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정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정녀는 기독교에서 정결을 지키기로 서약하고 세속적 결혼을 거부한 여성들을 지칭하며, 동정 순교자는 박해 속에서 정결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잃은 이들을 말한다.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 카이사레아의 성 도로테아는 4대 수도 동정녀로 불린다. 봉헌된 동정녀는 사도 시대부터 이어져 온 전통으로, 가톨릭 교회에서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교회에 봉헌되며, 전 세계적으로 수천 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유형별 성인 - 가경자
가경자는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신앙의 모범이 되는 사람에게 주는 칭호로 시복 및 시성 절차의 첫 단계이며, 교황청의 시복 조사가 접수되거나 교황의 특별 칙령을 통해 부여될 수 있고, 동방 정교회와 성공회에서도 다른 의미로 사용된다. - 유형별 성인 - 그리스도를 위한 어리석음
그리스도를 위한 어리석음은 동방 정교회 금욕주의의 한 형태로, 의도적으로 어리석은 행동을 통해 세속적 가치에 도전하고 세상의 칭찬을 피하기 위해 정신 이상을 가장하는 행위이다. - 기독교의 칭호 - 교황
교황은 로마 가톨릭교회의 최고 지도자이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의 영적 지도자로서, 사도 베드로의 후계자로 여겨지며 그리스도의 대리자로서 교회의 행정, 사법, 입법 등을 총괄하고, 그의 지위와 권위에 대한 해석은 가톨릭교회 내외에서 논쟁을 불러일으킨다. - 기독교의 칭호 -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 총대주교는 동방 정교회의 총대주교로서 역사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가지며, 공의회를 통해 로마 주교 다음가는 지위를 확보하고 세계 총대주교 칭호를 사용했으나, 오스만 제국 시대 룸 밀레트의 지도자 역할을 수행한 후 권한이 축소되었고, 현재 튀르키예 정부의 제한과 정교회 내부의 논쟁이 지속되고 있다.
동정녀 | |
---|---|
기본 정보 | |
![]() | |
라틴어 | Virgo |
그리스어 | Παρθένος (파르테노스) |
정의 | |
기독교 | 기독교에서 여성 성인과 복녀에게 주어지는 존칭 |
어원 | 라틴어: Virgo (비르고) 그리스어: Παρθένος (파르테노스) |
관련 정보 | |
관련 문서 | 동정녀회 |
관련 웹사이트 | 베네딕토 16세 교황의 동정녀회 국제 의회 연설 (2008년 5월 15일) |
2. 동정 순교자
초기 기독교 시대부터 4세기 초까지, 많은 여성들이 신앙을 지키기 위해 정결을 서약하고 세속적인 결혼을 거부했다. 이들은 박해 속에서도 믿음을 굳건히 지켰으며, 심지어는 정결을 지키기 위해 목숨을 바치기도 했다.[2]
1세기 말에서 4세기 초 기독교 순교자들의 성인전에서 '''동정 순교자'''는 하늘을 위해 정결을 지키기로 서약한 후 세속적인 결혼을 거부하여 박해를 받은 이들을 가리킨다. 이들 중에는 정결을 지키기 위해(in defensum castitatisla) 목숨을 잃은 이들도 있었다.[2]
로마 미사 경본과 시간 전례에는 동정녀와 동정 순교자들을 위한 공통 기도문이 있다. 다양한 순교록(예: 로마 순교록, 예로니무스 순교록)에 초기 동정 순교자들이 기록되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미사 경전에도 언급되어 있다.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 카이사레아의 성 도로테아는 "4대 수도 동정녀"로 불리며, 이 중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는 14 성인 조력자에 속한다.
2. 1. 주요 동정 순교자

'''동정 순교자'''는 기독교 성인전에서, 하늘을 위해 정결을 지키기로 서약한 후 세속적인 결혼을 거부하여 박해를 받거나, 정결을 지키기 위해(in defensum castitatisla) 목숨을 잃은 성녀들을 말한다.[2]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 카이사레아의 성 도로테아는 "4대 수도 동정녀"로 불리며, 이 중 세 명은 14 성인 조력자에 속한다.
다음은 주요 동정 순교자 목록이다.
세기 | 이름 | 비고 |
---|---|---|
1세기 | 이코니움의 성 테클라 | |
1세기 | 아르메니아의 성 샨두흐트 | 한국과 관련된 인물 |
1세기 | 펠리쿨라와 로마의 성 페트로넬라 | |
2세기 | 로마의 성 체칠리아 | 한국 천주교에서 특별히 공경하는 인물 |
2세기 | 로마의 성 푸덴티아나 | |
2세기 | 로마의 성 신앙, 희망, 자선 | |
2세기 | 마르키아노폴리스의 멜리티나[3] | |
2세기 | 로마의 성 베네라 | 143년 사망 |
2세기 | 로마의 성 프락세데스 | 165년 사망 |
2세기 | 헤라클레아의 성 글리체리아 | 177년 사망 |
2세기 | 리옹의 성 블란디나 | 177년 사망 |
3세기 | 시칠리아의 성 아가타 | |
3세기 | 카르타고의 성 군데니스 | |
3세기 | 이코니움의 성 파라스케비 | |
3세기 | 골의 성 에스텔 | |
3세기 | 카이사레아의 성 레파라타 | |
3세기 | 로마의 성 피르미나 | |
3세기 | 알렉산드리아의 아모나리아 | |
3세기 | 로마의 성 마르티나 | 228년 사망 |
3세기 | 로마의 성 타티아나 | 226년 또는 235년 사망 |
3세기 | 시칠리아의 성 에우탈리아 | |
3세기 | 카이사레아의 성 알비나 | 250년 사망 |
3세기 | 라벤나의 성 푸스카 | 250년 사망 |
3세기 | 로마의 성 칼리오피 | 250년 사망 |
3세기 | 로마의 성 아나스타시아 | 250년 사망 |
3세기 | 오툉의 성 레지나 | |
3세기 | 로마의 성 루피나와 세쿤다 | 257년 사망 |
3세기 | 투부르가의 성녀 막시마, 도나틸라, 세쿤다 | 257년 사망 |
3세기 | 로마의 성 에우제니아 | 258년 사망 |
3세기 |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 | |
3세기 | 람프사쿠스의 데니스 | |
3세기 | 볼세나의 성 크리스티나 | |
3세기 | 비비아나 | |
3세기 | 알렉산드리아의 성 아폴로니아 | 249년 사망 |
3세기 | 폴리뇨의 메살리나 | 249년 사망 |
3세기 | 로마의 성 디그나와 에메리타 | 259년 사망 |
3세기 | 미네오의 성 아그리피나 | 262년 사망 |
3세기 | 상스의 성 콜룸바 | 273년 사망 |
3세기 | 안티오키아의 성 펠라기아 | |
3세기 | 로마의 성 다리아 | 283년 사망 |
3세기 | 세비야의 성 유스타와 루피나 | 287년 사망 |
3세기 |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 289년 사망 |
3세기 | 티레의 성 테오도시아 | 290년 사망 |
3세기 | 아르메니아의 성 흐립시메 | 290년 사망 |
3세기 | 데미아나와 40명의 동정녀 | |
3세기 | 메노도라, 메트로도라, 님포도라 | |
3세기 | 타르수스의 성 펠라기아 | |
3세기 | 콩크의 성 신앙 | |
3세기 | 니코메디아의 성 키리아키 | 289년 사망 |
3세기 | 비블로스의 성 아퀼리나 | 293년 사망 |
4세기 | 로마의 성 수산나 | 295년 사망 |
4세기 | 바르셀로나의 성 에울랄리아 | 303년 사망 |
4세기 | 사라고사의 성 엔그라티아 | 303년 사망 |
4세기 | 칼케돈의 성 에우페미아 | 303년 사망 |
4세기 | 코르시카의 성 데보타 | 303년 사망 |
4세기 | 탐만의 성 라이스 | 303년 사망 |
4세기 | 모리타니아의 성 마르키아나 | 303년 사망 |
4세기 | 로마의 성 아녜스 | 304년 사망, 한국 천주교에서 특별히 공경하는 인물 |
4세기 | 로마의 성 에메렌티아나 | 304년 사망 |
4세기 | 시르미움의 성 아나스타시아 | 304년 사망 |
4세기 | 아미수스의 성 카리티나 | 304년 사망 |
4세기 | 니시비스의 성 페브로니아 | 304년 사망 |
4세기 | 파두아의 성 유스티나 | 304년 사망 |
4세기 | 시라쿠사의 성 루치아 | 304년 사망 |
4세기 | 테살로니카의 성 아가페, 키오니아, 이레네 | 304년 사망 |
4세기 | 로마의 성 필로메나 | 304년 사망 |
4세기 | 메리다의 성 에울랄리아 | 304년 사망 |
4세기 | 니코메디아의 성 율리아나 | 304년 사망 |
4세기 | 아우크스부르크의 성 아프라 | 304년 사망 |
4세기 | 알비티나의 빅토리아 | 304년 사망 |
4세기 | 시칠리아의 성 트로피메나 | 304년 사망 |
4세기 | 알렉산드리아의 성 테오도라 | 304년 사망 |
4세기 | 안티오키아의 성 유스티나 | 304년 사망 |
4세기 | 살로니카의 성 아니시아 | 304년 사망 |
4세기 | 누미디아의 성 크리스피나 | 304년 사망 |
4세기 | 톨레도의 성 레오카디아 | 304년 사망 |
4세기 | 코르도바의 성 빅토리아 | 304년 사망 |
4세기 |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테리나 | 305년 사망 |
4세기 | 니코메디아의 성 바실리사 | 309년 사망 |
4세기 | 시리아의 성 베레니체와 프로스도체 | 310년 사망 |
4세기 | 카이사레아의 성 도로테아 | 311년 사망 |
4세기 | 키지쿠스의 성 파우스타 | 311년 사망 |
4세기 | 콘스탄티노플의 안토니나 | 313년 사망 |
4세기 | 로마의 성 비비아나 | 361/3년 사망 |
4세기 | 쾰른의 성 우르술라와 동료들 | 384년 사망, 성 레티시아와 쾰른의 코르둘라 포함 |
근현대 | 마리아 고레티 | 1902년 사망, 1950년 시성 |
근현대 | 카롤리나 코즈카 | 1914년 사망, 1987년 복자 |
근현대 | 알베르티나 베르켄브로크 | 1931년 사망, 2007년 복자 |
근현대 | 안토니아 메시나 | 1935년 사망, 1987년 복자 |
근현대 | 베니냐 카르도소 다 실바 | 1941년 사망, 2022년 복자 |
근현대 | 에디트 슈타인 | 1942년 사망, 1998년 시성 |
근현대 | 마리아 레스티투타 카프카 | 1943년 사망, 1998년 복자 |
근현대 | 안나 콜레사로바 | 1944년 사망, 2018년 복자 |
근현대 | 피에리나 모로시니 | 1957년 사망, 1987년 복자 |
근현대 | 베로니카 안탈 | 1958년 사망, 2018년 복자 |
근현대 | 마리-클레망틴 아누아리테 넹가페타 | 1964년 사망, 1985년 복자 |
근현대 | 이자벨 크리스티나 므라드 캄포스 | 1982년 사망, 2022년 복자 |
근현대 | 린다바 주스토 데 올리베이라 | 1993년 사망, 2007년 복자 |
2. 2. 4대 수도 동정녀와 14성인 조력자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 카이사레아의 성 도로테아는 "4대 수도 동정녀"로 불린다.[2] 이들 중 알렉산드리아의 성 카타리나, 안티오키아의 성 마가렛, 니코메디아의 성 바르바라는 14 성인 조력자에 속한다.[2]14성인 조력자에 대한 공경은 한국 천주교회에서도 이어진다. 이들은 특별한 어려움에 처한 이들의 기도를 들어주는 성인들로 여겨지며, 각 성인의 축일에는 그들을 기리는 기도가 바쳐진다.
3. 봉헌된 동정녀
Consecratio virginumla(동정녀 봉헌) 의례의 전통은 4세기로 거슬러 올라가며, 생활 형태는 사도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최초의 알려진 공식 봉헌은 성 마르셀리나의 봉헌으로, 서기 353년으로, 그의 형제인 성 암브로시우스의 De Virginibusla에 언급되어 있다. 또 다른 초기 봉헌된 동정녀는 성 제네비에브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캐논 922는 "사도 시대부터 주님께 부름받아 마음, 몸, 영혼의 자유를 더하여 그분께만 매달리기로 결정한 기독교 동정녀들은 교회의 승인을 받아 '하늘나라를 위해' 동정의 상태로 살기로 결정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동정녀는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모두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교회에 봉헌된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경우, 1970년 교황 바오로 6세 치하에서 세상에 사는 여성에게 봉헌을 수여하는 것이 재도입되었다.[4] 2018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5,000명의 봉헌된 동정녀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5]
- 1431년에 사망한 잔 다르크는 1920년에 동정녀로 시성되었다.
3. 1. 봉헌된 동정녀의 역사
성 마르셀리나는 최초로 공식 봉헌된 동정녀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353년 그의 오빠인 성 암브로시우스의 저서에 언급되어 있다.[4] 또 다른 초기 봉헌된 동정녀는 성 제네비에브 (422년경 ~ 512년경)이다.레이몬드 오브 카푸아에 따르면, 성 카테리나 시에나 (1347년경 ~ 1380년경)는 21세 (1368년경)에 예수 그리스도와 신비주의적 결혼을 경험했으며, 이는 이후 예술에서 성 카테리나의 신비로운 결혼으로 자주 묘사되었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캐논 922는 "사도 시대부터 주님께 부름받아 마음, 몸, 영혼의 자유를 더하여 그분께만 매달리기로 결정한 기독교 동정녀들은 교회의 승인을 받아 '하늘나라를 위해' 동정의 상태로 살기로 결정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
3. 2. 현대 가톨릭 교회의 봉헌된 동정녀
가톨릭 교회 교리서의 캐논 922는 "사도 시대부터 주님께 부름받아 마음, 몸, 영혼의 자유를 더하여 그분께만 매달리기로 결정한 기독교 동정녀들은 교회의 승인을 받아 '하늘나라를 위해' 동정의 상태로 살기로 결정했다."라고 명시하고 있다.[4]동정녀는 정교회와 로마 가톨릭 교회에서 모두 그리스도의 신부로서 교회에 봉헌된다. 로마 가톨릭 교회의 경우, 봉헌은 수세기 동안 수도원에 사는 수녀에게만 수여되었지만, 1970년 교황 바오로 6세 치하에서 세상에 사는 여성에게 수여하는 것이 재도입되었다.[4] 교구 기록에 따르면 2018년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5,000명의 봉헌된 동정녀가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5]
참조
[1]
웹사이트
To participants in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Ordo Virginum (May 15, 2008) {{!}} BENEDICT XVI
https://w2.vatican.v[...]
2019-11-17
[2]
웹사이트
CatholicSaints.Info » Died in Slovakia
https://catholicsain[...]
[3]
웹사이트
St. Melitina - Saints & Angels
https://www.catholic[...]
[4]
간행물
"Ordo Consecrationis Virginum"
1970-05-31
[5]
뉴스
Church reproposes Order of Virgins 50 years after its restoration
https://www.vaticann[...]
Vatican News
2018-07-04
[6]
문서
1 Corinthians 7:34 "There is difference also between a wife and a virgin. The unmarried woman careth for the things of the Lord, that she may be holy both in body and in spirit: but she that is married careth for the things of the world, how she may please her husband."
[7]
웹인용
To participants in the International Congress of the Ordo Virginum (May 15, 2008) {{!}} BENEDICT XVI
https://w2.vatican.v[...]
2019-11-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