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국보 (1970년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70년대 대한민국 국보 지정은 국보 제133호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부터 제200호 금동보살입상까지 이루어졌다. 이 시기에는 회화, 조각, 금속 공예, 도자기, 고문서 및 서적, 불교 경전 등 다양한 분야의 유물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대표적인 국보로는 신윤복 필 풍속도 화첩, 김정희 필 세한도, 무령왕릉 출토 유물, 천마총 출토 유물, 동국정운, 조선왕조실록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
    대한민국의 보물 (제1호 ~ 제100호)는 대한민국 정부가 지정한 보물 중 1호부터 100호까지의 문화재 목록으로, 석탑, 불상 등 다양한 종류의 문화재 정보를 담고 있으며, 문화유산 보존 및 관리에 활용된다.
  •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목록 - 대한민국의 국보 (2020년대)
    2020년대 대한민국의 국보는 공주 충청감영 측우기,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 이순신 장검, 순천 송광사 영산회상도 및 팔상도 등 과학, 불교,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의 문화재를 포함하며, 2021년 문화재 일련번호 폐지로 국보 제336호가 마지막 일련번호 국보가 되었다.
  • 대한민국의 국보 - 석굴암
    석굴암은 경덕왕 때 김대성이 짓기 시작하여 혜공왕 때 완성된 토함산 중턱의 석굴 사찰로, 석가여래좌상을 중심으로 한 아름다운 조각상들과 독창적인 건축미로 한국 불교 미술의 걸작으로 평가받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었으나, 보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국보 - 동의보감
    동의보감은 허준이 편찬하여 1613년에 간행된 조선 시대의 의서로, 조선 의학과 명나라 의학을 통합하고 실용성을 중시하여 당대 의학 지식을 집대성했으며, 2009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었다.
대한민국의 국보 (1970년대)

2. 지정 목록 (1970년대)

1970년대에는 국보 제133호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부터 제200호 금동보살입상까지 지정되었다.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970년 12월 30일에는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제133호), 금동보살삼존입상(제134호),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제135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1년 12월 21일에는 금동 용두보당(제136호)과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제137호),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제138호),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제139호), 나전 화문 동경(제140호), 정문경(제141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금동보살삼존입상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972년 3월 2일에는 동국정운(제142호),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제143호),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제144호)이, 6월 24일에는 귀면 청동로(제145호)가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3년 3월 19일에는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제146호)이, 5월 4일에는 울주 천전리 각석(제147호)이, 7월 10일에는 십칠사찬고금통요(제148호),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제149호), 송조표전총류(제150호)가 국보로 지정되었다. 12월 31일에는 조선왕조실록(제151호), 비변사등록(제152호), 일성록(제153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울주 천전리 각석


1974년 7월 9일에는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유물인 무령왕 금제관식(제154호), 무령왕비 금제관식(제155호), 무령왕 금귀걸이(제156호), 무령왕비 금귀걸이(제157호), 무령왕비 금목걸이(제158호), 무령왕 금제 뒤꽂이(제159호), 무령왕비 은팔찌(제160호),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제161호), 무령왕릉 석수(제162호), 무령왕릉 지석(제163호), 무령왕비 베개(제164호), 무령왕 발받침(제165호)를 포함하여,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제166호), 청자 인물형 주전자(제167호), 백자 동화매국문 병(제168호, 2020년 5월 30일 원나라 작품으로 판명되어 해제[1]), 청자 양각죽절문 병(제169호), 백자 청화매조죽문 유개항아리(제170호), 청동 은입사 봉황문 합(제171호), 진양군영인정씨묘출토유물(제172호), 청자 퇴화점문 나한좌상(제173호), 금동 수정 장식 촛대(제174호), 백자 상감연화당초문 대접(제175호),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제176호),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제177호),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제178호),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제179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12월 31일에는 김정희필 세한도(제180호)가 국보로 지정되었다.

무령왕 금제관식


백자 철화매죽문 항아리


1975년 10월 13일에는 장양수 홍패(제181호)가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6년 4월 23일에는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제182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제183호),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제184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제185호)이, 12월 14일에는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제186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1977년 8월 22일에는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제187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1978년 12월 7일에는 천마총에서 출토된 유물인 천마총 금관(제188호), 천마총 관모(제189호), 천마총 금제 허리띠(제190호)와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황남대총 북분 금관(제191호),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제192호),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제193호),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제194호), 토우장식 장경호(제195호)가 국보로 지정되었다.

천마총 금관


1979년 2월 8일에는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제196호)이, 5월 22일에는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제197호), 단양 신라 적성비(제198호),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제199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4월 30일에는 금동보살입상(제200호)이 국보로 지정되었다.

2. 1. 미술품 및 공예품

2. 1. 1. 회화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은 조선 후기의 화가 신윤복이 그린 풍속화 화첩이다.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1970년 12월 30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35호로 지정되었다. 이 화첩은 조선 후기 사람들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특히, 양반과 기생 등 다양한 계층의 풍속을 해학적으로 묘사하여 당시 사회상을 엿볼 수 있게 한다.

[[File:Kim Hong-do - G বাহিনীকে 묘사한 것으로, 신선들의 다양한 모습과 동작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김홍도의 뛰어난 묘사력과 독창적인 구도가 돋보이는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김정희필 세한도는 조선 후기의 문인이자 서화가인 김정희가 그린 그림이다. 1974년 12월 31일 대한민국의 국보 제180호로 지정되었다. 이 그림은 김정희가 제주도 유배 시절에 그린 것으로, 추운 겨울에도 변치 않는 소나무와 잣나무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굳은 절개를 표현하였다. 조선 문인화의 대표작으로 꼽히며, 간결하면서도 깊이 있는 필치가 돋보인다.

2. 1. 2. 조각


  • 국보 제134호 금동보살삼존입상은 섬세하고 아름다운 표현이 돋보이는 통일신라시대 불상이다.
  • 국보 제144호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은 거대한 바위에 새겨진 고려시대 불상으로, 웅장하면서도 섬세한 조각 기법이 특징이다. 특히 이 불상은 고려시대에 제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불교 미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 국보 제162호 무령왕릉 석수는 무령왕릉을 지키는 상상의 동물 조각으로, 백제의 뛰어난 조형 감각을 보여준다. 이 석수는 백제의 독창적인 예술 세계를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 국보 제199호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은 통일신라시대의 다양한 불상 조각군으로, 당시의 불교 신앙과 조각 기술을 엿볼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 특히 이 불상군은 신라 불교 미술의 다양한 양식을 한눈에 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평가된다.

2. 1. 3. 금속 공예


  • 금동 용두보당 (국보 제136호): 고려시대 불교 의식에 사용된 화려한 장식품이다.
  •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국보 제138호): 가야의 뛰어난 금속 공예 기술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가야는 42년부터 562년까지 존속한 연맹 왕국으로, 수준 높은 철기 문화를 보유했다.
  • 나전 화문 동경 (국보 제140호): 고려시대 나전칠기 기술의 정수를 보여주는 거울이다. 고려는 918년부터 1392년까지 존속한 왕조로, 나전칠기는 고려를 대표하는 공예품 중 하나였다.
  • 정문경 (국보 제141호): 청동기 시대의 정교한 거울이다.
  •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국보 제146호): 청동기 시대 제례 의식에 사용된 유물이다.
  • 무령왕 금제관식 (국보 제154호): 백제 무령왕의 왕관 장식으로, 백제는 기원전 18년부터 660년까지 존속한 국가이다. 무령왕은 백제의 중흥을 이끈 왕으로 평가받는다.
  • 무령왕비 금제관식 (국보 제155호): 백제 무령왕비의 왕관 장식이다.
  • 무령왕 금귀걸이 (국보 제156호): 백제 무령왕의 귀걸이다.
  • 무령왕비 금귀걸이 (국보 제157호): 백제 무령왕비의 귀걸이다.
  • 무령왕비 금목걸이 (국보 제158호): 백제 무령왕비의 목걸이다.
  • 무령왕 금제 뒤꽂이 (국보 제159호): 백제 무령왕의 머리 장식이다.
  • 무령왕비 은팔찌 (국보 제160호): 백제 무령왕비의 팔찌이다.
  • 무령왕릉 청동거울 일괄 (국보 제161호): 백제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청동 거울이다.
  • 천마총 금관 (국보 제188호): 신라의 화려한 금관으로, 신라는 기원전 57년부터 935년까지 존속한 국가이다. 신라는 금속 공예 기술이 매우 뛰어났다.
  • 천마총 관모 (국보 제189호): 신라의 금제 모자이다.
  • 천마총 금제 허리띠 (국보 제190호): 신라의 금제 허리띠이다.
  • 황남대총 북분 금관 (국보 제191호): 신라 최대 고분인 황남대총에서 출토된 금관이다.
  •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국보 제192호): 황남대총 북분에서 출토된 금제 허리띠이다.
  •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국보 제194호): 황남대총 남분에서 출토된 금제 목걸이이다.

2. 1. 4. 도자기

도자기는 1970년대에 지정된 대한민국의 국보 중 하나이다.

2. 2. 고문서 및 서적

2. 2. 1. 고문서


  • 동국정운 (국보 제142호): 조선 시대에 훈민정음으로 표기된 운서이다. 세종대왕의 명으로 편찬되었으며, 한국 최초의 표준음에 관한 책이라고 할 수 있다.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17 (국보 제148-1호, 148-2호): 중국 역대 왕조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조선 초기 학자 권제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6 (국보 제149-1호, 149-2호): 중국 북조의 역사를 다룬 책이다. 조선 초기 학자 박팽년 등이 왕명을 받아 편찬하였다.
  • 송조표전총류 권7 (국보 제150호): 송나라의 표문을 모아 놓은 책이다. 조선에서 계미자로 간행되었다.
  • 조선왕조실록 (국보 제151호): 조선 태조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의 역사를 기록한 책이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가치를 인정받았다.
  • 비변사등록 (국보 제152호): 조선 시대 비변사의 회의 기록이다. 임진왜란 이후 비변사의 기능이 강화되면서 중요성이 커졌다.
  • 일성록 (국보 제153호): 조선 시대 국왕의 동정과 국정을 기록한 일기이다. 정조가 세손 시절부터 쓰기 시작하여 순종 때까지 작성되었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되었다.
  • 장양수 홍패 (국보 제181호): 조선 시대 과거 급제자에게 발급한 합격 증서이다. 조선 태종 2년(1402)에 장양수에게 발급된 것으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홍패이다.

2. 2. 2. 불교 경전


  • 대한민국의 국보 제185호 '''상지은니묘법연화경'''


닥종이에 은색 글씨로 불경을 옮겨 적은 것이다.

  • 대한민국의 국보 제196호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흰 종이에 먹으로 쓴 화엄경이다.

2. 3. 기타 유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