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포유류로, 몸이 길고 가늘며 물속 생활에 적응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유라시아수달이 가장 널리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가 서식한다. 수달은 주로 어류를 먹고 살며, 강한 영역성을 가지고 있다. 과거에는 모피를 얻기 위해 남획되었고, 서식지 파괴, 수질 오염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으나,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개체 수가 회복되는 추세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으며, 멸종된 것으로 추정되는 일본수달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타지키스탄의 포유류 - 쌍봉낙타
쌍봉낙타는 낙타속 동물로 두 개의 혹을 가지며 중앙아시아에 서식하고 짐 운반, 낙농, 모피 생산 등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나 야생종은 멸종 위기에 처해 있고 가축화된 개체는 약 140만 마리가 있다. - 타지키스탄의 포유류 - 갑상선가젤
갑상선가젤은 모래와 자갈 평원, 석회암 고원에 서식하며, 과거 근동 지역에 대규모 무리가 존재했으나 사냥으로 개체 수가 감소했고, 일부다처제 짝짓기 행동을 보이는 가젤의 일종으로, 여러 아종이 존재하며 분포 지역 대부분에서 계절에 따라 이동한다. - 수달아과 - 해달
해달은 족제비과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로, 뛰어난 수영 실력과 두꺼운 모피를 지녔으며 해양 생태계 유지에 중요한 핵심종이지만, 현재는 기름 유출, 범고래의 포식, 질병 등 다양한 위협에 직면하고 있다. - 수달아과 - 바다수달
바다수달은 남아메리카 남서부 연안에 서식하는 가장 작은 해양 포유류 중 하나로,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 등을 사냥하며 과거 남획으로 개체 수가 급감하여 현재는 보호받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 등의 위협에 직면해 있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연기념물 - 불곰
불곰은 곰과에 속하는 잡식성 동물로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서식하며 다양한 먹이를 섭취하고 여러 아종으로 나뉘며, 곰아과에 속하는 다른 곰들과 계통적으로 가깝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천연기념물 - 시베리아호랑이
시베리아호랑이는 카를 린네가 명명한 호랑이 아종으로, 러시아 극동, 중국 북동부, 한반도 등지에 분포했으나 멸종 위기에 처해 국제적인 보존 노력을 받고 있으며, 한국에서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수달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Lutra lutra |
명명자 | Linnaeus, 1758 |
속 | 수달속 Lutra |
종 | 수달 L. lutra |
이명 | Mustela lutra Linnaeus, 1758 Lutra vulgaris Erxleben, 1777 |
영어 이름 | Eurasian otter Eurasian river otter European otter |
일본어 이름 | カワウソ ユーラシアカワウソ |
한국어 이름 | 수달 |
독일어 이름 | Fischotter |
핀란드어 이름 | saukko |
스페인어 이름 | nutria |
프랑스어 이름 | Loutre d'Europe |
아일랜드어 이름 | Dobhrán Eoráiseach |
터키어 이름 | Bayağı su samuru |
중국어 이름 | 亚洲水獭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포유강 |
목 | 식육목 |
과 | 족제비과 |
아과 | 수달아과 |
보존 상태 | |
IUCN | 준위협 |
CITES | 부속서 I |
대한민국 환경부 |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
기타 | |
학명 로마자 표기 | Lutra lutra |
2. 형태
족제비와 비슷하지만 훨씬 크고 수중생활에 알맞다. 머리는 원형이고 코는 둥글며, 눈은 작고 귀가 짧아서 주름가죽에 덮여 털 속에 묻혀 있다. 특수한 근육으로 귀와 콧구멍을 닫아 물이 들어가지 않게 한다. 꼬리는 둥글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진다. 꼬리 아랫 부분에 위치한 샘에서는 고약한 냄새를 내는 물질을 분비한다.[47]
유라시아 수달은 등쪽은 갈색이고 배쪽은 크림색인 길고 가느다란 생물로 수생 습성에 잘 적응되어 있다. 뼈는 골화증을 보이는데, 이는 밀도를 높여 부력을 줄이기 위함이다.[2]
구분 | 몸통 길이 | 꼬리 길이 | 체중 |
---|---|---|---|
일반적인 경우 | 57cm ~ 95cm | 35cm ~ 45cm | 7kg ~ 12kg |
큰 수컷 | 17kg | ||
상세[47] | 57cm ~ 70cm | 35cm ~ 40cm | 4.1kg ~ 16kg |
수달은 하천이나 호수, 습원, 해안 등에서 서식하며, 야행성이지만 박명과 박모시에도 활동한다.[47] 주로 어류를 먹지만(식성의 70~90%), 개구리, 조류, 토끼와 갯첨서류 등의 소형 포유류, 가재류 등의 갑각류도 먹는다.[47] 무리를 지어 협력하여 먹이를 잡기도 한다.
등 쪽은 흑갈색이나 회갈색이고, 턱에서 뺨, 가슴, 배에 걸쳐서는 연한 황색이나 회백색이다.[47] 콧구멍 주변의 털로 덮이지 않은 노출부(비경) 상연은 알파벳 "W"자 모양이다.[47] 발가락 사이에는 넓은 물갈퀴가 있으며, 발바닥의 절반 정도까지 이른다.[47]
3. 생태
수중에서 교미하는 경우가 많으며, 임신 기간은 59~65일이다.[47] 한 번에 1~5마리(평균 2~3마리)의 새끼를 낳고, 생후 28~35일에 눈을 뜬다.[47] 수유 기간은 2개월이며, 이유할 무렵에는 물에 들어가기 시작한다.[47]
3. 1. 서식지
수달은 강둑이나 튀어나온 바위 밑에 굴을 파서 집을 만들거나 다른 동물이 버린 집을 이용하여 서식한다. 먹이 공급이 충분하다면 호수, 개울, 강, 운하, 연못과 같은 오염되지 않은 담수 지역에 서식한다. 안달루시아에서는 골프장의 인공 호수를 이용하기도 한다.[8] 개울의 열린 지역을 선호하며 해안가의 염수 지역에서도 서식하지만, 털을 청소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담수에 접근해야 한다.[9]
3. 2. 생식
번식기는 1-2월이며 임신 기간은 63-70일이고 한 배에 2-4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눈을 뜨지 못한 채 태어나서 몇 개월이 지나야 헤엄을 칠 수 있다. 암컷은 새끼를 낳은 후 50일이 지나야 비로소 물속으로 들어가서 물고기를 잡는다. 새끼들은 부모와 함께 생활하며 약 1년간 수영 및 사냥법 등을 배운 후 독립한다.[22]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진다.[23]
3. 3. 먹이
수달은 주로 물고기와 같은 어류,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 게와 같은 갑각류를 먹는다. 비늘이 있는 물고기보다는 배스, 블루길 등의 외래어종을 잡아먹는 경향이 있다. 심지어는 황소개구리나 미국가재와 같은 외래생물도 잡아먹는다.[13][14]
겨울이나 추운 환경에서는 양서류,[15][16] 지렁이, 조개, 갑각류, 곤충, 알, 새, 그리고 때로는 어린 유럽 수달을 포함한 작은 포유류도 먹는다.[17][18] 소량의 식물도 섭취한다.[19]
다른 여러 족제비과 동물과 마찬가지로 수달은 자신보다 훨씬 큰 먹이를 제압하고 죽일 수 있으며, 때때로 성체 회색기러기와 같은 큰 물새를 사냥하기도 한다.[20][21] 수달은 주로 어류를 먹지만(식성의 70~90%), 개구리, 조류, 토끼와 갯첨서류 등의 소형 포유류, 가재류 등의 갑각류도 먹는다.[47]
3. 4. 수중 생활
족제비과 동물 중 물속 생활에 가장 능숙하여 물 안에 들어가 먹이를 잡아먹기도 하고 몸을 숨기기도 한다. 신체도 물속 생활에 알맞게 진화되어 몸은 유선형이고, 발가락 사이에는 갈퀴가 발달되어 있다. 또한 물속에서 먹이를 찾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입 주변으로 안테나 역할을 하는 수염이 나있고 망막에는 주름져 있다.[47]
수영할 때는 머리의 윗부분과 몸 뒤쪽 일부분을 물 밖으로 내놓은 채 네 발을 모두 사용하여 몸과 꼬리를 좌우로 흔든다. 방향을 잡거나 몸을 세울 때는 뒷발을 사용한다.[47]
3. 5. 행동
주로 혼자 사냥을 하지만 가족 단위로 먹이를 잡으러 나서기도 한다. 유라시아 수달은 강한 영역성을 가지고 있으며, 대부분 혼자 생활한다. 개체의 영역은 약 1km에서 40km 길이이며, 일반적으로 약 18km 정도이다. 영역의 길이는 이용 가능한 먹이의 밀도와 사냥에 적합한 수역의 폭에 따라 달라진다. 유라시아 수달은 배설물을 사용하여 자신의 영역을 표시하고 다른 무리 구성원에게 자원 이용 우선순위를 부여한다.[22] 영역은 같은 성의 구성원에게만 지켜지므로 수컷과 암컷의 영역은 겹칠 수 있다.[23] 짝짓기는 물속에서 이루어진다. 사냥은 주로 야간에 이루어지며, 주간에는 유라시아 수달의 은신처(굴)에서 보낸다. 은신처는 보통 강둑의 굴이나 속이 빈 나무이며, 때로는 물속에서만 들어갈 수 있다.[2]
4. 분포
오스트레일리아와 남극을 제외한 모든 대륙에 서식한다. 유라시아 수달은 가장 널리 분포하는 수달 종으로, 아시아와 북아프리카 일부 지역을 포함하여 유럽 전역에 걸쳐 분포한다.[1] 툰드라 지대를 제외한 유라시아 대륙[47], 알제리, 인도네시아(수마트라섬), 스리랑카, 튀니지, 모로코에 분포한다.[45] 모식 표본의 산지(기준 산지·타입 산지·모식 산지)는 스웨덴으로 여겨진다.[48]
대한민국에서는 과거 전국적으로 분포했으나, 모피를 얻기위한 남획과 하천의 황폐화로 그 수가 줄었다. 1982년 11월 16일 전국 일원에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최근에는 전국적으로 목격되면서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지만 여전히 남획과 수질오염의 위협에 노출되어 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평안남도 대흥군의 대흥수달(55호), 강원도 법동군의 법동수달(249호), 함경북도 연사군 신양로동자구의 신양수달(331호)이 1980년 1월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현재 리히텐슈타인과 스위스에서는 멸종된 것으로 여겨지지만, 라트비아와 노르웨이 해안, 스페인과 포르투갈 서부 지역, 그리고 영국과 아일랜드 전역에서 흔하게 볼 수 있다. 이탈리아에서는 이탈리아 반도 남부에 서식한다.[1] 시리아에서는 라타키아 주와 락까 주의 산악 개울과 데이르에즈조르 주의 유프라테스 강 하류에서 유라시아 수달이 기록되었다.[10] 네팔 서부에서는 자자르코트 지구 바레코트 강의 해발 약 1600m 지점과 동부 루쿰 지구 투방 강의 해발 1337m 지점에서 수달의 존재가 확인되었다.[11] 인도에서는 히말라야 기슭, 남부 서부 가트 산맥 및 중앙 인도 지역에 분포한다.[12]
수달은 먹이 공급이 충분하다면 호수, 개울, 강, 운하, 연못과 같은 오염되지 않은 담수 지역에 서식한다. 안달루시아에서는 골프장의 인공 호수를 이용하기도 한다.[8] 개울의 열린 지역을 선호하며 해안가의 염수 지역에서도 서식하지만, 털을 청소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담수에 접근해야 한다.[9]
5. 계통 분류
다음은 2018년 로(Law) 등의 연구에 기초한 수달아과의 계통 분류이다.[62]
{| class="wikitable"
|-
! 수달아과
|-
|
{| class="wikitable"
|-
| 큰수달
|-
|
{| class="wikitable"
|-
| 해달
|-
|
{| class="wikitable"
|-
| 얼룩목수달
|-
|
{| class="wikitable"
|-
|
수마트라수달 |
수달 |
|-
|
{| class="wikitable"
|-
| 아프리카민발톱수달
|-
|
|}
|}
|}
|}
|}
|-
|
{| class="wikitable"
|-
| 북아메리카수달
|-
|
{| class="wikitable"
|-
| 긴꼬리수달
|-
|
|}
|}
|}
|}
절멸한 일본수달은 때때로 수달의 아종으로 간주되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L. lutra''를 포함하는 아종 분지군 외부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되었으나, 상당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27]
MSW3(Wozencraft, 2005)에서는 수달을 독립종 ''Lutra nippon''으로 분류하고 있지만,[48] 과거 분포를 "일본 전역에 널리 분포"로 명시하고 있어 홋카이도를 포함한 일본 전역으로 간주했을 가능성이 있다.[50] 아종 수달에 대한 기재 논문을 포함한 MSW3의 출처에서는 홋카이도산 수달이 ''L. nippon''으로 분류된 적이 없으며, 다른 일본산 식육목 동물에서도 홋카이도 분포에 오류나 누락이 있는 점을 고려할 때, 홋카이도가 수달의 분포역에서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지적되고 있다.[50]
다음은 일본산 멸종 개체군을 포함하는 견해이다. 분류는 이시이(2014)를 따른다.[51]
학명 | 분포 | 특징 |
---|---|---|
†Lutra lutra nippon Imaizumi & Yoshiyuki, 1989 (멸종 아종) | 일본(혼슈, 시코쿠, 큐슈, 이키섬, 쓰시마섬)[51] 문헌 조사 및 현지 조사에 따르면 고토 열도에도 분포했다고 한다.[52] 모식 표본의 산지는 고치현 나카무라시(현 시만토시)[47] | |
†Lutra lutra whiteleyi (Gray, 1867) (멸종 아종) | 일본(홋카이도)[51] |
6. 인간과 수달
수달은 지능이 발달하여, 생포된 수달, 특히 어린 새끼는 사람을 잘 따르고 족제비과의 다른 동물보다 온순하여 애완동물로 기를 수 있다.[63] 그러나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330호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되어 있어 허가 없이 애완 목적으로 사육할 수 없다.[64]
지역에 따라 사람에게 길들여져 어업에 이용되기도 하였으나,[47] 어획물을 훼손하는 유해 동물로 취급되기도 했다. 하천 정비, 댐 건설로 인한 서식지 파괴와 먹이 감소, 수질 오염, 교통사고, 어업으로 인한 혼획, 모피나 식용 목적의 사냥 등으로 개체 수가 감소하고 있다.[45]
6. 1. 보존
유라시아수달은 20세기 후반에 폴리염화비페닐과 살충제 같은 오염 물질, 서식지 감소, 사냥 등으로 인해 개체 수가 크게 줄었다.[28][29] 그러나 최근 유럽의 많은 지역에서 개체 수가 회복되고 있다. 영국에서는 1994년부터 2002년 사이에 수달 서식 지역이 55% 증가했다.[30]IUCN 적색 목록에는 위기근접종으로 등재되어 있으며,[1] 홍콩에서는 보호종으로 지정되어 있다.[1] 대한민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330호[39] 및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40]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독일에서는 "Aktion Fischotterschutz"와 같은 단체가 설립되어[37] 수달 서식지 보호 및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38]
6. 2. 과거의 이용
과거에는 수달 모피를 얻기 위해 남획되기도 했다.[64] 일부 지역에서는 사람에게 길들여져 어업에 이용되기도 하였으나,[47] 어획물을 훼손하는 유해 동물로 취급되기도 했다. 일본에서는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과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수달이 멸종하였다.[51]6. 3. 일본 수달
일본 수달은 과거 일본 혼슈 이남과 홋카이도에 서식했던 수달의 아종(''L. l. nippon'', ''L. l. whiteleyi'')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일본수달은 ''L. lutra''를 포함하는 아종 분지군 외부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별개의 종으로 재분류되었으나, 상당한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27]일본 수달은 모피를 얻기 위한 남획, 삼림 벌채로 인한 수자원 고갈, 하천 정비로 인한 먹이 감소, 농업 및 생활·공업 폐수로 인한 수질 오염, 어업 도중 그물에 걸려 익사하는 혼획, 유해 동물로 취급되어 사냥당하는 등의 이유로 멸종했다.[51] 1964년 국가 천연기념물, 1965년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51]
혼슈에서는 1954년 와카야마현 토모가시마에서의 서식 보고를 마지막으로 기록이 없다.[51] 고토 열도에서는 1950년대, 1980년대에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52] 이후 기록은 주로 시코쿠, 특히 에히메현과 고치현에 한정되었다.[51] 카가와현에서는 1948년 3마리가 혼획되었고, 도쿠시마현에서는 1977년 교통사고로 죽은 개체와 1979년 발자국, 배설물 흔적만 확인되었다.[51] 에히메현 세토나이카이 연안에서는 1965년, 우와카이 연안에서는 1975년 이후 기록이 없다.[51] 고치현 스사키시에서는 1979년 목격 이후 확실한 기록이 없다.[51] 1994년 환경성 생태 조사에서도 서식은 확인되지 않았다.[51]
홋카이도에서는 쇼와 초기(1926년~1989년) 이시카리 지역에서도 볼 수 있었지만, 1940년~1950년대에는 서식 기록이 거의 사라졌다.[51] 1955년 샤리정 샤리가와 수계에서 포획된 이후 기록이 없어, 1950년대에 멸종한 것으로 추정된다.[51]
참조
[1]
IUCN
Lutra lutra
2023-12-14
[2]
논문
Bone Inner Structure Suggests Increasing Aquatic Adaptations in Desmostylia (Mammalia, Afrotheria)
[3]
서적
American Natural History
Hogan & Thompson
[4]
서적
Otters ecology, behavior and conser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5]
웹사이트
European Otter
http://www.theanimal[...]
[6]
웹사이트
European otter
http://www.purpleopu[...]
[7]
서적
The Guinness Book of Animal Facts and Feats
Sterling Pub Co Inc.
[8]
논문
The Use of Artificial Lakes on Golf Courses as Feeding Areas by the Otter (Lutra lutra) in Southern Spain
http://www.otterspec[...]
[9]
논문
The habitat, ecological life conditions, and usage characteristics of the otter (Lutra lutra L. 1758) in the Balikdami Wildlife Development Area
2019
[10]
논문
The first photographic records of the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Syria: Its mysterious occurrence is revealed
https://www.iucnosgb[...]
[11]
논문
First evidence of Eurasian Otter in Nepal in three decades
https://www.iucnosgb[...]
[12]
논문
Photographic records of Eurasian Otter Lutra lutra from the Central Indian landscape
http://www.otterspec[...]
[13]
논문
Feeding habits of the otter and the American mink in Białowieża Primeval Forest (Poland) compared to other Eurasian populations
2001
[14]
논문
Trophic diversity of the otter (Lutra lutra L.) in temperate and Mediterranean freshwater habitats
2003-05-01
[15]
논문
Intensive exploitation of amphibians by Eurasian otter (Lutra lutra) in the Wolosaty stream, southeastern Poland
http://www.sekj.org/[...]
[16]
논문
Seasonal exploitation of amphibians by otters (Lutra lutra) in north-east Scotland
1990
[17]
서적
Beavers
Whittet Books
[18]
웹사이트
Lutra lutra (European otter)
https://animaldivers[...]
[19]
웹사이트
Lutra lutra (European otter)
https://animaldivers[...]
[20]
웹사이트
Goslings & Otters
https://www.broads.c[...]
2022-07-24
[21]
뉴스
Ullswater geese deaths: Park rangers probe mystery of vanishing birds
https://www.bbc.com/[...]
2022-07-24
[22]
논문
Scent marking by otters (Lutra lutra): signaling the use of resources
1992
[23]
논문
Territoriality of the otter Lutra lutra L.
[24]
논문
Reproductive performance of otters Lutra lutra (Linnaeus, 1758) in Eastern Germany: Low reproduction in a long-term strategy
[25]
뉴스
Can otters smell underwater?
https://web.archive.[...]
2010-06-06
[26]
방송
Late Summer
http://www.bbc.co.uk[...]
[27]
논문
What is the taxonomic status of East Asian otter species based on molecular evidence?: focus on the position of the Japanese otter holotype specimen from museum
2019
[28]
웹사이트
The Eurasian Otter (Lutra lutra)
http://www.english-n[...]
English Nature
2010-03-15
[29]
웹사이트
Otter: Background to selection
http://www.jncc.gov.[...]
Jncc.gov.uk
2010-03-15
[30]
웹사이트
Fourth Otter Survey of England
https://www.nhbs.com[...]
2020-10-09
[31]
뉴스
Otters return to every county in England
https://www.independ[...]
2011-08-19
[32]
웹사이트
Council Directive 79/117/EEC of 21 December 1978 prohibiting the placing on the market and use of plant protection products containing certain active substances
http://eur-lex.europ[...]
EUR-Lex
2010-03-15
[33]
웹사이트
Council Directive 92/43/EEC of 21 May 1992 on the conservation of natural habitats and of wild fauna and flora
http://eur-lex.europ[...]
EUR-Lex
2010-03-15
[34]
웹사이트
Species other than birds specially protected under The Wildlife and Countryside Act, 1981: Schedule 5 (Animals)
https://web.archive.[...]
JNCC
2010-03-15
[35]
웹사이트
Wildlife Act 1976 (Ireland)
https://web.archive.[...]
International Wildlife Law
2010-03-15
[36]
웹사이트
Otters of the world - Europe
https://web.archive.[...]
[37]
웹사이트
Start - Aktion Fischotterschutz e.V.
https://aktion-fisch[...]
2024-07-27
[38]
웹사이트
Tier- und Freizeitpark Otter-ZENTRUM Hankensbüttel
https://otterzentrum[...]
2024-07-27
[39]
웹사이트
천연기념물 제330호 수달
http://www.heritage.[...]
2021-01-18
[40]
웹사이트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수달
https://species.nibr[...]
2021-01-18
[41]
논문
Genetic consequences of population decline in the European otter (Lutra lutra): an assessment of microsatellite DNA variation in Danish otters from 1883 to 1993
2001-09-07
[42]
논문
Eurasian otter (''Lutra lutra'') diet and prey selection in Mediterranean streams invaded by centrarchid fishes
https://link.springe[...]
2008-09-12
[43]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020-03-06
[44]
웹사이트
Lutra lutra
https://www.speciesp[...]
UNEP
2020-03-06
[45]
IUCN
Lutra lutra
2020-03-06
[46]
논문
Lutra lutra (Carnivora: Mustelida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6
[47]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91
[48]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49]
서적
カワウソ
東海大学出版会
2008
[50]
논문
日本産哺乳類の最近の分類体系 ―阿部(2005)とWilson and Reeder(2005)の比較―
日本哺乳類学会
2006
[51]
서적
ニホンカワウソ(本州以南亜種)」「ニホンカワウソ(北海道亜種)
ぎょうせい
2014
[52]
논문
五島列島におけるカワウソの分布と絶滅
日本哺乳類学会
2016
[53]
IUCN
Lutra lutra
2020-03-06
[54]
웹사이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URL 정보 없음. 추가 정보 [...]
[55]
웹사이트
Appendices I, II and III (valid from 26 November 2019)
https://www.cites.or[...]
2020-03-06
[56]
논문
Lutra lutra (Carnivora: Mustelidae)
American Society of Mammalogists
2016
[57]
서적
イタチ科の分類
東京動物園協会
1991
[58]
서적
Order Carnivora
http://www.departmen[...]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5
[59]
서적
カワウソ
東海大学出版会
2008
[60]
웹사이트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 URL 정보 없음. 추가 정보 필[...]
[61]
서적
カワウソ
東海大学出版会
2008
[62]
논문
Lineage Diversity and Size Disparity in Musteloidea: Testing Patterns of Adaptive Radiation Using Molecular and Fossil-Based Methods
2018-01-01
[63]
웹사이트
네이버 지식백과
https://terms.naver.[...]
[64]
뉴스
도움을 청하는 수달 "캔 좀 따주세요"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3-06-2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수달 귀환’ 성과는 자찬, 지키는 시민들은 퇴출···서울시 ‘샛강 시민위’ 배제 논란
서울어린이대공원 동물원서 ‘멸종위기’ 수달 쌍둥이 탄생
서울어린이대공원서 쌍둥이 아기 수달 탄생…“이름을 지어주세요”
한강 위서 포착된 '괴생명체'…"수십 년 낚시 중 처음"
전주천 갈대·물억새 등 몽땅 베어낸 전주시···환경단체 “‘빈대 잡자고 초가삼간 태우나”
까맣게 타버린 야생동물 보금자리…“이 아픔, 개발 호재로 삼아선 안 돼”
울산 태화강에서 멸종위기 야생생물 수달·큰고니 발견
멸종위기야생생물 수달ㆍ큰고니, 울산 태화강에 왔다
[단독] 사람과 자연 공존하는 땅 전국 ‘1만2337㎢’…공존지역 태양광으로 재생에너지 발전 목표치 넘는다
[단독] 고용 조건 제시 없이 ‘승계 동의서’…한강 생태공원 여진
싹 바뀐 한강 생태공원 위탁, 탈락 업체들이 반발하는 이유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수달, 일본 간다…“동물 상호 기증”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