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드렁새속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드렁새속은 벼과에 속하는 식물 속으로, 대한민국에는 갯드렁새와 드렁새 두 종이 자생한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14종을 인정하며, 과거에는 더 많은 종이 드렁새속에 포함되었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
    나도바랭이는 전 세계 온대, 아열대, 열대 기후 지역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10-30cm 높이로 자라며 2-8cm 길이의 잎과 9-10월에 흑색 열매를 맺는 원추화서를 가지며 습하고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 우산잔디족 - 나도바랭이속
    나도바랭이속은 53종이 인정되는 식물 속이며, 과거에는 나도바랭이속으로 분류되었던 일부 종들이 현재 다른 속으로 분류되기도 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옻나무
    옻나무는 아시아 지역에 자생하는 관목으로, 옻칠의 원료로 사용되며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우루시올 성분을 함유하고 있지만 어린 새순은 식용으로, 열매는 왁스 추출 및 약재로 이용된다.
  • 1812년 기재된 식물 - 애기나리속
    애기나리속은 줄기 잎이 어긋나게 달리고 검은색 장과를 맺는 여러해살이풀로, 히말라야, 인도,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콜키쿰과에 속하고 한국에는 애기나리, 윤판나물 등이 자생한다.
  • 식물의 속 - 너도밤나무속
    너도밤나무속은 북반구 온대 지역에 분포하는 참나무과 교목으로, 두 아속으로 나뉘며 각 아속은 형태, 유전형, 분포에서 차이를 보이고, 목재, 식량, 관상용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며, 질병과 해충의 위협을 받고 있다.
  • 식물의 속 - 라이밀
    라이밀은 밀과 호밀을 교배하여 만든 곡물이며, 육종을 통해 수확량, 영양 품질, 도복 저항성 등을 개량하고 글루텐을 함유하고 있다.
드렁새속 - [생물]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드렁새속
학명Leptochloa
학명 명명P.Beauv.
모식종L. virgata (L.) P.Beauv.
하위 정보
하위 종본문 참조
동의어 목록
발도미리아Herter
클로롭시스Kuntze
디아크로아Nutt.
디아키스페르마Kuntze, nom. superfl.
렙토클로리스Munro ex Kuntze, not validly publ.
렙토스타키스G.Mey., nom. superfl.
옥시데니아Nutt.
랍도클로아P.Beauv.
트리클로리스E.Fourn. ex Benth.

2. 하위 종

드렁새속(''Leptochloa'')의 분류는 시간에 따라 변화해 왔다. 과거에는 많은 종이 이 속에 포함되었으나, 분자 계통학 연구 등을 통해 재분류가 이루어졌다.

특히 한국에서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갯드렁새(과거 ''L. fusca'')와 드렁새(과거 ''L. chinensis'')는 현재 각각 ''Diplachne''와 ''Dinebra'' 속으로 재분류되었다.

2024년 10월 기준으로 국제적인 식물 데이터베이스인 Plants of the World Online은 14종을 드렁새속으로 공식 인정하고 있다.[9]

또한, 과거에 드렁새속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참새피속(Acrachne), 김의털속(Festuca), 왕김의털속(Chloris), Diplachne, Dinebra 등 다른 속으로 옮겨진 종들도 다수 존재한다.[10]

2. 1. 한국 자생종


  • 갯드렁새 ''L. fusca'' (L.) Kunth
  • 드렁새 ''L. chinensis'' (L.) Nees

2. 2. 기타 종

Plants of the World Online에 따르면 2024년 10월 기준으로 14종이 드렁새속(''Leptochloa'')으로 인정된다.[9]

학명 및 명명자분포 지역
드렁새털 (B.L.Rob.) P.M.Peterson
Leptochloa asthenes (Roem. & Schult.) C.E.Hubb.오스트레일리아
Leptochloa barbata (Desv.) Nicora파라과이, 아르헨티나
Leptochloa chloridiformis (Hack.) Parodi
Leptochloa crinita (Lag.) P.M.Peterson & N.Snow
Leptochloa digitata (R.Br.) Domin오스트레일리아
Leptochloa exilis (Renvoize) P.M.Peterson
Leptochloa longa Griseb.파나마, 트리니다드
Leptochloa malayana (C.E.Hubb.) Jansen ex Veldkamp태국, 보르네오, 말레이시아
Leptochloa monticola Chase히스파니올라
Leptochloa mucronata (Michx.) Kunth미국 남중부, 중앙 아메리카, 버뮤다, 트리니다드, 네덜란드령 안틸레스, 볼리비아, 에콰도르, 페루, 갈라파고스
Leptochloa pluriflora (E.Fourn.) P.M.Peterson & N.Snow
Leptochloa tectoneticola (Backer) Jansen ex Veldkamp캄보디아, 태국, 자바
Leptochloa virgata (L.) P.Beauv.열대 드렁새 – 사우스캐롤라이나부터 파라과이까지



과거에 드렁새속(''Leptochloa'')에 속했으나 현재는 다른 속으로 분류되는 종들도 있다.[10] 대표적으로 한국에서 자생하는 갯드렁새(''L. fusca'')는 현재 Diplachne fusca로, 드렁새(''L. chinensis'')는 Dinebra chinensis로 재분류되었다. 그 외 과거에 드렁새속으로 분류되었던 종들은 다음과 같다.

과거 학명 (Leptochloa)현재 학명
Leptochloa acuminataDiplachne fusca subsp. fascicularis
Leptochloa albemarlensisTrichoneura lindleyana
Leptochloa appletoniiCoelachyrum yemenicum
Leptochloa arabicaDinebra retroflexa
Leptochloa arenariaTrichoneura mollis
Leptochloa bipinnataDesmostachya bipinnata
Leptochloa brandegeeiEnteropogon brandegeei
Leptochloa burchelliiGymnopogon burchellii
Leptochloa calycinaDinebra retroflexa
Leptochloa chinensisDinebra chinensis
Leptochloa ciliataTrichoneura ciliata
Leptochloa contractaDiplachne fusca
Leptochloa coromandelinaDinebra retroflexa
Leptochloa cynosuroidesChloris filiformis
Leptochloa digitatiformisDisakisperma dubium
Leptochloa dubiaDisakisperma dubium
Leptochloa eleusineDisakisperma eleusine
Leptochloa falcataPogonarthria squarrosa
Leptochloa fascicularisDiplachne fusca subsp. fascicularis
Leptochloa fuscaDiplachne fusca
Leptochloa giganteaDiplachne gigantea
Leptochloa ginaeDiplachne fusca
Leptochloa gracilisTrigonochloa uniflora
Leptochloa grandiglumisTrichoneura grandiglumis
Leptochloa hirtaBouteloua disticha
Leptochloa hookeriTrichoneura lindleyana
Leptochloa imbricataDiplachne fusca subsp. uninervia
Leptochloa laurentiiTrigonochloa uniflora
Leptochloa lindleyanaTrichoneura lindleyana
Leptochloa loliiformisTripogon loliiformis
Leptochloa longiglumisTrichoneura mollis
Leptochloa malabaricaDiplachne fusca
Leptochloa maritimaDiplachne fusca subsp. fascicularis
Leptochloa marlothiiPogonarthria squarrosa
Leptochloa marquisensisDinebra marquisensis
Leptochloa mexicanaGouinia mexicana
Leptochloa mollisTrichoneura mollis
Leptochloa monostachyaEnteropogon monostachyos
Leptochloa muelleriDiplachne fusca subsp. muelleri
Leptochloa neuroglossaDiplachne fusca
Leptochloa obtusiflora Hochst.Disakisperma obtusiflorum
Leptochloa obtusiflora Steud.Disakisperma dubium
Leptochloa palmeriGouinia virgata
Leptochloa panicoides Wight ex Steud. not (J.Presl) Hitchc.Arundinella leptochloa
Leptochloa parvifloraDiplachne fusca
Leptochloa patensDisakisperma dubium
Leptochloa pectinataEleusine indica
Leptochloa phleoideaRostraria cristata
Leptochloa plectostachyaCynodon plectostachyus
Leptochloa plumosaLeptocarydion vulpiastrum
Leptochloa plurifloraTrichloris pluriflora
Leptochloa polygamaGouinia virgata
Leptochloa polystachyaDiplachne fusca subsp. fascicularis
Leptochloa pringleiDisakisperma dubium
Leptochloa racemosaAcrachne racemosa
Leptochloa rigidaEragrostis sessilispica
Leptochloa rupestrisTrigonochloa rupestris
Leptochloa schimperianaAcrachne racemosa
Leptochloa setaceaTripogon leptophyllus
Leptochloa spicataTripogon spicatus
Leptochloa tracyiDiplachne fusca subsp. fascicularis
Leptochloa unifloraTrigonochloa uniflora
Leptochloa uninerviaDiplachne fusca subsp. uninervia
Leptochloa verticillataAcrachne racemosa
Leptochloa virletiiDiplachne fusca subsp. uninervia
Leptochloa wightianaMyriostachya wightiana
Leptochloa xerophilaDinebra xerophila
Leptochloa yemensisDisakisperma obtusiflorum


참조

[1] 웹사이트 Genus: ''Leptochloa'' P. Beauv. http://www.ars-grin.[...]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1-02-27
[2] 문서 lectotype designated by Niles & Chase, Contr. U.S. Natl. 24(6): 180 (1925)
[3] 웹사이트 Tropicos, ''Leptochloa'' P. Beauv. http://www.tropicos.[...]
[4] 웹사이트 Palisot de Beauvois, Ambroise Marie François Joseph. 1812.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71 https://www.biodiver[...]
[5] 웹사이트 Palisot de Beauvois, Ambroise Marie François Joseph. 1812.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plate XV (15), figure I (1 a-d) https://www.biodiver[...]
[6] 웹사이트 Atlas of Living Australia, ''Leptochloa'' P.Beauv. Sprangletop http://bie.ala.org.a[...]
[7]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Grasses CRC Press
[8] 문서 Peterson, P. M., K. Romaschenko, N. W. Snow & G. Johnson. 2012. A molecular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Leptochloa'' (Poaceae: Chloridoideae: Chlorideae) sensu lato and related genera. Annals of Botany (Oxford), n.s. 109: 1317–1329
[9] 웹사이트 ''Leptochloa'' P.Beauv. 2024-11-19
[10] 웹사이트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http://apps.kew.org/[...]
[11] 웹사이트 Palisot de Beauvois, Ambroise Marie François Joseph (1812)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71 https://www.biodiver[...]
[12] 웹사이트 Palisot de Beauvois, Ambroise Marie François Joseph (1812) Essai d'une Nouvelle Agrostographie pl. 15, f. 1. https://www.biodiver[...]
[13] 서적 CRC World Dictionary of Grasses CRC Press
[14] 문서 Peterson, P. M., K. Romaschenko, N. W. Snow & G. Johnson. 2012. A molecular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Leptochloa'' (Poaceae: Chloridoideae: Chlorideae) sensu lato and related genera. Annals of Botany (Oxford), n.s. 109: 1317–13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