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화치층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동화치층은 일월산 동화재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안동시,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 영덕군 등 경상북도 지역에 분포하는 지층이다. 안동시와 봉화군 지역에서는 하부의 알코스질사암층과 상부의 적색 이암층으로 구분되며, 영양군과 청송군 지역에서는 울련산층과 가송동층 사이에 위치하며, 영덕군 지역에서는 장석질 사암, 역암, 적색 미사암 등으로 구성된다. 동화치층은 지역에 따라 다양한 암상과 두께를 보이며, 위리 백악기 석화목산지와 같이 화석이 발견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암 지층 - 다대포층
다대포층은 부산 다대포 일대의 백악기 후기 퇴적층으로, 양산-동래단층의 주향이동으로 형성된 분지를 채우며, 적색층과 응회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공룡알 화석, 지질 및 퇴적 구조를 보존하고, 부산국가지질공원 지질유산으로 지정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접근성 제한과 층서 대비 논쟁이 있다. - 이암 지층 - 고성층
경상남도 고성군 일대에 분포하는 고성층은 붉은색 이암, 사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룡 발자국, 공룡 알, 거북 알 화석 등 다양한 화석과 고성층과 제4기 지층을 절단하는 단층이 발견된다. - 청송군의 지리 - 반변천
- 청송군의 지리 - 주왕산
주왕산은 백악기 말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화산암 지형으로, 다양한 화산암류와 주왕산 응회암의 지질 명소, 그리고 주왕 관련 전설로 인해 주왕계곡은 대한민국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 - 지질공원 - 영월군
영월군은 강원특별자치도 남부에 위치하며 태백산맥과 소백산맥에 둘러싸여 동강과 서강이 흐르고, 단종 유배지와 장릉, 김삿갓 유적지 등 역사·문화 유적과 관광지가 있는 고생대 지층의 카르스트 지형과 지하자원이 풍부한 지역이었으나 석탄 산업 쇠퇴로 인구가 감소하고 있다. - 지질공원 - 동래 단층
동래 단층은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일대에 위치하며 신생대 고제3기에 활동했고, 북북동 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 개발과 지형에 영향을 미치는 활성단층 여부가 연구 과제로 남아있다.
| 동화치층 | |
|---|---|
| 기본 정보 | |
![]() | |
| 유형 | 퇴적암 |
| 주 암질 | 이암, 사암, 셰일 |
| 나머지 암질 | 역암 |
| 이름 따옴 | 일월산 동화재(동화치) |
| 상위 단위 | 경상 누층군 |
| 하위 단위 | 알코스질사암층, 적색이암층 (예안, 중평동도폭) |
| 하층 | 울련산층 선캄브리아기 화강암질편마암 쥐라기 화강암 (안동시) |
| 상층 | 가송동층 |
| 두께 | 200~500 m (영양군 북부) 130 m (영양군 중남부) |
| 지역 | 경상북도 안동시, 영양군, 청송군 |
2. 이름의 유래
동화치층은 일월산 서북서쪽으로 3.4km 떨어진 곳에 있는 동화재(東花岾) 고개에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
동화치층은 지역에 따라 구성 암석의 종류와 비율이 다르게 나타난다.
3. 지역별 암상
영양군과 청송군 지역의 동화치층은 하부의 울련산층과 상부의 가송동층 사이에 분포하며, 점이적인 변화를 보인다. 주로 알코스 사암, 역암, 셰일, 이암 등이 섞여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붉은색 셰일과 이암이 많아진다.
영덕군 지역의 동화치층은 주로 장석질사암, 역암, 역질 사암, 적색 미사암 및 함처트 역암으로 구성된다. 상부 층준의 역질 사암 및 사암 교호층에는 분출암상의 현무암이 층리와 평행하게 수 m 두께로 협재한다.[8]
3. 1. [[안동시]]와 [[봉화군]]
동화치층은 안동시 동부 지역에서 경상계 지층의 최하위 기저층을 이루고 있으며, 하부 알코스질사암층과 상부 적색 이암층으로 구분된다.
하부 알코스질사암층은 주로 회백색 알코스질사암으로 구성되며, 적색 이암과 사암이 얇게 층을 이루어 나타난다. 예안 지질도폭(1963)에 따르면, 안동시 도산면 태자리와 봉화군 재산면 인금마을에는 흑색 셰일이 국지적으로 발달하며, 태자리에서는 불량한 식물 화석과 폭 10 cm의 석탄층이 5~6매 협재된다. 이는 낙동층 하부에 협재된 흑색 셰일 및 석탄층과 대비될 수 있다. 안동시 도산면 태자리, 원천리에서 측정한 본 층의 두께는 각각 150 m 및 130 m이며 봉화군 재산면에서는 이보다 더 큰 두께로 발달한다.[1] 중평동 지질도폭(1970)에 의하면, 알코스질사암은 풍화면에서 백색을 띠고 자색 이암을 협재해 식별이 쉽다. 그러나 예안도폭에서 보고된 흑색 셰일은 나타나지 않는다.[1]
임하호 일대의 국도 제34호선·지방도 제935호선 도로변과, 지방도 제918호선이 지나는 고치현 정상 부근에는 아래 사진과 같이 동화치층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상부 적색 이암층은 알코스질사암층(Kds) 상위에 정합적으로 분포하며, 대부분 자색(赭色) 이암과 사암으로 구성된다. 이 밖에 소수의 담회색 알코스질사암, 역암, 담회색 응회암질 사암, 녹회색 이회암 등을 협재하고 있다. 지역에 따라 두께가 다소 다르나 일반적으로 400 m 내외이다.[1]
안동시 임동면 위리 산 74-4에 위치한 '''위리 백악기 석화목산지'''는 동화치층 적색 이암층이 분포하는 곳으로 적색 사암과 이암이 반복 발달한다. 이 지역의 나무 화석으로는 구과류의 일종인 ''Araucaria''(남양삼나무) 화석이 보고된 바 있다.[4]
3. 2. [[영양군]]과 [[청송군]]
영양군과 청송군 지역의 동화치층은 하부의 울련산층과 상부의 가송동층 사이에 분포하며, 점이적인 변화를 보인다. 주로 알코스 사암, 역암, 셰일, 이암 등이 섞여 있으며, 상부로 갈수록 붉은색 셰일과 이암이 많아진다.
도계동 지질도폭(1963) 지역인 영양군 수비면 발리리 산 82-9 ()에는 100 m에 걸쳐 동화치층의 사암, 이암, 역암 등으로 구성된 높이 7~15 m의 노두가 드러나 있다. 이 노두에는 층리가 거의 수직으로 경동되어 발달하며 주변에는 단층들도 관찰된다. 이러한 지층의 경동은 북쪽의 일월산 스러스트 단층과 연관된 것으로 해석된다. 퇴적암 내의 사층리와 점이층리 그리고 침식면, 구하도 등의 퇴적 구조로 지층의 상하 판별이 가능하다.[1]
영양 지질도폭(1970)에 의하면 경상계 지층의 기저를 이루며 상위의 가송동층에 의해 정합적으로 덮인다. 본 층의 하안에서는 기저 역암층이 미약하게나마 발달되기도 하는데 도폭 남동부 영양군 석보면 요원리 지역에서는 역암층이 나타나지 않으며 남서부 청송군 진보면 합강리 부근에서는 두께 0.3~2 m의 역암층이 발달되는 곳이 나타난다. 이 역암층은 기저 역암층인 울련산층에 대비될 것으로 보이며, 역(礫)을 구성하는 암석은 주로 운모화강암이고 편마암, 운모편암 및 처트 등으로 이루어진다. 본 층은 사암이 우세한 하부와 이암의 발달이 비교적 우세한 상부로 구분될 수 있는 경향이 다소 엿보이는데 이들 상·하부의 경계는 뚜렷하지 못하여 점이적인 변화를 보인다.
영양도폭 지역인 청송군 진보면 추현리를 지나는 국도 제34호선 도로변( 일대)에는 동화치층 적색 이암의 노두가 약 200 m에 걸쳐 대규모로 드러나 있다.



3. 3. [[영덕군]]
영덕군 지역의 동화치층은 주로 장석질사암, 역암, 역질 사암, 적색 미사암 및 함처트 역암으로 구성된다. 상부 층준의 역질 사암 및 사암 교호층에는 분출암상의 현무암이 층리와 평행하게 수 m 두께로 협재한다.[8]
참조
[1]
웹인용
5만 지질도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2]
웹인용
中平洞 地質圖幅說明書 (중평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
[3]
웹인용
예안 지질도폭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
[4]
서적
경북권 지질유산 발굴 및 가치평가
대한지질학회
2017-11
[5]
웹인용
道溪洞 地質圖幅說明書 (도계동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
[6]
웹인용
平海 地質圖幅說明書 (평해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63
[7]
웹인용
英陽 地質圖幅說明書 (영양 지질도폭설명서)
https://data.kigam.r[...]
한국지질자원연구원
1970
[8]
웹인용
경북 영덕군 동부 일원의 지질과 U-Pb 연령 (Geology and U-Pb Age in the Eastern Part of Yeongdeok-gun, Gyeongsangbuk-do, Korea)
https://www.dbpia.co[...]
한국암석학회
2018-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