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서양계동물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서양계동물군은 아프리카상목과 이구치상목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아프리카상목은 코끼리, 바위너구리, 땅돼지 등을 포함하며, 이구치상목은 개미핥기, 나무늘보, 아르마딜로 등을 포함한다.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류에 따르면 북방진수류와 대립되는 분류군으로, Epitheria 또는 Notorgia 가설을 통해 북방진수류와의 관계가 논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서양계동물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학명 | Atlantogenata |
| 명명자 | Waddell 등, 1999 |
| 화석 범위 | 고제3기 새벽세 ~ 현재 |
| 하위 분류군 계층 | 하위 그룹 |
| 하위 분류군 | 아프리카수아강: 빈치상목: |
| 계통 분류 | |
| 상위 분류 | 유태반류 |
2. 다른 가설
트랜스포저블 요소 도입 분석에 의한 분기 시기 측정 결과, 진수류는 크게 세 개의 클레이드인 아프리카상목, 이구치상목, 북방진수류로 나뉜다는 것이 밝혀졌다.[14][15]
2. 1. Epitheria 가설
아프리카상목과 북방진수류를 결합하여 Epitheria를 구성한다는 가설이 있으며, 이 가설은 생리학적 특징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12]2. 2. Notorgia 가설
이구치류와 북방진수류를 결합하여 Notorgia라는 분류군을 구성한다는 가설이다.[13]3. 분자생물학적 계통 분류
트랜스포저블 요소 도입 분석에 의한 분기 시기 측정 결과, 진수류는 아프리카상목, 이구치상목, 북방진수류의 세 클레이드로 나뉜다.[14][15]
아프리카상목과 북방진수류를 결합하여 Epitheria를 구성한다는 가설이 있는데, 이는 생리학적 특징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12] 이구치류와 북방진수류를 결합하여 Notorgia를 구성한다는 가설도 있다.[13]
3. 1. 대서양계 (Atlantogenata)
아프리카상목과 이구치상목을 묶어 대서양계(Atlantogenata영어)라고 부르며, 아프리카 대륙 기원의 포유류를 포함하는 분류군이다. 북방진수류와 이구치류를 결합하여 Notorgia를 구성한다는 가설도 있다.[13] 진수류는 트랜스포저블 요소 도입 분석에 의한 분기 시기 측정에 따라 크게 아프리카수류, 이구치류, 북방진수류의 세 클레이드로 나뉜다.[14][15]3. 1. 1. 아프리카상목 (Afrotheria)
진수류는 크게 아프리카상목, 이구치류, 북방진수류의 세 클레이드로 나뉜다.[14][15] 아프리카상목과 북방진수류를 결합하여 Epitheria를 구성한다는 가설도 있으며, 이는 생리학적 특징에 의해 지지받고 있다.[12] Afrotheria영어는 아프리카상목을 의미한다.3. 1. 2. 이구치상목 (Xenarthra)
이구치상목은 남아메리카 기원의 포유류를 포함한다. 여기에는 개미핥기, 나무늘보, 아르마딜로 등이 속한다.[14][15]3. 2. 북방진수류 (Boreoeutheria)
북방진수류는 진수류를 구성하는 세 개의 클레이드 중 하나로, 아프리카상목, 이구치류와 함께 분류된다.[14][15] 이구치류와 북방진수류를 합쳐 Notorgia라는 분류군을 구성한다는 가설[13], 아프리카상목과 북방진수류를 합쳐 Epitheria라는 분류군을 구성한다는 가설이 있으며, Epitheria 가설은 생리학적 특징으로 지지받고 있다.[12]북방진수류는 진주류상목과 로라시아수류상목으로 나뉜다.
3. 2. 1. 진주류상목 (Euarchontoglires)
진주류상목은 북방진수류의 한 분기군으로, 영장류와 설치류 등을 포함한다.[14][15]3. 2. 2. 로라시아수류상목 (Laurasiatheria)
트랜스포저블 요소 도입 분석에 따른 분기 시기 측정 결과, 진수류는 크게 아프리카수류, 이구치류, 북방진수류의 세 클레이드로 나뉜다.[14][15] 북방진수류는 다시 진주류상목과 로라시아수류상목으로 나뉜다.참조
[1]
논문
Assessing the Cretaceous Superordinal Divergence Times within Birds and Placental Mammals by Using Whole Mitochondrial Protein Sequences and an Extended Statistical Framework
[2]
서적
Comparative Mammalian Immunology: The Evolution and Diversity of the Immune Systems of Mammals
https://books.google[...]
Academic Press
2024-12-16
[3]
논문
Towards Resolving the Interordinal Relationships of Placental Mammals
[4]
논문
Using genomic data to unravel the root of the placental mammal phylogeny
[5]
논문
Evolution of the mammalian placenta revealed by phylogenetic analysis
[6]
논문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7]
논문
Mosaic retroposon insertion patterns in placental mammals
[8]
서적
"生物の進化大事典"
三省堂
[9]
논문
Assessing the Cretaceous Superordinal Divergence Times within Birds and Placental Mammals by Using Whole Mitochondrial Protein Sequences and an Extended Statistical Framework
[10]
논문
Towards Resolving the Interordinal Relationships of Placental Mammals
[11]
논문
Using genomic data to unravel the root of the placental mammal phylogeny
[12]
논문
Evolution of the mammalian placenta revealed by phylogenetic analysis
[13]
웹사이트
Evolution of the mammalian placenta revealed by phylogenetic analysis
https://www.ncbi.nlm[...]
2023-03-30
[14]
논문
Mosaic retroposon insertion patterns in placental mammals
[15]
논문
Retroposon analysis and recent geological data suggest near-simultaneous divergence of the three superorders of mammals
[16]
논문
Assessing the Cretaceous Superordinal Divergence Times within Birds and Placental Mammals by Using Whole Mitochondrial Protein Sequences and an Extended Statistical Framework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