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만 수화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만 수화(TSL)는 일본 수화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으며, 일본 수화 계열에 속한다. 일본 수화 및 한국 수화와 상호 이해 가능성이 있으며, 일본 수화와 약 6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 타이베이와 타이난을 중심으로 두 가지 주요 방언이 존재하며, 중화민국 시대에 중국 수화의 영향을 받았다. 1970년대부터 언어학적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2003년에는 국제 심포지엄이 개최되었다. 대만 수화는 비수지 신호를 포함하며, 2020년 영화 《사일런트 포레스트》에 사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화 - 일본 수화
    일본 수화는 일본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문법 구조를 가진 자연 언어로, 비수지 신호와 손, 손가락, 팔의 움직임을 사용하여 의사소통하며 한국 수화와 대만 수화에 영향을 주었고 일본어와는 다른 언어 체계를 가진다.
  • 수화 - 미국 수화
    미국 수화는 미국과 캐나다에서 사용되는 수화 언어로, 1817년 미국 농아학교에서 여러 수화를 결합해 탄생했으며, 청각 장애인 커뮤니티의 의사소통 수단이자 독립된 언어로서 인정받아 여러 지역과 국가에서 활용된다.
  • 대만의 언어 - 중국어
    중국어는 시노티베트어족에 속하며, 방언 간 차이가 크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상호 이해가 가능하고, 표준 중국어는 베이징 관화를 기반으로 중화인민공화국 등에서 공용어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 변화를 겪고 주변 국가에 영향을 미쳤다.
  • 대만의 언어 - 아미어
    아미어는 대만 원주민인 아미족이 사용하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 언어로, 다섯 가지 방언으로 나뉘며 VSO 어순을 따르고, 화련현과 타이둥현 지역에서 주로 사용된다.
대만 수화
언어 정보
이름대만 수화
자기 이름Taiwan Ziran Shouyu
사용 국가타이완
사용자 수20,000명 (2004년)
언어학적 분류
어족일본 수화 어족
언어 코드
ISO 639-3tss
Glottologtaiw1241

2. 역사

대만 수화(TSL)의 기원은 1895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4] 대만 수화는 타이베이, 타이난, 타이중을 중심으로 방언이 나타나는데, 이 중 타이베이와 타이난 방언이 주류를 이룬다. 타이중 방언은 타이난 방언과 본질적으로 같다.

2. 1. 일제강점기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 대만 수화가 발전했다. 대만 수화는 일본 수화 계열의 일부로 간주된다.[4] 일제강점기 대만에서 1915년 타이난, 1917년 타이베이에 농학교가 설립되면서 일본의 농아 교사들에 의해 일본 수화가 전래되었다.[4] 이 시기의 대만 수화는 일본 수화와 같은 언어였다. 1945년, 대만이 중화민국에 접수되었지만, 계속해서 일본 수화가 가르쳐졌다. 그러나 나중에 중국 대륙에서 사용되던 중국 수화의 영향을 지속적으로 받았고, 수십 년의 분리로 인해 대만 수화는 일본 수화와 달라졌다.[4] 대만 수화는 일본 수화 및 한국 수화와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수화와는 약 6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4]

2. 2. 중화민국 시대

일본 통치 시대의 대만에서 일본 수화가 사용되면서 대만 수화가 발전했다. 대만 수화는 일본 수화 계열의 일부로 간주된다.[4] 대만 수화는 일본 수화 및 한국 수화와 어느 정도 상호 이해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 수화와는 약 60%의 어휘 유사성을 보인다.

중화민국이 대만을 접수한 후, 중국 출신의 중국 수화 사용자들이 대만으로 유입되어, 교육 방법과 차용어를 통해 대만 수화에 영향을 미쳤다.[4]

2. 3. 언어학적 연구

대만 수화(TSL)에 대한 본격적인 언어학적 연구는 1970년대에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계속되고 있다.[4] 최초의 대만 수화 언어학에 관한 국제 심포지엄은 2003년 3월 1일부터 2일까지 자이현 민슝에 있는 중정대학교에서 개최되었다.

3. 기능적 표시

대만 수화(TSL)는 다른 수화들과 마찬가지로 어휘적, 통사적, 담화적, 정서적 기능을 가진 비수지 신호(nonmanual marker)를 포함한다.[1] 여기에는 눈썹을 치켜뜨거나 찌푸리기, 얼굴 찡그리기, 고개 흔들기나 끄덕이기, 상체 기울이거나 움직이기 등이 포함된다.[1]

4. 대중문화

2020년 심리 스릴러 영화 사일런트 포레스트는 대사에 타이베이 변이체의 대만 수화(TSL)를 상당히 많이 사용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Movie prompts ministry official to pledge initiative against sexual harassment https://www.taipeiti[...] 2021-02-09
[2] 웹사이트 Taiwanese Sign Language at Ethnologue (18th ed., 2015) http://www.ethnologu[...]
[3] 서적 Variation in East Asian Sign Language Structures Google Books 2010
[4] 논문 Taiwan Sign Language Research: An Historical Overvi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