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데인 도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인 도끼는 9세기부터 16세기까지 유럽에서 널리 사용된 전투용 도끼로, 특히 바이킹 시대를 거치며 잉글랜드, 아일랜드, 노르망디 등지에서 인기를 얻었다. 얀 페테슨의 분류에 따르면 L 타입과 M 타입으로 나뉘며, 넓고 얇은 날과 뿔 모양의 특징을 갖는다. 바이킹과 바랑인 친위대 등 엘리트 전사들이 사용했으며, 12세기부터는 기사 및 보병의 무기로도 활용되었다. 데인 도끼는 점차 폴액스로 발전했으며, 스티클레스타드 전투 이후에는 성 올라프의 상징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데인 도끼
무기 정보
데인 도끼
데인 도끼
종류도끼
기원바이킹 시대
사용 시기바이킹 시대 ~ 중세 시대
다른 이름고대 노르드어: breiðøx (브레이드외크스)
형태 및 크기
전체 길이0.9~1.2m
자루 길이1.5~1.7m
특징긴 자루와 넓은 날을 가진 도끼
역사적 맥락
용도보병 무기, 의례용
관련 유물바예ux 태피스트리, 키이우 성 소피아 대성당 벽화
갤러리
바예ux 태피스트리에 묘사된 데인 도끼
바예ux 태피스트리에 묘사된 데인 도끼
스웨덴, [[웁살라]]에서 발견된 데인 도끼 머리
스웨덴, 웁살라에서 발견된 데인 도끼 머리
런던 타워에서 발견된 원본을 기반으로 한 데인 도끼 머리 복제품
런던 타워에서 발견된 원본을 기반으로 한 데인 도끼 머리 복제품, Petersen Type L 또는 Type M
데인 도끼를 든 바랑인 친위대
키이우 성 소피아 대성당의 9세기 벽화에 묘사된 의식을 치르는 두 명의 바랑인 친위대, 한 명은 데인 도끼와 원형 방패를 들고 있음

2. 구조

데인 도끼는 날과 자루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구분내용
얀 페테슨의 유형 분류에 따르면 L형 또는 M형이다. 넓고 얇으며, 날의 앞뒤에 뚜렷한 "뿔" 모양이 특징이다. 절삭면은 20cm에서 30cm 사이이며, L형은 날이 앞으로 굽어 있고, M형은 더 크고 대칭적이다. 가볍고 얇게 단조되어 절삭력이 뛰어나며, 높은 탄소강을 사용해 강도를 높였다. 무게는 1kg에서 2kg 사이이다.
자루전투용은 0.9m에서 1.2m 정도, 지위 상징용은 1.5m에서 1.7m까지 길다. 은 상감 세공을 하거나 놋쇠 자루 덮개로 장식하기도 했다. 물푸레나무와 참나무가 주로 사용되었다.



날과 자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각 하위 문단을 참고할 수 있다.

2. 1. 날

대부분의 데인 도끼 날은 얀 페테슨의 유형 분류 체계에 따라 L 타입 또는 M 타입에 속한다.[19] 두 유형은 비트 부분의 토(toe)와 힐(Heel) 양쪽에 뚜렷한 뿔(horns)이 있는 넓고 얇은 날로 이루어져 있다. 절단면은 보통 20cm에서 30cm 사이이다. L 유형의 날은 비트의 토 부분이 뛰어난 절단 능력을 위해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좀 더 작은 편이다. 후기의 M 유형 날은 토와 힐이 균형을 이루고 전반적으로 크다.

도끼날 자체는 꽤나 가볍고 아주 얇게 주조되어 절단에 뛰어났다. 도끼날 상단 몸체 두께는 2mm에 불과하다. 많은 데인 도끼는 강도를 늘리고 더욱 날카롭게 하기 위해 높은 비율의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대체로 보강된 비트로 제작되었다. 평균 무게는 1kg에서 2kg 사이이다. 긴 유형의 데인 도끼는 목공용 도끼보다는 클리버와 좀 더 공통점이 있다. 이처럼 얇게 주조되고 날 근처가 더 단단한 유형의 철로 결합한 복잡한 구조는 파괴적인 절단 능력을 가진, 날카롭고 빠른 무기를 만들어냈다.

2. 2. 자루

당시 삽화에 따르면, 지위를 상징하는 용도로 쓰인 데인 도끼는 1.5에서 1.7m만큼이나 길었을 수도 있지만, 전투용 긴도끼의 자루 길이는 평균적으로 대략 0.9m에서 1.2m이었다. 이러한 도끼들은 은으로 된 상감이 있기도 했고 전투 용도의 나팔 모양으로 벌어진 철제 도끼날이 흔하게 없기도 했다.[19] 현존하는 예시들에는 보통 화려하게 장식된 놋쇠 자루 덮개가 있으며, 이는 아마 도끼의 머리를 자루에 고정시켜 주었을 뿐만 아니라 치열한 전투에서 자루의 끝 부분을 보호해 주었을 것이다. 물푸레나무와 참나무가 항상 폴암류에 사용된 주재료였기에, 이 목재들이 자루의 용도로 가장 주재료였을 것이다.

3. 역사

데인 도끼는 10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바이킹의 영향력이 강했던 잉글랜드, 아일랜드, 노르망디 등 스칸디나비아 외부 지역에서 인기를 얻었다. 옛 사료들은 데인 도끼를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허스칼 같은 이 시기의 엘리트 전사들의 무기로 묘사한다.

16세기에는 스코틀랜드 서부와 아일랜드에서 데인 도끼가 계속 사용되었다.[27] 특히 아일랜드에서 데인 도끼는 갤로글래스 용병들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었다.[28]

3. 1. 바이킹 시대 (9-11세기)

바이외 태피스트리에 묘사된 데인 도끼


12세기 ''마드리드 스카일리체스'' 필사본에 묘사된 데인 도끼를 든 바랑인 친위대


9세기부터 11세기에 걸쳐 데인 도끼는 바이킹의 무역이나 영향력, 또는 잉글랜드, 아일랜드, 노르망디와 같은 독립적인 발전을 통해 스칸디나비아 외부에서도 인기를 얻기 시작했다. 역사적 기록은 데인 도끼를 이 시기의 일부 전사 엘리트의 무기로 묘사하고 있는데, 예를 들어 앵글로색슨 잉글랜드의 허스칼이 있다.

정복왕 윌리엄이 잉글랜드 왕위에 오르는 과정을 시각적으로 기록한 바이외 태피스트리는 도끼가 거의 전적으로 갑옷을 잘 갖춘 후스칼들이 사용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후스칼들은 헤이스팅스 전투에서 잉글랜드의 해럴드 2세 왕의 핵심 호위병을 형성했다. 아마도 참회왕 에드워드의 데인 도끼가 그가 대관식을 치르기 전에 해럴드에게 헌정되었다.[2] 바이외 태피스트리는 또한 한 명의 후스칼이 한 번의 타격으로 노르만 기사의 말의 머리를 쪼개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3]

데인 도끼는 "도끼를 든 경호대"로 알려진 πελεκυφόρος φρουράgrc 바랑인 친위대가 사용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이들은 로마 황제에 의해 고용된 북유럽 및 동유럽 출신의 용병이었다. 10세기의 콘스탄티노플에서 발견된 한 개의 상아판은 도끼를 든 바랑인이 묘사되어 있는데, 도끼의 높이가 사용자의 키만큼이나 컸다.

3. 2. 중세 시대 (12-14세기)

이름에서 스칸디나비아 유산이 나타나지만, 데인 도끼는 12세기부터 유럽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으며, 비록 검만큼의 지위는 아니었지만 기사에게 어울리는 무기로 인정받았다.[22] 또한 자루가 대략 1.8m만큼 늘어나면서 보병들의 폴암으로 널리 사용되기 시작했다.[23][24] 13, 14세기에는 도끼날이 길어지고, 후방의 뿔이 자루에 닿을 만큼 커지는 형태 변화를 겪었다. 길어진 무기, 특히나 길어진 도끼날과 결합된 경우는 잉글랜드에서 스파스라고 불렀다. 일부에서는 이 무기가 할버드의 선조격이라고도 생각한다.[25]

14세기에도 데인 도끼의 사용은 계속되었지만, 갑옷을 관통하는 후방 스파이크와 자루 앞뒤로 창과 같은 스파이크가 있는 도끼가 더 흔해졌고, 마침내 15세기에 폴액스로 발전하게 되었다.[26]

3. 3. 후기 (15-16세기)

이름에서 스칸디나비아적인 유산을 띠고는 있으나, 데인 도끼는 비록 검만큼의 지위는 아니었지만 기사에 어울리는 무기라는 인정을 받으며, 12세기부터 유럽 전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22] 또한 자루가 대략 1.8m만큼 늘어나면서 보병들의 폴암으로 널리 사용되기도 시작했다.[23][24] 13, 14세기는 또한 도끼날 역시도 길어지고, 후방의 뿔이 자루에 닿을 만큼 커지는 형태 변화를 겪었다. 길어진 무기들, 특히나 길어진 도끼날과 결합된 경우는 잉글랜드에선 ''스파스''라고 했다. 일부에선 이 무기가 할버드의 선조격이라고도 생각한다.[25]

데인 도끼의 사용이 14세기에 계속되는 한편, 갑옷을 관통하는 후방 스파이크와 자루의 앞뒤로 창과 같은 스파이크가 있는 도끼가 좀 더 흔해졌고, 마침내 15세기에 폴액스로 발전하게 되었다.[26] 단순한 데인 도끼는 16세기 스코클랜드 서부와 아일랜드에서 사용이 계속되었다.[27] 아일랜드에서, 데인 도끼는 갤로글래스 용병들과 특히나 연관되어 있다.[28]

4. 도끼와 관련된 유명 인물

스티클레스타드 전투 이후, 데인 도끼는 성 올라프의 상징이 되었고 노르웨이의 국장에서 여전히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이 도끼는 그 사용 자체를 나타내기보다는, 올라프의 순교를 암시하는 것이다.[29]

잉글랜드의 왕 스티븐은 1141년의 링컨 전투에서 데인 도끼를 사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 기록에서 말하길, 그의 검이 부러지자 도끼를 사용했다고 하고[29] 또다른 기록에선 도끼가 부러진 후에 검을 사용했다고 말한다.[30]

사자심왕 리처드는 비록 그 언급이 때로는 적합한 민족 영웅으로 심하게 과장되기는 했지만, 빅토리아 시대 때 거대한 전투 도끼를 휘두른 것으로 종종 기록되었다.[31] 하지만 리처드는 야파의 부조에서 데인 도끼를 사용한 것으로 묘사되었다.[32] 조프루아 드 뤼지냥이 데인 도끼와 연관된 또다른 유명한 십자군이다.[33]

스코틀랜드의 왕 로버트 브루스는 배넉번 전투에서 데인 도끼의 한번의 일격으로 헨리 드 보운을 전사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이 일격은 드 보운의 투구를 쪼개고 두개골이 열리며 도끼의 자루가 부러질 정도로 강했다.

14세기에, 데인 도끼의 사용이 장 프루아사르의 연대기에서 점차 언급되었다. 1356년 푸아티에 전투에서 프랑스의 왕 장 2세가 사용하였고, 1388년 오터번 전투에서 제임스 더글러스가 사용하는 등 점차 언급되었다.[34] 브르타뉴인들은 전투에서 도끼들을 휘두른 베르트랑 뒤 게스클랭과 올리비에 드 클리송 등 명백히 도끼 사용자들로 언급되었다.[35] 이 경우엔, 이때 쓰인 무기가 데인 도끼였는지 아니면 폴액스의 프로토타입인지는 확실치 않다.

참조

[1] 서적 De Norske Vikingesverd
[2] 웹사이트 Bayeux Tapestry image https://web.archive.[...] bayeuxtapesty.org.uk 2017-11-10
[3] 웹사이트 Bayeux Tapestry image https://web.archive.[...] Cache-media.britannica.com 2013-10-22
[4] 서적 Arms and Armour of the Medieval Knight Defoe
[5] 문서 See, for example, the illustrations in the Maciejowski Bible
[6] 웹사이트 The Morgan Library & Museum Online Exhibitions - The Morgan Picture Bible http://www.themorgan[...] Themorgan.org 2012-08-20
[7] 서적 European Weapons and Armour Lutterworth Press
[8] 문서 Miles & Paddock, op.cit. p.69
[9] 서적 Scottish Weapons and Fortifications 1100–1800 John Donald
[10] 서적 Galloglas Tuckwell Press
[11] 문서 Anglo-Saxon Chronicles
[12] 서적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vol.1 Greenhill Books
[13] 서적 The Annals of Roger de Hoveden: Comprising The History of England and of Other Countries of Europe from A.D. 732 to A.D. 1201, Vol 1 H. G. Bohn
[14] 문서 디킨스는 여기서 제프리 초서의 기사 이야기에서 "20 파운드의 스파스"를 갖고 하는 전투가 벌어지는, 아테네의 테세우스 토너먼트를 참고 문헌으로 댔다 http://www.gutenberg[...]
[15] 문서 Old French Continuation of William of Tyre, in The Conquest of Jerusalem and the Third Crusade: Sources in Translation, ed. Peter W. Edbury, p. 117.
[16] 서적 Medieval Warfare Palgrave MacMillan
[17] 서적 The Chronicles of Froissart https://web.archive.[...] 2009-07-28
[18] 서적 The Flower of Chivalry Boydell Press
[19] 서적 De Norske Vikingesverd
[20] 웹인용 Bayeux Tapestry image http://www.bayeuxtap[...] bayeuxtapesty.org.uk 2017-11-10
[21] 웹인용 Bayeux Tapestry image http://cache-media.b[...] Cache-media.britannica.com 2013-10-22
[22] 서적 Arms and Armour of the Medieval Knight Defoe
[23] 문서 이에 대한 예시는 [[마치에요프스키 성서]]의 삽화 참조
[24] 웹인용 The Morgan Library & Museum Online Exhibitions - The Morgan Picture Bible http://www.themorgan[...] Themorgan.org 2012-08-20
[25] 서적 European Weapons and Armour https://archive.org/[...] Lutterworth Press
[26] 문서 Miles & Paddock, op.cit. p.69
[27] 서적 Scottish Weapons and Fortifications 1100–1800 John Donald
[28] 서적 Galloglas https://archive.org/[...] Tuckwell Press
[29] 서적 A History of the Art of War in the Middle Ages vol.1 Greenhill Books
[30] 서적 The Annals of Roger de Hoveden: Comprising The History of England and of Other Countries of Europe from A.D. 732 to A.D. 1201, Vol 1 H. G. Bohn
[31] 문서 디킨스는 여기서 제프리 초서의 기사 이야기에서 "20 파운드의 스파스"를 갖고 하는 전투가 벌어지는, 아테네의 테세우스 토너먼트를 참고 문헌으로 댔다 http://www.gutenberg[...]
[32] 문서 Old French Continuation of William of Tyre, in The Conquest of Jerusalem and the Third Crusade: Sources in Translation, ed. Peter W. Edbury, p. 117.
[33] 서적 Medieval Warfare Palgrave MacMillan
[34] 서적 The Chronicles of Froissart http://www.fordham.e[...] 2009-07-28
[35] 서적 The Flower of Chivalry https://archive.org/[...] Boydell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