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은 국회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도서관으로, 도서관 자료 수집, 정리, 보존 및 관련 서비스 제공, 의회 및 법률 정보 조사, 국회전자도서관 구축·운영, 의정활동 관련 기록물 관리 등을 수행한다. 1952년 부산에서 국회도서실로 발족하여 국회도서관으로 승격되었으며, 1975년 서울 여의도로 이전했다. 현재는 국회의원, 국회 직원, 18세 이상 대학생 및 일반인, 12세~17세 청소년, 여권 또는 외국인등록증 소지 외국인 등이 이용할 수 있다.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하며, 일반도서, 전자파일도서, 디지털콘텐츠 등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52년 설립된 도서관 - 상하이 도서관
    1952년 개관한 상하이 도서관은 서가회 장서루와 상하이 동 도서관을 모체로 70만 권 이상의 장서를 소장하며 시작하여, 합병을 통해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공공 도서관이자 연구 중심의 종합 정보 연구 센터로 발전, 1996년 현재의 건물로 이전했다.
  • 의회도서관 - 국립국회도서관
    국립국회도서관은 일본 제국의회의 도서관과 제국도서관을 계승하여 미군 점령기의 민주화 과정을 거쳐 1948년 개관, 1949년 국립도서관과 통합되었으며, 현재 법정납본제도를 통해 수집된 방대한 자료를 국회 및 대중에게 제공하는 일본의 국립도서관이자 국회도서관이다.
  • 의회도서관 - 미국 의회도서관
    미국 의회도서관은 1800년 설립되어 정치 자료를 주로 소장했으나, 토마스 제퍼슨 도서관 인수를 통해 확장되었고, 현재 1억 6천만 점 이상의 자료를 소장하며 연구 지원, 저작권 등록, 디지털 자료 공개, 문화 프로그램 운영 등 국제적 협력을 통해 발전하고 있다.
  • 대한민국 국회 기관 - 대한민국 국회예산정책처
    대한민국 국회예산정책처는 국회의 예산 심의 및 재정 통제 기능 강화를 위해 설립된 국회 소속 기관으로, 예산안 분석, 법률안 재정 영향 평가, 재정 운용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국회의원의 입법 활동을 지원한다.
  • 대한민국 국회 기관 - 대한민국 국회입법조사처
    대한민국 국회입법조사처는 국회법에 따라 설치된 국회 소속 기관으로, 국회의 요구에 따라 조사·분석 및 회답을 제공하고 입법 및 정책 관련 조사·연구 등의 사무를 수행한다.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지도 정보
기본 정보
명칭대한민국 국회도서관
한자 표기大韓民國 國會圖書館
로마자 표기National Assembly Library
종류국립도서관, 의회도서관
설립1952년
소장 자료6,804,324책 (2020년 2월 기준)
직원 수304명 (2016년)
관장이은철 (2016년), 황정근 (현재)
소재지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1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조직 및 운영
설립 주체대한민국 국회
운영 기관대한민국 국회
운영 방식직접 운영
구성본관
이미지
도서관 전경
국회도서관 전경
국회도서관 로고

2. 설치 근거 및 소관 사무

wikitext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의 설치 근거는 국회법 제22조제1항이다.[2]

소관 사무는 다음과 같다.


  • 도서관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및 도서관 서비스 제공
  • 의회 및 법률 정보의 조사, 회답 및 제공
  • 국회전자도서관 구축 및 운영
  • 국회 의정활동 관련 기록물의 수집, 정리, 보존, 평가 및 활용
  • 입법 활동에 관한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 국내외 입법 지원 기관 및 다른 도서관과의 교류 및 협력
  • 그 밖에 의정활동 지원에 필요한 사무

2. 1. 설치 근거

국회법 제22조제1항[2]

2. 2. 소관 사무


  • 도서관 자료의 수집, 정리, 보존 및 도서관 서비스 제공
  • 의회 및 법률 정보의 조사, 회답 및 제공
  • 국회전자도서관 구축 및 운영
  • 국회 의정활동 관련 기록물의 수집, 정리, 보존, 평가 및 활용
  • 입법 활동에 관한 국가 서지 작성 및 표준화
  • 국내외 입법 지원 기관 및 다른 도서관과의 교류 및 협력
  • 그 밖에 의정활동 지원에 필요한 사무

3. 연혁


  • 1952년 2월 20일: 부산(당시 전시 수도)에서 국회도서실로 발족하였다.[1]
  • 1955년 11월 6일: 국회도서관으로 승격되었다.
  • 1963년 11월 26일: 국회도서관법이 제정되었다.[1]
  • 1964년 10월 1일: 국회도서관법에 따른 납본이 시작되었다.
  • 1967년 7월 4일: 국제 도서관 연맹에 가입하였다.
  • 1975년 9월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으로 도서관을 이전하였다.[1]
  • 1981년 1월 29일: 국회사무처의 소속기관으로 개편되었다.[3]
  • 1988년 2월 20일: 신관(현재 위치)으로 이전 개관하였다.
  • 1988년 12월 29일: 독립기관으로 분리되었다.[4]
  • 1997년 12월 31일: 국가디지털도서관 기본계획을 수립하였다.
  • 1998년 10월 12일: 일반인(20세 이상)에게 개방하였다.
  • 2000년 3월 11일: 연세대학교와 최초의 상호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 2005년 2월 18일: 18세 이상 이용자에게 개방하였다.
  • 2006년 8월 16일 - 8월 19일: 제22차 IFLA 의회도서관 및 연구서비스 분과 연례회의를 개최하였다.
  • 2009년 4월 27일: 국회기록보존소를 도서관으로 이관하였다.
  • 2009년 11월 20일: 독도 분관을 개관하였다.
  • 2010년 1월 28일: 하상점자도서관과 1000번째 상호협력 협정을 체결하였다.
  • 2010년 2월 3일: "살아있는 도서관" 행사를 개최하였다.
  • 2010년 9월 6일 - 9월 10일: 2010 GLIN 서울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 2011년 8월 26일: 법률도서관을 설립하였다.
  • 2012년 1월 2일: 국회도서관 모바일 서비스를 개시하였다.
  • 2014년 2월 15일: 휴먼 라이브러리(the Human Library) 설립자 로니 아버젤(Ronni Abergel)을 초청하여 컨퍼런스를 개최하였다.
  • 2014년 5월 14일: 법률정보센터를 개관하였다.
  • 2015년 4월 22일 - 4월 24일: 제4차 아시아 특수도서관 국제회의를 개최하였다.
  • 2015년 6월 4일: "국회 및 지방의회 의정정보시스템"을 개통하였다.
  • 2016년 8월 31일: 12세~17세 청소년 이용 제한을 완화하였다.

4. 조직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은 기획관리관실, 의회정보실, 법률정보실, 정보관리국, 정보봉사국, 국회기록보존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5][7][9][10] 각 실/국 아래에는 여러 담당관실/과가 소속되어 있다.[6][8]

4. 1. 관장

(이전 출력에서 "해당 섹션에 포함될 내용이 원본 소스에 없습니다."는 '관장' 섹션에 대한 정보가 제공된 소스에 없다는 의미였습니다. 이전 출력이 오해의 소지가 있어 수정합니다.)

원본 소스에는 '관장'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는 없지만,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의 하부 조직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따라서 '관장' 섹션에는 국회도서관의 조직 구조에 대한 간략한 설명을 추가하는 것이 적절합니다.

```text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은 기획관리관실, 의회정보실, 법률정보실, 정보관리국, 정보봉사국, 국회기록보존소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5][7][9][10] 각 실/국 아래에는 여러 담당관실/과가 소속되어 있다.[6][8]

5. 소장 자료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은 장서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다. 세부적인 현황은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11][12][13][14][15][16][17][18][19][20]

5. 1. 장서 현황

대한민국 국회도서관 장서 현황
구분상세 내역수량
도서일반도서4,814,806책[11][12]
도서전자파일도서1,438,733책
비도서550,785점[13]
디지털콘텐츠3,721,692건
정기간행물26,990종[14]
신문1,029종[15]


5. 2. 데이터베이스 현황

종류건수
도서1,756,357건[11]
일반도서1,694,404건
고서3,303건
세미나자료55,115건
해외소재 한국관련자료3,535건
석박사학위논문[16]2,080,339건
학술지6,181,705건
국내학술지[17]4,922,350건
국외학술지1,259,355건
연속간행물27,889건
학술지26,282건
신문1,607건
인터넷자료[18]565,208건
외국법률DB[19]11,263건
비도서자료[20]464,965건


6. 이용 정보

대한민국 국회도서관은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 있다.[1]


  • 국회의원(전·현직) 및 국회 직원
  • 18세 이상 대학생 및 일반인
  • 국회도서관 자료 및 서비스 이용이 필요한 12세부터 17세까지의 청소년
  • 여권 또는 외국인등록증 소지 외국인


이용 시간
구분개관 시간휴관일
평일09:00 ~ 22:00매월 둘째, 넷째 토요일, 국경일·기념일
주말09:00 ~ 17:00


  • 소재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의사당로 1
  • 지하 1층에 식당이 있으며, 점심은 11:30~13:30, 저녁은 17:30~19:00까지 이용할 수 있다.

7. 교통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1번 출구에서 도보로 5분 거리에 있다.

8. 갤러리

참조

[1] 서적 Library Buildings in a Changing Environment Walter de Gruyter 2001
[2] 문서 국회의 도서 및 입법자료에 관한 업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국회도서관을 둔다.
[3] 법률 법률 제3360호
[4] 법률 법률 제4010호
[5] 문서 이사관 또는 부이사관으로 보한다.
[6] 문서 2급·3급 또는 4급인 일반직공무원 또는 2급 상당·3급 상당 또는 4급 상당인 별정직공무원으로 보한다.
[7] 문서 관리관 또는 이사관으로 보한다.
[8] 문서 3급 또는 4급인 일반직공무원으로 보한다.
[9] 문서 이사관·정보관리이사관·부이사관 또는 정보관리부이사관으로 보한다.
[10] 문서 이사관·부이사관 또는 임기제공무원로 보한다.
[11] 문서 단행본 2,686,726책, 석박사학위논문 1,755,569책, 제본정기간행물 372,511책.
[12] 문서 언어별로는 한국어 3,630,097책, 영어 671,860책, 일본어 301,509책이며, 기타 언어가 211,340책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분야별로는 사회과학 2,273,375책, 인문과학 1,325,253책, 순수·응용과학 1,216,178책을 보유하고 있다.
[13] 문서 전자자료 53,191점, 오디오·비디오 90,013점, 마이크로자료 333,539점, 지도 및 기타자료 8,986점, 미술품 388점, 세미나자료 64,668점.
[14] 문서 국내 19,933종, 국외 7,057종.
[15] 문서 국내 893종, 국외 136종.
[16] 문서 1945년 이후 국내 석박사학위논문.
[17] 문서 1910년 이후 기사색인.
[18] 문서 국가 및 공공기관 등의 인터넷 웹사트에 게시된 정책자료.
[19] 문서 외국법률의 원문과 번역문
[20] 문서 전자, 오디오, 비디오, 마이크로, 지도 및 기타자료
[21] 문서 국회도서관 직제 별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