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인 지구지휘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둥인 지구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 부대로, 1951년 중국 대륙 연안 지역의 유격대 조직에서 시작되어 여러 차례 개편을 거쳤다. 1955년 반공구국군 제1총대, 제2총대로 개편된 후 1960년 육군 반공구국군으로 통합되었으며, 1998년 육군 보병 제195여단을 거쳐 2006년 현재의 둥인 지구지휘부로 개편되었다. 지휘부는 소장 1명을 포함한 지휘부와, 본부중대, 포병중대, 방공중대, 전투공병중대, 지원중대 등의 직속 부대, 그리고 보병대대로 구성되어 있다. 1955년부터 현재까지 육군총사령부의 지휘를 받으며, 1955년부터 1960년까지 해군총사령부가 작전지휘권을 행사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롄장현 - 롄장현 (중화민국)
중화민국 푸젠성에 속한 롄장현은 타이완 해협 북쪽 마쭈 열도를 관할하며 푸젠성 민강 하구의 섬들로 이루어져 있고, 양안 대립 시 최전선 역할을 하였으며, 현재는 지방 자치가 부활하여 관광업과 수산업이 주요 산업이고 민둥어를 사용하며 마쭈 고량주가 특산물이다. - 롄장현 - 천주교 진먼-마쭈 교황직할서리구
천주교 진먼-마쭈 교황직할서리구는 중화민국 푸젠성 진먼현과 롄장현(마쭈)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직할 서리구로, 1968년 설립되었으며 타이베이 대교구 대주교가 관리자를 겸임하고 2021년 말 기준 신자 수는 610명이다. - 중화민국 육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의 사령부 및 지휘부 - 중국 육군총사령부
중국 육군총사령부는 중일 전쟁 시기인 1944년 12월 윈난성 쿤밍에 설립된 군 사령부로, 허잉친이 초대 육군총사령관을 맡아 여러 지역의 군대를 통제하고 일본 항복 후 종전 업무를 수행했으나, 국공 내전 패배로 부정적인 평가도 있다. - 중화민국 육군 - 마쭈 방위지휘부
마쭈 방위지휘부는 위키백과 등재 기준을 충족할 만큼 충분한 정보가 제공되지 않아 상세 내용 작성이 현재 불가능합니다. - 중화민국 육군 - 제8군단지휘부
제8군단지휘부는 중화민국 육군의 군단급 부대로, 1979년 육군 제8군단사령부로 개편되어 가오슝시, 타이난시, 핑둥현 일대의 방어를 담당한다.
둥인 지구지휘부 | |
---|---|
기본 정보 | |
이름 | 육군 둥인 지구지휘부 |
약칭 | 둥지부 |
![]() | |
활동 기간 | 1960년 9월 9일 ~ 현재 |
종류 | 지역지휘부 |
역할 | 둥인향 수비 |
규모 | 여단 |
명령 체계 | 국방부 육군사령부 |
본부 | 푸젠성 롄장현 둥인향 |
별칭 | |
기념일 | 9월 9일, 반공구국군 지휘부 창설 |
2. 역사
1951년, 장쑤성()-저장성()(江浙) 및 푸젠성()-광둥성()(閩粵) 지역 유격대, 푸젠성 진먼현의 ''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 저장성 다천섬의 ''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가 설립되었다.[1] 1953년 7월, 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는 ''다천 방위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55년 2월 9일, 이장산 전투 패배로 다천 군도 통제권을 상실, 킹콩작전()에 따라 다천 방위사령부와 주민들이 타이완으로 철수했다. 3월 23일, 다천 방위사령부는 펑후현 위엉섬에서 부대를 정비하고 훈련했다. 4월 16일, 다천 방위사령부는 ''반공구국군 제1총대''로, 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사령부는 ''반공구국군 제2총대''로 개편되었다. 5월 1일, 반공구국군 제1총대는 육군총사령부 직속부대가 되었고, 타이베이시 원산에 반공구국군 지휘부가 설치되었으며, 적후공작처 및 소속 종대는 국방부 정보국으로 이관되었다.
1955년 11월 1일, 반공구국군 제1총대는 우추, 둥취안을 인수했다. 12월 1일, 둥인 수비구가 성립, 총대장이 지휘관을 겸임하고 작전지휘권은 해군총사령부로 이관되었다. 1960년 9월 9일, 반공구국군 제1, 2총대가 ''육군 반공구국군''으로 통합, 작전지휘권이 육군총사령부로 복귀했다.[2] 둥인에 육군 반공구국군 지휘부가 설립되었다.
1998년 10월 1일, 육군 반공구국군은 ''육군 보병 제195여단''으로 개편되었다.[3] 2006년 11월 1일, ''육군 둥인 지구지휘부''로 개편되었다.[3]
2. 1. 설립 배경 (1951년 ~ 1955년)
1951년, 국공 내전에서 패배한 중화민국 정부는 타이완으로 철수하면서, 중국 대륙 연안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기 위해 장쑤성()-저장성()(江浙) 및 푸젠성()-광둥성()(閩粵) 지역에 유격대를 조직하였다. 푸젠성 진먼현에는 "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가, 저장성 다천섬에는 "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가 설립되었다.[1]1953년 7월, 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는 "다천 방위사령부"로 개편되었다.
1955년, 이장산 전투 패배 이후 킹콩작전()을 통해 다천섬 주민들과 함께 다천 방위사령부가 타이완으로 철수하였다.
1955년 4월 16일, 다천 방위사령부는 "반공구국군 제1총대"로, 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사령부는 "반공구국군 제2총대"로 개편되었다.[1]
2. 2. 반공구국군 시대 (1955년 ~ 1998년)
- 1955년 11월 1일, 반공구국군 제1총대는 펑후현에서 정비 및 훈련을 마치고 우추, 둥취안 지역을 인수받았다.
- 1955년 12월 1일, 둥인 수비구가 성립되었고, 총대장이 지휘관을 겸임하였다. 초기에는 작전지휘권이 해군총사령부에 있었다.[2]
- 1960년 9월 9일, 반공구국군 제1, 2총대가 "육군 반공구국군"으로 통합되었고, 작전지휘권이 육군총사령부로 이관되었다.[2]
2. 3. 둥인 지구 지휘부 시대 (1998년 ~ 현재)
1998년 10월 1일, 국방부조직법 정실안에 따라 육군 반공구국군에서 ''육군 보병 제195여단''으로 개편되었다.[1] 2006년 11월 1일, 국방부조직법 정진안 제2단계에 따라 ''육군 둥인 지구지휘부''로 개편되었다.[3]3. 부대 구성
둥인 지구지휘부는 본부중대, 포병중대(중대 본부소대, 포병소대 2개), 방공중대, 전투공병중대, 2014년 7월에 편성된 지원중대(보급소대, 보수소대, 위생소대)로 구성된 직속 부대와 보병대대(대대 본부중대, 보병중대 2개, CM-21 장갑차 기계화보병중대)로 구성된 예속 부대를 갖추고 있다.[1]
3. 1. 지휘부
직책 | 계급 | 인원 |
---|---|---|
지휘관 | 소장 | 1명 |
부지휘관 | 상교 | 1명 |
참모주임 | 상교 | 1명 |
부참모주임 | 중교 | 1명 |
정치작전주임 | 상교 | 1명 |
사관독도장 | 사관장 | 1명 |
3. 2. 직속 부대
- 본부중대
- 포병중대 (중대 본부소대 + 포병소대 2개)
- 방공중대
- 전투공병중대
- 지원중대 (보급소대, 보수소대, 위생소대) - 2014년 7월 편성.
3. 3. 예속 부대
4. 역대 지휘 계통
기간 | 지휘 계통 |
---|---|
1955년 5월 1일 ~ 1955년 12월 1일 | 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부 |
1955년 12월 1일 ~ 1960년 9월 9일 | 중화민국 해군총사령부 (작전지휘권) |
1960년 9월 9일 ~ 현재 | 중화민국 육군총사령부 |
5. 명칭 변천
- 1951년, 장쑤성-저장성과 푸젠성-광둥성 지구의 유격대, 푸젠성 진먼현 소재의 '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 저장성 다천섬 소재의 '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가 설립되었다.[1]
- 1953년 7월, 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를 '다천 방위사령부'로 개편하였다.
- 1955년 4월 16일, 다천 방위사령부가 정식 번호를 부여받고 '반공구국군 제1총대'로 개편되었다.
- 1955년 5월 1일, 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사령부를 '반공구국군 제2총대'로 개편하였다.
- 1960년 9월 9일, 반공구국군 제1총대, 제2총대가 '육군 반공구국군'으로 병합되고, 둥인에 육군 반공구국군 지휘부를 설립하였다.[2]
- 1998년 10월 1일, 육군 반공구국군에서 '육군 보병 제195여단'으로 개편되었다.
- 2006년 11월 1일, '육군 둥인 지구지휘부'로 개편되었다.[3]
시기 | 명칭 |
---|---|
1951년 | 福建省反共救國軍總指揮部|푸젠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중국어 |
1955년 5월 1일 | 反共救國軍第二總隊|반공구국군 제2총대중국어 |
1951년 | 浙江省反共救國軍總指揮部|저장성 반공구국군 총지휘부중국어 |
1953년 7월 | 大陳防衛司令部|다천 방위사령부중국어 |
1955년 4월 16일 | 反共救國軍第一總隊|반공구국군 제1총대중국어 |
1960년 9월 9일 | 陸軍反共救國軍指揮部|육군 반공구국군 지휘부중국어 |
1998년 10월 1일 | 陸軍步兵第一九五旅|육군 보병 제195여단중국어 |
2006년 11월 1일 | 陸軍東引地區指揮部|육군 둥인 지구지휘부중국어 |
참조
[1]
웹인용
軍團特色 - 東引地區指揮部
http://goarmy.mnd.go[...]
陸軍司令部
2014-05-12
[2]
웹인용
東指部隊慶暨懇親活動熱鬧登場
https://www.matsu-ne[...]
馬祖日報
2014-12-28
[3]
웹인용
陸軍東引地區指揮部
http://army.mnd.gov.[...]
中華民國陸軍司令部
2014-07-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