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여의도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위치한 지역으로, 한강에 접해 있다. 조선 시대에는 목축지로 이용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비행장이 건설되었다. 1960년대 이후 대규모 개발을 통해 '한국판 맨해튼'을 목표로 금융, 정치, 상업 중심지로 발전했다. 현재는 국회의사당, 금융기관, 대규모 상업 시설이 밀집해 있으며, 63빌딩, 파크원 타워 등 고층 빌딩이 자리 잡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영등포구의 지리 -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은 서울 영등포구 한강변에 위치하며 과거 정수장 부지를 재활용하여 조성되었고, 물을 테마로 한 다양한 공간과 편의시설을 갖춘 친환경적인 도시 공원이다. - 서울 영등포구의 지리 - 도림천
도림천은 서울특별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봉천천, 난곡천, 대방천 등의 지류를 가지며 자전거 도로가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과 여가 공간을 제공하는 도심 속 자연 친화적인 공간이다. - 대한민국의 하중도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하중도 - 밤섬
밤섬은 한강 하류의 무인도로, 과거 주민이 거주했으나 여의도 개발로 폭파된 후 현재는 람사르 습지로 지정되어 생태적 가치가 높은 조류와 식물의 서식지로 보전되고 있다. - 한강의 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한강의 섬 - 선유도공원
선유도공원은 서울 영등포구 한강변에 위치하며 과거 정수장 부지를 재활용하여 조성되었고, 물을 테마로 한 다양한 공간과 편의시설을 갖춘 친환경적인 도시 공원이다.
여의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한국어 표기 | 여의도 |
한자 표기 | 汝矣島 |
로마자 표기 | Yeouido |
면적 | 8.4km² |
위치 | 한강 |
국가 | 대한민국 |
특별시 | 서울특별시 |
구 | 영등포구 |
동 | 여의동 |
인구 | 32,674명 |
인구 기준 시점 | 2023년 8월 |
이미지 | |
![]() | |
![]() | |
![]() | |
![]() | |
별칭 | |
별칭 | 너섬 |
추가 정보 | |
웹사이트 | 영등포구청 웹사이트 |
2. 역사
여의도는 시대별로 다양한 변화를 겪었다.
1751년에 편찬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都城三軍門分界總録)》에 여의도가 처음 등장하며,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희방에 속했다. 1914년 고양군 용강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어 여의도정이 되었다. 1946년에는 여의도동이 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여의도 비행장이 건립되어 해방 후에도 여의도공항으로 쓰였고, 1971년까지 공군기지로 사용되었다.
1968년 한강 종합개발 공사의 일환으로 여의도 개발이 본격화되었고, 1975년 국회의사당이 이전해 오면서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만들어진 5.16 광장은 1999년 여의도 공원으로 바뀌어 시민들의 휴식 공간이 되었다.
2000년대 이후 서울국제금융센터, 파크원 타워 등 초고층 빌딩들이 건설되면서 여의도는 국제적인 금융 중심지로 성장하고 있다.
2. 1. 조선시대: 목축지와 한명회의 압구정
1751년에 편찬된 《도성삼군문분계총록(都城三軍門分界總録)》에 여의도가 처음 등장하며, 조선시대에는 한성부 북부 연희방에 속했다.[22] 주로 국가가 관리하는 짐승을 기르는 목축 공간으로 이용되었으며, 한명회의 압구정이 여의도에 처음 지어졌다가 동호로로 옮겨갔다.[22] 소수의 사람들이 섬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었다.[22]2. 2. 일제강점기: 비행장 건설과 경성부 편입
1914년 고양군 용강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36년 경성부에 편입되어 여의도정이 되었다.[22] 일제강점기인 1916년에 여의도 비행장이 건립되어[22] 해방 후에도 여의도공항으로 쓰였고, 1971년까지 공군기지로 사용되었다.[22]2. 3. 해방 이후: 개발과 변화
1968년 밤섬을 폭파하여 얻은 골재로 여의도의 제방(윤중제)을 쌓았고, 한강 종합개발 공사 계획의 일환으로 2270억원의 공사비를 투입하여 여의도를 개발하였다. 여의도는 도시 현대화의 모델로서 개인 주택 없이 아파트와 빌딩만으로 이루어졌다. 1971년 시범아파트를 시작으로 1970년대에 주거용 아파트들이 들어섰으며, 백조, 미주, 한성아파트가 재건축을 시작하면서 초고층 주거용 아파트들이 들어서기 시작했다. 1975년에는 태평로에 있던 국회의사당이 여의도의 북서쪽으로 옮겨왔다.[16]1983년 63빌딩이 완공되고 2년 뒤인 1985년에 개장하였다.[23]
박정희 대통령은 여의도의 5.16 광장을 유사시 활주로로 쓸 수 있도록 만들라고 지시했다. 이 광장은 각종 대형 집회나 국군의 날 행사 등에 사용되다가 1999년 여의도 공원으로 바뀌었다.
2006년 서울국제금융센터와 파크원 타워 개발 및 착공하였고, 2010년 파크원 타워의 공사가 중단되었다.[24] 서울국제금융센터는 2012년에 완공 및 개장하였다.[25] 2017년 파크원 타워의 공사가 재개되어 2020년에 완공되었다.[26]

2005년 여의도 버스환승센터 공사 과정에서 벙커가 발견되었는데, 서울시에서는 위성사진과 국군의 날 행사 사진을 토대로 과거 박정희 대통령 시절 ‘국군의날’ 행사 때 대통령을 비롯한 요인(要人)들의 비상시 대피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만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여의도에서 ‘국군의날’ 행사가 열린 것은 1972년부터 1990년까지이다.[28][29]
2015년에 공개되었으며 2017년 10월 19일에 세마벙커(SeMA Bunker)가 개관하였다.[30]
2021년 2월 26일 현대백화점의 한국 최대 규모 백화점인 "더현대 서울(더현대 서울)"이 개장했다.[17]
3. 지리
여의도는 여의도공원을 중심으로 서쪽과 동쪽으로 구분된다.
서쪽 끝에는 국회의사당 단지와 원내 주요 정당의 당사들이 몰려있어 정치의 중심지로 인식된다. 국회대로를 사이에 두고 그 아래쪽에는 KBS 본관과 여의도순복음교회, KDB산업은행 등이 있다.
동쪽에는 IFC와 전경련회관 등 주요 마천루들이 몰려있으며 금융권과 상권이 발달하였다. KRX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KBS 별관 등도 이곳에 위치해있다. 여의도자이, 시범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거지와 학교 역시 동남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주거지들은 한강변 원효대교 일대에 인접해 있다. 동쪽 끝에는 63스퀘어가 자리한다.[14]
한강에 접한, 가로 1km, 세로 3km 정도 크기의 섬인 여의도는 대한민국 국회의사당과 정부 기관들이 위치해 있으며, 대형 금융기관과 언론사 본사들이 다수 입주해 초고층 빌딩 숲을 이루고 있다. 남동부는 고층 주거 지역으로 약 3만 명의 정주 인구가 있다. 한국에서는 면적 단위로도 사용되며, 토지 면적을 설명할 때 “여의도의 몇 배”라는 표현을 자주 사용한다.
1985년에 개장한 대한생명 63빌딩(현 63빌딩)은 하이페리온 타워(2003년 완공) 전까지 한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2012년에는 고층 빌딩 4개 동으로 구성된 서울국제금융센터(IFC 서울)가 완전 개장하여, 높이 약 285m, 지상 55층의 제3국제금융센터(Three IFC)가 서울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 되었다. 여의도에 위치한 기업·경제 관련 주요 시설로는 LG그룹 본사 건물인 LG트윈타워, 국민은행 여의도 사옥, 전국경제인연합회 본부 건물인 전경련회관 등이 있다.
과거에는 3대 방송 네트워크의 중추 기능이 집중되어 있었지만, SBS는 2004년에 본사 및 방송센터를 양천구 목동으로 이전했다. 문화방송(MBC)도 여의도 방송센터와 고양시의 스튜디오 동인 “드림센터”의 기능을 통합하기 위해 2014년 마포구 상암동으로 본사를 이전했다.[14] 이로써 여의도에 본사를 둔 방송사는 KBS만 남게 되었다. KBS 별관은 1979년 12월에 준공된 동양방송 여의도 스튜디오가 1980년 언론통폐합에 의해 KBS로 이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KBS 본관에 인접한 동아일보사 별관도, 원래는 동아방송의 사업 확장을 위해 건설된 것이다. 여의도순복음교회와 관련이 깊은 국민일보 본사가 있는 CCMM빌딩도 여의도에 위치한다.
이처럼 강의 섬에 경제와 매스미디어 기능이 집적된 것으로부터, 과거 여의도는 “서울의 맨해튼”이라고 자주 비유되었다.
윤중로 제방 안쪽의 여의도 면적은 2.9km2이고, 한강시민공원 등 한강 둔치를 포함한 면적은 4.5km2이며, 한강 하천바닥까지 포함한 행정구역상 여의도동 전체 면적은 8.4km2이다.[27] 2012년 국토교통부는 '여의도 면적의 몇 배'라고 표기할 때에는 윤중제 안쪽의 여의도 면적인 2.9km2로 통일해 쓰기로 하였다.[27]
3. 1. 서여의도: 정치의 중심지
국회의사당 단지와 원내 주요 정당의 당사들이 몰려 있어 정치의 중심지로 인식된다. 국회대로를 사이에 두고 그 아래쪽에는 KBS 본관과 여의도순복음교회, KDB산업은행 등이 있다.[14]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을 포함한 대부분의 주요 대한민국 정당들은 국회의사당 근처 여의도에 당사를 두고 있다.[15]
3. 2. 동여의도: 금융과 상업의 중심지
IFC와 전경련회관 등 주요 마천루들이 몰려있으며 금융권과 상권이 발달하였다. KRX한국거래소, 금융감독원, KBS 별관 등도 이곳에 위치해있다. 여의도자이, 시범아파트 단지를 비롯한 대부분의 주거지와 학교 역시 동남쪽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 주거지들은 한강변 원효대교 일대에 인접해 있다. 동쪽 끝에는 63스퀘어가 자리한다.[14]
여의도는 서울에서 '금융'에 특화된 부도심 중 하나로, 산업은행, 국민은행, 증권거래소, 전경련회관, SK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서울국제금융센터, 63빌딩, 금융감독원 등을 중심으로 금융기관, 오피스 건물, 마천루 등이 자리 잡고 있다.[14] 그밖에 한국화재보험협회, 한국증권금융협회, 사학연금회관, 교직원공제회관이 이곳에 있다.
여의도의 교육시설로는 서울여의도초등학교, 서울윤중초등학교, 여의도중학교, 윤중중학교, 여의도고등학교, 여의도여자고등학교가 있다. 여의도백화점, 홍우빌딩, IFC몰, 가톨릭대학교 여의도성모병원 역시 이 지역의 주요 편의시설이다.[14]
3. 3. 면적
윤중로 제방 안쪽의 여의도 면적은 2.9km2이고, 한강시민공원 등 한강 둔치를 포함한 면적은 4.5km2이며, 한강 하천바닥까지 포함한 행정구역상 여의도동 전체 면적은 8.4km2이다.[27] 2012년 국토교통부는 '여의도 면적의 몇 배'라고 표기할 때에는 윤중제 안쪽의 여의도 면적인 2.9km2로 통일해 쓰기로 하였다.[27] 이 면적은 290ha, 약 877,250평, 축구장 약 406개와 비슷하다.4. 경제
여의도는 서울에서 '금융'에 특화된 부도심 중 하나로, 산업은행, 국민은행, 한국거래소 등 한국 최대 금융기관 대부분이 위치한 금융 중심지이다. 이러한 기관들은 섬의 동쪽에 밀집해 있으며, 서쪽의 정치 중심지와 마주하고 있다.[14]
1985년에 개장한 63빌딩은 목동 하이페리온이 2003년에 완공될 때까지 한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2012년에는 고층 빌딩 4개 동으로 구성된 서울국제금융센터가 완전 개장하여, 높이 약 285m, 지상 55층의 제3국제금융센터(Three IFC)가 서울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 되었다. LG그룹 본사 건물인 LG트윈타워도 여의도에 있다.[14]
과거에는 3대 방송 네트워크의 중추 기능이 여의도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SBS는 2004년에 본사 및 방송센터를 양천구 목동으로 이전했고, MBC도 2014년 마포구 상암동으로 본사를 이전했다.[14] 이로써 여의도에 본사를 둔 방송사는 KBS만 남게 되었다.
이처럼 강의 섬에 경제와 매스미디어 기능이 집적된 것에서, 과거 여의도는 “서울의 맨해튼”에 비유되기도 하였다.[14]
4. 1. 주요 금융기관
산업은행, 국민은행, 한국거래소, 전경련회관, SK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유진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서울국제금융센터, 63빌딩, 금융감독원을 비롯한 여러 금융기관과 오피스 건물, 마천루 등이 여의도에 자리 잡고 있다. 그밖에 한국화재보험협회, 한국증권금융협회, 사학연금회관, 교직원공제회관도 이곳에 있다.4. 2. 기타 기관
한국화재보험협회, 한국증권금융협회, 사학연금회관, 교직원공제회관이 이곳에 자리해 있다.[1]기관명 |
---|
한국화재보험협회 |
한국증권금융협회 |
사학연금회관 |
교직원공제회관 |
5. 문화 및 관광
과거 여의도는 "서울의 맨해튼"으로 비유되기도 했으나, 여의도에 있던 유일한 고급 호텔인 뉴맨해튼호텔이 2004년 렉싱턴호텔로 이름을 바꾸면서 이러한 비유는 점차 사라졌다.
넓은 광장은 노동조합이나 정치 단체의 집회에 사용되었지만, 현재는 여의도공원으로 조성되어 주말에는 캠핑장과 계절 광장(4만 5000㎡)에서 레저를 즐기는 사람들을 볼 수 있다.[15]
5. 1. 축제
매년 4월 식목일 즈음에 벚꽃이 피기 때문에 이때 여의도 윤중로에서 벚꽃축제가 열리며, 10월 첫 토요일에는 한강시민공원에서 세계불꽃축제가 열린다. 벚꽃축제 기간에는 셔틀버스도 운행한다.5. 2. 관광 명소
여의도는 명동, 홍대 부근, 경복궁 등 서울 주요 관광지에서 30분 정도면 쉽게 갈 수 있는 곳이다. 여의도 한강공원은 저녁이나 주말에 많은 사람들이 찾는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잔디밭에서 휴식을 취하거나 자전거를 타며 시원한 바람을 맞으며 자연을 즐기기에 좋다. 한강공원뿐만 아니라 육지와 섬 사이에 형성된 저습지인 샛강생태공원도 도심 속 자연을 만끽하기 좋은 곳이다. 또한, 이러한 자연과 멀지 않은 곳에 63빌딩, 더 현대 백화점, IFC 쇼핑몰이 있어 쇼핑과 문화생활을 즐기기에도 좋다.[13]
여의도에는 다섯 개의 공원이 있는데, 그중에서도 한강공원 여의도 지역과 여의도공원이 주목할 만하다. 여의도공원은 1999년에 조성되었으며, 다양한 대규모 공공 집회에 사용되었다.[13] 한강변에는 유람선 여객선 터미널도 있다.
- '''벚꽃 축제''' - 매년 4월, 여의도 거리에서 벚꽃 축제가 열린다.
- '''서울세계불꽃축제''' - 10월 토요일에 한강공원에서 서울세계불꽃축제가 열린다.
5. 3. 여의도를 배경으로 한 작품
영화 |
---|
괴물 |
R2B: 리턴투베이스 |
타워 |
고령화가족 |
더 테러 라이브 |
그날의 분위기 |
날, 보러와요 |
콜로설 |
아일라 |
독전 |
반도 |
드라마 |
추적자 |
내 딸, 금사월 |
태양의 후예 |
한국인 자기야 |
불야성 |
김비서가 왜 그럴까 |
프로듀사 |
드라마 스테이지 |
60일, 지정생존자 |
재벌집 막내아들 |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
6. 언론
과거 3대 방송 네트워크의 중추 기능이 여의도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SBS는 2004년에 본사 및 방송센터를 양천구 목동으로 이전했다. 문화방송(MBC)도 2014년 마포구 상암동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여의도에 본사를 둔 방송사는 KBS만 남게 되었다.[14] KBS 별관은 1980년 언론통폐합으로 동양방송에서 KBS로 이관된 건물이다. KBS 본관 인접 동아일보사 별관도 원래는 동아방송의 사업 확장을 위해 건설된 것이다. 여의도순복음교회와 관련된 국민일보 본사가 있는 CCMM빌딩도 여의도에 있다.
6. 1. 방송
과거에는 대한민국의 모든 지상파 방송사가 여의도에 있었으나, 각 방송사의 신사옥 이전으로 오늘날에는 KBS 사옥만 여의도에 남아 있다.[14] 1976년 11월 1일에 KBS 사옥이 완공되었고, 1979년 12월 1일에는 동양방송 사옥 (현 KBS 별관), 1982년 3월 17일에는 MBC 사옥, 1991년에는 SBS 사옥이 완공되었다.[14] SBS는 2004년에 본사 및 방송센터를 양천구 목동으로, MBC는 2014년 마포구 상암동으로 각각 본사를 이전했다.[14] KBS 별관은 1979년 12월에 준공된 동양방송 여의도 스튜디오가 1980년 언론통폐합에 의해 KBS로 이관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여의도순복음교회와 관련이 깊은 국민일보 본사가 있는 CCMM빌딩도 여의도에 있다.6. 2. 신문
국민일보, 파이낸셜뉴스 등의 신문사가 있다.[1]7. 종교
8. 교육
여의도에는 서울여의도초등학교, 서울윤중초등학교, 여의도중학교, 윤중중학교, 여의도고등학교, 여의도여자고등학교가 있다.
9. 교통
서울 지하철 5호선과 서울 지하철 9호선이 여의도를 지나며, 여의도역에서 두 노선이 환승한다. 5호선은 여의나루역을 지나고, 9호선은 국회의사당역과 샛강역을 지난다.
여의도로 가려면 5호선, 9호선 외에도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이나 대방역(도보 이용 가능)에서 버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신길역에서 여의도로 연결되는 다리도 있다.
9. 1. 지하철
서울 지하철 5호선 (여의도역, 여의나루역)과 서울 지하철 9호선 (국회의사당역, 여의도역, 샛강역)이 여의도를 지난다. 서울 경전철 신림선은 샛강역을 지나며, 신안산선은 여의도역에 정차할 예정이다(공사 중).5호선과 9호선은 여의도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5호선은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지나며 여의나루역에 정차하고, 9호선은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지나며 국회의사당역과 샛강역에 정차한다.
여의도로 가려면 5호선, 9호선 외에도 경부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역이나 대방역에서 버스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신길역에서 여의도로 연결되는 다리도 있다.
9. 2. 환승센터
여의도환승센터9. 3. 다리
여의도와 마포를 잇는 다리는 마포대교, 서강대교, 원효대교 세 개가 있다.[1]지하철 5호선과 지하철 9호선이 여의도를 지나며, 여의도역에서 두 노선이 환승한다.[1] 5호선 전용역으로 여의나루역이 남서쪽에서 북동쪽으로 지나가며, 9호선 전용역으로 국회의사당역·샛강역 2개 역이 북서쪽에서 남동쪽으로 지나간다.[1]
경부선(수도권 전철 1호선) 신길역에서 여의도로 연결되는 다리가 있다.[1]
10. 마천루
국회의사당과 정부 기관들이 위치한 여의도에는 대형 금융기관과 언론사 본사들이 다수 입주해 초고층 빌딩 숲을 이루고 있다. 1985년에 개장한 63빌딩은 Hyperion Tower영어이 2003년에 완공될 때까지 한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2012년에는 고층 빌딩 4개 동으로 구성된 International Finance Center Seoul영어가 완전 개장하여, 높이 약 285m, 지상 55층의 제3국제금융센터(Three IFC)가 서울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 되었다. 여의도에 위치한 기업·경제 관련 주요 시설로는 LG그룹 본사 건물인 LG트윈타워한국어, 국민은행 여의도 사옥, 전국경제인연합회 본부 건물인 전경련회관한국어 등이 있다.[14]
10. 1. 완공된 마천루
순위 | 이름 | 높이 | 층수 | 완공 연도 | 비고 |
---|---|---|---|---|---|
1 | 파크원 타워 A동 | 332m | 69층 | 2020년 | 여의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이다. |
2 | 서울국제금융센터 Three IFC | 285m | 55층 | 2012년 | |
3 | 파크원 타워 B동 | 256m | 53층 | 2020년 | |
4 | 63빌딩 | 249m | 60층 | 1985년 | 여의도의 마천루 중 거의 유일하게 전망대가 갖추어져 있다. |
5 | 전경련회관 | 245m | 50층 | 2013년 | |
6 | TP타워 | 220m | 42층 | 2024년 | |
7 | 콘래드 서울 호텔 | 200m | 37층 | 2012년 | |
8 | 서울국제금융센터 One IFC | 186m | 32층 | 2012년 | |
9 | 서울국제금융센터 Two IFC | 176m | 29층 | 2012년 | |
10 | 브라이튼 여의도 아파트 A동 | 168m | 49층 | 2023년 | |
10 | 브라이튼 여의도 아파트 B동 | 168m | 49층 | 2023년 | |
10 | 브라이튼 여의도 오피스텔 | 168m | 49층 | 2023년 | 여의도에서 가장 높은 오피스텔이다. |
10 | 앵커원 | 168m | 32층 | 2023년 | |
14 | 에스트레뉴 타워 | 166m | 36층 | 2009년 | |
15 | 여의도 포스트 타워 | 156m | 33층 | 2020년 | |
16 |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A동 | 151m | 40층 | 2003년 | |
16 | 여의도 리첸시아 타워 B동 | 151m | 40층 | 2003년 |
10. 2. 공사 중 및 계획 중인 마천루
앙사나 레지던스 여의도 서울은 249m, 57층으로 2026년 10월 완공 예정이다.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은 최대 199m, 65층으로 완공 예정은 미정이다.이름 | 높이 | 층수 | 완공 예정 | 비고 |
---|---|---|---|---|
앙사나 레지던스 여의도 서울 | 249m | 57층 | 2026년 10월 | |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 1 | 199m | 65층 | - | |
여의도 시범아파트 재건축 2 | 199m | 65층 | - | |
10. 3. 승인 또는 제안된 마천루
이름 | 높이 | 층수 | 완공 예정 | 비고 |
---|---|---|---|---|
여의도 서울아파트 재건축 1 | 330m | 77층 | - | 제안 |
여의도 서울아파트 재건축 2 | 330m | 77층 | - | 제안 |
참조
[1]
웹사이트
영등포구청>우리구소개>영등포소개>영등포 인구
https://www.ydp.go.k[...]
2023-08-20
[2]
웹사이트
여의도에 '초고층 오피스' 허용…70층 이상 올린다
https://www.hankyung[...]
2024-09-26
[3]
웹사이트
여의도(汝矣島)
https://encykorea.ak[...]
2023-08-20
[4]
웹사이트
여의도의 원뜻은 '너나 가져라'
https://www.chosun.c[...]
2023-08-20
[5]
서적
톡톡 서울 이야기
https://books.google[...]
박이정 출판사
2014-01-14
[6]
웹사이트
https://encykorea.ak[...]
[7]
웹사이트
놀거리 ・ 볼거리 가득한 여의도 가볼만한 곳 추천
https://korean.visit[...]
2023-08-20
[8]
웹사이트
https://www.hansun.o[...]
[9]
웹사이트
동유래
http://yeongdeungpo.[...]
2006-04-16
[10]
웹사이트
동현황
http://yeongdeungpo.[...]
2006-04-16
[11]
웹사이트
Korea's First Airport Was on Yeouido
https://www.koreatim[...]
2023-08-20
[12]
웹사이트
동현황
http://yeongdeungpo.[...]
2006-04-16
[13]
웹사이트
Yeouido
http://english.tour2[...]
2006-04-16
[14]
웹사이트
アクセス :: MBC会社概要
http://aboutmbc.imbc[...]
文化放送
2014-09-23
[15]
웹사이트
週末はテント村と化す漢江公園、取り締まりの効果なし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19-05-12
[16]
일반
[17]
웹사이트
ソウルで一番の話題! 韓国最大級のデパートに行ってみた
https://jj-jj.net/li[...]
2021-06-18
[18]
뉴스
너섬을 아시나요
http://www.labortoda[...]
매일노동뉴스
2016-12-16
[19]
뉴스
[서울 빌딩 스토리]⑫ "31년 랜드마크 63빌딩 위상 깨"…'아시아의 맨해튼' IFC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6-07-30
[20]
뉴스
[서울 빌딩 스토리]㉕ 여의도 30년 '터줏대감' LG 트윈타워…공터에 세워진 최초 쌍둥이 빌딩
http://biz.chosun.co[...]
조선일보
2016-09-12
[21]
뉴스
여의도 스카이라인 10년만에 ‘꿈틀’
http://www.cstimes.c[...]
컨슈머타임스
2017-07-12
[22]
웹인용
상전벽해의 여의도…모래땅에서 최첨단 신도시가 되다
http://news.seoul.go[...]
서울역사박물관
2020-06-20
[23]
뉴스
大韓生命(대한생명)63층빌딩준공
http://newslibrary.n[...]
동아일보
1985-05-30
[24]
뉴스
“땅주인 때문에..” 파크원·SIFC 엇갈린 신세
http://www.fnnews.co[...]
파이낸셜뉴스
2010-12-08
[25]
뉴스
IFC 29일 개장…55층짜리 사무동 '텅~' 비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2-11-26
[26]
뉴스
‘여의도 속 작은 여의도’ 파크원, 동북아 랜드마크 된다
http://www.sedaily.c[...]
서울경제
2017-08-03
[27]
뉴스
헷갈리는 여의도 면적, 2.9 km2로 정했다
https://news.v.daum.[...]
서울경제
2012-04-16
[28]
뉴스
여의도서 지하 벙커 발견
https://news.naver.c[...]
SBS
2005-05-05
[29]
뉴스
여의도 벙커, 최근까지 관리됐다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5-05-17
[30]
뉴스
세마(SeMA) 벙커 개관식 참석한 박원순 서울시장
http://www.nocutnews[...]
노컷뉴스
2017-1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