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마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마뱀은 15세기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都馬蛇'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나무토막처럼 딱딱한 껍질로 덮인 뱀 또는 꼬리가 끊어지는 뱀이라는 의미로 해석된다. 한국에는 반덴버그도마뱀을 포함한 다양한 종이 서식하며, 주로 온대림, 쓰러진 나무 밑, 돌담 주변 등에서 발견된다. 도마뱀은 육식성이며, 곤충이나 거미를 먹고, 난생으로 번식한다. Scincella vandenburghi는 Scincella modesta의 동종이명일 수 있으며,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파충류학 큐레이터였던 존 반덴버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마뱀과 - 네오사우로이데스
- 도마뱀과 - 얼룩푸른혀도마뱀
얼룩푸른혀도마뱀은 튼튼한 몸과 짧은 다리, 푸른 혀를 가진 35~50cm 크기의 도마뱀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남동부에 서식하며 곤충, 과일 등을 먹는 잡식성이고, 애완동물로도 사육된다. - 북아메리카의 파충류 - 푸른이구아나
푸른이구아나는 그랜드케이먼 섬 고유종 바위이구아나로, 적극적인 보전 노력으로 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서식지 파괴와 외래종 유입으로 인해 국제자연보호연맹에서 "심각한 멸종위기종"으로 분류하고 있다. - 북아메리카의 파충류 - 붉은귀거북
붉은귀거북은 귀 주변 붉은 줄무늬에서 이름이 유래한 ''Trachemys scripta'' 아종으로, 애완동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야생화되어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외래종이며, 수컷은 발톱과 꼬리에서 암컷과 형태적 차이를 보이고 미국 남동부가 원산지이다.
도마뱀 - [생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 | |
기본 정보 | |
학명 | Scincella vandenburghi |
명명자 | Schmidt, 1927 |
영명 | Tsushima smooth skink |
일명 | ツシマスベトカゲ |
문화어 | 미끈도마뱀 |
상태 | 관심필요 |
대한민국 환경부 | 해제 |
생물 분류 | |
역 | 진핵생물 |
계 | 동물계 |
문 | 척삭동물문 |
강 | 파충강 |
목 | 뱀목 |
아목 | 도마뱀아목 |
하목 | 도마뱀하목 |
상과 | 도마뱀상과 |
과 | 도마뱀과 |
속 | 스베도마뱀속 Scincella |
종 | 쓰시마스베도마뱀 S. vandenburghi |
학명 명명 | Schmidt, 1927 |
향명 (영어) | Tsushima ground skink |
향명 (한국어) | 도마뱀 |
향명 (일본어) | ツシマスベトカゲ |
동의어 | |
과거 학명 | Leiolopisma vandenburghi Schmidt, 1927 Scincella vandenburghi — Greer, 1974 |
IUCN 적색 목록 상태 | |
평가 연도 | 2021 |
상태 | LC (최소 관심)[1] |
2. 어원
'도마뱀'과 관련한 가장 이른 시기의 용례는 15세기 문헌인 향약채취월령(1431)에 보이는 '都馬蛇'이다.[1] '都馬蛇'는 '*도마ᄇᆡ얌'으로 재구된다.[1] 이것이 16세기의 '도마ᄇᆡ얌'으로 이어진다.[1] '도마ᄇᆡ얌'은 '도마'와 'ᄇᆡ얌'으로 분석된다.[1] '도마'는 긴 네모의 두꺼운 나무토막을 가리킨다.[1] '도마'는 현대국어에 '도마'로 남아 있다.[1] 중세국어의 '도마'는 성조가 평·거성(平去聲)인데 '도마ᄇᆡ얌'에 보이는 '도마'도 성조가 평·거성(平去聲)이다.[1]
반덴버그도마뱀(''S. vandenburghi'')은 일본 쓰시마의 고유종으로 알려졌으나, 한반도에서도 발견된다.[4][5]
'도마뱀'을 지시하는 단어를 만드는 데 '도마'가 이용된 이유는 두 가지 관점에서 이해할 수 있다.[1] '도마뱀'이 '나무토막처럼 딱딱한 껍질로 덮여 있는 뱀'이어서일 수도 있고, '꼬리 부분이 도막도막 끊어지는 뱀'이어서일 수도 있다.[1] 대체로 후자의 이유에 무게를 두고 있는 편이다.[1]
'도마ᄇᆡ얌'의 'ᄇᆡ얌'은 '蛇'의 뜻이다.[1] '蛇'는 후기중세국어에서 'ᄇᆡ얌'뿐만 아니라 'ᄇᆡ얌, ᄇᆡ암' 등으로도 나온다.[1] 근대국어에서는 'ᄇᆡ얌'이 우세하게 나타나며, 'ᄇᆡ암'도 보인다.[1] 'ᄇᆡ암'은 19세기 말의 <국한회어>(1895) 및 20세기 초의 <조선어사전>(1920)에도 '배암'으로 표기되어 나온다.[1] 문세영이 지은 <조선어사전>(1938)에 와서야 지금과 같은 '뱀'이 보인다.[1] '뱀'은 '배암'이 줄어든 형태이다.[1]
16세기의 '도마ᄇᆡ얌'은 근대국어에 들어오면 '도마ᄇᆡ얌'뿐만 아니라 '도마ᄇᆡ암, 도마ᄇᆡ암, 도마바얌' 등으로도 표기되어 나온다.[1] 근대국어의 형태들은 '도마ᄇᆡ얌'에서 제3음절과 제4음절의 모음이 달라진 것이다.[1] 19세기 말의 <한영자전>(1897)에도 '도마ᄇᆡ암'으로 표기된다.[1] 20세기 초의 <조선어사전>(1920)에는 '도마배암'으로, <조선어사전>(1938)에는 '도마뱀'으로 나온다.[1] '도마배암'이 줄어 '도마뱀'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1] 결국 '도마뱀'은 '도마ᄇᆡ얌>도마ᄇᆡ암>도마배암>도마뱀'의 과정을 거쳐 지금에 이르렀다.[1]
3. 분포
3. 1. 한국의 도마뱀
한국 한반도와 일본 쓰시마섬에서는 반덴버그도마뱀(''S. vandenburghi'')이 발견된다.[2] 이 도마뱀은 온대림에 서식하며, 숲 바닥에서 발견될 수 있다.[1]
4. 형태
도마뱀은 종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형태를 가진다. ''Scincella vandenburghi''는 몸길이 80mm~100mm 정도이며[4][5], 매끄러운 비늘과 탁한 금속 광택을 띤다[4][5]. 짧은 다리와 가늘고 긴 몸통과 꼬리를 가지고 있으며[4][5], 머리는 작고[4] 주둥이는 끝이 가늘다. 몸 색깔은 암갈색이며, 얼룩무늬가 흩어져 있고, 측면에는 흑갈색 줄무늬가 있다[4][5].
같은 속에 속하는 사키시마민첩도마뱀과는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구별된다.
특징 | Scincella vandenburghi | 사키시마민첩도마뱀 |
---|---|---|
네 번째 발가락 발바닥판 개수 | 11~13개[4][5] | 14~16개[4][5] |
발가락 길이 | 짧음 | Scincella vandenburghi보다 김 |
5. 생태
''Scincella vandenburghi''는 온대림에 서식하며, 숲 바닥에서 발견될 수 있다.[1] 움직임은 민첩하며, 평지에서 산지에 이르기까지 널리 서식한다. 쓰러진 나무나 돌 밑, 돌담 주변 등에서 볼 수 있으며,[4][5] 민가의 마당에서 일광욕하는 모습을 볼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식성은 육식성으로, 곤충이나 거미 등의 대형 토양생물을 먹는다.[4]
6. 생식
도마뱀은 대부분 난생으로 번식한다. ''Scincella vandenburghi''는 초여름(5~6월경)에 1~9개의 알을 낳는다.[1] 암컷이 구멍을 파고 알을 낳지만, 부모가 알을 보호하는 습성은 보이지 않는다.[4]
7. 분류
''Scincella vandenburghi''는 ''Scincella modesta''의 동종이명일 수 있다는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1][2] 이 종은 캘리포니아 과학 아카데미의 파충류학 큐레이터였던 존 반덴버그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다.[2][3]
참조
[1]
IUCN
Scincella vandenburghi
2021-11-20
[2]
NRDB
2014-10-24
[3]
서적
The Eponym Dictionary of Reptiles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11-00-00
[4]
간행물
決定版 日本の両生爬虫類
平凡社
[5]
간행물
原色爬虫類・両生類検索図鑑
北隆館
[6]
웹사이트
https://species.nibr[...]
[7]
논문
한국산 유린목(파충류)의 분류학적 위치 재정립
http://www.researchg[...]
[8]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9]
웹사이트
https://terms.naver.[...]
[10]
기타
[11]
IUCN
Scincella vandenburghi
2014-10-2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