덩푸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덩푸팡은 덩샤오핑의 아들로, 문화 대혁명 시기 홍위병에 의해 투옥되어 고문을 당하고 건물에서 추락하여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 이후 장애인 인권 운동에 헌신하여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 중국 장애인 연합회를 설립하고,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다. 2008년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을 역임했으며, 2023년 중국 장애인 연합회 명예 회장직에서 물러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국의 고문 피해자 - 리리리
리리리는 1930년대 중국 영화계에서 "스윗 누나"라는 별명으로 활약한 배우로, 명월 가무단 활동 후 롄화 영화사에서 데뷔하여 《스포츠 여왕》, 《거대한 길》 등의 대표작을 남겼으며, 중일 전쟁 이후 충칭과 홍콩에서 활동, 미국 유학 후 베이징 영화 학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다 문화 대혁명 시기에 고초를 겪고 복권, 1991년 중국 영화 예술원에서 특별 공로상을 수상했다. - 중국의 고문 피해자 - 공손하
전한 무제 시기에 태복과 승상을 지낸 공손하는 경제 때 기병으로 종군하여 무제의 신임을 얻었지만, 아들의 비리로 일족이 주멸되었고 전한 역사상 가장 오랫동안 태복과 승상을 지낸 인물이다. - 문화 대혁명 피해자 - 덩샤오핑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사후 중국 최고지도자가 되어 개혁개방 정책을 추진, 중국 경제 성장을 이끌었으나 톈안먼 사건 무력 진압 등 비판도 받으며, 실사구시와 선부론을 통해 실용주의 노선을 추구하고 일국양제 원칙을 제시한 중국의 정치가이자 개혁가이다. - 문화 대혁명 피해자 - 후진타오
후진타오는 칭화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공산당에서 경력을 쌓아 덩샤오핑 등의 지지로 최연소 상무위원이 되었으며, 장쩌민의 뒤를 이어 중국공산당 총서기와 중화인민공화국 주석을 역임하면서 베이징 올림픽 개최와 경제 성장을 이끌었다. - 올림픽 훈장 수훈자 - 문재인
대한민국의 제19대 대통령인 문재인은 인권 변호사 출신으로 노무현 정부의 핵심 측근을 지냈으며, 2017년 대통령에 당선되어 국민 통합, 남북 관계 개선, 검찰 개혁 등을 추진했으나 부동산 정책 실패와 코로나19 팬데믹, 재보궐선거 참패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퇴임 후 양산 평산마을에서 생활하고 있다. - 올림픽 훈장 수훈자 - 보리스 옐친
보리스 옐친은 소련 공산당에서 활동하다가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이 되어 소련 해체 후 시장 경제 개혁을 추진했으며, 헌법 위기와 체첸 전쟁을 겪고 1999년 사임 후 2007년 사망했다.
덩푸팡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944년 4월 16일 |
출생지 | 랴오 현, 산시 성, 중화민국 (현재의 산시성 쭤취안 현) |
사망일 | 알 수 없음 |
학력 | 베이징 대학 |
부모 | 덩샤오핑 줘린 |
친척 | 형제자매: 덩린, 덩난, 덩룽, 덩즈팡 |
정당 | 중국 공산당 |
직책 | |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 | 임기 시작: 2008년 3월 5일 임기 종료: 2013년 3월 5일 |
주석 | 자칭린 |
중국장애인연합회 주석 | 임기 시작: 1988년 임기 종료: 2008년 |
후임 | 장하이디 |
2. 생애
덩푸팡은 덩샤오핑[3]과 줘린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푸팡'이라는 이름은 류보청이 지어준 것이다.[4] 베이징 대학 기술물리학과를 졸업하고 1965년 9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5]
문화 대혁명 시기 덩푸팡은 홍위병에게 고문을 당하고 베이징 대학 건물 창밖으로 던져져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1][2][6][8]
1975년 중앙군사위원회 판공실 행정경제관리부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1984년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을 설립하고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이듬해 회장으로 승진, 2006년부터 재단 회장을 역임하고 있다. 1988년에는 중국 장애인 연합회를 설립하고 회장이 되었다.[1]
1987년, 장애인에 대한 전국 조사를 추진했고,[1] 1990년 중국 정신 장애인 재활 연구 협회 설립을 주도했다. 1991년에는 정신 질환을 장애로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1]
2003년 12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으며,[10] 2008년 3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11][12] 같은 해 11월, 중국 장애인 연합회 명예 주석으로 선출되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 부회장을 맡았다.[13] 2023년 9월, 중국 장애인 연합회 명예 회장직에서 물러났다.[14][15]
연도 | 내용 |
---|---|
1968년 | 베이징 대학 기술물리학과 졸업[17] |
1975년 |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관리국 근무, 중앙군사위원회 사무실 근무 |
1988년 | 중국 장애인 연합회 이사장 |
1991년 | 중국 장애인 연합회 주석 |
1997년 | 중국 공산당 제15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 |
2002년 | 중국 공산당 제16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 |
2. 1. 어린 시절과 교육
덩푸팡은 덩샤오핑[3]과 줘린 사이에서 산시성 진중시 랴오현(현 쭤취안현) 마타이안진 윈터우디촌에서 태어났다. "푸팡"이라는 이름은 "순수함과 정방형"이라는 의미로 류보청이 지어준 것이다.[4]어린 시절 그는 베이징 제13중학교에 다녔다. 1962년, 베이징 대학 기술물리학과에 입학했고, 1965년 9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5]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덩샤오핑과 그의 가족은 마오쩌둥의 표적이 되었다. 덩푸팡은 자본주의 노선(capitalist roader)으로 낙인 찍혔다.[1] 한 심문에서 그는 팔을 뒤로 뻗어 머리 위로 올린 채 무릎을 꿇도록 강요당했다. 그의 가족은 학생들이 그에게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을 고백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지켜보았다.[6][7]
마오의 홍위병은 덩푸팡을 투옥했다. 그는 고문을 당했고, 1968년 베이징 대학 3층 건물 창밖으로 던져졌다.[1][2][6][8] 등뼈가 부러진 그는 병원으로 급히 이송되었지만 입원이 거부되었다. 다른 진료소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하반신 마비 상태였다.[6] 그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가 되었다.[1][2]
덩푸팡은 문화 대혁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문화 대혁명 세대는 종종 말하는 것처럼 실패한 세대가 아니다. 그와는 정반대다. 그 시련을 겪은 모든 사람은 강해졌다. 이 사람들은 많은 생각을 하고,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신념에 확고하며, 솔선수범한다. 내 생각에 이 세대는 중국과 그들이 시작한 개혁에 대한 트럼프 카드를 대표한다."[9]
2. 2. 문화 대혁명 시련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덩샤오핑과 그의 가족은 마오쩌둥의 표적이 되었다. 덩푸팡은 자본주의 노선(capitalist roader)으로 낙인 찍혔다.[1] 한 심문에서 그는 팔을 뒤로 뻗어 머리 위로 올린 채 무릎을 꿇도록 강요당했다. 그의 가족은 학생들이 그에게 자본주의적 사고방식을 고백하도록 강요하는 것을 지켜보았다.[6][7]마오의 홍위병은 덩푸팡을 투옥했다. 그는 고문을 당했고, 1968년 베이징 대학 3층 건물 창밖으로 던져졌다.[1][2][6][8] 등뼈가 부러진 그는 병원으로 급히 이송되었지만 입원이 거부되었다. 다른 진료소에 도착했을 때는 이미 하반신 마비 상태였다.[6] 그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하반신 마비 환자로 남았다.[1][2]
덩푸팡은 문화 대혁명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했다. "문화 대혁명 세대는 종종 말하는 것처럼 실패한 세대가 아니다. 그와는 정반대다. 그 시련을 겪은 모든 사람은 강해졌다. 이 사람들은 많은 생각을 하고,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들은 자신의 신념에 확고하며, 솔선수범한다. 내 생각에 이 세대는 중국과 그들이 시작한 개혁에 대한 트럼프 카드를 대표한다."[9]
2. 3. 장애인 인권 운동
1984년 덩푸팡은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을 설립했다.[1] 1988년에는 중국 장애인 연합회를 설립하고 회장이 되었다.[1]1987년, 그는 장애인에 대한 전국 조사를 추진하는 핵심 인물이었다.[1] 덩푸팡은 또한 중국 장애인의 어려움을 알리고 미국의 관련 관행을 배우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3] 1990년, 그는 중국 정신 장애인 재활 연구 협회 설립을 주도했다. 1991년에는 정신 질환을 장애로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1]
2003년 12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중국의 장애를 가진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10]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는 2005년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에서 그에게 '패럴림픽 훈장'을 수여했다.
2. 4. 정치 활동
덩푸팡은 덩샤오핑[3]과 줘린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푸팡'이라는 이름은 류보청이 지어준 것이다.[4] 베이징 대학 기술물리학과에 입학하여 1965년 9월 중국 공산당에 입당했다.[5]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덩샤오핑과 그의 가족은 마오쩌둥의 표적이 되었고, 덩푸팡은 자본주의 노선으로 비판받았다.[1] 그는 홍위병에게 고문을 당하고 1968년 베이징 대학 건물 창밖으로 던져져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1][2][6][8]
1984년 덩푸팡은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을 설립했다. 1975년 중앙군사위원회에서 일했고, 1984년에는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 부회장이 되었으며 이듬해 회장으로 승진했다. 1988년에는 중국 장애인 연합회를 설립하고 회장이 되었다.[1]
1987년, 그는 장애인에 대한 전국 조사를 추진했고,[1] 1990년에는 중국 정신 장애인 재활 연구 협회 설립을 주도했다. 1991년에는 정신 질환을 장애로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었다.[1]
2003년 12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으며,[10] 2008년 3월에는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부주석으로 선출되었다.[11][12] 같은 해 11월, 중국 장애인 연합회 명예 주석으로 선출되었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 부회장을 맡았다.[13] 2023년 9월, 중국 장애인 연합회 명예 회장직에서 물러났다.[14][15]
그의 주요 경력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연도 | 내용 |
---|---|
1968년 | 베이징 대학 기술물리학과 졸업[17] |
1975년 | 중국 인민해방군 총참모부 관리국 근무, 중앙군사위원회 사무실 근무 |
1988년 | 중국 장애인 연합회 이사장 |
1991년 | 중국 장애인 연합회 주석 |
1997년 | 중국 공산당 제15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 |
2002년 | 중국 공산당 제16차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중앙위원 후보로 선출 |
2. 5. 국제적 활동
1984년 덩푸팡은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을 설립했다.[1] 1988년에는 중국 장애인 연합회를 설립하고 회장이 되었다.[1] 그는 장애인에 대한 전국 조사를 추진하고,[1] 중국 장애인의 어려움을 알리고 미국의 관련 관행을 배우기 위해 미국을 방문했다.[3] 1987년에는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과 백악관에서 회동을 갖기도 했다.1990년, 그는 중국 정신 장애인 재활 연구 협회 설립을 주도했다. 1991년에는 정신 질환을 장애로 인정하는 법안이 통과되는데 기여했다.[1]
2003년 12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는데, 이는 중국의 장애를 가진 개인의 권리를 보호한 공로를 인정받은 것이다.[10]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는 2005년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에서 그에게 '패럴림픽 훈장'을 수여했다.
그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 부회장으로서 올림픽 조직을 도왔다.[13]
3. 수상
덩푸팡은 중국 장애인 연합회 설립을 지원했고, 중국 내 장애인 권리 보호에 대한 업적을 인정받아 2003년 12월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다.[10]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는 2005년 11월 베이징에서 열린 회의에서 그에게 '패럴림픽 훈장'을 수여했다. 이 상이 단일 수상자에게 수여된 것은 그 해가 처음이었으며, 이전에는 금, 은, 동 메달이 수여되었다.
4. 평가
덩푸팡은 덩샤오핑의 아들로서, 문화 대혁명 시기에 겪은 고난과 장애를 극복하고 중국 장애인 인권 증진에 기여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덩푸팡은 홍위병에 의해 고문을 당하고 건물에서 떨어져 하반신 마비가 되었다.[1][2][6][8] 이러한 시련에도 불구하고, 1984년 중국 장애인 복지 기금을 설립하고,[1] 1988년에는 중국 장애인 연합회를 설립하여 장애인 복지 및 인권 향상에 힘썼다.[1]
1987년에는 장애인에 대한 전국 조사를 추진하고,[1] 1990년에는 중국 정신 장애인 재활 연구 협회 설립을 주도했으며,[1] 1991년에는 정신 질환을 장애로 인정하는 법안 통과에 기여했다.[1]
그의 노력은 국제적으로도 인정받아 2003년 유엔 인권상을 수상했고,[10] 국제 패럴림픽 위원회는 2005년 그에게 '패럴림픽 훈장'을 수여했다.
덩푸팡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조직위원회 집행 부회장을 맡아 올림픽 성공 개최에도 기여했다.[13]
참조
[1]
서적
Royal College of Psychiatrists
RCPsych Publications
1995
[2]
서적
My path leads to Tibet: the inspiring story of the blind woman who brought hope to the blind children of Tibet
W W Norton
2013
[3]
서적
Living U.S.-China Relations: From Cold War to Cold War
Rowman & Littlefield
2024
[4]
서적
鄧小平成功的背後
https://books.google[...]
皇冠出版社(香港)有限公司
2024-07-20
[5]
서적
邓朴方的路
https://books.google[...]
书海出版社
2024-07-20
[6]
서적
Deng Xiaoping: Leader in a Changing China
Twenty-First Century Books
2001
[7]
서적
紅色后代
https://books.google[...]
成都出版社
2024-07-20
[8]
서적
Integration: myth or reality?
Falmer Press
[9]
간행물
Libération
1985-09-02
[10]
웹사이트
UN honours Deng's disabled son
http://news.bbc.co.u[...]
2003-12-03
[11]
서적
Xinhua News Bulletin
https://books.google[...]
Xinhua News Agency, Hongkong Branch
2024-07-20
[12]
서적
中华人民共和国大辞典
https://books.google[...]
新华出版社
2024-07-20
[13]
웹사이트
Official Website of the Beijing Olympics
http://en.beijing200[...]
2009-02-03
[14]
웹사이트
邓小平长子邓朴方卸任中国残联名誉主席
https://www.zaobao.c[...]
2023-09-21
[15]
웹사이트
鄧小平長子鄧樸方卸任殘聯名譽主席 文革遭迫害從三樓躍下致癱瘓
https://www.hk01.com[...]
2023-09-21
[16]
웹사이트
第8回「東・東南アジアにおける障害者運動の動向―中国、台湾、香港、そして知的障害者」
https://www.ritsumei[...]
立命館大学
2023-07-29
[17]
웹사이트
鄧 樸方
2023-07-28
[18]
웹사이트
北京パラリンピックと中国の障害者施策
https://www.nhk.or.j[...]
NHK
2022-03-02
[19]
웹인용
등소평 장남 등박방 제주방문
http://www.jemin.com[...]
2024-02-12
[20]
웹인용
"[기고] 중국의 위대한 지도자 등소평, \"흑묘백묘론\""
http://www.cmnews.kr[...]
2023-04-15
[21]
웹인용
“太行奶娘”郭金梅--邓小平纪念网--人民网
http://cpc.people.co[...]
2024-02-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