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도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포는 조선 시대에 착용된 V넥에 소매가 넓은 긴 겉옷으로, 발목까지 내려오는 것이 특징이다. 16세기부터 나타났으며, 중국에서 유래되어 한국에서 현지화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불교의 영향을 받아 승려의 가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고구려 의복 또는 직령포에서 유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흰색은 일상복, 연한 파란색은 축제에 사용되었으며, 소재와 색상은 계절과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었다. 평민과 왕족의 도포는 옷깃 모양에서 차이를 보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복 - 저고리
    저고리는 한국의 전통 의상인 한복의 기본 상의로, 삼국시대부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해 왔으며 조선시대에 다양한 종류로 발전하여 오늘날에는 특별한 날에 입는 예복의 의미를 지닌다.
  • 한복 - 바지 (한복)
  • 조선의 복식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조선의 복식 - 색동저고리
    색동저고리는 여러 색깔의 천 조각을 이어 붙여 만든 옷으로, 주로 아이들이 명절에 입었으며 음양오행설에 기반한 색상으로 조화와 상생을 나타내고 어린이 인권 존중의 상징이기도 하다.
  • 한국의 의상 - 한복
    한복은 한국의 전통 의복으로, 저고리와 바지 또는 치마를 기본으로 다양한 옷과 액세서리로 구성되어 삼국시대부터 기본적인 형태가 유지되며 시대와 계층에 따라 변화해왔고, 현대에는 생활한복 등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일상복으로 활용이 증가하며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 한국의 의상 -
    갓은 조선시대 양반 남성이 쓰던 흑립을 포함하여 신분과 상황에 따라 형태와 색상이 다양했던 한국 전통 모자이며, 신라와 고구려 시대에 기원을 두고 20세기 후반까지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의례 및 행사에서 주로 착용된다.
도포
기본 정보
겨자색 도포
한글도포
로마자 표기dopo
문화어두루마기
개요
정의한국의 전통 겉옷
용도선비들이 평상복 위에 입던 옷
역사
기원중국 도교의 도포에서 유래
착용 계층조선 시대 사대부 계층
형태 변화시대에 따라 소매, 깃, 섶 등의 형태 변화
형태
구성
동정
소매



뒷트임
재질명주
무명
모시
종류
색상흰색 (주로 상례 때 착용)
푸른색
검은색
기타 다양한 색상
용도별갓 도포 (갓을 쓰고 입는 도포)
유건 도포 (유건을 쓰고 입는 도포)
현대
착용현대에는 주로 전통 혼례나 특별한 행사 때 착용
특징전통적인 아름다움을 간직하고 있으며, 현대적인 디자인으로 재해석되기도 함

2. 명칭 및 어원

'도포'라는 명칭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원문에 나타나 있지 않다.

2. 1. 어원

도포는 조선 시대 중기에 처음 착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역사 기록과 유물에 따르면 도포는 16세기부터 조선에 나타나기 시작했다.[3] 이은주에 따르면 도포는 원래 중국에서 유래되었지만, 추가적인 특징을 통합하여 한국에서 현지화되었다.[11]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의 역사적 문헌에 따르면 이 의복은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저자들은 '도포'가 원래 승려의 가사인 '권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른 승려의 의복인 장삼|長衫한국어과 동일하다고 주장했다.[12][13][14] 장삼|長衫한국어(긴 옷)은 불교 가사였으며, 조선 초기까지 가사 아래에 착용되었는데, 이는 지두오라는 중국 승복의 형태였다.[15]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포 (예복) 시스템이 채택되어 도포와 두루마기가 장삼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15] 조근희에 따르면, '도포'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지만, 도포의 구조는 다른 형태의 전통 한국 의복의 영향을 받아 발전되었다.[16] 명희 이라는 저자는 도포가 고구려에서 착용되었던 의복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1] 정애 김과 같은 다른 저자들은 도포가 '직령' 포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으며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9]

3. 역사

도포는 조선 시대 중기(16세기)부터 착용 기록과 유물이 나타나는 의복이다.[1][3] 도포의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견해가 있다. 이은주는 도포가 중국에서 유래했지만 한국에서 현지화되었다고 주장한다.[11]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의 문헌에서는 도포가 불교의 영향을 받아 승려의 가사인 '권투'에서 유래했고, 장삼|長衫한국어과 같다고 설명한다.[12][13][14] 조선 초기에는 장삼|長衫한국어을 가사 아래에 입었으며, 이는 중국 승복인 지두오의 형태였다.[15] 임진왜란 이후에는 도포와 두루마기가 장삼을 대신하여 사용되었다.[15]

조근희는 '도포'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왔지만, 그 구조는 다른 형태의 한국 전통 의복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고 보았다.[16] 명희는 고구려 복식에서, 정애 김은 '직령' 포에서 도포가 유래했을 가능성을 제시한다.[1][9]

3. 1. 조선 전기

도포는 조선 시대 중기에 처음 착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역사 기록과 유물에 따르면 도포는 16세기부터 조선에 나타나기 시작했다.[3] 이은주에 따르면 도포는 원래 중국에서 유래되었지만, 한국에서 추가적인 특징을 통합하여 현지화되었다.[11]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의 역사적 문헌에 따르면 이 의복은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저자들은 '도포'가 원래 승려의 가사인 '권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른 승려의 의복인 장삼|長衫한국어과 동일하다고 주장했다.[12][13][14] 장삼|長衫한국어 ('긴 옷'을 의미)은 불교 가사였으며, 조선 초기까지 가사 아래에 착용되었는데, 이는 지두오라는 중국 승복의 형태였다.[15]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포 (예복) 시스템이 채택되어 도포와 두루마기 (주위라고도 함)가 장삼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15] 조근희에 따르면, '도포'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지만, 도포의 구조는 다른 형태의 전통 한국 의복의 영향을 받아 발전되었다.[16] 명희 이라는 저자는 도포가 고구려에서 착용되었던 의복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1] 정애 김과 같은 다른 저자들은 도포가 '직령' 포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으며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9]

3. 2. 조선 후기

도포는 조선 시대 중기에 처음 착용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1] 역사 기록과 유물에 따르면 도포는 16세기부터 조선에 나타나기 시작했다.[3] 이은주에 따르면 도포는 원래 중국에서 유래되었지만, 추가적인 특징을 통합하여 한국에서 현지화되었다.[11]

성호사설, 오주연문장전산고 등의 역사적 문헌에 따르면 이 의복은 불교의 영향을 받았다. 저자들은 '도포'가 원래 승려의 가사인 '권투'에서 유래되었으며, 이는 다른 승려의 의복인 장삼|長衫한국어과 동일하다고 주장했다.[12][13][14] 장삼|長衫한국어 (긴 옷을 의미)은 불교 가사였으며, 조선 초기까지 가사 아래에 착용되었는데, 이는 지두오라는 중국 승복의 형태였다.[15]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포 (예복) 시스템이 채택되어 도포와 두루마기 (주위라고도 함)가 장삼으로 사용될 수 있었다.[15] 조근희에 따르면, '도포'라는 이름은 중국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지만, 도포의 구조는 다른 형태의 전통 한국 의복의 영향을 받아 발전되었다.[16] 명희 이 라는 저자는 도포가 고구려에서 착용되었던 의복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1] 정애 김과 같은 다른 저자들은 도포가 '직령' 포에서 유래되었을 수 있으며 유사점을 가지고 있다고 제안한다.[9]

4. 구조 및 형태

도포는 다양한 색상이 사용되었지만, 흰색은 평상복, 연한 파란색은 축제용으로 주로 사용되었다.[10][8] 계절에 따라 여름에는 삼베, 겨울에는 비단과 면으로 만든 도포를 입었다.[8]

4. 1. 기본 형태

도포는 V넥에 소매가 넓은 긴 겉옷(포)이다.[1][2] 착용자의 발목까지 닿을 정도로 길었다.[10][1]

흰색 도포는 일반적으로 일상복으로, 연한 파란색 도포는 축제에 사용되었다.[10][8] 삼베로 만든 도포는 여름에, 비단과 면으로 만든 도포는 겨울에 사용되었다.[8]

도포의 기본 형태는 곧은 깃을 가진 직령과 유사했으나, 무(gusset)의 모양에서 차이가 있었다.[7] 도포의 무는 옷 안쪽 또는 등 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옷의 앞부분을 따라 뻗어 옷의 등 부분에 두 개의 덮개를 만들었다.[7]

도포의 또 다른 특징은 등 부분이 등 중심선을 따라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전삼이라는 다른 천으로 완전히 덮여 있다는 것이다.[1]

평민들이 입는 도포는 왕족들이 입는 도포와 스타일 면에서 달랐다. 예를 들어, 평민들의 도포는 곧은 옷깃을 가지고 있었지만, 영조가 입었던 도포는 사각형과 뾰족한 모양을 조합하여 만든 옷깃을 가지고 있었다.[3]

4. 2. 특징

도포는 V넥에 소매가 넓은 긴 겉옷(포)이다.[1][2] 착용자의 발목까지 닿을 정도로 길었다.[10][1]

흰색 도포는 일반적으로 일상복으로 사용되었으며, 연한 파란색 도포는 축제에 사용되었다.[10][8] 삼베로 만든 도포는 여름에, 비단과 면으로 만든 도포는 겨울에 사용되었다.[8]

도포의 기본 형태는 곧은 깃을 가진 직령과 유사했으나,[7] 무()의 모양에서 차이가 있었다.[7] 도포의 무는 옷 안쪽 또는 등 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옷의 앞부분을 따라 뻗어 옷의 등 부분에 두 개의 덮개를 만들었다.[7]

도포의 또 다른 특징은 등 부분이 등 중심선을 따라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고, 전삼이라는 다른 천으로 완전히 덮여 있다는 것이다.[1]

평민들이 입는 도포는 왕족들이 입는 도포와 스타일 면에서 달랐다. 예를 들어, 평민들의 도포는 곧은 옷깃을 가지고 있었지만, 영조가 입었던 도포는 사각형과 뾰족한 모양을 조합하여 만든 옷깃을 가지고 있었다.[3]

4. 3. 옷깃

도포는 V넥에 소매가 넓은 긴 겉옷(포)이다.[1][2] 착용자의 발목까지 닿을 정도로 길었다.[10][1]

도포의 기본 형태는 곧은 깃을 가진 직령과 유사했지만,[7] 무(gusset)의 모양에서 차이가 있었다.[7] 도포의 무는 옷 안쪽 또는 등 부분에서 발견되었으며, 옷의 앞부분을 따라 뻗어 옷의 등 부분에 두 개의 덮개를 만들었다.[7]

평민들이 입는 도포는 곧은 옷깃을 가지고 있었지만, 영조가 입었던 도포는 사각형과 뾰족한 모양을 조합하여 만든 옷깃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에서 왕족들이 입는 도포와 형태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3]

5. 소재 및 색상

도포道袍중국어는 조선시대 선비들이 평상복 위에 입던 겉옷의 일종이다. 도포는 여름에는 삼베로, 겨울에는 비단과 으로 만들었다.[8] 일상복으로는 흰색 도포를, 축제 때는 옅은 파란색 도포를 사용하였다.[10][8]

5. 1. 소재

도포는 삼베로 만든 것은 여름에 사용되었고, 비단과 으로 만든 것은 겨울에 사용되었다.[8]

5. 2. 색상

흰색 도포는 일상복으로, 옅은 파란색 도포는 축제 때 사용되었다.[10][8] 여름에는 삼베 도포, 겨울에는 비단과 면으로 만든 도포를 입었다.[8]

6. 유사 복식

참조

[1] 논문 A Study on Dopo, Korean Man's Robe https://www.koreasci[...] 1977
[2] 웹사이트 도포 https://folkency.nfm[...]
[3] 웹사이트 Full Dress Worn by King Yeongjo - Heritage Search http://english.cha.g[...] 2021-06-19
[4] 논문 A Study on Dopo Dealt with its History and Folklore -in Young-dong Province Area- https://www.koreasci[...] 1988
[5] 논문 孔府舊藏明代男子服飾結構選例分析 http://qk.fsdk.net.c[...] 2016-02
[6] 서적 Traditional Korean Costume
[7] 논문 A Study on the Composition of Dopo (Long Robe) Found in the Tomb of Bae Cheonjo (1532) - Focusing on the Clothing Found in the Tombs of the Seongsan Bae Clan in the Joseon Dynasty - https://www.koreasci[...] 2016
[8] 서적 Hanbok: Timeless Fashion Tradition https://books.google[...] Seoul Selection 2021-02-02
[9] 웹사이트 조선시대 도포(道袍)의 형태변화(形態變化)에 관한 연구 http://scienceon.kis[...] 2021-05-12
[10] 웹사이트 도포 https://terms.naver.[...] 2021-08-05
[11] 논문 A Study on the Origin and Structural Development of Do-po https://www.koreasci[...] 1998
[12]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EncyKorea 2008-09-30
[13] 웹사이트 http://map.encyber.c[...] Doosan Encyclopedia 2008-09-30
[14] 웹사이트 http://100.empas.com[...] Empas / Britannica 2008-09-30
[15] 웹사이트 Seungbok(僧服) https://folkency.nfm[...]
[16] 논문 道袍에 관한 硏究 https://dspace.ewha.[...] 1986
[17] 서적 조선시대 생활사 역사비평사 2006
[18] 뉴스 조선 후기 외출복은 어땠을까? http://www.pressian.[...] 프레시안 2011-03-29
[19] 뉴스 한옥과 한복, 글로벌 코리아의 멋으로 http://korea.kr/news[...] 공감코리아 2011-08-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