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다 다다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다 다다토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도다 가문의 5대 당주였다. 1754년 가문을 계승하여 종5위하 이나바노카미에 서임되었으며, 1774년 시모쓰케 우쓰노미야로 영지를 옮겨 우쓰노미야 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막부의 요직을 역임하며, 1782년 오사카 성대, 1784년 교토 쇼시다이를 지냈으나, 교토 후시미에서의 소송 처리 문제로 출사가 정지되었다. 이후 면직되어 1798년 은거했으며, 1801년 63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마바라번주 - 아리마 하루노부
아리마 하루노부는 센고쿠 시대부터 에도 시대 초기의 기리시탄 다이묘로, 히젠 아리마 씨의 당주이자 히노에 번 번주였으며, 가톨릭 개종 후 덴쇼 소년사절단 파견, 임진왜란 참전 등 활발한 활동을 펼쳤으나, 이후 사건에 연루되어 유배 후 처형되었고, 그의 죽음은 에도 막부의 기독교 탄압 강화와 시마바라의 난의 배경이 되었다. - 시마바라번주 - 마쓰쿠라 가쓰이에
마쓰쿠라 가쓰이에는 아버지와 함께 시마바라성을 건설하고 가혹한 수탈과 기리시탄 탄압을 자행했으며, 시마바라의 난 발발 후 개역되어 참수형에 처해진 에도 시대 초기의 다이묘이다. - 우쓰노미야 도다가 - 다카다번
다카다번은 에치고국에 위치했던 번으로, 마쓰다이라 다다테루가 다카다 성을 건설하며 시작되어 여러 다이묘 가문이 통치하다가 사카키바라 씨를 거쳐 폐번치현되었고, 간분 대지진과 에치고 소동, 보신 전쟁 등의 사건을 겪었다. - 우쓰노미야 도다가 - 사쿠라번
사쿠라번은 다케다 노부요시가 시작하여 도이 도시카쓰가 사쿠라성을 축성하고 호리타 가문이 노중을 배출했으며 홋타 마사요시가 쇄국 정책 종식을 주장하다 폐번치현으로 폐지된 번이다.
도다 다다토 | |
---|---|
기본 정보 | |
![]() | |
씨족 | 다와라 도다 가문 |
시대 | 에도 시대 중기 - 후기 |
출생 | 겐분 4년 9월 15일 (1739년 10월 17일) |
사망 | 간세이 13년 1월 30일 (1801년 3월 14일) |
가명 (통칭) | 가주로 |
계명 | 레이호인덴 기호젠도쿠 다이코지 |
묘소 | 도치기현우쓰노미야시 하나후사혼마치의 에이간지 아동공원 |
관위 | 종5위하・시종, 이나바노카미 |
막부 | 에도 막부 |
주군 | 도쿠가와 이에시게, 이에하루, 이에나리 |
가계 | |
부모 | 도다 다다요, 도다 다다미쓰 |
형제자매 | 아키모토 다카토모, 다다미쓰, 다다히로 , 기노시타 도시타네, 지쿄인 겐쿠 조혼, 아오야마 다다타카의 정실 |
배우자 | 혼다 마사타카의 딸, 렌시 |
자녀 | 다다모토, 다나카 다다스미, 나가이 나오스케의 정실, 리오, 호리 나오카타의 정실 |
경력 | |
섬긴 번 | 히젠시마바라번 번주, 시모쓰케우쓰노미야번 번주, 가와치・셋쓰국 내, 시모쓰케 우쓰노미야번 번주 |
시마바라 번주 임기 (도다 가문) | 1754년 ~ 1774년 (2대) |
우쓰노미야 번주 임기 (도다 가문, 재봉) | 1774년 ~ 1782년, 1787년 ~ 1798년 (1대) |
가와치국・하리마국 다이묘 임기 (도다 가문) | 1782년 ~ 1787년 |
오사카 조다이 임기 | 1782년 ~ 1784년 (42대) |
교토 쇼시다이 임기 | 1784년 ~ 1789년 (28대) |
기타 정보 | |
이전 번주 | 도다 다다미쓰 (시마바라 번),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가와치・하리마 국에서 복귀), 우쓰노미야 번에서 전봉, 도키 사다쓰네, 마키노 사다나가 |
이후 번주 | 마쓰다이라 다다히로 (시마바라 번), 가와치・하리마 국으로 전봉, 도다 다다나가 (우쓰노미야 번), 우쓰노미야 번으로 복귀, 아베 마사토시, 오타 스케요시 |
2. 생애
도다 다다토는 도다 가문 5대 도다 다다요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타다미츠의 아들이 요절하면서 1754년 후계자가 되어 가문을 이었다. 이후 주자반, 지샤 부교, 오사카 성대, 교토 쇼시다이 등 막부의 요직을 역임했다. 1774년에는 시모쓰케 우쓰노미야 번으로 영지를 옮겨 우쓰노미야 성을 쌓고 지역 발전에 힘썼다.
그러나 1787년 교토 고쇼에서 발생한 고쇼 센도마이리 사건과 교토 후시미에서의 소송 처리 문제로 인해 출사 정지 처분을 받았다. 곧 면직되었고, 1798년 은거하였다. 1801년 정월 그믐날, 향년 63세로 사망했다.[1]
2. 1. 가문 상속과 초기 활동
도다 다다요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형 타다미츠의 아들이 요절했기 때문에, 1754년 5월에 후계자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가문을 잇고 종5위하·이나바노카미에 서임되었다. 다음 해 1756년, 처음으로 성지로 돌아갔다.[1]1770년, 주자반이 되었다. 1774년, 영지를 시모쓰케 우쓰노미야로 옮겨 우쓰노미야 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막부로부터 5000냥을 빌려 성을 조영하고, 1776년, 지샤 부교를 겸임했다. 1782년 9월, 오사카 성대가 되었다.[1]
2. 2. 우쓰노미야 번주 시기
호레키 4년(1754년) 5월, 형 타다미츠의 아들이 요절하여 후계자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가문을 잇고 종5위하·이나바노카미에 서임되었다. 다음 해인 호레키 6년(1756년)에 처음으로 성지로 돌아갔다.[1]안에이 3년(1774년), 영지를 시모쓰케 우쓰노미야로 옮겨 우쓰노미야 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막부로부터 5000냥을 빌려 성을 조영하였다.[1] 같은 해 안에이 5년(1776년) 지샤 부교를 겸임하였다.[1] 덴메이 2년(1782년) 9월, 오사카 성대가 되었다.[1]
같은 해, 구 영지를 개정하여 가와치국, 하리마국으로 소령을 이봉하였다.[1] 덴메이 4년(1784년) 5월, 교토 쇼시다이에 보임되어 시종에 임관한다.[1] 같은 해 9월, 소령을 가와치국, 셋쓰국으로 옮겼다.[1] 덴메이 7년 6월 7일(7월 21일), 교토 고쇼에서 고쇼 센도마이리가 일어났다.[1] 같은 해 12월, 소시다이를 사임하고 구 영지 우쓰노미야로 전봉되었다.[1] 이 해, 교토 후시미에서의 시민 간의 소송 처리가 불충분하다고 여겨져, 출사가 정지되었다.[1]
2. 3. 막부 요직 역임
호레키 4년(1754년) 5월, 형 타다미츠의 아들이 요절하여 도다 다다토가 후계자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가문을 잇고 종5위하·이나바노카미에 서임되었다. 호레키 6년(1756년) 처음으로 성지로 돌아갔다.[1]메이와 7년(1770년), 주자반이 되었다.[1] 안에이 3년(1774년), 영지를 시모쓰케 우쓰노미야로 옮겨 우쓰노미야 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막부로부터 5000냥을 빌려 성을 조영했다.[1] 같은 해 5년(1776년), 지샤 부교를 겸임하고, 덴메이 2년(1782년) 9월, 오사카 성대가 되었다.[1]
같은 해, 구 영지를 개정하여 가와치국, 하리마국으로 소령을 이봉하고, 같은 해 4년(1784년) 5월, 교토 쇼시다이에 보임되어 시종에 임관한다. 같은 해 9월, 소령을 가와치국, 셋쓰국으로 옮기고, 같은 해 7년(1787년) 6월 7일(7월 21일) 교토 고쇼에서 고쇼 센도마이리가 일어났다.[1] 같은 해 12월, 소시다이를 사임하고 구 영지 우쓰노미야로 전봉되었다. 이 해, 교토 후시미에서의 시민 간의 소송 처리가 불충분하다고 여겨져, 출사가 정지되었다.[1]
2. 4. 고쇼 센도마이리 사건과 실각
호레키 4년(1754년) 5월, 형 타다미츠의 아들이 요절하여 도다 다다토가 후계자가 되었다. 같은 해 7월, 가문을 잇고 종5위하·이나바노카미에 서임되었다. 호레키 6년(1756년), 처음으로 성지로 돌아갔다.메이와 7년(1770년), 주자반이 되었다. 안에이 3년(1774년), 영지를 시모쓰케 우쓰노미야로 옮겨 우쓰노미야 성을 거성으로 삼았다. 막부로부터 5000냥을 빌려 성을 조영하고, 안에이 5년(1776년), 지샤 부교를 겸임하였다. 덴메이 2년(1782년) 9월, 오사카 성대가 되었다.
같은 해, 구 영지를 개정하여 가와치국, 하리마국으로 소령을 이봉하고, 덴메이 4년(1784년) 5월, 교토 쇼시다이에 보임되어 시종에 임관한다. 같은 해 9월, 소령을 가와치국, 셋쓰국으로 옮겼다. 덴메이 7년(1787년) 6월 7일(7월 21일), 교토 고쇼에서 고쇼 센도마이리가 일어났다. 같은 해 12월, 소시다이를 사임하고 구 영지 우쓰노미야로 전봉되었다. 이 해, 교토후시미에서의 시민 간의 소송 처리가 불충분하다고 여겨져, 출사가 정지되었다.
곧 면직되고, 간세이 10년(1798년) 6월 21일에 치사·은거했다.
2. 5. 은거와 죽음
1798년 6월 21일에 은거했다.[1] 1801년 정월 그믐날에 사망했으며, 향년 63세였다.[1]3. 가족 관계
항목 | 내용 |
---|---|
아버지 | 도다 다다요 (실제 아버지) |
어머니 | 호슌인 (측실, 실제 어머니) |
양아버지 | 도다 다다미쓰 |
정실 | 렌시 - 혼다 마사토미의 딸 |
장남 | 도다 다다히로 (어머니는 렌시) |
차남 | 다나카 다다스미 |
딸 | 나가이 나오스케의 정실 |
양녀 | 리오 - 도다 다다타카의 정실, 도다 다다미쓰의 딸 |
양녀 | 호리 나오카타의 정실, 기노시타 도시타네의 딸 |
참조
[1]
서적
Secret Memoirs of the Shoguns: Isaac Titsingh and Japan, 1779-1822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06-03-17
[2]
서적
Japan Extolled and Decried: Carl Peter Thunberg's Travels in Japan 1775-1776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11-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