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수단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수단어족은 1인칭 단수 대명사("나")가 /k/ 또는 /n/을 갖는지에 따라 북부와 남부의 두 어파로 분류되는 언어족이다. 라이어넬 벤더에 의해 처음 분류되었으며, 누비아어군, 나라어, 니마어군, 타마어군, 메로에어 등을 포함하는 북부 동수단어파(k 어파)와 수르마어군, 동제벨어군, 테메인어군, 다주어군, 나일어군 등을 포함하는 남부 동수단어파(n 어파)로 나뉜다. 여러 학자에 의해 내부 구조에 대한 다양한 분류가 제시되었으며, 언어학적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사하라어족 - 누비아어군
누비아어군은 나일강 유역과 수단 지역에 분포하며 고대 누비아어에서 비롯된 노비인어, 켄지어, 동골라위어, 미도브어, 힐 누비아어 등을 포함하는 어군으로, 언어 간 관계 및 분류에 대해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 나일사하라어족 - 푸르어
푸르어는 자음, 모음, 성조의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며, 전위 현상과 동화 규칙이 나타나고, 라틴 문자 기반에 추가 문자와 이중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며, 격 체계를 가진 명사와 활용되는 동사를 가진 언어이다. - 제안된 어족 - 오스트로어족
오스트로어족은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을 하나의 어족으로 묶으려는 가설이었으나,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으로 지지를 받지 못한다. - 제안된 어족 - 인도태평양어족
동수단어족 | |
---|---|
개요 | |
명칭 | 동수단어족 |
영어 명칭 | Eastern Sudanic languages |
인정 여부 | 논쟁 중 |
사용 지역 | 이집트 수단 남수단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차드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
계통 | 나일사하라어족? |
ISO 639-5 코드 | sdv |
하위 분류 | |
북부 동수단어족 (k 그룹) | 누비아어 나라어 니마어 타만어 메로에어? |
남부 동수단어족 (n 그룹) | 나일어 수르마어 제벨어 테메인어 다주어 |
기타 (드물게 포함) | 쿨리아크어 베르타어 |
지도 정보 | |
![]() |
2. 분류
2. 1. 벤더 (Bender, 2000)
라이어넬 벤더는 1인칭 단수 대명사( "나")가 /k/ 또는 /n/을 갖는지에 따라 동수단어족을 두 개의 분기로 나눈다.[9]- 북부 동수단어파 (''k'' 어파)
- * 누비아어군
- * 나라어
- * 니마어군
- * 타마어군
- * 메로에어?
- 남부 동수단어파 (''n'' 어파)
- * 수르마어군
- * 동제벨어군
- * 테메인어군
- * 다주어군
- * 나일어군
2. 2. 릴리 (Rilly, 2009)
클로드 릴리는 동수단어족의 내부 구조를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2]동수단어족 |
---|
2. 3. 스타로스틴 (Starostin, 2015)
스타로스틴은 어휘통계학을 사용하여 벤더(Bender)의 북부 분지에 대한 강력한 지지를 발견했지만, 남부 분지에 대한 지지는 발견하지 못했다.[3] 전체적으로 동수단어족은 적절한 비교 연구가 진행될 때까지는 작동 가능한 모델로 평가되며, 누비아어족, 타만어족, 나라어 간의 관계는 의심의 여지가 없다.니이마어는 북부 그룹에 속하지 않지만, 가장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일례로, 니이마어의 대명사는 북부(아스타보란) 분지와 잘 일치한다.) 수르믹어족, 나일어족, 테메인어족은 대명사를 포함하여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적절한 비교 연구 없이 아스타보란에 반대하여 함께 분류할 만큼 충분하지 않다. 제벨어와 다주어족도 수르마어와 나일어와 많은 유사점을 공유하지만, 대명사 체계는 아스타보란에 더 가깝다.
쿨리아크어군과 베르타어의 포함은 지지되지 않는다. 쿨리아크어와의 유사성은 둘 다 나일사하라어족이기 때문일 수 있으며, 베르타어와 제벨어는 언어동조대를 형성한다.
유사한 분류가 Starostin (2014)에서 제시되었다:[4]
- '''동수단어족'''
- * 타마-나라-누비아 분지
- ** 타마어
- ** 나라-누비아
나라어
누비아어
- * 수르믹어 분지
- ** 북부 수르믹어 (= 마장어)
- ** 남부 수르믹어
서남부 수르믹어
동남부 수르믹어
- * 나일어족 분지
- ** 북부 나일어
서부 나일어
동부 나일어
- ** 남부 나일어
- * 다주어족
- * 니망어
- * 테메인어
- * 제벨어
2. 4. 블렌치 (Blench, 2019, 2021)
로저 블렌치(2019)[5]와 (2021)[6]은 스타로스틴과 마찬가지로 벤더의 북부 분기에 대한 지지만을 발견한다. 블렌치는 형태론적 증거에 의해 뒷받침되는 다음과 같은 내부 구조를 제안한다.동수단어족 |
---|
2. 5. 딤멘달 & 야코비 (Dimmendaal & Jakobi, < 2020)
딤멘달과 야코비(Jakobi)(2020:394)[7]는 2020년에 출판되었지만 그보다 앞서 쓰여졌으며, 벤더(Bender)의 남부 분기를 유지하고 베르타어도 수용한다.3. 주요 언어군
벤더(Bender, 2000)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동수단어족을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한다.[9]
- 북부 동수단어파 (''k'' 어파)
- * 누비아어군
- * 나라어
- * 니마어군
- * 타마어군
- * 메로에어?
- 남부 동수단어파 (''n'' 어파)
- * 수르마어군
- * 동제벨어군
- * 테메인어군
- * 다주어군
- * 나일어족
3. 1. [[누비아어군]]
벤더(Bender, 2000)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고 있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각각 북부와 남부의 어파로 분류한다.[9] 누비아어군은 북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3. 2. [[나일어족]]
벤더(Bender, 2000년)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고 있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각각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한다.[9]3. 3. [[수르마어군]]
벤더(Bender, 2000년)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는지 '/n/'을 가지는지에 따라 동수단어족을 각각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한다.[9] 수르마어군은 남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3. 4. [[동제벨어군]]
벤더(Bender, 2000)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고 있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각각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하는데, 동제벨어군은 남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9]3. 5. [[테메인어군]]
테메인어군은 벤더(Bender, 2000)가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는지 /n/을 가지는지에 따라 각각 북부와 남부로 분류한 어파 중 하나로, 남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9]3. 6. [[다주어군]]
벤더(Bender, 2000)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고 있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동수단어족을 각각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한다.[9] 남부 동수단어파에는 다주어군이 포함된다.[9]3. 7. [[니마어군]]
니마어군은 북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9]3. 8. [[타마어군]]
타마어군은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고 있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각각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되는 북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9]3. 9. [[나라어]]
벤더(Bender) (2000년)는 1인칭 단수 대명사가 /k/를 가지고 있는지 /n/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동수단어족을 각각 북부와 남부 어파로 분류한다.[9] 나라어는 북부 동수단어파에 속한다.3. 10. [[메로에어]] (귀속 불명)
메로에어는 동수단어족에 속하는지 불분명하며, 북부 동수단어파에 속할 가능성이 있다.[9]4. 숫자 표기 비교
분류 | 언어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
나라 | 나라어(네라어) | dōkkūū | àriɡáà | sāāná | ʃōōná | wiita | dáátà | jāāriɡáà (5+ 2) ? | dèssèná (5+ 3) ? | lùfūttá-màdāā (10–1) ? | lùfūk |
누비아어, 서부 | 미도브 누비아어 | pàrci | ə̀ddí | táasí | èejí | téccí | kórcí | òlòttì | ídíyí | úkúdí / úfúdí | tímmíjí |
누비아어, 북부 | 노빈어 (1) | weː˥r | u˥wwo˥ | tu˥sko˥ | ke˥mso˥ | di˧dʒ | ɡo˥rdʒo˥ | ko˧lo˧d | i˥dwo˥ | o˧sko˧d | di˥me˥ |
누비아어, 북부 | 노빈어 (2) | wèer/ wéer | úwwó | túskú / tískó | kémsó | dìj / dìjì | ɡórjó | kòlòd | ídwó | òskòd / òskòdi | dímé |
누비아어, 중부, 언덕, 카다루-굴판 | 카다루어 | bèè | òró | tèɟɟúk | kèɲɟú | tìccʊ́ | kɔ́rʃʊ́ | kɔ́ladʊ́ | ɪ̀d̪d̪ɔ́ | wìɪd̪ɔ́ | bùɽè |
누비아어, 중부, 언덕, 카다루-굴판 | 굴판어 | bɛr | óra | tóǰuk | kɪ́ɲu | ʈiʃú | kwúrʃu | kwalát | ɪ́ddu | wìít | buɽé |
누비아어, 중부, 언덕, 미분류 | 딜링어 | bee | oree | tujjuŋ j = dʒ or ɟ ? | kimmiɲi | ticci c = tʃ or c ? | kʷarcu | kʷalad | ɪddɪ | wit | bure |
니망 | 아피티어 | àndá | àrmák | àcúp | kòrsík | múl | màndár | màrám | dùvá | àdìsól | òtúmbùrà |
니망 | 아마어(니망어) | ɲálā | ārbā | āsá | kùd̪ò | mūl | kūrʃ | kūlād̪ | èd̪ò | wìèd̪ò | fòɽó |
타마, 마라리트 | 마라리트어(마라레트어) | kára~kún / karre | warɪ / warre | ètte~ítí / ataye | kow / ɡaw | máai / maye | túur / tuur | kul / kuuri | kàkàwák / kokuak (4+ 4) | kàrkʌ́s / kekeris | tók / toɡ |
타마, 타마-숭고르 | 숭고르어(아상고리어) | kur | wári | écà | kús | mási | tɔ̀r | kál | kíbís | úkù | mɛ̀r |
타마, 타마-숭고르 | 타마어 (1) | kúˑr | wárí | íɕí | kús /kus | massi / masi | tɔˑ́r | kâl | kímís | úkū | mír |
타마, 타마-숭고르 | 타마어 (2) | kʊ́rʊ́ | wɛ̀rːɛ̀ | ɪ̀cːáʔ | kʊʃ | masɛː | t̪ɔ́rː | kəl | kíbìs | ʊ́kːʊ́ | mɛ̀ːr |
다주, 동부 다주 | 리구리 다주어(로고릭어) | nɔhɔrɔk | pɛtdax | kɔdɔs | tɛspɛt | mdɛk | kɔskɔdɔs (2 x 3) | tɛspɛtkɔdɔs (4 + 3) | tɛspɛttɛspɛt (4 + 4) | mdɛktɛspɛt (5 + 4) | saʔasɛɲ |
다주, 동부 다주 | 샤트 다맘어 | núuxù | pɨ̀dàx | kòdòs | tèspèt | mɨ̀dɨ̀k | áaràn | pàxtíndìɲ | kòs(s)èndàŋ tèspédèspè (4+4) | dábàs(s)éndàŋ ~bây.núuxù | àsìɲ |
다주, 서부 다주 | 다르 다주 다주어 | mùnɡún | fìdà /pîda | kòdɔ̀s | tɛ̀spɛ̀t | mòdùk | àràŋ | fàktíndí | kòsóndá | bìstóndá | àsíŋ |
다주, 서부 다주 | 다르 실라 다주어 (1) | ùŋɡʊ̀n | bìdàk | kòdɔs | tìʃɛ̀t | mùdùk | (ʔ)àràn ~ (ʔ)àrân | fáktíndì | kòohándà | bìstándà | àsîŋ |
다주, 서부 다주 | 다르 실라 다주어 (2) | ʊ́ŋɡʊ́n | bíd̪ák | kɔ̀d̪ɔs | t̪ɪ̀ʃɛ́ːθ | múd̪uk | árān̪ | fáθɪ́nd̪ɪ́ | kɔ̀ánd̪a | bɪ̀sθánd̪a | ásːɪŋ |
동부 제벨, 가암 | 가암어(타비어) (1) | t̪āmán | d̪áāɡɡ | ɔ́ðɔ̄ | yə̄ə̄sə́ | áás-ááman (lit: hand) | t̪ə́ld̪ìɡɡ | íd̪iɡɡ-ɔ́ðɔ̄ (lit: eyes-two) | íd̪iɡ-dáāɡɡ (lit: eyes-three) | íd̪iɡ-yə̄ə̄sə́ (lit: eyes-four) | ə́sēɡ-dí (lit: hands-also) |
동부 제벨, 가암 | 가암어(타비어) (2) | taman | diɔk / diak | oða / ʔoda | yɛsu /yɛzan | ʌsumʌn | tɛltɛk /tɛldɛk | tauðuk / idakʼdiak (5 + 2) | kurbaiti /idukʼʔoda (5 + 3) | akaitɛn / idukʼyɛsu (5 + 4) | ʔasiɡdi |
참조
[1]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Africa
De Gruyter Mouton
[2]
간행물
From the Yellow Nile to the Blue Nile: The quest for water and the diffusion of Northern East Sudanic languages from the fourth to the first millennia BCE
ECAS 2009 (3rd European Conference on African Studies, Panel 142: African waters – water in Africa, barriers, paths, and resources: their impact on language, literature and history of people) in Leipzig
2009-06-04
[3]
논문
The Eastern Sudanic hypothesis tested through lexicostatistics: current state of affairs
https://www.academia[...]
2015
[4]
논문
Языки Африки. Опыт построения лексикостатистической классификации. Т. 2: Восточносуданские языки / Languages of Africa: an attempt at a lexicostatistical classification. Volume 2: Eastern Sudanic languages
https://www.academia[...]
2014
[5]
논문
Morphological evidence for the coherence of East Sudanic
https://www.academia[...]
2019
[6]
논문
In defence of Nilo-Saharan
https://www.academia[...]
2023
[7]
간행물
Eastern Sudanic
Oxford University Press
2020
[8]
웹사이트
The Nilo-Saharan Language Phylum
https://lingweb.eva.[...]
Numeral Systems of the World's Languages
2019
[9]
서적
Nilo-Sahar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