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디스코사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디스코사강은 아메바류에 속하는 생물 분류군으로, 분자 계통 분석에 의해 아메바류의 주요 계통 중 하나로 분류된다. 디스코사강은 하위 분류로 플라벨리나아강, 켄트라모에비아 아강 등을 포함하며, 이들은 다양한 목(order)과 과(family)로 세분된다. 분류 체계는 학자들에 따라 변천을 거듭해 왔으며, 현재는 Hyalodiscida, Stereomyxida, Stygamoebida, Centramoebia, Flabellinia 등으로 분류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가 명명한 분류군 - 코아노조아
    코아노조아는 칼라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깃편모충류와 동물을 포함하는 계통 분류군으로, 동물의 기원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동물 진화 연구에 중요한 연결고리를 제공한다.
  • 토머스 캐빌리어 스미스가 명명한 분류군 - 합티스타
    합티스타는 2015년 캐빌리어-스미스에 의해 명명된 생물 분류군으로, 엑스카바타 생물군 중 디스코바에 속하며, 하위 분류로 알베이다아문, 육질태양충아문, 착편모조아문 등이 있다.
  • 아메바류 - 마스티그아메바목
    마스티그아메바목은 민물에 서식하며 부패한 유기물이나 박테리아를 섭취하는 다양한 속과 과를 포함하는 아메바류 분류군으로, 편모를 가진 마스티그아메바속, 편모가 없는 마스티겔라속, 유기물을 섭취하는 Phreatamoeba 속, 그리고 사람에게 기생하는 엔돌리마스속과 알타미라속을 포함하는 왜소아메바과 등이 속한다.
  • 아메바류 - 점균류
    점균류는 세포벽이 없는 다핵 원형질체를 가진 생물 다계통군으로, 헛발을 이용해 이동하며 유기물, 세균, 원생동물 등을 섭취하고, 과거 식물이나 균류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아메보조아에 속하는 진정 점균류와 다계통적인 원생 점균류 및 세포성 점균류를 포함하는 원생생물로, 약 1000여 종이 습한 환경에 서식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디스코사강 - [생물]에 관한 문서
개요
학명Discosea
명명자Cavalier-Smith et al. 2004
분류
도메인진핵생물
아메바문
아문엽상근족충아문
디스코세아강
하위 분류하얄로디스키다 (?Hyalodiscida)
스테레오믹시다 (?Stereomyxida)
스티가모에비다 (?Stygamoebida)
센트라모에비아 (Centramoebia)
센트라모에비다 (Centramoebida)
히마티스메니다 (Himatismenida)
펠리티다 (Pellitida)
플라벨리니아 (Flabellinia)
닥틸로포디다 (Dactylopodida)
데르마모에비다 (Dermamoebida)
테카모에비다 (Thecamoebida)
바넬리다 (Vannellida)
참고
참고 문헌http://coo.fieldofscience.com/2009/09/discosea-keeping-low-profile.html

2. 하위 분류

분자 계통 분석에 따르면 아메바류의 주요 세 계통 중 하나이다.

2019년 Adl 등이 제시한 분류 체계에 따른 주요 하위 분류군은 다음과 같다.[9]


  • 플라벨리나아강 (Flabellinia) Smirnov ''et al.'' 2005[10]
  • 켄트라모에비아 (Centramoebia) Cavalier-Smith ''et al.'' 2016[13] (아강 상당의 클레이드)
  • 아강 불명
  • * 스티가아메바목 (Stygamoebida) Smirnov & Cavalier-Smith 2011[11]

2. 1. 플라벨리나아강 (Flabellinia)

2019년 분류 체계에 따른 하위 목은 다음과 같다.[9]

  • 테카아메바목 (Thecamoebida)[11]
  • 델모아메바목 (Dermamoebida)[8]
  • 닥틸로포디다목 (Dactylopodida)[10][12]
  • 반넬라목 (Vannellida)[10]

2. 2. 켄트라모에비아 (Centramoebia)

켄트라모에비아(Centramoebia)는 Cavalier-Smith 등이 2016년에 제안한 분류군이다.[13] 2019년 분류 체계에서는 아강(subclass)에 상당하는 클레이드로 간주된다.[9] 하위 분류는 다음과 같다.[9]

  • 아칸소포디다목 (Acanthopodida) Page 1976
  • 펠리타목 (Pellitida) Smirnov & Cavalier-Smith 2011[11] sensu Kang et al. 2017[12]
  • 히마티스메니다목 (Himatismenida) Page 1987

3. 계통 분류

다음은 디스코사강(Class Discosea Cavalier-Smith 2004 stat. nov. Adl 등 2018)의 하위 분류이다.[7]


  • 목 ?Hyalodiscida
  • 과 Hyalodiscidae (Page 1976 non Poche 1913)
  • 목 ?Stereomyxida (Grell 1971)
  • 과 Stereomyxidae (Grell 1966)
  • 목 ?Stygamoebida (Smirnov & Cavalier-Smith 2011)
  • 과 Stygamoebidae (Cavalier-Smith & Smirnov 2011)
  • 아강 Centramoebia (Cavalier-Smith 등 2016)
  • 목 Centramoebida (Rogerson & Patterson 2002 em. Cavalier-Smith 2004)
  • 과 Balamuthiidae (Cavalier-Smith 2004)
  • 과 Acanthamoebidae (Sawyer & Griffin 1975 em. Tice 등 2016)
  • 목 Himatismenida (Page 1987) [Cochliopodiida]
  • 과 Parvamoebidae (Cavalier-Smith & Smirnov 2011)
  • 과 Cochliopodiidae (Taranek 1882)
  • 목 Pellitida (Page 1987)
  • 과 Pellitidae (Smirnov & Kudryavtsev 2005)
  • 과 Goceviidae (Cavalier-Smith & Smirnov 2011)
  • 아강 Flabellinia (Smirnov & Cavalier-Smith 2011 em. Kudryavtsev 등 2014)
  • 목 Dactylopodida (Smirnov 등 2005)
  • 과 Paramoebidae (Poche 1913 em. Kudryavtsev, Pawlowski & Hausmann 2011)
  • 과 Vexilliferidae (Page 1987 em. Kudryavtsev, Pawlowski & Hausmann 2011)
  • 목 Dermamoebida (Cavalier-Smith 2004 em. Smirnov & Cavalier-Smith 2011)
  • 과 Dermamoebidae (Cavalier-Smith & Smirnov 2011) (설상 아메바)
  • 과 Mayorellidae (Schaeffer 1926 em. Smirnov 등 2011)
  • 목 Thecamoebida (Schaeffer 1926 em. Smirnov & Cavalier-Smith 2011)
  • 과 Stenamoebidae (Cavalier-Smith 2016)
  • 과 Thecamoebidae (Chatton 1925 em. Smirnov 등 2011) (줄무늬 & 주름 아메바)
  • 목 Vannellida (Smirnov 등 2005)
  • 과 Discamoebidae (Bovee & Jahn, 1967 ex Jahn, Bovee & Griffith 1974)
  • 과 Vannellidae (Bovee, 1970)

4. 분류 체계의 변천

디스코사강은 아메바류에 속하는 분류군으로, 분자 계통 분석 결과 아메바류의 주요 세 계통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15][16] 디스코사강의 하위 분류 체계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속적으로 개정되어 왔다.

아래 표는 주요 연구자들이 제안한 디스코사강 분류 체계의 변천 과정을 보여준다. 각 과()가 시대별 분류 체계에서 어떤 목()이나 아강(아강) 등에 속했는지 비교할 수 있다. Adl et al. (2019) 열에서 첫 번째 열은 아강 또는 그에 상당하는 분류군을, 두 번째 열은 목 수준 분류를 나타낸다.

디스코사강 분류 체계의 변천
Cavalier-Smith et al. (2004)[8]Smirnov et al. (2005)[10]Smirnov et al. (2011)[11]Cavalier-Smith et al. (2016)[13]Adl et al. (2019)[9]
아강아목아강 (상당)
ThecamoebidaeDermamoebidaincertae sedisLongamoebiaThecamoebidaThecamoebidaFlabelliniaThecamoebida
Stenamoebidae
DermamoebidaeDermamoebidaDermamoebidaDermamoebida
Mayorellidae
ParamoebidaeGlycostylidaDactylopodidaFlabelliniaDactylopodidaGlycostylidaDactylopodinaDactylopodida
Vexilliferidae
VannellidaeVannellidaVannellidaVannellinaVannellida
Stygamoebidaeincertae sedisStygamoebidaStygamoebinaStygamoebida
CochliopodiidaeHimatismenidaHimatismenidaHimatismenidaTectiferinaCentramoebiaHimatismenida
ParvamoebidaeParvamoebina
GoceviidaePellitinaPellitida
PellitidaePellitida
AcanthamoebidaeCentramoebidaAcanthopodidaLongamoebiaCentramoebidaCentramoebidaAcanthopodida
Balamuthiidae


참조

[1]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Amoebozoa and the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the unikont Phalansterium 2004-05-18
[2] 논문 Between a Pod and a Hard Test: The Deep Evolution of Amoebae 2017-09
[3]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naked lobose amoebae (Amoebozoa: lobosa) 2011-10-01
[4] 논문 The revised classification of eukaryotes 2012-09-01
[5]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lobose amoebae 2005-08-01
[6] 웹사이트 Catalogue of Organisms: Discosea: Keeping a Low Profile http://coo.fieldofsc[...] 2016-05-03
[7]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2018-09-26
[8]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the Amoebozoa and evolutionary significance of the unikont Phalansterium
[9] 논문 Revisions to th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and Diversity of Eukaryotes
[10] 논문 Molecular phylogeny and classification of the lobose amoebae
[11] 논문 A revised classification of naked lobose amoebae (Amoebozoa: Lobosa)
[12] 논문 Between a pod and a hard test: the deep evolution of amoebae
[13] 논문 187-gene phylogeny of protozoan phylum Amoebozoa reveals a new class (Cutosea) of deep-branching, ultrastructurally unique, enveloped marine Lobosa and clarifies amoeba evolution
[14] 논문 2004-05-18
[15] 논문 Between a Pod and a Hard Test: The Deep Evolution of Amoebae 2017-09
[16] 논문 First multigene analysis of Archamoebae (Amoebozoa: Conosa) robustly reveals its phylogeny and shows that Entamoebidae represents a deep lineage of the group 2016-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