롄장현 (중화민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롄장현은 타이완 해협 북쪽, 중국 대륙 연안에 위치한 마쭈 열도를 관할하는 중화민국의 현이다. 36개의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 큰 섬인 난간섬은 중화인민공화국 푸저우에서 가깝다. 롄장현은 역사적으로 국공 내전의 최전선이었으며, 1992년 계엄령 해제 이후 지방 자치가 부활했다. 현재 4개의 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난간향에 현 정부가 위치한다. 해운 및 항공 교통이 발달했으며, 민둥어를 사용한다. 대한민국과의 관계는 경제, 문화, 정치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젠성 (중화민국) - 진먼현
진먼현은 타이완 해협에 위치한 중화민국의 현으로, 중국 본토와 인접한 여러 섬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과거 격전지였으나 현재는 중국과의 교류가 활발하고 특산품으로 식칼과 고량주가 유명하며, 3개의 진과 3개의 향으로 나뉜다. - 롄장현 - 둥인 지구지휘부
둥인 지구지휘부는 위키백과 페이지 제목이나 현재 내용이 없어 해당 지휘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으며, 페이지 작성을 위해서는 각 섹션별 요약 및 원본 소스가 필요합니다. - 롄장현 - 천주교 진먼-마쭈 교황직할서리구
천주교 진먼-마쭈 교황직할서리구는 중화민국 푸젠성 진먼현과 롄장현(마쭈)을 관할하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교황 직할 서리구로, 1968년 설립되었으며 타이베이 대교구 대주교가 관리자를 겸임하고 2021년 말 기준 신자 수는 610명이다. - 대만의 현 - 화롄현
화롄현은 대만 동부 중앙에 위치하여 타이완 중앙산맥과 태평양 사이에 자리 잡고 있는 현으로, 웅장한 절경의 청수단애와 다양한 문화, 국립 동화 대학교, 타로코 국가공원 등의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타로코 익스프레스 열차 탈선 사고를 겪었고 시멘트 산업이 지역 경제에 영향을 미친다. - 대만의 현 - 타이둥현
타이둥현은 대만 동남부에 위치하며 태평양과 중앙산맥에 접해 있고, 타이완 원주민 인구 비율이 가장 높으며, 석가두, 이상미, 나비란, 복록차 등의 특산물이 있다.
| 롄장현 (중화민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개요 | |
![]() | |
| 다른 이름 | 마쭈 |
![]() | |
| 기본 정보 | |
| 현 | 롄장 현 |
| 한자 | 連江縣 |
| 로마자 병음 | Liánjiāng |
| 민난어 | Liân-kang |
| 웨이드-자일스 | Lien²-chiang¹ |
| 주음 부호 | ㄌㄧㄢˊ ㄐㄧㄤ |
| 일본어 (가타카나) | リエンジアン |
| 객가어 | Lièn-kông |
| 민둥어 | Lièng-gǒng |
| 분류 | 현 |
![]() | |
![]() | |
| 소속 성 | 푸젠 성 |
| 하위 행정 구역 | 4 향 |
| 현장 | 왕중밍 |
| 주소 | 난간향 졔서우촌 76호 |
| 우편 번호 | 209~212 |
| 전화 번호 | 0836 |
| 현 나무 | (정보 없음) |
| 현 꽃 | 히간바나 (彼岸花, 상사화) |
| 현 새 | 검은부리제비갈매기 |
| 면적 | 28.8000 |
| 인구 | 13,089 |
| 가구 수 | 3,187 |
| 인구 조사 년도 | 2019년 10월 |
| 공식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타이완 해협 북부, 중화인민공화국 푸젠성 민강 하구에 위치한 군도이다. 마쭈 열도는 난간섬(마쭈섬이라고도 함), 베이간섬, 둥인섬, 시쥐섬, 가오덩섬, 량다오 등 36개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남북 길이는 54km, 총면적은 29km2이다.
가장 큰 섬인 난간섬은 면적이 10.64km2이며, 푸저우에서 불과 16해리 떨어져 있어, 과거 양안 대립 시기에는 진먼현과 함께 최전선이었다.
2. 1. 기후
롄장현은 아열대 몬순 기후에 속하며, 연평균 기온은 18.6°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약 1040mm이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 평균 최고 기온 (1°C) | 14.0 | 15.2 | 16.8 | 21.2 | 24.4 | 28.0 | 32.0 | 32.2 | 29.8 | 26.0 | 21.2 | 15.6 |
| 평균 최저 기온 (1°C) | 5.2 | 6.4 | 7.6 | 11.6 | 17.2 | 20.8 | 24.8 | 24.4 | 22.0 | 19.6 | 14.0 | 9.2 |
| 평균 강수량 (1mm) | 40.0 | 53.6 | 92.0 | 81.6 | 94.4 | 170.4 | 162.6 | 131.4 | 148.6 | 57.4 | 29.6 | 20.8 |
마쭈섬의 옛 이름은 남간당(南竿塘)이다. 송나라 때 마조 신앙과 관련된 지명 유래에 따라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1] 송나라 시대 전승에 따르면 싱화군(興化軍) 푸톈현(莆田縣) 메이저우다오(湄洲島)에 린위안(林愿)이라는 도순(都巡)이 살았는데, 그의 여섯째 딸 모냥(黙娘)은 효성이 지극하여 매일 밤 해안에서 불을 피워 어선이 조난되는 것을 막아 섬 주민들의 칭송을 받았다. 그러던 어느 날 아버지가 조난당하자 모냥은 바다로 나가 아버지를 찾았고, 결국 유해가 난간도(南竿島)에 떠내려 왔지만, 현지 사람들은 그 효심을 기려 사당을 세워 "마조(媽祖)"라고 칭하게 되었고, 후에 이것이 "마쭈(馬祖)"로 바뀌어 섬의 이름이 되었다고 전해진다.[2]
3. 역사
무인도였던 마쭈는 원나라 때인 1277년부터 1367년까지 푸젠·저장 연해의 어민들이 천혜의 양항(良港)인 것을 알게 되었고, 악천후 시 피난뿐만 아니라 식수 공급도 가능해서 어민들의 피난항으로 이용되었다.[1] 명나라 때에는 어민들이 정착해 촌락을 형성하게 되었다.[1]
중화민국 수립 이후, 정부는 난간(南竿), 베이간(北竿), 둥취안(東犬), 시취안(西犬) 각 섬에 감창을 설치하고 어업 진흥 정책을 폈다.[2] 1934년에는 난간에 롄바오변사처(聯保弁事處)를 설치하고, 보갑 제도를 정비했다.[2] 중일 전쟁 중인 1937년에는 일본군에 의해 점령되었지만, 1945년에 푸젠해상보안총대 및 군대가 시취안에 주둔하여 치안 유지를 담당했다.[2]
3. 1. 국공내전과 마쭈
1949년, 국공 내전 중 중화민국군이 마쭈열도의 각 섬에 진주하면서 '마쭈 군 관할구역 행정공서'가 설치되었다.[1] 1950년에는 푸젠성 '민둥베이 행서'로 개칭되었고,[1] 1953년에는 난간(南竿)에 롄장현, 시취안(西犬)에 창러현(長樂縣)이 설치되었으며, 이듬해에는 둥인(東引)에 뤄위안현(羅源縣)이 설치되었다.[1]
1955년, 민둥베이 행서는 '푸젠성 제1구 행정 독찰 전원공서'로 개편되어 롄장, 창러, 뤄위안의 각 현정을 통괄했다.[1] 1956년 7월, 중화민국 푸젠성 정부는 국방부의 요청을 받아들여 전원공서를 폐지하고 마쭈 수비구(현재의 마쭈 방위사령부)에 현정을 넘겼으며, 창러현과 뤄위안현 등 마쭈열도 전역이 롄장현에 편입되었다.[1] 이로써 마쭈는 진먼과 함께 양안 대립의 최전선에 놓이게 되었다.[2]
1971년에는 시취안섬은 시쥐섬으로, 둥취안섬은 둥쥐섬으로 각각 개칭되었다.[1] 1992년 11월 7일, 마쭈의 계엄령이 해제되면서 지방 자치가 부활하였다.[1]
3. 2. 민주화 이후
1992년 11월 7일, 마쭈의 계엄령이 해제되어 지방 자치가 부활하였다.[1]
4. 행정 구역
롄장현은 4개의 향을 관할한다.
| 구분 | 수 | 명칭 |
|---|---|---|
| 향 | 4 | 난간 향, 베이간 향, 쥐광 향, 둥인 향 |
| 색상 | 명칭 | 면적 (km²) | 관할 촌린 수 | 인구 | 인구 밀도 (명/km²) | 우편 번호 | |
|---|---|---|---|---|---|---|---|
| 난간 향 | 10.4km2 | 9촌 | 76린 | 7,397 | 711 | 209 | |
| 베이간 향 | 9.9km2 | 6촌 | 27린 | 2,327 | 235 | 210 | |
| 쥐광 향 | 4.7km2 | 5촌 | 21린 | 1,538 | 327 | 211 | |
| 둥인 향 | 3.8km2 | 2촌 | 13린 | 1,271 | 334 | 212 | |
| 롄장 현 | 28.8km2 | 22촌 | 137린 | 12,533 | 435 | ||
5. 교통
해로는 타이마 룬(정원 550명)과 허푸 룬(군용선, 민간용 50석)이 난간섬 푸아오항 및 둥인섬 중주항에서 타이완섬의 지룽항을 오가며 운행되고 있다. 마쭈 열도의 섬들 사이는 샤오바이촨이라고 불리는 소형 선박으로 연결된다.[1]
항공로는 난간 공항에서 타이베이, 타이중을, 베이간 공항에서 타이베이를 오가는 항공편이 운항 중이다.[1]
소삼통의 일환으로, 난간도 푸아오항과 중화인민공화국의 푸저우 마웨이항 간, 그리고 베이간도 바이사항과 황치항 간에 양안 항로가 개설되어 있다.[1]
6. 언어
타이완섬 등 중화민국의 실효적 지배 지역 대부분에서 민난어를 토박이말로 쓰는데 비해, 이곳에서는 민둥어(푸저우 말)를 쓴다.[1]
7. 정치
1993년부터 현장 민선이 실시되었다. 역대 롄장현장은 다음과 같다.
| 대 | 이름 | 정당 | 임기 |
|---|---|---|---|
| 1 | 차오창순 | 중국 국민당 | 1993년 12월 20일 - 1997년 12월 20일 |
| 2 | 류리췬 | 중국 국민당 | 1997년 12월 20일 - 2001년 12월 20일 |
| 3 | 천쉐성 | 친민당 | 2001년 12월 20일 - 2005년 12월 20일 |
| 4 | 천쉐성 | 친민당→중국 국민당 | 2005년 12월 20일 - 2009년 12월 20일 |
| 5 | 양수이성 | 중국 국민당 | 2009년 12월 20일 - 2014년 12월 25일 |
| 6 | 류쩡잉 | 중국 국민당 | 2014년 12월 25일 - 2018년 12월 25일 |
| 7 | 류쩡잉 | 중국 국민당 | 2018년 12월 25일[2] - 2022년 12월 25일 |
| 8 | 왕중밍 | 중국 국민당 | 2022년 12월 25일[3] - (현임) |
8. 대외 관계
9. 교육
국립 대만 해양 대학교 마쭈 캠퍼스가 있다.
고등학교는 국립 마쭈 고급중학교가 있다.
중학교와 초등학교는 다음과 같다.
| 중학교 | 초등학교 |
|---|---|
참조
[1]
웹사이트
中華民國 內政部戶政司 全球資訊網
https://www.ris.gov.[...]
2018-05-01
[2]
웹사이트
連江縣長劉增應宣誓 未來4年將持續精進
https://www.chinatim[...]
2019-11-16
[3]
웹사이트
福建省連江縣第八屆縣長選舉公報
https://bulletin.cec[...]
2022-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