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누비아어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누비아어군은 이집트, 수단 등지에서 사용되는 언어군으로, 노빈어, 케누지어, 동골라어, 마이도브어, 비르기드어, 산악 누비아어군 등으로 구성된다. 고대 누비아어는 8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기독교 관련 텍스트를 포함한 문서로 기록되었으며, 콥트 문자와 메로에 문자를 혼합하여 사용했다. 누비아어는 아랍 문자, 그리스 문자, 로마자, 고대 누비아 문자를 기반으로 한 다양한 문자로 표기될 수 있다. 언어학자들 사이에서는 누비아어군의 분류에 대한 이견이 존재하며, 전통적으로 북부, 서부, 중부로 분류되지만, 노비인어를 원시 누비아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일사하라어족 - 푸르어
    푸르어는 자음, 모음, 성조의 음운론적 특징을 가지며, 전위 현상과 동화 규칙이 나타나고, 라틴 문자 기반에 추가 문자와 이중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며, 격 체계를 가진 명사와 활용되는 동사를 가진 언어이다.
  • 나일사하라어족 - 동수단어족
    동수단어족은 다양한 학자들이 여러 내부 분류를 제시해 왔으나, 1인칭 단수 대명사 형태에 따른 북부/남부 어파 구분, 동부 수단어족 중심 분류, 어휘통계학적 분석 등 다양한 접근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계통 분류에 대한 학자 간 이견이 있는 어족이다.
  • 누비아 - 누비아인
    누비아인은 이집트 남부와 수단 북부의 나일강 중류 유역에 거주하며 고대 이집트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독자적인 왕국과 문화를 건설한 여러 민족 집단을 아우르는 명칭으로, 강력한 왕조 건설, 기독교 수용, 이슬람화, 현대의 여러 사건들을 거치며 현재 이집트와 수단에 거주하며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유지하고 있다.
  • 누비아 - 게벨 바르칼
    게벨 바르칼은 수단 북부의 사암 산으로, 고대 도시 나파타와 쿠시 왕국의 종교 중심지로서 신전, 피라미드, 궁전 등의 유적을 포함하며, 2003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 이집트의 언어 - 베자어
    베자어는 화자들이 Bidhaawyeet 또는 Tubdhaawi라고 부르는 아프로아시아어족 쿠시어파의 언어로, 북쿠시어 아속의 유일한 구성원이며 로마자와 아랍 문자로 표기되고 명사와 형용사는 성, 수, 격에 따라, 동사는 강동사와 약동사로 나뉘어 활용된다.
  • 이집트의 언어 - 콥트어
    콥트어는 고대 이집트어에서 파생되어 현재는 구어로는 거의 사멸되었지만 콥트 정교회 등에서 전례 언어로 사용되며, 그리스 문자에 고대 이집트 민중 문자에서 파생된 고유 문자를 더해 만들어진 콥트 문자를 사용하고, 이슬람의 이집트 정복 후 쇠퇴했으나 20세기 초부터 부흥 운동이 일고 있다.
누비아어군
개요
종류어족
사용 민족누비아인
사용 지역이집트, 수단
추정 화자 수20만 ~ 100만 명 (1977년 기준)
어족나일사하라어족
어파동부 수단어군
하위 어군북부 동부 수단어파
조어원시 누비아어
언어 코드iso2: nub
iso5: nub
glotto: nubi1251
glottorefname: Nubian
하위 언어
주요 분류중부 누비아어군
북부 누비아어군
서부 누비아어군

2. 소속 언어

누비아어군은 크게 북부, 서부, 중앙 누비아어군으로 나뉜다.


  • 북부 누비아어군: 노빈어가 대표적이며, 이집트, 수단 등지에 분포한다.
  • 서부 누비아어군: 미도브어가 있으며, 다르푸르 북부에서 사용된다.
  • 중앙 누비아어군: 비르기드어는 사멸했고, 산악 누비아어군은 누바 산맥 북부에서 사용된다. 케누지어와 동골라어는 각각 이집트와 수단에서 사용되는 밀접하게 관련된 언어이다.


Rilly (2010)는 누비아어군을 다음과 같이 더 세분화한다.[12]

  • 누비아어
  • * 나일 누비아어
  • ** 고대 누비아어

노비인어

  • ** 켄지-동고라위

동고라위어
켄지어

  • * 서부 누비아어
  • ** 비르기드어
  • ** 미도브-코르도판

미도브어
코르도판

2. 1. 북부 (나일) 누비아어군

노빈어는 이집트, 수단 및 기타 누비아인 공동체에서 약 545,000명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할파어(Halfawi)나 마하스어(Mahas) 등으로도 불린다.[13] 1863년까지 이 언어 또는 가까운 방언이 지금은 아랍화된 누비아계 부족인 샤이기야족에게서 사용되었다.

북부 누비아어군
언어명화자 수사용 지역
노빈어약 545,000명이집트, 수단, 기타 누비아인 공동체


2. 2. 서부 누비아어군

미도브어|Midob language영어다르푸르 북부의 마이도브 화산 지대에서 사용되는 언어이다. 약 50,000명의 화자가 있다.[7]

2. 3. 중앙 누비아어군

비르기드어는 다르푸르 남부 니알라 북쪽에서 사용되었으나 1970년대 이후로 구사자를 찾을 수 없어 사멸한 것으로 보인다.[13] 19세기까지 북쪽으로는 니알라와 알파시르에서 남쪽으로는 바흐르알아랍강까지 이르는 긴 지대에서 지배적인 언어였다.[13]

산악 누비아어군은 누바 산맥 북부의 여러 마을에서 사용되는 언어군 또는 방언군이다.[13]

3. 역사

고대 누비아어는 최소 100페이지가 넘는 문서에 보존되어 있으며, 기독교 종교 관련 텍스트와 국가 및 법적 문서를 포함한다. 콥트 문자의 기울어진 언셜체 변형으로 작성되었으며, 메로에 문자에서 파생된 문자가 추가되었다. 이 문서들은 서기 8세기에서 15세기에 걸쳐 있다. 고대 누비아어는 현대 노비인어의 조상으로 여겨지며, 동고라위어와 광범위하게 접촉한 흔적을 보인다.

아직 해독되지 않은 또 다른 누비아어는 소바와 무사와라트 에스-수프라에서 발견된 몇몇 비문에 보존되어 있으며, 알로디아 왕국의 언어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881년 아돌프 에르만(Adolf Ermann)에 의해 출판된 이후, '알완 비문', '알완 누비아어', '소바 누비아어' 등으로 불려왔다. 이 언어는 19세기까지 사멸된 것으로 보인다.

클로드 릴리(Claude Rilly)는 2010년에 원시 누비아어의 재구성을 제안했다.[4]

4. 문자

누비아어 표기를 위해 아랍 문자, 그리스 문자, 로마자, 고대 누비아 문자 등 다양한 제안이 있었다. 1950년대 이후 라틴 문자, 아랍 문자, 고대 누비아 문자를 사용한 다양한 사전, 교과서 등이 출판되었다. 아랍 문자의 경우, ISESCO 확장 시스템을 사용하여 아랍 문자에 없는 모음과 자음을 나타낼 수 있다.

5. 분류

누비아어군의 분류는 학자마다 이견이 있다. 전통적으로 북부(나일), 서부(다르푸르), 중부의 세 가지 분기로 나뉘었다.[10]

''Ethnologue''는 누비아어를 다음과 같이 분류한다.[10]


  • 북부(나일)
  • 고대 누비아어
  • 노비인어
  • 서부(다르푸르)
  • 미도브어
  • 중부
  • 켄지어
  • 비르기드어
  • 동고라위어
  • 힐 (코르도판)
  • 카다루-굴판
  • 굴판어
  • 카다루어
  • 미분류
  • 데이어
  • 딜링어
  • 엘 후게이라트어
  • 카르코어
  • 왈리어


Glottolog는 북부 누비아어를 제외한 모든 분기를 서중부 누비아어라는 단일 그룹으로 묶는다. 또한 힐 누비아어 내에서 데이어를 카다루와 같은 분기에 배치한다.[11]

동고라위어와 노비인어의 관계는 누비아 연구 내에서 논쟁의 대상이다. Ethnologue의 분류는 Thelwall(1982)과 Bechhaus-Gerst(1996)의 언어연대적 연구를 기반으로 하며, 노비인어를 원시 누비아어에서 가장 먼저 분기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들은 노비인어와 동고라위어 간의 현재 구문적 및 음운론적 근접성이 광범위한 언어 접촉에 기인한다고 본다. Rilly(2010)는 동고라위어 화자가 나일강으로 별도 이주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없다고 주장하며, 노비인어와 동고라위어 간의 어휘 차이가 주로 노비인어 아래의 누비아 이전 기층 때문이며, 이를 메로에어와 관련시킨다는 증거를 제시한다.[12] Rilly는 비교 언어학적 접근 방식을 통해 모든 누비아어의 상속된 원시 누비아어 어휘에 체계적으로 접근하여 다음과 같은 분류에 도달한다.

  • 나일 누비아어
  • 고대 누비아어
  • 노비인어
  • 켄지-동고라위
  • 동고라위어
  • 켄지어
  • 서부 누비아어
  • 비르기드어
  • 미도브-코르도판
  • 미도브어
  • 코르도판

참조

[1] 논문 Languages in Contact: Arabic-Nubian https://www.jstor.or[...]
[2] 웹사이트 Language and ethnic statistics in 20th century Sudanese censuses and surveys https://shs.hal.scie[...] 2023-09-13
[3] 논문 Nuba Language and History http://nubasurvival.[...] 2022-08-17
[4] 서적 Le méroïtique et sa famille linguistique Peeters Publishers
[5] 웹사이트 Language Representative Counts https://people.umass[...]
[6] 간행물 "The coming of Nubian speakers to the Nile Valley", in ''The Archeological and Linguistic Reconstruction of African History.'' Edited by C. Ehret & M. Posnansky. Berkeley / Los Angeles, p. 38
[7] 웹사이트 Language Representative Counts https://people.umass[...]
[8] 문서 Documentary Evidence on the Haraza Nubian Language http://www.africabib[...]
[9] Glotto Haraza Nubian
[10] 뉴스 Nubian https://www.ethnolog[...] 2017-06-24
[11] 웹사이트 Glottolog 3.0 – Kordofan Nubian http://glottolog.org[...] 2017-06-24
[12] 서적 Le méroïtique et sa famille linguistique Peeters
[13] 서적 Le méroïtique et sa famille linguistique Peet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