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개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따개비는 바다에 사는 갑각류로, 바위나 배 밑 등에 붙어 생활하며 석회질 껍데기로 덮여 있다. 몸은 머리와 흉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플랑크톤을 먹고 산다. 암수한몸으로 다른 개체와 교미하며, 유생 단계를 거쳐 바위에 정착한다. 조간대에서 저조선까지 분포하며, 전 세계적으로 약 200종이 존재한다. 따개비과는 따개비목에 속하며, 다양한 현존 및 멸종 속을 포함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악강 - 새미류
새미류는 어류나 개구리류에 기생하여 체액을 섭취하는 작은 갑각류 외부 기생 생물로, 원반 모양의 몸과 흡반, 유영 부속지를 가지며 양어장에서 어류에게 피해를 주기도 하고, 한국에서는 새우라고도 불리지만 갑각류 새우와는 다른 종류이다. - 소악강 - 만각류
만각류는 갑각류의 한 분류군으로, 따개비, 배벌레 등을 포함하며 고착 생활을 하고 노플리우스 유생과 키프리스 유생 단계를 거치는 생물이지만, 식용으로 이용되거나 생체 접착제 개발, 선박 오염을 일으키는 생물 오염의 원인이 되기도 하는 등 인간과 관계를 맺고 있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3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따개비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Balanidae |
명명자 | Leach, 1817 |
분류 | |
계 | 동물계 |
문 | 절지동물문 |
아문 | 갑각아문 |
강 | 소악강 |
아강 | 초갑아강 |
하강 | 만각하강 |
상목 | 완흉상목 |
목 | 무병목 |
아목 | 따개비아목 |
과 | 따개비과 |
2. 형태 및 생태
따개비는 모두 바다에 살며 난생이다. 바위나 배 밑 등에 붙어서 생활하며 몸길이는 10mm~15mm이고 석회질의 딱딱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 몸은 외투강 안에 거꾸로 서 있는 모양으로, 머리와 여섯 쌍의 만각이 있는 흉부로 구성되어 있다. 배가 없으며 머리에는 눈도 없고 더듬이도 없다. 위쪽의 입으로부터 여섯 쌍의 만각을 움직이면서 물 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
암수한몸이지만 다른 개체와도 교미한다. 유생은 세 쌍의 부속지를 가진 갑각류 특유의 노플리우스 유생으로 큰 삼각형의 갑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섯 번 탈피한 후에 두 개의 껍데기를 가진 시프리스 유생이 되어 바위에 정착하여 따개비가 된다.
조간대의 위쪽에서 저조선까지 종류마다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기수의 대표적인 생물이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따개비는 약 200종에 달한다.
2. 1. 형태
따개비는 바다에 살며 난생이다. 바위나 배 밑 등에 붙어서 생활하며 몸길이는 10 ~ 15mm이고 석회질의 딱딱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 암수한몸이면서 다른 개체와도 교미한다. 유생은 세 쌍의 부속지를 가진 갑각류 특유의 노플리우스 유생으로 큰 삼각형의 갑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섯 번 탈피한 후에 두 개의 껍데기를 가진 시프리스 유생이 되어 바위에 정착하여 따개비가 된다.조간대의 위쪽에서 저조선까지 종류마다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기수의 대표적인 생물이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따개비는 약 200종에 달한다.
2. 1. 1. 가슴
따개비의 몸은 외투강 안에 거꾸로 서 있는 모양으로, 머리와 여섯 쌍의 만각이 있는 흉부로 구성되어 있다. 배가 없으며 머리에는 눈도 없고 더듬이도 없다. 위쪽의 입으로부터 여섯 쌍의 만각을 움직이면서 물 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2. 1. 2. 껍데기
따개비는 모두 바다에 살며 난생이다. 바위나 배 밑 등에 붙어서 생활하며 몸길이는 10 ~ 15mm이고 석회질의 딱딱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 몸은 외투강 안에 거꾸로 서 있는 모양이며, 머리와 여섯 쌍의 만각이 있는 흉부로 구성되어 있다. 배가 없으며 머리에는 눈도 없고 더듬이도 없다. 위쪽의 입으로부터 여섯 쌍의 만각을 움직이면서 물 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2. 2. 생태
따개비는 조간대 위쪽에서 저조선까지 종류마다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기수의 대표적인 생물이다. 암수한몸이지만 다른 개체와 교미한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따개비는 약 200종에 달한다.[1]2. 2. 1. 유생 단계
따개비는 모두 바다에 살며 난생이다. 유생은 세 쌍의 부속지를 가진 갑각류 특유의 노플리우스 유생으로 큰 삼각형의 갑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섯 번 탈피한 후에 두 개의 껍데기를 가진 시프리스 유생이 되어 바위에 정착하여 따개비가 된다.[1]2. 2. 2. 서식 환경
따개비는 모두 바다에 살며 난생이다. 바위나 배 밑 등에 붙어서 생활하며 몸길이는 10mm~15mm이고 석회질의 딱딱한 껍데기로 덮여 있다. 몸은 외투강 안에 거꾸로 서 있는 모양으로, 머리와 여섯 쌍의 만각이 있는 흉부로 구성되어 있다. 배가 없으며 머리에는 눈도 없고 더듬이도 없다. 위쪽의 입으로부터 여섯 쌍의 만각을 움직이면서 물 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암수한몸이면서 다른 개체와도 교미한다. 유생은 세 쌍의 부속지를 가진 갑각류 특유의 노플리우스유생으로 큰 삼각형의 갑각이 있다. 일반적으로 여섯 번 탈피한 후에 두 개의 껍데기를 가진 시프리스유생이 되어 바위에 정착하여 따개비가 된다.
조간대의 위쪽에서 저조선까지 종류마다 띠 모양으로 분포하는 기수의 대표적인 생물이다. 현재 지구상에 존재하는 따개비는 약 200종에 달한다.
2. 2. 3. 먹이
따개비는 머리 위에 있는 여섯 쌍의 만각을 움직여 물 속의 플랑크톤을 잡아먹는다.3. 분류
따개비는 분류학적으로 따개비과(Balanidae)와 여러 속(genus)들로 나뉜다. 따개비과는 크게 현생종과 멸종된 종으로 구분된다.
현존 속 | 명명자 및 연도 | 멸종 속 | 명명자 및 연도 |
---|---|---|---|
Acasta | Leach, 1817 | Alessandriella | Carriol, 2001 |
Actinobalanus | Moroni, 1967 | Archaeobalanus | Menesini, 1971 |
Amphibalanus | Pitombo, 2004 | Kathpalmeria | Ross, 1965 |
Archiacasta | Kolbasov, 1993 | Palaeobalanus | Buckeridge, 1983 |
Armatobalanus | Hoek, 1913 | Paractinobalanus | Carriol, 2008 |
Arossia | Newman, 1982 | Porobalanus | Buckeridge, 2015 |
Austromegabalanus | Newman, 1979 | Zullobalanus | Buckeridge, 1989 |
Balanus | Costa, 1778 | Zulloconcavus | Carriol, 2001 |
Bathybalanus | Hoek, 1913 | ||
Bryozobia | Ross & Newman, 1996 | ||
Chesaconcavus | Zullo, 1992 | ||
Chirona | Gray, 1835 | ||
Concavus | Newman, 1982 | ||
Conopea | Say, 1822 | ||
Eo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Euacasta | Kolbasov, 1993 | ||
Fistulobalanus | Zullo, 1984 | ||
Fosterella | Buckeridge, 1983 | ||
Hesperibalanus | Pilsbry, 1916 | ||
Hexacreusia | Zullo, 1961 | ||
Megabalanus | Hoek, 1913 | ||
Membranobalanus | Hoek, 1913 | ||
Menesiniella | Newman, 1982 | ||
Micropor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Mult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Neoacasta | Kolbasov, 1993 | ||
Notobalanus | Newman & Ross, 1976 | ||
Notomegabalanus | Newman, 1979 | ||
Paraconcavus | Zullo, 1992 | ||
Pectinoacasta | Kolbasov, 1993 | ||
Perforatus | Pitombo, 2004 | ||
Por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Pseudoacasta | Nilsson-Cantell, 1930 | ||
Semibalanus | Pilsbry, 1916 | ||
Solidobalanus | Hoek, 1913 | ||
Striatobalanus | Hoek, 1913 | ||
Tamiosoma | Conrad, 1857 | ||
Tasmanobalanus | Buckeridge, 1983 | ||
Tetrabalanus | Cornwall, 1941 | ||
Wanella | Anderson, 1993 | ||
Zulloa | Ross & Newman, 1996 | ||
Zulloana | Pitombo & Ross, 2002 |
3. 1. 과
Balanidae|발라니다에영어는 따개비가 속한 과이다. 아래는 따개비과에 속하는 속의 목록이다.속 | 명명자 및 연도 | 비고 |
---|---|---|
Acasta | Leach, 1817 | |
Actinobalanus | Moroni, 1967 | |
Amphibalanus | Pitombo, 2004 | |
Archiacasta | Kolbasov, 1993 | |
Armatobalanus | Hoek, 1913 | |
Arossia | Newman, 1982 | |
Austromegabalanus | Newman, 1979 | |
Balanus | Costa, 1778 | 따개비 |
Bathybalanus | Hoek, 1913 | |
Bryozobia | Ross & Newman, 1996 | |
Chesaconcavus | Zullo, 1992 | |
Chirona | Gray, 1835 | |
Concavus | Newman, 1982 | |
Conopea | Say, 1822 | |
Eo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Euacasta | Kolbasov, 1993 | |
Fistulobalanus | Zullo, 1984 | |
Fosterella | Buckeridge, 1983 | |
Hesperibalanus | Pilsbry, 1916 | |
Hexacreusia | Zullo, 1961 | |
Megabalanus | Hoek, 1913 | |
Membranobalanus | Hoek, 1913 | |
Menesiniella | Newman, 1982 | |
Micropor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Mult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Neoacasta | Kolbasov, 1993 | |
Notobalanus | Newman & Ross, 1976 | |
Notomegabalanus | Newman, 1979 | |
Paraconcavus | Zullo, 1992 | |
Pectinoacasta | Kolbasov, 1993 | |
Perforatus | Pitombo, 2004 | |
Poratria | Van Syoc & Newman, 2010 | |
Pseudoacasta | Nilsson-Cantell, 1930 | |
Semibalanus | Pilsbry, 1916 | |
Solidobalanus | Hoek, 1913 | |
Striatobalanus | Hoek, 1913 | |
Tamiosoma | Conrad, 1857 | |
Tasmanobalanus | Buckeridge, 1983 | |
Tetrabalanus | Cornwall, 1941 | |
Wanella | Anderson, 1993 | |
Zulloa | Ross & Newman, 1996 | |
Zulloana | Pitombo & Ross, 2002 | |
Alessandriella | Carriol & Cahuzac, 2001 | † |
Archaeobalanus | Menesini, 1971 | † |
Kathpalmeria | Ross, 1965 | † |
Palaeobalanus | Buckeridge, 1983 | † |
Paractinobalanus | Carriol, 2008 | † |
Porobalanus | Buckeridge, 2015 | † |
Zullobalanus | Buckeridge, 1989 | † |
Zulloconcavus | Carriol, 2000 | † |
3. 2. 따개비과 (Balanidae)의 속
Balanidae영어에 속하는 속은 다음과 같다.현존 속 | 멸종 속 |
---|---|
4. 한국의 따개비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