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듀공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듀공과는 바다소목에 속하는 해양 포유류 과로, 현존하는 듀공 1종과 다양한 멸종된 종들을 포함한다. 듀공과는 듀공아과, 메탁시테리움아과, 스텔러바다소아과, 그리고 과거에 Halitheriinae에 속했던 종들을 포함하며, 화석 기록을 통해 다양한 멸종 속들이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듀공과는 아프리카상목의 테티스수생류에 속하며, 스텔러바다소는 멸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듀공과 - 스텔러바다소
    스텔러바다소는 게오르크 빌헬름 슈텔러에 의해 1741년 발견된 몸길이 8~9m의 멸종된 해우류로, 남획으로 인해 발견 후 27년 만에 멸종되었으며, 현존하는 듀공과 가장 가까운 종으로 멸종 복원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투아타라
    투아타라는 뉴질랜드 고유종 파충류이자 린코케팔리아목의 유일한 현존종으로, 오랜 진화 역사를 지니고 완전한 아래 측두궁 두개골, 첨생치, 두정안 등의 특징을 가지며 멸종 위기에 처해 뉴질랜드 정부의 보호를 받는다.
  • 존 에드워드 그레이가 명명한 분류군 - 코뿔소
    코뿔소는 아프리카와 아시아에 서식하며 1~2개의 뿔과 두꺼운 피부를 가진 대형 초식성 포유류이지만, 밀렵으로 인해 5종 모두 멸종 위기에 처해 있다.
듀공과 - [생물]에 관한 문서
분류
학명Dugongidae
명명자Gray, 1821
화석 범위후기 에오세 - 홀로세
하위 분류
듀공
†히드로다말리스
본문 참조

2. 하위 분류

듀공과는 크게 3개의 아과로 분류된다.


  • 듀공아과(Dugonginae)
  • 메탁시테리움아과(Metaxytheriinae)
  • 스텔러바다소아과(Hydrodamalinae)


과거 할리테리움아과(Halitheriinae)가 듀공과에 속했으나, 최근의 분지학적 분석에 따르면 할리테리움아과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아래 속들은 어느 아과에 속하는지 불분명(incertae sedis)하거나, 듀공과 내에서 기저 분류군에 속한다.

  • 멸종된 †''Anisosiren''속
  • 멸종된 †''Caribosiren''속
  • 멸종된 †''Indosiren''속
  • 멸종된 †''Lentiarenium''속
  • 멸종된 †''Kaupitherium''속[10]
  • 멸종된 †''Paralitherium''속
  • 멸종된 †''Priscosiren''속[11]
  • 멸종된 †''Prohalicore''속
  • 멸종된 †''Sirenavus''속
  • 멸종된 †''Miodugong''속
  • 멸종된 †''Thalattosiren''속

2. 1. 듀공아과 (Dugonginae)


  • 멸종된 †''Bharatisiren''속
  • 멸종된 †''Callistosiren''속[12]
  • 멸종된 †''Crenatosiren''속
  • 멸종된 †''Corystosiren''속
  • 멸종된 †''Culebratherium''속
  • 멸종된 †''Dioplotherium''속
  • 멸종된 †''Domningia''속
  • 듀공속(Dugong)
  • 듀공 ''(Dugong dugon)''
  • 멸종된 †''Italosiren''속[13]
  • 멸종된 †''Kutchisiren''속
  • 멸종된 †''Nanosiren''속
  • 멸종된 †''Norosiren''속
  • 멸종된 †''Rytiodus''속
  • 멸종된 †''Xenosiren''속

2. 2. 할리테리움아과 (Halitheriinae)

할리테리움아과(Halitheriinae영어)는 과거 듀공과에 속했던 아과(Subfamily)이다.

최근의 분지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전에 할리테리움아과(Halitheriinae영어)에 속했던 ''Eosiren'', ''Eotheroides'', ''Prototherium'' 속은 매너티과(Trichechidae)와 듀공과에 의해 형성된 분기군(Clade)의 기저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0] 또한, 할리테리움아과(Halitheriinae영어)는 듀공아과(Dugonginae) 및 스텔러바다소아과(Hydrodamalinae)에 대해 측계통군이며, 이 아과의 기준 속(Type species)이 비진단적 치아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할리테리움아과(Halitheriinae영어)라는 이름은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다.

  • '''할리테리움속''' (†''Halitherium'') (의문명, ''nomen dubium'')

2. 3. 메탁시테리움아과 (Metaxytheriinae)


  • † ''메탁시테리움속(Metaxytherium)''

2. 4. 스텔러바다소아과 (Hydrodamalinae)

Hydrodamalinae영어는 멸종된 해양 포유류의 아과이다.

고바다소속 †
스텔러바다소속 †


2. 5. 기타 듀공과 (incertae sedis)


  • 멸종된 ''Anisosiren''
  • 멸종된 ''Indosiren''
  • 멸종된 ''Miodugong''
  • 멸종된 ''Paralitherium''
  • 멸종된 ''Prohalicore''
  • 멸종된 ''Sirenavus''
  • 멸종된 ''Bharatisiren''
  • 멸종된 ''Corystosiren''
  • 멸종된 ''Crenatosiren''
  • 멸종된 ''Dioplotherium''
  • 듀공속 (''Dugong'')
  • 멸종된 ''Nanosiren''
  • 멸종된 ''Rytiodus''
  • 멸종된 ''Xenosiren''
  • 멸종된 ''Caribosiren''
  • 멸종된 ''Eosiren''
  • 멸종된 ''Eotheroides''
  • 멸종된 ''Halitherium''
  • 멸종된 ''Metaxytherium''
  • 멸종된 ''Prototherium''
  • 멸종된 ''Thalattosiren''
  • 멸종된 ''Dusisiren''
  • 멸종된 스텔러바다소속 (''Hydrodamalis'')

3. 계통 분류

다음은 아프로테리아상목의 계통 분류이다.[16][17]

참조

[1] 문서 MSW3 Shoshani
[2] 간행물 Physiological Response of Wild Dugongs (Dugong dugon) to Out-of-Water Sampling for Health Assessment.
[3] 논문 Evidence for two sympatric sirenian species (Mammalia, Tethytheria) in the early Oligocene of Central Europe
[4] 저널 Fossil Sirenia of the West Atlantic and Caribbean region. X. ''Priscosiren atlantica'', sp. nov
[5] 저널 Fossil Sirenia of the West Atlantic and Caribbean region. XI. ''Callistosiren boriquensis'', gen. et sp. nov
[6] 논문 Morphological and systematic re-assessment of the late Oligocene "Halitherium" bellunense reveals a new crown group genus of Sirenia
[7] 서적 A new species of hydrodamaline Sirenia from Hokkaido, Japan Takikawa Museum of Art and Natural History
[8] 저널 On the invalidity of ''Halitherium schinzii'' Kaup, 1838 (Mammalia, Sirenia), with comments on systematic consequences
[9] 문서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0] 논문 Evidence for two sympatric sirenian species (Mammalia, Tethytheria) in the early Oligocene of Central Europe
[11] 저널 Fossil Sirenia of the West Atlantic and Caribbean region. X. ''Priscosiren atlantica'', sp. nov
[12] 저널 Fossil Sirenia of the West Atlantic and Caribbean region. XI. ''Callistosiren boriquensis'', gen. et sp. nov
[13] 논문 Morphological and systematic re-assessment of the late Oligocene "Halitherium" bellunense reveals a new crown group genus of Sirenia
[14] 서적 A new species of hydrodamaline Sirenia from Hokkaido, Japan Takikawa Museum of Art and Natural History
[15] 서적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http://www.{{#if: {[...]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16] 저널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http://mbe.oxfordjou[...]
[17] 저널 New material of ''Palaeoamasia kansui'' (Embrithopoda, Mammalia) from the Eocene of Turke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Embrithopoda at the species leve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