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마딜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마딜로는 멸종된 Pampatheriidae, 아홉띠아르마딜로과, 요정아르마딜로과로 크게 분류된다. 아홉띠아르마딜로과는 아홉띠아르마딜로아과와 여러 멸종된 속을 포함하며, 요정아르마딜로과는 요정아르마딜로아과,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멸종된 글립토돈아과, 세띠아르마딜로아과를 포함한다. 2017년 연구에 따르면 아르마딜로는 피갑목에 속하며, 주머니쥐과와 털쥐과가 빈치류 내에서 기저 분지를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빈치류 - 나무늘보
나무늘보는 남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열대우림에 사는 피르아목 포유류로, 느린 움직임, 잎을 주식으로 하는 낮은 대사율, 털에 서식하는 생물과의 공생 관계가 특징이며,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위협받고 있다. - 빈치류 - 개미핥기
개미핥기는 긴 주둥이와 끈적한 혀로 개미와 흰개미를 먹는 이빨없는동물 상목의 포유류로, 숲과 사바나 등 신세계에 서식하며 일부 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 아르마딜로 - 아홉띠아르마딜로
아홉띠아르마딜로는 아메리카 대륙에 서식하며 갑각에 아홉 개의 띠를 가진 아르마딜로의 일종으로, 곤충을 주식으로 하고 미국 남부에서 서식지를 넓혀가며 나병 연구에 기여하는 등 인간과도 관련이 있다. - 아르마딜로 - 여섯띠아르마딜로
여섯띠아르마딜로는 남아메리카에 분포하며 6~7개의 띠가 있는 등딱지를 가진 주머니아르마딜로과 Euphractus 속의 유일한 종으로, 다양한 서식지에 적응하여 잡식성 식단을 섭취하고 굴을 파는 습성이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로드킬로 인해 IUCN 관심 필요 대상으로 분류되어 개체수 감소 위협을 받고 있다. - 동물 향명 - 맹금류
맹금류는 날카로운 발톱과 부리를 가진 사나운 새를 통칭하며, 생태계 최상위 포식자로서 뛰어난 시력과 비행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수리, 매, 독수리, 올빼미 등이 대표적이고,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동물 향명 - 돌고래
돌고래는 이빨고래류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의 총칭으로, 다양한 종이 존재하며 높은 지능과 사회성을 가지지만, 서식지 파괴, 환경 오염 등으로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아르마딜로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분류 | |
상위 분류 | 빈치류 |
목 | 피갑목 |
과 | 아홉띠아르마딜로과 요정아르마딜로과 |
학명 | |
과 | Dasypodidae |
명명자 | Gray, 1821 |
모식속 | Dasypus |
모식속 명명자 | Linnaeus, 1758 |
하위 분류 | |
속 | †Acantharodeia †Amblytatus †Anadasypus †Archaeutatus †Astegotherium †Barrancatatus †Chasicotatus †Chorobates †Coelutaetus Dasypus †Eocoleophorus †Epipeltecoelus †Eutatus †Hemiutaetus †Isutaetus †Lumbreratherium †Macrochorobates †Mazzoniphractus †Meteutatus †Nanoastegotherium †Parastegosimpsonia †Pedrolypeutes †Pliodasypus †Prodasypus †Proeutatus †Propraopus †Prostegotherium †Pucatherium †Punatherium †Riostegotherium †Stegotherium †Stenotatus †Utaetus |
생물학적 특징 | |
화석 발견 시기 | 에오세 초기부터 현재까지 |
영문명 | Armadilo |
스페인어명 | Dasypodidae |
케추아어명 | Kirkinchu |
문화어명 | 알마딜로 |
![]() |
2. 하위 분류
아르마딜로는 크게 다음과 같은 주요 분류군으로 나뉜다.
- † Pampatheriidae
- 아홉띠아르마딜로과 (Dasypodidae)
- * 아홉띠아르마딜로아과 (Dasypodinae)
- 요정아르마딜로과 (Chlamyphoridae)
- * 요정아르마딜로아과 (Chlamyphorinae)
- *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Euphractinae)
- * † 글립토돈아과 (Glyptodontinae)
- * 세띠아르마딜로아과 (Tolypeutinae)
2. 1. 아홉띠아르마딜로과 (Dasypodidae)
아홉띠아르마딜로아과 (Dasypodinae)와 여러 † 속으로 구성된다.2. 1. 1. † 속
- † 아칸타로데이아 (Acantharodeia)
- † 암블리타투스 (Amblytatus)
- † 아르케우타투스 (Archaeutatus)
- † 아스테고테리움 (Astegotherium)
- † 바란카타투스 (Barrancatatus)
- † 카시코타투스 (Chasicotatus)
- † 코로베이테스
- † 코엘루타투스 (Coelutaetus)
- † 에오콜레오포루스 (Eocoleophorus)
- † 에피펠테코엘루스 (Epipeltecoelus)
- † 에우타투스 (Eutatus)
- † 헤미우타투스 (Hemiutaetus)
- † 이수타투스 (Isutaetus)
- † 룸브레라테리움 (Lumbreratherium)
- † 마크로코로베이테스 (Macrochorobates)
- † 마조니프락투스 (Mazzoniphractus)
- † 메테우타투스 (Meteutatus)
- † 페드롤리페우테스 (Pedrolypeutes)
- † 프로다시푸스 (Prodasypus)
- † 프로에우타투스 (Proeutatus)
- † 프로스테고테리움 (Prostegotherium)
- † 푸카테리움 (Pucatherium)
- † 푸나테리움 (Punatherium)
- † 스테고테리움 (Stegotherium)
- † 스테노타투스 (Stenotatus)
- † 우타투스 (Utaetus)
2. 1. 2. 아홉띠아르마딜로아과 (Dasypodinae)
아래는 아홉띠아르마딜로아과에 속하는 아르마딜로의 분류 체계이다.- 아과 다시포디나에 (Dasypodinae)
- † 족 아스테고테리이니 (Astegotheriini)
- † 속 나노아스테고테리움 (Nanoastegotherium)
- † 속 파라스테고심프소니아 (Parastegosimpsonia)
- † 속 리오스테고테리움 (Riostegotherium)
- † 속 아스테고테리움 (Astegotherium)
- † 속 스테고심프소니아 (Stegosimpsonia)
- 족 다시포디니 (Dasypodini)
- † 속 아나다시푸스 (Anadasypus)
- 속 다시푸스 (Dasypus)
- † 속 플리오다시푸스 (Pliodasypus)
- † 속 프로프라오푸스 (Propraopus)
2. 2. 요정아르마딜로과 (Chlamyphoridae)
요정아르마딜로과는 아르마딜로의 한 과이다. 다음 아과들을 포함한다.- 요정아르마딜로아과
-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 †글립토돈아과
- 세띠아르마딜로아과
2. 2. 1.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Euphractinae)
여섯띠아르마딜로아과 Euphractinaela는 요정아르마딜로과 Chlamyphoridaela에 속하는 아과이다.2. 2. 2. † 글립토돈아과 (Glyptodontinae)
글립토돈아과는 멸종한 아르마딜로의 아과로, 요정아르마딜로과(Chlamyphoridae)에 속한다.2. 2. 3. 세띠아르마딜로아과 (Tolypeutinae)
세띠아르마딜로아과는 요정아르마딜로과에 속하는 아과이다.3. 계통 분류
2017년 연구에 따르면, 빈치상목은 크게 아르마딜로가 속하는 피갑목(Cingulata)과 개미핥기, 나무늘보 등이 속하는 유모목으로 나뉜다. 이 두 목은 서로 자매군 관계에 있다.[5][6]
피갑목 내에서는 주머니쥐과(Dasypodidae)와 털쥐과(Chlamyphoridae)가 주요 기저 분지를 형성한다.[1][2][3] 이 중 주머니쥐과는 피갑목 내에서 가장 먼저 분화된 것으로 여겨지며,[5][6] 과 내에서는 카플러아르마딜로(*Dasypus kappleri*)가 가장 기저에 위치하는 종이다.[1][2][3] 털쥐과는 멸종한 Pampatheriidae 및 요정아르마딜로과 등과 유연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5][6]
참조
[1]
논문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http://sedici.unlp.e[...]
2016-02-22
[2]
논문
Inferring the mammal tree: Species-level sets of phylogenies for questions in ecology, evolution and conservation
2019
[3]
논문
Shotgun Mitogenomics Provides a Reference PhyloGenetic Framework and Timescale for Living Xenarthrans
[4]
문서
천산갑과 목도리도마뱀의 유사점
[5]
논문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extinct and extant sloths: the evidence of mitogenomes and retroviruses
2016
[6]
논문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20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