이나 선수를 응원하고, 유망한 아마추어 선수들이 방송 환경에서 경쟁할 기회를 제공했다.

2003년 3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총 31번의 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프로리그가 열렸다. 2012년 12월부터 프로리그는 스타크래프트 II로 종목을 변경했다. 이는 Evil Geniuses와 Team Liquid의 협력을 통해 한국 팀이 아닌 팀이 처음으로 프로리그에 참가한 사건이다.[3]

3. 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LCK)

더 챔피언스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열린 최고 수준의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였다. 이 토너먼트는 2012년 3월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어 2015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이후 더 챔피언스는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 얼마 지나지 않아 리그 오브 레전드 개발사인 라이엇 게임즈(Riot Games)가 LCK 중계권을 OGN과 경쟁사인 SPOTV로 분할하기로 결정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많은 팬들은 SPOTV의 e스포츠 방송 경험 부족과 OGN의 한국 e스포츠 발전에 대한 오랜 헌신, 그리고 e스포츠 업계 전체의 선두 주자로서의 역할을 고려할 때, OGN과 SPOTV로 시간을 분할하는 결정에 실망했다.[6] 2019년, LCK가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제작하는 자체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OGN의 LCK 방송 운영은 종료되었다. 이 전환은 모든 LCK 경기의 새로운 장소로 기능할 새로운 경기장이자 스튜디오인 LoL Park의 건설 및 개장과 동시에 이루어졌다.[7]

3. 4. 오버워치 APEX

''오버워치'' APEX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린 ''오버워치'' e스포츠 주요 토너먼트 시리즈였다. ''오버워치'' 리그에서 많은 선수들이 초기에 성공을 거둔 곳이기도 하다. 첫 번째 시즌은 2016년 말에 시작되었으며, 각 토너먼트 시즌은 여러 달에 걸쳐 진행되었고, 각 시즌 사이에는 휴식 기간이 있었다. 짧은 1년 동안 APEX 토너먼트는 당시 최고 수준의 ''오버워치'' 경쟁으로 여겨졌다. 처음 세 시즌 동안 매 시즌 4개의 서양 팀이 한국의 12개 팀과 경쟁하기 위해 초청되었다. 2017년 7월, APEX 시즌 4부터 더 이상 서양 팀을 초청하지 않으며, APEX 시즌 3의 모든 팀과 챌린저스 시즌 4의 상위 5개 팀이 APEX 시즌 4로 바로 승격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APEX 토너먼트는 2018년 초 블리자드의 자체 제작 ''오버워치'' 리그가 첫 시즌을 시작하면서 시즌 4 이후 종료되었다. OGN은 컨텐더스 코리아를 중계할 권한을 얻지 못했고, 블리자드는 모든 ''오버워치'' e스포츠 활동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하기 위해 제3자 토너먼트 주최자에게 많은 제약을 가했다. 이로 인해 OGN이 메인 OWL/OWC 서킷 밖에서 토너먼트를 계속 개최하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게 되었다.[8]

3. 5. 기타 프로그램

프로그램명
생방송 게임콜
생방송 PC방
생방송 비비빅(비바 빅토리)
생방송 후비고
C U @ Battle.net
I LOVE STAR
해피 버스데이 온게임넷
스타리그 DAY
스쿨 쇼다운
스타 N 스타
동행
쇽쇽드라마 Brrr
심야의 라이브 배틀
I LOVE 온게임넷(10주년 특집)
게임박스
게임플러스 (G-People)
스타브레인
리얼스토리 프로게이머
전사도
스타 7224
단유기 (LOL)
라인업 엄 VS 김
김태형, 김정민의 경기 뒷담화
이기자! 테란, 싸우자! 프로토스, 나가자! 저그
PLAYPLE NOW
바투여신전
e스토리
라이브배틀
SD건담리그
열혈사커리그
케로로파이터 리그
길수현의 네이비필드
오르카 투나잇
지지배 (내숭발칙 여고생일기)
게임 익스프레스
스페셜포스 마스터리그
e-Sports Center
DO THE G
한영의 락유
티아라닷컴
e-stars Seoul 2011
SF 하이파이브 마스터즈
까요톱텐
고수와 하수가 만났을때.AVI
복수용달
아이템 DREAM
창천동 텐트하우스
종을 울려라! C2TOWN
스타 CSI
2009 NF LEAGUE
월드바투리그
창천리그
투혼 2010
케로로배틀
테트리스리그
B 스페셜포스 11차 마스터리그
투혼2010 SSF IV
난 스타본다 시즌 1,2,3
국가대표
용선생의 매너파일런
G마켓 마구마구 프로리그
HOT6 카스온라인 동아시아대회
온게임넷 2010 NF League
레알전투! 배틀스타
셔틀탈출기 내가 용자라니
SF 프로리그
카스온라인 리그
캐!공감!프로젝트,퀘이크하다가...
용선생의 매너파이터
2000 컬렉션
돌아온 뒷담화
드리머
배틀Feel걸
스페셜걸스주니어시즌2
성캐의 야(夜)생중계 - 7차 던파걸 서바이벌 오디션
아발론 리그
서든어택 슈퍼리그
카오스 클랜 배틀
양민이 뿔났다
스페셜걸스 시즌3 G5
온게임넷 랭킹쇼 시즌1,2
하트비트 메가폰
신애와 밤샐기세.scx
황혼에서 새벽까지
온게임넷 어워즈
크리에이티브 던파
IeSF 벨로스터HD 국가대표 선발전
슈퍼앱코리아!
내가 니 앱이다! 시즌 1,2,3
게임톡
던전앤파이터 리그
사이퍼즈 리그
대한민국 게임상황실 GP
스마트 IT 수다
TEKKEN BUSTERS
G맨 게임종결자 시즌 1,2,3
탕탕탕 강예빈이 쏜다
박완규의 스2라이크
Directors! 시즌 1,2
김정민의 스팀팩SC2
Hello SA SUDDEN ATTACK
기사님올라잇:사이퍼즈
카트라이더 리그
레알귀농스쿨
728호 아저씨의 게임이야기
월드오브탱크 DEAD OR ALIVE
LOL 서머레슨
SK planet 스타 프로리그 12-13
스타리그
더 테스터
카스2 임진왜란
한판만 시즌 1,2
TG 삼보 Intel A.V.A 오픈챌린지
도타 2나잇
더 지니어스: 룰 브레이커 비하인드
갤럭시노트3배 전국민 모두의마블 대회
WCG
하스스톤 인비테이셔널
롤챔스 코멘터리
액션토너먼트 던전앤파이터 & 사이퍼즈
YES GAME TALK
In & Out 시즌 1,2,3,4
스타행쇼 시즌 1,2,3,4,5
클템의 夜한 방
LOL Night Show - 나는 캐리다
하스스톤 아옳옳옳
권이슬의 심해탈출기
LoL 마스터즈
히로인 오브 더 스톰
간만에 스타 뒷담화
왓따! 풍선껌크게불기 챔피언쉽 시즌 1,2, 3,4
대배틀
소원의 섬 캐릭아일랜드 시즌 1,2,3,4 (투니버스와 공동 방영)
소닉 스타리그
만년다이아 이슬이를 부탁해
True LoL Show - 트롤쇼
백발백중 챌린지
서머너즈워: 정복자들 시즌 1,2,3
지구를 지켜라
하스스톤 마스터즈 코리아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슈퍼리그
한판만
워치맨 EXPANSION
붉은 수염의 비밀 : 파이러츠워
퍼펙트 센스 VR
PSS 부트캠프
게임플러스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오버워치 APEX
월드오브탱크 리그
켠김에 왕까지
인텔 펍지 코리아 컨텐더스 리그
카트라이더 리그
켠왕켜놩
킬미더머니


4. 슬로건

기간슬로건
2000년 7월 24일 ~ 2006년 12월 31일가지고 노는 TV
2007년 1월 1일 ~ 2009년 12월 31일E스포츠의 중심
2010년 1월 1일 ~ 2010년 7월 31일P.L.A.Y
2010년 8월 1일 ~ 2010년 10월 31일It's Just a GAME
2010년 11월 1일 ~ 2011년 7월 31일SMART 'n GAME
2011년 8월 1일 ~ 2012년 10월 18일SMART 'n GAME Level up
2012년 10월 19일 ~ 2013년 8월 4일ORIGIN & FUTURE
2013년 8월 5일 ~ 2018년 7월 23일e-Sport to e-Culture
2018년 7월 24일 ~ 2019년 12월 31일GAME CHANGER!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파티모집 OGN팟!, 20주년 OGN!
2021년 1월 1일 ~ 2024년 12월 31일공석(없음)
2025년 1월 1일 ~ 현재공석(없음)


5. 비판 및 논란

OGN은 리그 오브 레전드와 오버워치 e스포츠 리그 운영 및 중계권과 관련하여 여러 논란에 휩싸였다. 라이엇 게임즈LCK 중계권을 OGN과 SPOTV로 분할하고, 2019년부터는 자체 제작 방식으로 전환하면서 OGN의 LCK 중계는 종료되었다.[6][7] 또한, 블리자드오버워치 리그를 자체 제작하면서 OGN의 컨텐더스 코리아 중계 권한을 박탈하고, 제3자 토너먼트 주최사에 제약을 가했다.[8]

5. 1. 리그 운영 및 중계권 분쟁

더 챔피언스는 2012년부터 2015년까지 한국에서 열린 최고 수준의 ''리그 오브 레전드'' 대회였다. 2012년 3월에 공식적으로 시작되어 2015년까지 진행되었으며, 이후 더 챔피언스는 LCK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얼마 지나지 않아 ''리그 오브 레전드'' 개발사인 라이엇 게임즈가 LCK 중계권을 OGN과 경쟁사인 SPOTV로 분할하기로 결정하면서 논란이 일었다. 많은 팬들은 SPOTV의 e스포츠 방송 경험 부족과 OGN의 한국 e스포츠 발전에 대한 오랜 헌신, 그리고 e스포츠 업계 전체의 선두 주자로서의 역할을 고려할 때, OGN과 SPOTV로 시간을 분할하는 논란이 많은 결정에 실망했다.[6] 2019년, LCK가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제작하는 자체 방송으로 전환되면서 OGN의 LCK 방송 운영은 라이엇 게임즈에 의해 종료되었다. 이 전환은 모든 LCK 경기의 새로운 장소로 기능할 새로운 경기장이자 스튜디오인 LoL Park의 건설 및 개장과 동시에 이루어졌다.[7]

''오버워치'' APEX는 한국에서 처음으로 열린 ''오버워치'' e스포츠의 주요 토너먼트 시리즈였으며, 이후 ''오버워치'' 리그에서 많은 선수들이 초기 성공을 거둔 곳이다. 첫 번째 시즌은 2016년 말에 시작되었으며, 각 토너먼트 시즌은 여러 달에 걸쳐 진행되었고, 각 시즌 사이에 휴식 기간이 있었다. 짧은 1년 동안 APEX 토너먼트는 당시 최고 수준의 ''오버워치'' 경쟁으로 여겨졌다. 처음 세 시즌 동안 매 시즌 4개의 서양 팀이 한국의 12개 팀과 경쟁하기 위해 초청되었다. 2017년 7월, APEX 시즌 4부터 더 이상 서양 팀을 초청하지 않으며, APEX 시즌 3의 모든 팀과 챌린저스 시즌 4의 상위 5개 팀이 APEX 시즌 4로 바로 승격될 것이라고 발표되었다.

APEX 토너먼트는 2018년 초 블리자드의 자체 제작 ''오버워치'' 리그가 첫 시즌을 시작하면서 시즌 4 이후 종료되었다. OGN은 컨텐더스 코리아를 중계할 권한을 얻지 못했고, 모든 ''오버워치'' e스포츠 활동에 대한 통제권을 확립하기 위해 블리자드는 제3자 토너먼트 주최자에게 많은 제약을 가하여, OGN이 메인 OWL/OWC 서킷 밖에서 토너먼트를 계속 개최하려는 희망을 사실상 끝냈다.[8]

6. 관련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League stats site OP.GG acquires famous former LCK broadcasters OGN https://dotesports.c[...] 2022-06-03
[2] 웹사이트 Reports: OGN to Shut Down at the End of the Year https://archive.espo[...] 2020-11-25
[3] 웹사이트 South Korea, the Mecca of e-Sports http://www.korea.net[...]
[4] 웹사이트 OnGameNet StarLeague becomes a StarCraft 2 league http://www.gosugamer[...]
[5] 웹사이트 KeSPA-OGN launch SC2 Leagues http://www.sk-gaming[...]
[6] Citation The Rise And Fall Of An Esports Giant - What Happened To OGN? https://www.youtube.[...] 2021-04-04
[7] 웹사이트 Riot plans to take over LCK production in 2019, open LoL Park studio https://dotesports.c[...] 2021-04-04
[8] Citation The Rise And Fall Of An Esports Giant - What Happened To OGN? https://www.youtube.[...] 2021-04-04
[9] 뉴스 온게임넷이 걸어온 길... OGN이 걸어갈 길 http://www.inven.co.[...] 인벤 2015-07-24
[10] 뉴스 게임전문 케이블TV `온게임넷' 개국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00-06-28
[11] 뉴스 '온게임넷' 서 MTV 방송한다 外 http://www.munhwa.co[...] 문화일보 2000-12-28
[12] 뉴스 CJ ENM, 'OGN' 매각…"대표 브랜드 위주 재편" https://www.etnews.c[...] 전자신문 2022-05-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