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셋쓰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셋쓰국은 센고쿠 시대에 미요시 가문이 지배했으며,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다스리다가 도쿠가와 이에야스 측근들에게 할양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여러 번으로 분할되었으며, 조총 수출의 중심지였다. 고대에는 쓰노쿠니로 불리며 난바를 중심으로 국내 유통의 중심지였고, 793년에 섭츠국이 설치되었다. 셋쓰국은 현재의 오사카부 요도가와강 이북 및 오사카시 지역과 효고현 남동부에 해당하며, 다양한 시설과 인물들이 존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나이 - 야마토국
    야마토국은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나라현을 중심으로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일본 정치와 문화의 중요한 중심지 역할을 했다.
  • 기나이 - 야마시로국
    야마시로국은 현재의 교토부 대부분을 포함하는 일본의 옛 행정 구역으로, 수도 교토를 둘러싸 정치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했으며, 시대에 따라 명칭과 고쿠후 위치, 슈고 등이 변화하며 여러 전투의 무대가 되었다가 메이지 유신 이후 교토부에 편입되었다.
  • 셋쓰국 - 남조 (일본)
    남조는 14세기 일본 남북조 시대에 고다이고 천황이 세운 천황가의 분파로, 아시카가 다카우지가 세운 북조와 대립하다가 1392년 종결되었으며, 메이지 시대에 정통으로 인정받았다.
  • 셋쓰국 - 고베항
    고베항은 10세기부터 시작된 역사를 가진 일본 효고현 고베시의 주요 국제 무역항으로, 한때 동양 최대의 항구였으나 지진 피해 이후 현재는 국제 컨테이너 전략 항만으로 육성되며 관광 및 문화 도시로 발전 중이다.
  • 효고현의 역사 - 하리마국
    하리마국은 현재의 효고현 대부분을 포함하는 일본의 옛 국명으로, 역사서에 기록되어 있고 에도 시대에 정치적 변화를 겪었으며, 메이지 유신 이후 효고현에 편입되었고, 현재는 효고현 남서부 지역을 가리키는 명칭으로 사용된다.
  • 효고현의 역사 - 다지마국
    다지마국은 현재 효고현 북부 지역에 해당하는 고대 일본의 국으로, 초기에는 두 세력으로 나뉘어 단바국의 지배를 받다 독립, 메이지 유신 후 효고현에 편입되었으며, 현재는 지명으로 사용된다.
셋쓰국
지도 정보
기본 정보
국명셋쓰국
별칭셋슈
소속기나이
영역오사카부 북중부의 대부분, 효고현 남동부
국력상국
13군 78향
국부(추정) 오사카부오사카시덴노지구
(추정)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국분사(추정) 오사카부 오사카시 덴노지구
(추정) 오사카부 오사카시 기타구
국분니사(추정) 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요도가와구
일궁스미요시 대사 (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요시구)
이자나와 신사 (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일본어 표기
제목셋쓰국
신자체摂津国
구자체攝津國
한글셋쓰국
한국 한자섭진국
기타
로마자 표기Settsu no kuni
문화어 표기셋쯔국
일본어 표기 (로마자)Sesshū

2. 역사

(내용 없음)

2. 1. 고대

오사카만 항로의 시작점이자 요도가와·야마토가와 수계와 연결되는 지점으로, 국내 유통의 중심지였던 난바쓰(難波津)와 스미요시쓰(住吉津)가 위치했던 곳이다. 이러한 지리적 중요성 때문에 예로부터 '''쓰노쿠니'''(津国, 항구의 나라)라고 불렸다.

전설에 따르면, 제14대 추아이 천황 9년, 신공황후가 삼한 정벌에서 돌아와 현재의 오사카부 사카이시 사카이구 7도 부근(당시 스미요시군)에 도착했을 때, 신탁에 따라 스미요시군의 호족이었던 타모미 스쿠네(田裳見宿禰)가 스미요시 삼신을 모시기 시작했는데, 이것이 스미요시타이샤의 기원이다. 스미요시타이샤는 셋쓰국의 이치노미야(一宮, 으뜸 신사)로 지정되었다.[2]

진무 천황은 즉위 전에 우에마치 대지 북단 근처 난바사키(なにわさき)에 이쿠쿠니타마 신사(生國魂神社)를 창건했다고 전해진다. 야요이 시대 후기부터 고분 시대에 걸쳐서는 응신 천황행궁인 난바 오오스미노미야(難波大隅宮)가 있었다. 의 수장으로 가와치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는 닌토쿠 천황은 우에마치 대지 북단 부근에 난바 타카쓰노미야(難波高津宮)를 황궁으로 삼았다. 이 시기에 국내 유통의 중심지인 난바쓰와 스미요시쓰가 개항되어 왜의 통일이 진행되던 시기로 추정된다.

593년, 스이코 천황섭정이었던 쇼토쿠 태자난바 지역에 시텐노지를 건립하여 일본 불교의 발전에 기여했다.

645년, 고토쿠 천황난바로 천도하여 다이카 개신이라 불리는 개혁 정치를 시작했다. 652년에는 닌토쿠 천황의 난바 타카쓰노미야 옛 터 부근에 일본 최초의 본격적인 수도로 평가받는 난바궁(전기 난바궁, 난바나가라토요사키노미야)이 완성되었다. 고토쿠 천황 사후 수도는 아스카로 돌아갔으나, 진신의 난에서 승리한 덴무 천황기나이의 외항을 갖춘 요충지인 난바궁을 부도(副都)로 삼았다. 이때 다른 구니와 달리 고쿠시(国司)를 두지 않고, 수도의 행정기관과 유사한 '''셋쓰직'''(摂津職)을 특별히 설치하여 관할하게 했다. 셋쓰직은 경관(京官)으로 간주되었으며, 다이부(大夫)·(亮)·(進)·사칸(属)의 사등관 체제로 구성되었다.

전기 난바궁은 덴무 천황 시대에 소실되었으나, 726년(신키 3년), 쇼무 천황이 후기 난바궁 조영에 착수하여 헤이조쿄의 부도로 삼았다. 744년(덴표 16년)에는 구니쿄(恭仁京)에서 난바쿄(難波京)로 천도하기도 했다. 쇼무 천황은 천도 이듬해 다시 헤이조쿄로 돌아갔지만, 난바는 부도로서의 지위를 유지했다. 그러나 간무 천황 대에 나가오카쿄로 천도하면서 난바궁이 해체되고 부도로서의 실질적인 기능을 상실하자, 793년(엔랴쿠 12년) 3월 9일 셋쓰직을 폐지하고 새롭게 '''셋쓰국'''(摂津国)을 설치했다. 셋쓰국은 전신인 셋쓰직을 계승하여 '섭(摂)' 자를 사용했으며, '셋쓰노쿠니' 또는 원래의 훈독을 따라 '쓰노쿠니'라고도 불렸다.

이후 난바쓰는 토사 퇴적이 진행되면서 항구로서의 기능이 점차 요도가와강 지류에 있는 간자키(神崎)나 에구치(江口) 등으로 옮겨갔다.

셋쓰국의 고쿠후(国府, 국의 행정 중심지) 소재지에 대해서는 여러 기록이 존재한다.

  • 『와묘 루이주쇼』(헤이안 시대 중기 성립)에는 기록이 없다.[6]
  • 『습개초』(가마쿠라 시대 중기 ~ 남북조 시대 성립)에는 "서생군(西生郡)"이라고 기록되어 있다.[7]
  • 『세쓰요슈』(무로마치 시대 중기 성립)에는 "서성군(西成郡)"이라고 기록되어 있다.[8]


역사서 기록을 통해 추정되는 국부 위치는 다음과 같다.

2. 2. 중세

센고쿠 시대 동안 미요시 씨오다 노부나가에게 정복될 때까지 셋쓰국과 이웃한 이즈미국, 가와치국을 지배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이 지역을 다스렸다. 히데요시 사후 그의 아들을 보좌하던 고다이로는 내부 갈등을 겪었고, 이시다 미쓰나리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이 지역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친척들에게 넘어갔다.

스미요시타이샤는 셋쓰국의 이치노미야로 지정되었다.[2]

또한 센고쿠 시대 동안 셋쓰는 일본 전역으로 조총을 수출하는 주요 중심지 역할을 했다.

2. 3. 근세

센고쿠 시대 동안 미요시씨오다 노부나가에게 정복될 때까지 셋쓰와 이웃한 이즈미국가와치국을 지배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이 지역을 다스렸다. 히데요시 사후 그의 아들을 보좌하던 오대로 사이에 다툼이 벌어졌고, 이시다 미쓰나리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이 지역은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친척들에게 넘어갔다. 이후 아사다번을 포함한 여러 으로 나뉘었다.

센고쿠 시대 동안 셋쓰는 일본 전역으로 조총을 수출하는 주요 중심지가 되었다.

스미요시 신사는 이 지역의 이치노미야로 지정되었다.[2]

에도 시대에는 셋쓰국 아마가사키번에 있던 고하마 숙(小浜宿|고하마주쿠일본어)에서 고하마류(小浜流|고하마류일본어) 사케 양조가 이루어졌다.

3. 행정 구역

셋쓰국은 여러 군(郡)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미시마군(三島郡일본어): 701년 시마가미 군(島上郡일본어)과 시마시모 군(島下郡일본어)으로 분리되었다가 1896년에 다시 통합되었다.
  • 데시마 군(豊島郡일본어)
  • 노세 군(能勢郡일본어): 713년 가와베 군에서 분리되었다.
  • 가와베군(川辺郡일본어)
  • 아리마 군(有馬郡일본어)
  • 무코 군(武庫郡일본어)
  • 우하라 군(菟原郡일본어)
  • 야타베 군(八部郡일본어)
  • 니시나리 군(西成郡일본어)
  • 히가시나리 군(東成郡일본어)
  • 스미요시 군(住吉郡일본어)
  • 구다라 군(百済郡일본어): 헤이안 시대 무렵 스미요시 군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폐번치현을 거치며 이들 군은 효고현오사카부로 나뉘어 편입되거나, 통합 및 폐지되는 과정을 겪었다. 각 군의 상세한 변천 과정과 현재 해당 지역은 아래 하위 문서를 참고할 수 있다.

3. 1. 군(郡)

군 이름한자 표기주요 변천 및 설명현재 주요 해당 지역
미시마 군三島郡일본어701년 시마가미 군(島上郡/嶋上郡일본어)과 시마시모 군(島下郡/嶋下郡일본어)으로 분리되었다가, 1896년 4월 1일 다시 통합되어 현재의 미시마 군이 됨.오사카부 고츠키시, 미시마군 시마모토정, 스이타시, 이바라키시, 셋쓰시
데시마 군豊島郡/豐嶋郡일본어1896년 4월 1일 노세 군과 통합하여 토요노 군이 됨.오사카부 도요나카시, 이케다시, 미노오시 서부 등
노세 군能勢郡일본어713년 가와베 군에서 분리 설치. 1896년 4월 1일 데시마 군과 통합하여 토요노 군이 됨.오사카부 토요노군 노세정, 토요노정
가와베 군川辺郡/河辺郡일본어현재 가와베 군으로 이어짐.효고현 아마가사키시 동부, 이타미시, 다카라즈카시 북부, 가와니시시, 가와베군 이나가와정
아리마 군有馬郡일본어1958년 7월 1일 폐지됨.효고현 고베시 기타구 북부, 산다시, 니시노미야시 북부
무코 군武庫郡일본어1896년 4월 1일 우하라 군, 야타베 군을 통합하였으나, 1954년 4월 1일 폐지됨.효고현 니시노미야시 남부, 아마가사키시 서부, 다카라즈카시 남부
우하라 군菟原郡일본어1896년 4월 1일 야타베 군과 함께 무코 군에 통합됨.효고현 아시야시, 고베시 히가시나다구, 나다구, 주오구 동부
야타베 군八部郡일본어1896년 4월 1일 우하라 군과 함께 무코 군에 통합됨.효고현 고베시 효고구, 나가타구, 스마구 남부, 주오구 서부, 기타구 남부
니시나리 군西成郡/西生郡일본어1925년 4월 1일 폐지됨.오사카부 오사카시 북서부
히가시나리 군東成郡/東生郡일본어1896년 4월 1일 스미요시 군을 통합하였으나, 1925년 4월 1일 폐지됨.오사카부 오사카시 동부
스미요시 군住吉郡일본어1896년 4월 1일 히가시나리 군에 통합됨.오사카부 오사카시 남서부
구다라 군百済郡일본어헤이안 시대 무렵 스미요시 군으로 편입됨.(스미요시 군 지역)


3. 2. 번(藩)


  • 미타번
  • 다카쓰키번
  • 아사다번
  • 아마가사키번
  • 오사카번
  • 이바라키번
  • 나카지마번
  • 아지시타번

4. 시설

(내용 없음)

4. 1. 신사(神社)

'''총사(総社)'''

총사는 명확하지 않으나, 난바신사라는 설이 있다.

'''이치노미야(一宮)'''

스미요시타이샤(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요시구 스미요시)가 이 지역의 이치노미야로 지정되었다.[2][9] 다만, 중세에 스미요시타이샤가 스스로 이치노미야를 칭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10]

자마신사(오사카시 주오구) 또한 근세 이후 이치노미야로 불리기도 했으나, 신사의 세력은 스미요시타이샤에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궁(二宮) 이하는 알려진 바 없다.

다다인(多田院) 경내에 "총사육소권현"(総社六所権現)이라는 신사가 있었으나, 이는 해당 지역 장원의 총사로 여겨진다.

'''엔기시키나이샤(延喜式内社)'''

엔기시키 신명장』(延喜式神名帳)에는 셋쓰국 내에 대사(大社) 26좌 16사, 소사(小社) 49좌 46사, 총 75좌 62사가 기록되어 있다(셋쓰국의 식내사 일람 참조). 대사 16사 중 명신대사(名神大社)는 다음 18좌 9사이다.

  • 스미요시군
  • 스미요시타이샤(住吉坐神社) 4좌 - 비정(比定): 스미요시타이샤(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요시구 스미요시)
  • 오요사미 신사(大依羅神社) 4좌 - 비정: 오요사미 신사(오사카부 오사카시 스미요시구 니와이)
  • 히가시나리군
  • 이쿠쿠니타마 신사(難波坐生國咲國魂神社) 2좌 - 비정: 이쿠쿠니타마 신사(오사카부 오사카시 덴노지구 이쿠타마정)
  • 히메코소 신사(比賣許曾神社) - 논사(論社): 히메코소 신사(오사카부 오사카시 히가시나리구 히가시오바세), 고즈 궁(오사카부 오사카시 주오구 고즈) 경내 셋샤(摂社)
  • 시마시모군
  • 니와야마스 아마테라스미타마 신사(新屋坐天照御魂神社) 3좌 - 논사: 니와야마스 아마테라스미타마 신사(오사카부 이바라키시 니시후쿠이), 니와야마스 아마테라스미타마 신사(오사카부 이바라키시 슈쿠노쇼), 니와야마스 아마테라스미타마 신사(오사카부 이바라키시 니시가와라)
  • 데시마군
  • 다루미 신사(垂水神社) - 비정: 다루미 신사(오사카부 스이타시 다루미정)
  • 무코군
  • 히로타 신사(広田神社) - 비정: 히로타 신사(효고현 니시노미야시 다이샤정)
  • 야타베군
  • 이쿠타 신사(生田神社) - 비정: 이쿠타 신사(효고현 고베시 주오구 시모야마테도리)
  • 나가타 신사(長田神社) - 비정: 나가타 신사(효고현 고베시 나가타구 나가타정)

4. 2. 사찰(寺)

법화사와 셋쓰 국분니사 전승지 비석 (오사카시 히가시요도가와구)

4. 3. 성곽(城郭)

5. 인물

센고쿠 시대 동안 미요시씨는 셋쓰국을 비롯하여 인접한 이즈미국, 가와치국까지 지배하며 세력을 떨쳤다. 그러나 이후 오다 노부나가에 의해 정복되었고,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이 지역의 새로운 통치자가 되었다. 히데요시 사후에는 그의 아들을 보좌하던 오대로 사이의 갈등이 불거졌고, 이시다 미쓰나리세키가하라 전투에서 패배하면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친족들이 이 지역을 나누어 갖게 되었다. 이후 셋쓰국은 아사다번을 포함한 여러 번으로 분할되었다.

이 외에도 셋쓰국의 역사에는 여러 중요한 인물들이 등장하며, 자세한 내용은 아래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셋쓰직
  • 셋쓰노카미
  • 슈고
  • 전국 시대 다이묘

5. 1. 셋쓰직(摂津職)

셋쓰노다이부(摂津大夫) 목록
인물임관 연도
다비마로덴무 천황 6년(677년)
푸세지마로대보 2년(702년)
미누왕경운 2년(705년)
고코쿠마로화동 원년(708년)
오가미야마마로화동 원년(708년)
오이시왕화동 6년(713년)
고안왕덴표 2년(730년)
나가타왕덴표 4년(732년)
오토모 우시카이덴표 10년(738년)
헤구리 히로나리덴표 18년(746년)
다지히 와께베덴표쇼호 2년(750년)
후지와라 마사타테덴표쇼호 4년(752년)
후지와라 요시미쓰덴표쇼호 6년(754년)
다지히 구니히토덴표호지 원년(757년)
이케다왕덴표호지 2년(758년)
사에키 이마게히토덴표호지 3년(759년)
이치하라왕덴표호지 7년(763년)
나카토미 기요마로덴표호지 7년(763년)
아베 소쿠도덴표호지 8년(764년)
나카토미 기요마로덴표징고 2년(766년)
백제왕 리혁신고케이운 원년(767년)
오노 고니에호키 2년(771년)
하카리왕호키 5년(774년)
후지와라 가에데마로호키 7년(776년)
후지와라 다마로호키 7년(776년)
다지히 나가노호키 10년(779년)
도요노 아쓰토모텐오 원년(781년)
와케노 기요마로엔랴쿠 2년(783년)


5. 2. 셋쓰노카미(摂津守)



'''쇼쿠호 시대 이전'''

'''에도 시대'''

5. 3. 슈고(守護)

'''가마쿠라 막부'''

재임 기간이름
1185년 - ?다이치 사다요시
1221년 - ?나가누마 무네마사
1222년 - 1224년아다치 카게모리
1224년 - 1230년노모토 토키카즈
1263년 - ?호조 토키시게
1279년 - ?호조 토키무네
1280년 - ?호조 히사토키
1284년 - 1293년호조 카네토키
1315년 - 1333년로쿠하라 단다이 북방 겸임



'''무로마치 막부'''

재임 기간이름
1337년 - 1339년아카마쓰 노리나리
1339년니키 요시아리
1340년 - 1351년아카마쓰 노리나리
1351년 - 1353년아카마쓰 미쓰노리
1353년호소카와 시게우지
1353년 - 1355년아카마쓰 노리유키
1354년 - 1360년아카마쓰 미쓰노리
1360년 - 1362년쿄고쿠 다카우지
1362년 - ?아카마쓰 노리유키
1363년 - 1373년아카마쓰 미쓰노리
1374년 - 1379년호소카와 요리모토
1379년 - 1382년시부카와 미치요리
1383년 - 1397년호소카와 요리모토
1397년 - 1426년호소카와 미쓰모토
1426년 - 1429년호소카와 모치모토
1429년 - 1442년호소카와 모치유키
1442년 - 1473년호소카와 카츠모토
1473년 - 1506년호소카와 마사모토
1506년 - 1507년호소카와 스미모토
1507년호소카와 스미유키
1507년 - 1508년호소카와 스미모토
1508년 - 1520년호소카와 타카쿠니
1520년호소카와 스미모토
1520년 - 1525년호소카와 타카쿠니
1525년호소카와 타네쿠니
1525년 - 1531년호소카와 타카쿠니
1532년 - 1547년호소카와 하루모토
1547년호소카와 우지츠나
1547년 - 1552년호소카와 하루모토
1552년 - 1553년호소카와 우지츠나
1553년 - 1558년호소카와 하루모토
1558년 - ?호소카와 아키모토


5. 4. 전국 시대 다이묘(大名)

센고쿠 시대 동안 미요시씨오다 노부나가에게 정복당하기 전까지 셋쓰국과 인접한 이즈미국, 가와치국을 지배했다. 이후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이 지역을 다스렸다. 이 시기 셋쓰국은 일본 전역으로 조총을 수출하는 주요 중심지이기도 했다.

스미요시 대사는 셋쓰국의 이치노미야로 지정되었다.[2]

=== 주요 세력 및 인물 ===

==== 센고쿠 시대 초기 ====

셋쓰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씨족들이 활동했다.

  • 세가와씨
  • 미요시씨
  • 이타미씨, 이케다씨, 이바라키씨, 오미와다씨, 다카야마씨, 아리마씨, 시오카와씨


==== 오다 정권 시기 ====

오다 노부나가가 셋쓰국을 장악한 후, 여러 무장들이 이 지역을 통치했다. 아라키 무라시게는 이타미성을 거점으로 셋쓰 국주가 되었으나, 덴쇼 6년(1578년) 노부나가에게 반란을 일으켰다(아리오카성 전투). 반란이 진압된 후, 이케다 쓰네오키가 효고성을 중심으로 아라키 무라시게의 옛 영지를 이어받았다. 그는 기요스 회의 이후 셋쓰의 오사카, 아마가사키, 효고 등지에서 12만 석을 영유하다가, 나중에 미노국 오가키성 13만 석으로 영지를 옮겼다.

오다 정권 시기 셋쓰국의 주요 인물과 거점은 다음과 같다.

인물거점 성비고
아라키 무라시게이타미성오다 정권 하 셋쓰 국주, 1578년 노부나가에게 반란 (아리오카성 전투)
이케다 쓰네오키효고성아라키 무라시게 반란 후 영지 계승
야마자키 카타이에미타성1582년 2만 3천 석으로 봉해짐. 아들 야마자키 이에모리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가담하여 1601년 이나바국 와카사로 이봉됨
다카야마 우콘다카츠키성1585년 하리마 아카시성 7만 석으로 이봉, 다카츠키는 히데요시 직할령이 됨
나카가와 키요히데이바라키성1586년 아들 나카가와 히데마사하리마 미키성 6만 5천 석으로 이봉, 이바라키는 히데요시 직할령이 됨



==== 도요토미 정권 시기 ====

도요토미 히데요시덴쇼 11년(1583년)부터 오사카성 축조를 시작하여 셋쓰국 지배의 중심으로 삼았다. 이는 그의 권력 기반을 공고히 하는 중요한 사업이었다. 히데요시 사후인 게이초 4년(1599년), 아들 도요토미 히데요리후시미성에서 오사카성으로 거처를 옮겼다.

도요토미 정권 시기 셋쓰국의 주요 인물과 거점은 다음과 같다.

인물거점 성비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오사카성1583년부터 축성 시작, 셋쓰 지배의 중심지
아오키 카즈시게아사다성니와 나가히데의 가신이었으나 히데요시의 가신이 됨, 1585년 1만 석 하사받음
신죠 나오요리다카츠키성분로쿠 4년(1595년), 야마토 우다 마쓰야마성에서 3만 석으로 가증되어 전봉. 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에 속하여 전후 영지 몰수(개역)


참조

[1] 서적 Japan Encyclopedia (Google Books) 2005
[2] 웹사이트 Nationwide List of Ichinomiya http://eos.kokugakui[...] 2011-08-09
[3] 서적 摂津における地域形成と細川京兆家 清文堂 2015
[4] 서적 三好氏の摂津支配の展開 清文堂 2015
[5] 문서 退位した天皇の領地
[6] 디지털자료 和名類聚抄 20巻 NDLDC:2544218/13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7] 디지털자료 拾芥抄 3巻 NDLDC:2543900/52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8] 디지털자료 節用集 易林本 NDLDC:1112421/136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9] 서적 日本中世国家と諸国一宮制 2009
[10] 서적 日本中世国家と諸国一宮制 20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