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한민국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올림픽, 월드컵, 챔피언스 트로피, 챔피언스 챌린지, FIH 네이션스컵, 아시아 선수권 대회, 아시안 게임, 아시아 챔피언스 트로피, 술탄 아즐란 샤흐 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했다. 올림픽에서는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고, 아시안 게임에서는 3번의 금메달을 포함하여 여러 차례 메달을 획득했다. 아시아 선수권 대회에서는 5번 우승했으며, 아시아 챔피언스 트로피에서는 2021년 우승을 차지했다. 술탄 아즐란 샤흐 컵에서는 3번 우승을 기록했다. 2022년 아시안 게임 대표팀은 신석교 감독을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네덜란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네덜란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FIH 월드컵 3회 우승, 유로하키 선수권 대회 최다 우승, 챔피언스 트로피 8회 우승, 하계 올림픽 금메달 3회 등 국제대회에서 강세를 보이는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이다. -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뉴질랜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뉴질랜드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뉴질랜드를 대표하여 국제 필드하키 대회에 참가하는 남자 국가대표팀으로, 1976년 몬트리올 올림픽 금메달, 남자 필드하키 월드컵 4위(1973년), 코먼웰스 게임 메달 획득, 챔피언스 트로피 동메달 3회 등의 성적을 거두었으며, FIH 프로 리그, FIH 하키 네이션스 컵, 오세아니아 컵 등 다양한 국제 대회에 참가하고 2024년 하계 올림픽에도 참가한다.
대한민국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정식 명칭 | 대한민국 남자 필드하키 국가대표팀 |
별칭 | 태극전사 |
협회 | 대한하키협회 |
연맹 | AHF(아시아) |
감독 | 신석교 |
코치 | 신동윤 |
매니저 | 김병훈 |
주장 | 장종현 |
최고 FIH 랭킹 | 4위 (2003년) |
최저 FIH 랭킹 | 17위 (2018년 12월 – 2019년 1월) |
기록 | |
올림픽 출전 횟수 | 6회 |
올림픽 첫 출전 | 1988년 |
올림픽 최고 성적 | 2위 (2000) |
월드컵 출전 횟수 | 7회 |
월드컵 첫 출전 | 1994년 |
월드컵 최고 성적 | 4위 (2002, 2006) |
아시안 게임 출전 횟수 | 14회 |
아시안 게임 첫 출전 | 1958 |
아시안 게임 최고 성적 | 1위 (1986, 1994, 2002, 2006) |
아시아컵 출전 횟수 | 10회 |
아시아컵 첫 출전 | 1985년 |
아시아컵 최고 성적 | 1위 (1993, 1999, 2009, 2013, 2022) |
메달 기록 | |
올림픽 | 금메달: 0 은메달: 1 동메달: 0 |
아시안 게임 | 금메달: 4 은메달: 1 동메달: 3 |
아시아컵 | 금메달: 5 은메달: 1 동메달: 3 |
챔피언스트로피 | 금메달: 0 은메달: 1 동메달: 2 |
아시아 챔피언스트로피 | 금메달: 1 은메달: 0 동메달: 0 |
올림픽 메달 | |
은메달 | 2000 시드니 (팀) |
아시안 게임 메달 | |
금메달 | 1986 서울 (팀) |
금메달 | 1994 히로시마 (팀) |
금메달 | 2002 부산 (팀) |
금메달 | 2006 도하 (팀) |
은메달 | 1998 방콕 (팀) |
동메달 | 1958 도쿄 (팀) |
동메달 | 2014 인천 (팀) |
동메달 | 2022 항저우 (팀) |
아시아컵 메달 | |
금메달 | 1994 히로시마 |
금메달 | 1999 쿠알라룸푸르 |
금메달 | 2009 쿠안탄 |
금메달 | 2013 이포 |
금메달 | 2022 자카르타 |
은메달 | 2007 첸나이 |
동메달 | 1985 다카 |
동메달 | 1989 뉴델리 |
동메달 | 2003 쿠알라룸푸르 |
챔피언스트로피 메달 | |
은메달 | 1999 브리즈번 |
동메달 | 2000 암스테르담 |
동메달 | 2009 멜버른 |
아시아 챔피언스트로피 메달 | |
금메달 | 2021 다카 |
기타 정보 | |
첫 국제 경기 | 말라야 2–3 대한민국 (1958년 5월 25일 - 일본 도쿄) |
최다 점수차 승리 | 인도네시아 0–15 대한민국 (2018년 8월 24일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
최다 점수차 패배 | 파키스탄 9–1 대한민국 (1987년 11월 25일 - 파키스탄 카라치) |
최다 출전자 | 장종현 (300) |
2. 올림픽
대한민국 필드하키 국가대표팀은 1988년 서울 올림픽에 처음 출전하여 10위를 기록했다. 이후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는 예선 탈락하였으나,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는 네덜란드와의 결승전에서 3-3 무승부 후 페널티코너에서 4-5로 패하며 은메달을 획득,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다.[1]
2. 1. 하계 올림픽 성적
하계 올림픽 기록 | ||||||||||
---|---|---|---|---|---|---|---|---|---|---|
연도 | 개최지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 패배 | 득점 | 실점 | 선수단 | |
1908년 ~ 1984년 | 불참 | |||||||||
1988년 | 서울, 대한민국 | 10위 | 7 | 1 | 2 | 4 | 10 | 14 | 선수단 | |
1992년 | 바르셀로나, 스페인 | 진출 실패 | ||||||||
1996년 | 애틀랜타, 미국 | 5위 | 7 | 2 | 3 | 2 | 18 | 17 | 선수단 | |
2000년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2위 | 7 | 3 | 3 | 1 | 13 | 10 | 선수단 | |
2004년 | 아테네, 그리스 | 8위 | 7 | 2 | 2 | 3 | 22 | 17 | 선수단 | |
2008년 | 베이징, 중국 | 6위 | 6 | 2 | 1 | 3 | 15 | 16 | 선수단 | |
2012년 | 런던, 영국 | 8위 | 6 | 2 | 0 | 4 | 11 | 11 | 선수단 | |
2016년 ~ 2024년 | 진출 실패 | |||||||||
2028년 | 로스앤젤레스, 미국 | 미정 | ||||||||
2032년 | 브리즈번, 오스트레일리아 | |||||||||
합계 | 2위 | 40 | 12 | 11 | 17 | 89 | 85 |
- 1988년 서울 올림픽 10위: 신석균, 송석찬, 정계석, 김영준, 정부진, 박재식, 김종갑, 허상녕, 모지영, 이흥표, 김재천, 김만회, 한진수, 권순필, 유승진, 지재관
-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예선 탈락
-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5위: 정용균, 한병국, 송성태, 김영귀, 구진수, 박신흥, 조명준, 유명군, 강건욱, 신석교, 전종하, 김종이, 김윤, 홍경섭, 김용배, 유승진
- 2000년 시드니 올림픽 2위[1]: 강건욱, 송성태, 전종하, 김용배, 지성환, 황종현, 여운곤(MF), 김경석, 김윤, 김철환, 한형배, 김정철, 임정우, 서종호(FW), 임종천, 전종권 (결승전 네덜란드와 3-3 무승부 후 페널티코너에서 4-5패)
- 2004년 아테네 올림픽 8위[1]: 이정선, 송성태, 전종하, 김용배, 지성환, 김정철, 한형배, 임정우, 여운곤(MF), 김경석, 고동식, 서종호(FW), 강성정, 김종민, 유효식, 장종현
- 2008년 베이징 올림픽 6위[1]: 조성준(감독), 조명준(코치), 김용배(코치), 이명호(GK), 김철, 윤성훈, 홍은성, 유효식, 이남용, 김병훈, 강성정, 고동식, 서종호(FW), 김삼석, 장종현, 차종복, 여운곤(MF), 강문권
- 2012년 런던 올림픽 8위[1]: 김윤동(감독), 신석교(코치), 여운곤(MF), 서종호(FW), 현혜성, 이명호(GK), 이승일(주장), 남현우, 이남용, 홍은성, 윤성훈, 김영진, 오대근, 유효식, 장종현, 강문규, 강문권, 차종복
3. 세계 선수권 대회
대한민국은 1994년 오스트레일리아 시드니에서 열린 월드컵에 처음 출전하여 8위를 기록한 이후, 꾸준히 월드컵에 참가하고 있다. 1998년 대회에서는 7위, 2002년 대회와 2006년 대회에서는 4위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강팀으로 성장했다. 특히 2002년과 2006년 대회 4위는 대한민국 남자 필드하키 대표팀이 월드컵에서 거둔 역대 최고 성적이다. 2010년 대회에서는 6위, 2014년 대회에서는 10위, 2023년 대회에서는 8위를 기록했다.
월드컵과 관련된 상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인 === 월드컵 ===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월드컵
대한민국은 1994년 대회를 시작으로 월드컵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1994년 대회에서는 8위, 1998년 대회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2002년 대회와 2006년 대회에서는 4위를 차지하며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신석교 감독은 1994년부터 2002년까지 대표팀을 이끌었다.[1] 2010년 대회에서는 6위, 2014년 대회에서는 10위를 기록했다.연도 | 개최지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무승부 (승부차기 포함) | 패배 | 득점 | 실점 | 선수 명단 |
---|---|---|---|---|---|---|---|---|---|
1994 |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 8위 | 7 | 1 | 3 | 3 | 14 | 15 | |
1998 | 위트레흐트, 네덜란드 | 7위 | 7 | 2 | 1 | 4 | 14 | 18 | 선수 명단 |
2002 | 쿠알라룸푸르, 말레이시아 | 4위 | 9 | 5 | 0 | 4 | 23 | 16 | 선수 명단 |
2006 | 묀헨글라트바흐, 독일 | 4위 | 7 | 3 | 2 | 2 | 12 | 12 | 선수 명단 |
2010 | 뉴델리, 인도 | 6위 | 6 | 3 | 1 | 2 | 16 | 10 | 선수 명단 |
2014 | 헤이그, 네덜란드 | 10위 | 6 | 0 | 1 | 5 | 3 | 18 | 선수 명단 |
2023 | 오디샤, 인도 | 8위 | 5 | 1 | 1 | 3 | 10 | 23 | 선수 명단 |
3. 2. 챔피언스 트로피
3. 3. 챔피언스 챌린지
연도 | 대회 | 결과 | 감독 | 코치 | 비고 |
---|---|---|---|---|---|
2003년 | 챔피언스 챌린지 | 2위 | |||
2005년 | 챔피언스 챌린지 | 2위 | |||
2012년 | 아르헨티나 챔피언스 챌린지 | 2위 (결승전 아르헨티나에 0-5패) | 김윤동 | 신석교 | 득점왕 장종현 (8골) |
2014년 | 말레이시아 챔피언스 챌린지 | 우승 | 신석교 | 폴리섹, 유문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