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로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스트로어족은 독일 선교사 빌헬름 슈미트가 1906년에 제안한 가설로,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음운론, 형태론, 어휘론적 증거를 통해 하나의 어족을 이룬다는 주장이다. 폴 베네딕트는 크라다이어족과 몽몐어족을 포함하는 방향으로 가설을 확장했으나, 이후 오스트로타이어족 가설을 지지하며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폐기했다. 현재는 어휘적 증거 부족과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 분석 결과 등으로 인해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다. 오스트로어족의 분류 체계는 학자마다 차이가 있으며, 일본어족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오스트로어족 | |
---|---|
지도 | |
![]() | |
기본 정보 | |
명칭 | 오스트로어족 |
다른 명칭 | 남방어족 |
제안 | 제안된 어족 |
분포 지역 | 동남아시아, 태평양 제도, 남아시아, 동아시아, 마다가스카르 |
어족 분류 | |
어족 색상 | 초어족 |
상위 어족 | 가설 단계의 대어족 |
하위 어족 1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하위 어족 2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하위 어족 3 | 타이어족 (간혹 포함) |
하위 어족 4 | 흐몽-미엔어족 (간혹 포함) |
조상 언어 | 알 수 없음 |
추가 정보 | |
Glotto 코드 | 없음 |
Glotto 이름 | 없음 |
Glotto 참조 이름 | 없음 |
2. 역사
오스트로어족은 1906년 독일 선교사 빌헬름 슈미트가 처음 제안한 가설이다. 슈미트는 음운론, 형태론, 어휘론적 증거를 통해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하나의 어족을 이룬다고 주장했다.[19]
이후 1942년 폴 베네딕트는 이 가설을 확장하여 크라다이어족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하위 분류군으로 포함시키고, 몽몐어족의 포함 가능성도 고려했다.[19] 그러나 베네딕트는 나중에 오스트로타이 가설을 주장하면서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폐기했다.[20]
오늘날에도 일부 연구자들은 형태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연관성을 주장하지만, 어휘적 증거는 빈약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니코바르어파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간의 형태론적 유사성이 계통 관계를 증명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다.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ASJP)을 이용한 2015년 분석은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지지하지 않았으며,[21] 역사언어학자들 사이에서 ASJP의 방법론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다.[22]
2. 1.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제안
빌헬름 슈미트는 1906년에 음운론, 형태론, 어휘론 면의 증거들을 통해 오스트로아시아어족과 오스트로네시아어족(정확히는 말레이폴리네시아어파)이 오스트로어족을 이룬다고 주장했다.[19] 1942년 폴 베네딕트는 오스트로어족을 잠정적으로 수용하고 확장해, 크라다이어족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직계 하위 분류군으로 포함시켰으며, 몽몐어족도 포함될 가능성까지 고려했다.[19] 그러나 베네딕트는 이후 오스트로타이 가설을 확장하면서 오스트로어족설은 폐기하고 공개적으로 기각했다.[20]어휘 면의 증거는 빈약하나, 주로 형태론을 근거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간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이들은 오늘날에도 존재한다. 일부는 니코바르어파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간에 최근 밝혀진 형태론적 유사성이 계통 관계를 확실히 증명한다고 믿는다. 다른 연구자들은 계속해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또는 크라다이어족 간의 잃어버린 어휘적 고리를 찾고 있다. Reid (2005)에서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현황을 요약했다.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ASJP)를 활용한 2015년의 분석은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분석에서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핵심" 구성원 후보들을 오스트로타이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일본어족이라는, 서로 다르고 관련 없는 두 개의 분기군에 배정했다.[21] 그러나 ASJP는 어족 간의 관계를 확립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절한 방법으로서 역사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22]
2. 2. 베네딕트의 확장과 비판
폴 베네딕트는 1942년에 오스트로어족을 잠정적으로 수용하고 확장해, 크라다이어족을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직계 하위 분류군으로 포함시켰으며, 몽몐어족도 포함될 가능성까지 고려했다.[19] 그러나 베네딕트는 이후 오스트로타이 가설을 확장하면서 오스트로어족설은 폐기하고 공개적으로 기각했다.[20]어휘 면의 증거는 빈약하나, 주로 형태론을 근거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간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이들은 오늘날에도 존재한다. 일부는 니코바르어파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간에 최근 밝혀진 형태론적 유사성이 계통 관계를 확실히 증명한다고 믿는다. 다른 연구자들은 계속해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또는 크라다이어족 간의 잃어버린 어휘적 고리를 찾고 있다.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ASJP)를 활용한 2015년의 분석은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분석에서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핵심" 구성원 후보들을 오스트로타이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일본어족이라는, 서로 다르고 관련 없는 두 개의 분기군에 배정했다.[21] 그러나 ASJP는 어족 간의 관계를 확립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절한 방법으로서 역사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22]
2. 3. 현대의 연구 동향
오스트로어족 가설은 오늘날에도 일부 연구자들이 지지하고 있다. 이들은 주로 형태론적 증거를 바탕으로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의 연관성을 주장한다. 일부는 니코바르어파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 간에 최근 발견된 형태론적 유사성이 계통 관계를 확실하게 증명한다고 믿는다. 다른 연구자들은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또는 크라다이어족 간의 잃어버린 어휘적 연결 고리를 찾기 위해 계속 노력하고 있다.[19] Reid (2005)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현황을 요약했다.Reid (2005)는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와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간의 "가능성이 높은" 동족어로 다음 쌍을 제시했다.[3]
의미 | 재 | 개 | 뱀 | 배 | 눈 | 아버지 | 어머니 | 썩은 | 사다 |
---|---|---|---|---|---|---|---|---|---|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 *qabuh | *cu(q) | *[su](l̩)aR | *taʔal/*tiʔal | *mə(n)ta(q) | *(qa)ma(ma) | *(na)na | *ɣok | *pə[l̩]i |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 *qabu | *asu | *SulaR | *tiaN | *maCa | *t-ama | *t-in | *ma-buRuk | *beli |
형태론적 증거 중에서 그는 다음과 같은 재구성된 접사들을 비교하고, 공유된 삽입접사는 차용될 가능성이 낮다는 점을 지적한다.[4]
- 접두사 *pa- '사동'(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 삽입접사 *-um- '주체'(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 삽입접사 *-in- '도구'(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명사화'(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다음은 제라르 디플로스가 제시하고 폴 시드웰과 로렌스 에이. 리드가 인용한 10개의 선택된 오스트릭 어휘 비교이다.[5][6]
의미 | 원시 오스트로아시아어 | 원시 오스트로네시아어 |
---|---|---|
‘물고기’ | *ʔaka̰ːʔ | *Sikan |
‘개’ | *ʔac(ṵə)ʔ | *asu |
‘나무’ | *kəɟh(uː)ʔ | *kaSi |
‘눈’ | *ma̰t | *maCa |
‘뼈’ | *ɟlʔaːŋ | *CuqelaN |
‘털’ | *s(ɔ)k | *bukeS |
‘대나무 쥐’ | 크무어 dəkən | 말레이어 dəkan |
‘어금니’ | 크메르어 thkìəm | 말레이어 gərham |
‘왼쪽’ | p-몬어족 *ɟwiːʔ | *ka-wiʀi |
‘재’ | 스티엥어 *buh | *qabu |
그러나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ASJP)을 사용한 2015년 분석에서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분석에서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핵심" 구성원 후보들을 오스트로타이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일본어족이라는, 서로 다르고 관련 없는 두 개의 분기군에 배정했다.[21] 그러나 ASJP는 어족 간의 관계를 확립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절한 방법으로서 역사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22]
2. 4. 비판적 시각
자동화 유사도 판정 프로그램(ASJP)을 활용한 2015년의 분석은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지지하지 않는다. 이 분석에서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의 "핵심" 구성원 후보들을 오스트로타이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일본어족이라는, 서로 다르고 관련 없는 두 개의 분기군에 배정했다.[21] 그러나 ASJP는 어족 간의 관계를 확립하거나 평가하는 데 적절한 방법으로서 역사언어학자들 사이에서 널리 인정받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22]지난 세기 후반, 폴 K. 베네딕트(Paul K. Benedict)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에 대해 강력한 비판을 제기하며, 궁극적으로 그것을 '소멸된' 원시 언어라고 불렀다.
1992년부터 2001년까지 오스트로어족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된 헤이즈(Hayes)의 어휘 비교는 여러 평론가들에 의해 대부분 방법론적으로 부적절하다는 비판을 받았다. 오스트로네시아 비교 언어학 분야의 선도적인 학자 로버트 블러스트(Robert Blust)는 오스트로어족 가설을 특징짓는 "형태론적 및 어휘적 증거의 급격한 분열"을 지적했다. 그는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간의 형태론적 대응은 먼 혈연 관계에 대한 가능한 증거로 받아들이지만, 어휘적 증거는 설득력이 없다고 생각한다.
3. 분류 체계
오스트로어족의 분류 체계는 학자마다 다양한 견해가 존재한다.
폴 베네딕트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오스트로어족을 '오스트릭'이라는 이름으로 부르며, 몽몐어족과 오스트로아시아어족, 그리고 오스트로타이어족(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타이카다이어족)으로 구성된 분류를 제시했다.
3. 1. 일반적인 분류
가장 보편적인 분류 체계는 다음과 같다.[23] 몽몐어족은 포함되기도 하지만, 종종 오스트로 대어족에서 제외되기도 한다.{| class="wikitable"
|-
! 오스트로어족
|-
|
{| class="wikitable"
|-
| 몽몐어족 (?)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 오스트로타이어족
|-
|
{| class="wikitable"
|-
| 크라다이어족
|-
! 오스트로일본어족
|-
|
|}
|}
|}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오스트로어족을 두 주요 분기군으로 나누었다. 그는 오스트로어족이 그가 제안한 데네캅카스어족과 가장 가까우며, 데네다이 대어족을 이룬다고 보았다.[23]
{| class="wikitable"
|-
! 오스트로어족
|-
|
{| class="wikitable"
|-
|
|-
! 오스트로타이어족
|-
|
|}
|}
2015년에 알렉산더 보빈은 일본조어 연구를 마치고 일본어족과 오스트로어족의 밀접한 관계에 대한 가설을 제시했는데, 이는 1991년에 폴 베네딕트가 제시했던 학설이었다.[24]
{| class="wikitable"
|-
! 오스트로어족
|-
|
{| class="wikitable"
|-
| 몽몐어족
|-
|
{| class="wikitable"
|-
! 오스트로타이어족
|-
|
{| class="wikitable"
|-
| 크라다이어족
|-
! 일본조어
|-
|
|}
|}
|}
|}
알렉산더 보빈이 제시한 가설이 1991년에 제기되었기 때문에, 오스트로어족을 중국티베트어족의 선조로 다시 추정하는 논의가 있었는데, 예를 들어 스탠리 스타로스타(2005)는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 class="wikitable"
|-
! 오스트로어족
|-
|
{| class="wikitable"
|-
|
{| class="wikitable"
|-
| 중국티베트어족
|-
! 양쯔강
|-
|
|}
|-
! 오스트로타이어족
|-
|
{| class="wikitable"
|-
| 타이완 제어
|-
|
|}
|}
|}
폴 K. 베네딕트(Paul K. Benedict)에 의한 분류
{| class="wikitable"
|-
! 오스트릭
|-
|
{| class="wikitable"
|-
| 몬-미엔어족 (?)
|-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 오스트로-타이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타이카다이어족 |
|}
|}
세르게이 스타로스틴(Sergei Starostin)에 의한 분류
{| class="wikitable"
|-
! 오스트릭
|-
|
{| class="wikitable"
|-
|
몬-미엔어족 |
오스트로아시아어족 |
|-
! 오스트로-타이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타이카다이어족 |
|}
|}
3. 2. 스타로스틴의 분류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오스트로어족을 두 주요 분기군으로 나누었다. 그는 오스트로어족이 그가 제안한 데네캅카스어족과 가장 가까우며, 데네다이 대어족을 이룬다고 보았다.[23]{| class="wikitable"
|-
! 오스트로어족
|-
|
{| class="wikitable"
|-
|
|-
! 오스트로타이어족
|-
|
|}
|}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 class="wikitable"
|-
! 오스트릭
|-
|
{| class="wikitable"
|-
|
|-
! 오스트로-타이
|-
|
오스트로네시아어족 |
타이-카다이어족 |
|}
|}
3. 3. 일본어족과의 관계
알렉산더 보빈은 일본조어 연구를 마친 뒤, 1991년에 폴 베네딕트가 제시했던 학설을 기반으로 일본어족과 오스트로어족의 언어의 밀접한 관계를 거론하면서 관련 설을 제시했다.[24]빌헬름 슈미트는 최초로 오스트로어족을 확장한 제안을 제시했는데, 주로 일본어와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의 유사성을 근거로 일본어를 오스트로어족에 포함시키는 것을 추측했다.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일본어의 연관성에 대한 제안은 여전히 별개의 가설로서 지지를 받고 있지만, 후대의 오스트로어족 지지자들은 일본어의 포함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4. 오스트로어족에 속하는 어족들의 분포
참조
[1]
논문
[2]
논문
[3]
논문
[4]
발표자료
Infix preservation and loss in Southeast Asia: Typological and areal factors
https://seals31.sche[...]
University of Hawaiʻi at Mānoa
2022-05-20
[5]
서적
The Languages and Linguistics of Mainland Southeast Asia
De Gruyter
2021
[6]
저널
The lexical evidence for Austric, so far
1994
[7]
논문
[8]
저널
A Multilateral Look at Greater Austric
https://www.academia[...]
2006
[9]
논문
[10]
서적
Austric Hypothesis
Elsevier
2009
[11]
서적
The Austronesian Languages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2013
[12]
서적
Languages of the Himalayas
BRILL
2001
[13]
웹사이트
http://ehl.santafe.e[...]
[14]
발표자료
The Current State of Linguistic Research on the Relatedness of the Language Families of East and Southeast Asia
Hawaii linguistic conference
[15]
저널
Die Beziehungen der austrischen Sprachen zum Japanischen
1930
[16]
서적
Japanese/Austro-Tai
https://books.google[...]
Karoma
1990
[17]
서적
Handbuch Der Orientalistik
https://books.google[...]
BRILL
2001
[18]
저널
Japanese/Austro-Tai By Paul K. Benedict (review)
https://muse.jhu.edu[...]
1992
[19]
저널
Thai, Kadai, and Indonesian: A New Alignment in Southeastern Asia
1942
[20]
서적
Austric: An 'Extinct' Proto-language
School of Oriental and African Studies
1991
[21]
저널
Support for linguistic macrofamilies from weighted sequence alignment
https://www.ncbi.nlm[...]
2019-04-15
[22]
저널
Automated Dating of the World’s Language Families Based on Lexical Similarity
2011
[23]
서적
Contemporary Issues in Nepalese Linguistics
http://himalayanlang[...]
Linguistic Society of Nepal
2019-05-08
[24]
웹사이트
The Austro-Tai-Japonese Hypothesis
http://www.nostrati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