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는 1982년부터 1990년대 초반까지 지정된 천연기념물 목록으로, 다양한 종류의 식물, 동물, 지질, 서식지를 포함한다. 이 목록에는 은행나무, 향나무, 팽나무, 곰솔, 소나무 등 수목을 비롯하여, 매, 부엉이, 기러기, 하늘다람쥐, 반달가슴곰, 수달, 점박이물범과 같은 동물, 그리고 독도 천연보호구역, 공룡 발자국 화석 산지 등 지질학적 가치를 지닌 장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일부 천연기념물은 자연 고사 또는 보존 가치 상실로 인해 지정 해제되기도 하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두루미
    두루미는 러시아, 중국, 일본 등지에서 번식하며 멸종위기종으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홋카이도 개체군은 텃새이고 잡식성이며 동아시아 문화에서 장수를 상징한다.
  •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 수달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며 유선형 몸매와 물갈퀴 등 수중 생활에 적합한 특징을 지닌 반수생 포유류로, 물고기 외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전 세계에 분포하지만 서식지 파괴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 ~ 제400호)

2. 천연기념물 목록 (제301호 ~ 제400호)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


부산 구포동 당숲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황조롱이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개리


흑기러기


검은머리물떼새


원앙


하늘다람쥐


반달가슴곰


수달


점박이물범


독도 천연보호구역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해제)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


영월 청령포 관음송


보은 서원리 소나무

  • 제301호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관리한다.
  • 제302호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관리한다.
  • 제303호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관리한다.
  • 제304호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관리한다.
  • 제305호 청원 공북리 음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관리한다.
  • 제306호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는 1982년 11월 9일 지정되었다가 2000년 2월 3일 해제되었다. 하천, 지하수, 토성 등의 입지 조건과 생육 환경 악화로 인해 자연 고사하였다.
  • 제307호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관리한다.
  • 제308호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는 1982년 11월 9일 지정되었다가 1983년 8월 19일 해제되었다. 보존 가치가 상실되었기 때문이다.
  • 제309호 부산 구포동 당숲은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북구에서 관리한다.
  • 제310호 무안 현경면 팽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다가, 2001년 9월 10일 해제되었다. 보존가치 상실이 해제 이유였다.
  • 제311호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관리한다.
  • 제312호 울진 화성리 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13호 청송 장전리 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관리한다.
  • 제314호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관리한다.
  • 제315호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관리한다.
  • 제316호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다가 1993년 4월 16일 해제되었다. 해제 이유는 보존가치 상실이다.
  • 제317호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관리한다.
  • 제318호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19호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20호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관리한다.
  • 제321호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관리한다.
  • 제322호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관리한다.
  • 제323호 매류(참매,붉은배새매,새매,개구리매,황조롱이매)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세부 종으로는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매, 황조롱이 등이 있다.
  • 제324호 올빼미류, 부엉이류(올빼미, 수리, 솔, 칡, 쇠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세부 종으로는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등이 있다.
  • 제325호 기러기류(개리,흑기러기)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세부 종으로는 개리, 흑기러기 등이 있다.
  • 제326호 검은머리물떼새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조류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27호 원앙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조류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28호 하늘다람쥐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 제329호 반달가슴곰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 제330호 수달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사)한국수달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31호 점박이물범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 제332호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는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33호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는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34호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35호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은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관리한다. 독도는 대한민국의 동쪽 끝에 있는 섬으로, 일본과의 영토 분쟁 지역이기도 하다.
  • 제337호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는 1983년 8월 23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관리한다.
  • 제338호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는 1983년 8월 23일 지정되었다가, 2019년 7월 5일 해제되었다. 태풍 볼라벤으로 인해 고사했기 때문이다.
  • 제339호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관리한다.
  • 제340호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관리한다.
  • 제341호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42호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43호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은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44호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는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45호 통영 추도 후박나무는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46호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은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47호 제주의 제주마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48호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서 관리한다.
  • 제349호 영월 청령포 관음송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에서 관리한다.
  • 제350호 명주 삼산리 소나무는 1988년 4월 30일에 지정되었다가 2008년 12월 15일 해제되었다. 2000년부터 수세가 약화되며 자연 고사하였다.
  • 제351호 속초 설악동 소나무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서 관리한다.
  • 제352호 보은 서원리 소나무는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관리한다.
  • 제353호 서천 신송리의 곰솔은 1988년 4월 30일에 지정되었다가, 2005년 8월 19일 해제되었다.
  • 제354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관리한다.
  • 제355호 전주 삼천동 곰솔은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56호 장흥 옥당리 효자송은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관리한다.
  • 제357호 구미 독동리 반송은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관리한다.
  • 제358호 함양 목현리 구송은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관리한다.
  • 제359호 의령 성황리 소나무는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관리한다.
  • 제360호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61호 노랑부리백로는 조류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62호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은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관리한다.
  • 제363호 삼척 궁촌리 음나무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서 관리한다.
  • 제364호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관리한다.
  • 제365호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는 1990년 8월 2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관리한다.
  • 제366호 담양 관방제림은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관리한다.
  • 제367호 고창 삼인리 송악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관리한다.
  • 제368호 경산의 삽살개는 경산시에서 관리한다.
  • 제369호 흑산도 진리의 초령목은 1992년 10월 26일에 지정되었다가 2001년 11월 30일 해제되었으며, 전남 기념물 제222호로 재지정되었다.
  • 제370호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는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71호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군락은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관리한다.
  • 제372호 양구 개느삼 자생지는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서 관리한다.
  • 제373호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는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관리한다.
  •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5호 제주 납읍리 난대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6호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7호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8호 제주 천제연 난대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9호 제주 천지연 난대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80호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은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81호 이천 도립리 반룡송은 경기도 이천시에서 관리한다.
  • 제382호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는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관리한다.
  • 제383호 괴산 적석리 소나무는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관리한다.
  • 제384호 제주 당처물동굴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85호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는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86호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는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87호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은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관리한다.
  • 제388호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은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관리한다.
  • 제389호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는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관리한다.
  • 제390호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91호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은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92호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은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93호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94호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는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관리한다.
  • 제395호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96호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는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관리한다.
  • 제397호 장수 장수리 의암송은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관리한다.
  • 제398호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는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관리한다.
  • 제399호 영양 답곡리 만지송은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관리한다.
  • 제400호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는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관리한다.

2. 1. 개별 천연기념물 (301호 ~ 400호)



대한민국의 천연기념물 제301호부터 제400호까지는 식물, 동물, 지질, 서식지 등 다양한 자연 유산이 포함되어 있다.

  • '''제301호''' 청도 대전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관리한다.
  • '''제302호''' 의령 세간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관리한다.
  • '''제303호''' 화순 야사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남도 화순군에서 관리한다.
  • '''제304호'''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관리한다.
  • '''제305호''' 청원 공북리 음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북도 청원군에서 관리한다.
  • '''제307호''' 김해 천곡리 이팝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김해시에서 관리한다.
  • '''제309호''' 부산 구포동 당숲은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북구에서 관리한다.
  • '''제311호''' 부산 좌수영성지 푸조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부산광역시 수영구에서 관리한다.
  • '''제312호''' 울진 화성리 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울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13호''' 청송 장전리 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청송군에서 관리한다.
  • '''제314호''' 안동 주하리 뚝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안동시에서 관리한다.
  • '''제315호''' 인천 신현동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인천광역시 서구에서 관리한다.
  • '''제317호''' 당진 삼월리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당진시에서 관리한다.
  • '''제318호''' 월성 육통리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19호''' 함안 영동리 회화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20호''' 부여 주암리 은행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부여군에서 관리한다.
  • '''제321호''' 연기 봉산동 향나무는 1982년 11월 9일에 지정되었으며, 세종특별자치시에서 관리한다.
  • '''제322호''' 무주 일원 반딧불이와 그 먹이 서식지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북도 무주군에서 관리한다.
  • '''제323호''' 매류(참매,붉은배새매,새매,개구리매,황조롱이매)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세부 종으로는 참매, 붉은배새매, 개구리매, 새매, 알락개구리매, 잿빛개구리매, 매, 황조롱이 등이 있다.
  • '''제324호''' 올빼미류, 부엉이류(올빼미, 수리, 솔, 칡, 쇠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세부 종으로는 올빼미, 수리부엉이, 솔부엉이, 쇠부엉이, 칡부엉이, 소쩍새, 큰소쩍새 등이 있다.
  • '''제325호''' 기러기류(개리,흑기러기)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세부 종으로는 개리, 흑기러기 등이 있다.
  • '''제326호''' 검은머리물떼새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조류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27호''' 원앙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조류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28호''' 하늘다람쥐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 '''제329호''' 반달가슴곰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 '''제330호''' 수달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사)한국수달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31호''' 점박이물범은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다.
  • '''제332호''' 신안 칠발도 바닷새류(바다제비, 슴새, 칼새) 번식지는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33호''' 제주 사수도 바닷새류(흑비둘기, 슴새) 번식지는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34호''' 태안 난도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태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35호''' 통영 홍도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1982년 11월 20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36호''' 독도 천연보호구역은 1982년 11월 29일에 지정되었으며, 경상북도 울릉군에서 관리한다. 독도는 대한민국의 동쪽 끝에 있는 섬으로, 다양한 해양 생물의 서식지이자 중요한 자연 유산이다.
  • '''제337호''' 제원 송계리 망개나무는 1983년 8월 23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북도 제천시에서 관리한다.
  • '''제339호''' 완도 미라리 상록수림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관리한다.
  • '''제340호''' 완도 맹선리 상록수림은 전라남도 완도군에서 관리한다.
  • '''제341호''' 신안 구굴도 바닷새류(뿔쇠오리, 바다제비, 슴새) 번식지는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42호''' 제주 어음리 빌레못동굴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43호''' 통영 욕지도 모밀잣밤나무 숲은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44호''' 통영 우도 생달나무와 후박나무는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45호''' 통영 추도 후박나무는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관리한다.
  • '''제346호''' 함안 대송리 늪지식물은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47호''' 제주의 제주마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48호''' 정선 반론산 철쭉나무 및 분취류 자생지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에서 관리한다.
  • '''제349호''' 영월 청령포 관음송은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에서 관리한다.
  • '''제351호''' 속초 설악동 소나무는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에서 관리한다.
  • '''제352호''' 보은 서원리 소나무는 충청북도 보은군에서 관리한다.
  • '''제354호''' 고창 선운사 도솔암 장사송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관리한다.
  • '''제355호''' 전주 삼천동 곰솔은 전라북도 전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56호''' 장흥 옥당리 효자송은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관리한다.
  • '''제357호''' 구미 독동리 반송은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관리한다.
  • '''제358호''' 함양 목현리 구송은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관리한다.
  • '''제359호''' 의령 성황리 소나무는 경상남도 의령군에서 관리한다.
  • '''제360호''' 옹진 신도 노랑부리백로와 괭이갈매기 번식지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61호''' 노랑부리백로는 조류보호협회에서 관리한다.
  • '''제362호''' 고흥 외나로도 상록수림은 전라남도 고흥군에서 관리한다.
  • '''제363호''' 삼척 궁촌리 음나무는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에서 관리한다.
  • '''제364호''' 영동 매천리 미선나무 자생지는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관리한다.
  • '''제365호''' 금산 보석사 은행나무는 1990년 8월 2일에 지정되었으며, 충청남도 금산군에서 관리한다.
  • '''제366호''' 담양 관방제림은 전라남도 담양군에서 관리한다.
  • '''제367호''' 고창 삼인리 송악은 전라북도 고창군에서 관리한다.
  • '''제368호''' 경산의 삽살개는 경산시에서 관리한다.
  • '''제370호''' 부안 미선나무 자생지는 전라북도 부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71호''' 포항 발산리 모감주나무와 병아리꽃나무군락은 경상북도 포항시에서 관리한다.
  • '''제372호''' 양구 개느삼 자생지는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에서 관리한다.
  • '''제373호''' 의성 제오리 공룡발자국화석 산지는 경상북도 의성군에서 관리한다.
  • '''제374호''' 제주 평대리 비자나무 숲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5호''' 제주 납읍리 난대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6호''' 제주 산방산 암벽식물지대는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7호''' 제주 안덕계곡 상록수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8호''' 제주 천제연 난대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79호''' 제주 천지연 난대림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80호''' 진안 마이산 줄사철나무군락은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81호''' 이천 도립리 반룡송은 경기도 이천시에서 관리한다.
  • '''제382호''' 괴산 오가리 느티나무는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관리한다.
  • '''제383호''' 괴산 적석리 소나무는 충청북도 괴산군에서 관리한다.
  • '''제384호''' 제주 당처물동굴은 제주특별자치도에서 관리한다.
  • '''제385호''' 강진 성동리 은행나무는 전라남도 강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86호''' 진안 은수사 청실배나무는 전라북도 진안군에서 관리한다.
  • '''제387호''' 임실 덕천리 가침박달군락은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관리한다.
  • '''제388호''' 임실 덕천리 산개나리군락은 전라북도 임실군에서 관리한다.
  • '''제389호''' 영광 칠산도 괭이갈매기·노랑부리백로·저어새 번식지는 전라남도 영광군에서 관리한다.
  • '''제390호''' 진주 유수리 백악기화석 산지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91호''' 옹진 백령도 사곶 사빈(천연비행장)은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92호''' 옹진 백령도 남포리 콩돌해안은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93호''' 옹진 백령도 진촌리 감람암포획 현무암분포지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서 관리한다.
  • '''제394호''' 해남 우항리 공룡·익룡·새발자국화석 산지는 전라남도 해남군에서 관리한다.
  • '''제395호''' 진주 가진리의 새발자국 및 공룡발자국 화석산지는 경상남도 진주시에서 관리한다.
  • '''제396호''' 장수 봉덕리 느티나무는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관리한다.
  • '''제397호''' 장수 장수리 의암송은 전라북도 장수군에서 관리한다.
  • '''제398호''' 천안 광덕사 호두나무는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관리한다.
  • '''제399호''' 영양 답곡리 만지송은 경상북도 영양군에서 관리한다.
  • '''제400호''' 예천 금남리 황목근(팽나무)는 경상북도 예천군에서 관리한다.


해제된 천연기념물로는 무주 설천면의 음나무(제306호), 고성 하이면의 팽나무(제308호), 무안 현경면 팽나무(제310호), 부산 괴정동 회화나무(제316호), 명주 삼산리 소나무(제350호), 서천 신송리의 곰솔(제353호),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제338호), 흑산도 진리의 초령목(제369호) 등이 있다.

3. 천연기념물 지정 해제

3. 1. 지정 해제된 천연기념물

4. 천연기념물의 종류

4. 1. 식물

4. 2. 동물

4. 3. 지질 및 기타

5. 천연기념물과 한국 사회

5. 1. 역사, 문화적 가치

5. 2. 환경 문제와 보전 노력

5. 3. 독도 천연보호구역

6. 결론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