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제 (교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제는 숙련된 기술을 전수하기 위한 교육 훈련 제도로, 역사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왔다. 영국에서는 12세기부터 도제 제도가 시작되어 19세기에 직업 교육을 위한 자격 제도가 도입되었고, 1994년에는 정부 지원의 현대적 도제 제도가 시행되었다. 독일은 듀얼 시스템을 통해 직업 교육과 실무를 병행하며, 일본에서는 제자 봉공 제도가 운영되었으나 근대화 과정에서 변화를 겪었다. 현대 사회에서 도제 제도는 숙련된 기술 인력 양성에 기여하며, 특히 독일의 듀얼 시스템은 성공적인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도제제도 - 계약 하인
계약 하인은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유럽인들의 식민지에서 노동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뱃삯이나 생활비를 지불할 수 없는 사람들이 일정 기간 동안 노동력을 제공하는 고용 계약 제도였으나, 강제적인 노동 착취와 인권 침해 문제로 비판받으며 쇠퇴하였다. - 도제제도 - 직인
직인은 숙련된 기술을 가진 사람을 의미하며, 중세 유럽에서는 다양한 작업장을 경험하며 일했고, 현대에는 성인 교육, 스포츠, 도제 제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 직업 교육 - 직업훈련
직업훈련은 개인의 직무 능력 향상과 경력 개발을 위해 군인, 의료인, 교사 등 다양한 직업군 종사자들이 참여하는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으로, 국가별로 다양한 모델이 존재하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정책적 노력이 강화되고 있다. - 직업 교육 - 응용학문대학
응용학문대학은 이론과 실무 균형을 중시하며 산업체 협력을 통해 교육 과정을 운영하는 실용적인 학문 교육 기관으로, 독일의 Fachhochschule 모델을 따라 유럽 국가를 중심으로 활발히 운영되며, 볼로냐 프로세스에 따라 학사 및 석사 학위 체계를 갖추고 산업 현장 즉시 투입 가능한 인재를 배출한다.
도제 (교육) | |
---|---|
도제 | |
![]() | |
다른 이름 | 견습 (見習) |
유형 | 직업 훈련 |
관련 직업 | 장인 숙련공 |
특징 | |
정의 | 숙련된 기술자로부터 기술과 지식을 배우는 과정 |
기간 | 일반적으로 수개월에서 수년 |
급여 | 견습 기간 동안 낮은 급여 또는 무급으로 시작, 숙련도에 따라 증가 |
장점 | 실무 경험 습득 숙련된 전문가의 지도 정규 교육보다 빠른 직업 진출 |
단점 | 낮은 초기 급여 장기간의 훈련 기간 숙련공의 능력에 따라 교육 품질 편차 발생 가능성 |
역사 | |
기원 | 중세 유럽의 길드 시스템 |
현대 | 공식적인 훈련 프로그램과 자격증 시스템으로 발전 |
국가별 현황 | |
대한민국 | 도제식 교육 프로그램 운영,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훈련 |
독일 | 이원화 시스템(Dual System)으로 불리는 강력한 도제 시스템 운영 |
스위스 | 높은 수준의 도제 시스템 운영, 청년 실업률 감소에 기여 |
참고 | |
관련 용어 | 견습생 (見習生) 인턴 레지던트 |
2. 역사
영국의 도제 역사는 1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14~19세의 젊은이들은 5~9년간 도제 생활을 하였다. 19세기 시티 앤트 길즈 오브 런던 인스티튜트의 전신인 임페리얼 칼리지 엔지니어링 스쿨에서는 도제 제도를 통해 기계, 미용, 요리, 배관, 목공, 벽돌 쌓기 등 기본적인 제작 기술에 대한 직업 교육을 제공하고, 대학 석사 및 학사 수준의 인증 자격을 발급했다. 1994년 영국 정부는 현대 도제 제도(Modern Apprenticeships, MA)를 도입하여 17~24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직장 훈련 제도를 정비했으며, 전국 직업 자격(NVQ)을 기술 수준 인증으로 부여하고 있다.
2. 1. 중세 유럽
장인이 거느리는 도제는 1, 2명 정도였으며, 노동 시간은 하루 4시간에서 16시간에 달했다. 도제는 10세 전후부터 견습을 시작했으며, 도제 기간은 4년에서 길게는 12년 등 다양했다.[4] 독일에서는 장인은 수년간 각지를 편력하며 수행할 의무도 있었다.[5]3. 국가별 도제 제도
영국의 도제 제도는 12세기에 시작되었으며, 당시 14~21세 젊은이들이 5~9년 동안 도제 생활을 했다. 19세기에는 런던 시티 길드 협회의 전신인 임페리얼 칼리지 엔지니어링 스쿨에서 직업 교육을 제공하고, 기계, 미용사, 요리사, 배관, 목공, 벽돌 쌓기 등 기본적인 제작 기술에 대한 인증 자격을 발급했다. 이 자격은 대학 석사·석사 수준과 동등했다. 1994년에는 정부 지원의 신 도제 제도(Modern Apprenticeships, MA)가 도입되어 청소년(16-24세)의 직장 훈련 제도가 정비되었다.[6][7] 기술 수준 인증으로는 전국 직업 자격 (NVQ)이 부여된다.
독일의 듀얼 시스템은 직업 경력의 중요한 부분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도제 과정 없이는 해당 직업에 종사하기 어렵다.[8] 독일에는 342개의 직능 단체가 있으며, 의사 조수, 은행원, 안경 기사, 배관공, 오븐 기사 등 다양한 직종에서 도제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8] 듀얼 시스템에서는 일정의 50~70%는 직장에서 실무를 배우고, 나머지는 베루프스슐레(Berufsschule)에서 공식적인 교육을 받는다. 2001년 기준으로 22세 미만 젊은이의 3분의 2가 도제 과정에 참여했으며, 그 중 78%가 이미 과정을 수료했다.
일본에서는 12세 무렵부터 제자가 봉공했으며, 도제 기간은 10년 정도였다. 제자 봉공이 끝나면 대부분 직공이 될 수 있었지만, 오야카타(親方, 장인)가 될 수 있는 사람은 적었고, 대개는 수 년간의 사례 봉공이라 불리는 무상 노동 후에도 오야카타와 동거하거나 독립해도 원래 오야카타에게 다니며 노임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3] 1872년(메이지 5년)에는 봉건적 주종 관계를 제거하기 위해 몸을 파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제자 봉공을 금지하고, 도제 봉공의 상한을 7년으로 정했다. 1894년(메이지 27년)에는 "도제 학교 규정"이 제정되어, "직공에게 필요한 교과를 가르치는 곳"으로 도제 학교가 정해졌다. 처음에는 실업보습학교와 함께 초등 교육 기관(초등학교)의 일종으로 여겨졌지만, 나중에 실업학교 (중등 교육 기관)의 일종으로 위치가 바뀌었다. 현행 근로기준법에서는 제69조에 도제 제도를 명목으로 한 노동자의 가혹한 착취를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판 듀얼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3]
3. 1. 영국
영국의 도제 역사는 1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며, 당시에는 14-19세의 젊은이가 5-9년간 도제에 종사하고 있었다. 19세기에 들어 시티 앤드 길즈 오브 런던 인스티튜트의 전신인 임페리얼 칼리지 엔지니어링 스쿨에서는 도제 제도를 통한 직업 교육을 제공하여 기본적인 제작 기술 (기계, 미용사, 요리사, 배관, 목공, 벽돌 쌓기 등)의 범위에 대한 인증 자격을 발급하고 자격은 대학 석사 및 학사 수준이었다. 현대에 들어서는 1994년에 정부가 지원하는 도제 제도 (Modern Apprenticeships, MA)가 도입되어 청소년 (16-24세)[6][7]의 직장 훈련 제도가 정비되어 있다. 기술 수준 인증으로는 전국 직업 자격 (NVQ)이 부여된다.현대 MA 제도에서는 다음과 같은 3단계의 인증을 발행하고 있다.
# '''Intermediate Level Apprenticeships''' (초급)
# '''Advanced Level Apprenticeships''' (상급)
# '''Higher Apprenticeships''' (고등)
3. 2. 독일
독일의 듀얼 시스템은 직업 경력의 중요한 부분으로 통합되어 있으며, 도제 과정을 수료하지 않고는 해당 직업에 종사하기 어렵다.[8]독일에는 342개의 직능 단체(Ausbildungsberufe)가 있으며, 의사 조수, 은행원, 안경 기사, 배관공, 오븐 기사 등 다양한 직종에서 도제 제도를 이용할 수 있다.[8]
듀얼 시스템에서는 일정의 50~70%는 직장에서 실무를 배우고, 나머지는 베루프스슐레(Berufsschule)에서 공식적인 교육을 받는다. 직종에 따라 주 3~4일은 직장에 종사하고, 나머지 2일은 학교에서 교육을 받는 방식이다.
2001년 기준으로 22세 미만 젊은이의 3분의 2가 도제 과정에 참여했으며, 그 중 78%가 이미 과정을 수료했다. 이는 독일 22세 미만 젊은이의 대략 절반이 도제 과정을 수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3. 3. 일본
제자는 12세 무렵부터 봉공했으며, 도제 기간은 10년 정도로, 연기 봉공과 달리 기능 훈련이 목적이었으며 제자 단계부터 기능 교육을 받았다. 잡일과 육체 노동에도 종사했으며 그 노동 시간은 하루 14시간에서 16시간에 달했다.[3]제자 봉공이 끝나면, 일부만이 데다이(手代, 심부름꾼)로 승진할 수 있었던 정지(丁稚, 어린 하인)와 달리 대부분은 직공이 될 수 있었지만, 오야카타(親方, 장인) 주식은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오야카타가 될 수 있는 사람은 적었고, 대개는 수 년간의 사례 봉공이라 불리는 무상 노동 후에도 오야카타와 동거하거나 독립해도 원래 오야카타에게 다니며 노임을 받아 생계를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3]
1872년(메이지 5년), 봉건적 주종 관계를 제거하기 위해, 몸을 파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제자 봉공을 금지하고, 도제 봉공의 상한을 7년으로 정했다. 1882년(메이지 15년), 자발적인 의사에 의하지 않는 봉공을 형법으로 금지했다. 1894년(메이지 27년)에 "도제 학교 규정"이 제정되어, "직공에게 필요한 교과를 가르치는 곳"으로 도제 학교가 정해졌다. 전통 산업의 기술 교육을 학교 제도 안에 포함시키려 한 것으로, 탄력성이 큰 규정을 가지고 있어 교육의 내용·정도 및 형태는 다종다양했다.[3]
처음에는 실업 보습 학교와 함께 초등 교육 기관(초등학교)의 일종으로 여겨졌지만, 나중에 실업학교 (중등 교육 기관)의 일종으로 위치가 바뀌었다. 공업학교와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제도가 실정에 맞지 않게 되면서, 1921년(다이쇼 10년)에 규정이 폐지되었다.[3]
현행 근로기준법에서는, 제69조에 본 제도를 명목으로 한 노동자의 가혹한 착취를 금지하는 규정을 두고 있다. 최근에는, 일본판 듀얼 시스템이 제안되고 있다.[3]
또한, 제자 중에서도 더욱 뛰어난 자를 고제라고 불렀다.[3]
4. 한국의 도제 제도
한국의 도제 제도는 전통적인 장인 정신과 현대적인 직업 교육 시스템의 결합을 모색해야 한다. 더불어민주당은 청년 일자리 창출과 숙련 노동자 양성을 위해 한국형 도제 제도의 도입 및 확대를 주장해 왔다.
5. 현대 사회와 도제 제도
(이전 출력이 비어 있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따라서 빈 출력을 반환합니다.)
참조
[1]
간행물
ILO Thesaurus
https://www.ilo.org/[...]
国際労働機関
[2]
논문
江戸時代の奉公人制度と日本的雇用慣行
2011
[3]
사전
コトバンク・デジタル大辞泉・高弟とは
https://kotobank.jp/[...]
[4]
서적
封建制社会 新書西洋史3
講談社現代新書
1973
[5]
서적
封建制社会
[6]
보고서
労働政策研究報告書 No.16 イギリスにおける職業教育訓練と指導者等の資格要件
http://www.jil.go.jp[...]
独立行政法人労働政策研究・研修機構
2004-10-29
[7]
웹사이트
Youth Policies in the UK
http://www.keele.ac.[...]
[8]
웹사이트
BMWi - Ausbildungsberufe
http://www.bmwi.de/B[...]
2009-01-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