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건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건아는 미국 버지니아주 출신으로,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와 미주리 대학교에서 대학 농구 선수로 활약했다. 대학 졸업 후 2012년 한국 농구 리그(KBL)에 진출하여 울산 모비스 피버스에서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014년 윌리엄 존스 컵 MVP를 수상했으며, 2018년 대한민국으로 귀화하여 한국 이름을 갖게 되었다. 2019-2020 시즌 중반 전주 KCC 이지스로 이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18년 농구 - 이승현 (농구 선수)
이승현은 2014-2015 시즌에 데뷔하여 신인상을 수상하고 2015-2016 시즌 챔피언결정전 최우수 선수상을 받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 2018년 농구 - 허훈 (농구 선수)
농구선수 허재의 아들이자 허웅의 동생인 허훈은 연세대학교를 거쳐 KBL 신인 드래프트 1순위로 프로 데뷔 후 뛰어난 득점력과 경기 운영 능력으로 KBL을 대표하는 가드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방송과 유튜브 채널 "코삼부자"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는 농구 선수이다. - 햄프턴 (버지니아주) 출신 - 마고 리 셰털리
마고 리 셰털리는 NASA 여성 수학자들의 이야기를 다룬 《히든 피겨스》로 유명한 미국의 작가이자 논픽션 작가이다. - 햄프턴 (버지니아주) 출신 - 헤이우드 한셀
헤이우드 S. 한셀 2세는 미국의 군인이자 전략 공군력 신봉자로서, 제2차 세계 대전 중 B-29 폭격 작전을 지휘하며 주간 정밀 폭격 교리를 지지했으나, 사령관 직에서 해임된 후에도 정밀 유도 무기 개발 옹호 및 공중 전략 저술 활동을 펼친 인물이다. -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 선수 명단 - 니콜라 요키치
니콜라 요키치는 세르비아 출신의 덴버 너기츠 센터로, NBA 역사상 최고의 패싱 빅맨 중 한 명으로 평가받으며, NBA 정규 시즌 MVP 3회와 파이널 MVP 1회를 수상하고,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 2019년 FIBA 농구 월드컵 선수 명단 - 이승현 (농구 선수)
이승현은 2014-2015 시즌에 데뷔하여 신인상을 수상하고 2015-2016 시즌 챔피언결정전 최우수 선수상을 받은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이다.
| 라건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라건아 |
| 영어 이름 | Ricardo Preston Ratliffe |
| 출생일 | 1989년 2월 20일 |
| 출생지 | 미국 버지니아주 햄프턴 |
![]() | |
| 국적 | 대한민국 |
| 신장 | 199cm |
| 체중 | 110kg |
| 포지션 | 포워드/센터 |
| 학력 | |
| 고등학교 | 케커탄 고등학교 |
| 대학교 |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교 (2008–2010), 미주리 대학교 (2010–2012) |
| 선수 경력 | |
| 시작 연도 | 2012년 |
| 리그 | NBL |
| 소속팀 | 창사 융성 |
| 등번호 | -- |
| 클럽 경력 | |
| 연도 | 2012-2015 |
| 소속팀 | 울산 모비스 피버스 |
| 연도 | 2015-2016 |
| 소속팀 | 서울 삼성 썬더스 |
| 연도 | 2016 |
| 소속팀 | 스타 핫샷 |
| 연도 | 2016-2018 |
| 소속팀 | 서울 삼성 썬더스 |
| 연도 | 2018-2019 |
| 소속팀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 연도 | 2019-2024 |
| 소속팀 | 부산 KCC 이지스 |
| 연도 | 2024- |
| 소속팀 | 창사 융성 |
| 국가대표 경력 | |
| 국가대표팀 연도 | 2018-2024 |
| 메달 | |
| 메달 | 의 선수 |
| 스포츠 | 남자 농구 |
| 경기 | 아시안 게임 |
| 메달 | 동메달 |
| 대회 | 2018 자카르타-팔렘방 |
| 종목 | 단체전 |
2. 초기 생애 및 대학 시절
미국 버지니아주 햄프턴에서 태어난 래틀리프(라건아)는 케커탄 고등학교(Kecoughtan High School)와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에서 선수 생활을 했다.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 시절, 미국 국립단기대학체육협회에서 선정하는 first team All-American honors에 두 번이나 선정되었으며, 2학년 때는 경기당 평균 27.4득점과 11.3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이후 미주리 대학교에 진학하여 3학년 때 시즌 평균 10.6득점, 6.0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빅 12 컨퍼런스에서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4학년 때는 미주리 대학교 농구팀 Tigers를 30승 5패로 이끌고 빅 12 토너먼트 챔피언이 되는 데 기여했다. 주전으로 평균 13.9점, 7.5리바운드, 1.0블록을 기록하며 All-Big 12 Second Team에 선정되었다. 2011-12 시즌 래틀리프의 필드골 성공률은 69.3%로, 미주리 대학교와 빅 12 컨퍼런스 최고 기록이었다.
정규 시즌 후 2012년 Final Four에서 열린 2012년 Reese's College All-Star Game에 참가, 서부 팀 "Perfect Player"상을 받기 위해 21득점, 10리바운드를 기록했다.
2. 1. 초기 생애
미국 버지니아주 햄프턴에서 태어난 래틀리프는 케커탄 고등학교(Kecoughtan High School)와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에서 선수생활을 하였다.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 시절, 미국 국립단기대학체육협회에서 선정하는 first team All-American honors에 두 번이나 선정되었다. 2학년 때는 경기당 평균 27.4득점과 11.3리바운드를 기록했다.이후, 미주리 대학교에 진학하여, 3학년 때 시즌 평균 10.6득점, 6.0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빅 12 컨퍼런스에서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4학년 시즌에는 미주리 대학교 농구팀 Tigers를 30승 5패의 기록으로 이끌었으며 빅 12 토너먼트 챔피언이 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래틀리프는 팀의 주전으로서 평균 13.9점, 7.5리바운드, 1.0블록을 기록하며 All-Big 12 Second Team에 선정되었다. 해당 시즌 래틀리프의 필드골 성공률은 69.3%였으며, 이는 2011-12 시즌 미주리 대학교와 빅 12 컨퍼런스의 최고 기록이었다.
정규 시즌이 끝나고 래틀리프는 2012년 Final Four에서 열린 2012년 Reese's College All-Star Game에 참가하여 서부 팀의 "Perfect Player"상을 받기 위해 21점을 얻었고 10리바운드를 얻었다.
2. 2. 대학 시절
미국 버지니아주 햄프턴에서 태어난 래틀리프는 케커탄 고등학교(Kecoughtan High School)와 센트럴 플로리다 대학에서 선수생활을 하였다. 그곳에 있는 동안 그는 미국 국립단기대학체육협회에서 선정하는 first team All-American honors에 두 번이나 선정되었다. 그는 2학년 때 경기당 평균 27.4 득점과 11.3 리바운드를 기록했다.이후, 래틀리프는 미주리 대학교에 진학하여, 3학년 때 시즌 평균 10.6 득점, 6.0 리바운드를 기록하며 빅 12 컨퍼런스에서 올해의 신인상을 수상했다.
4학년 시즌에, 래틀리프는 미주리 대학교 농구팀 Tigers를 30승 5패의 기록으로 이끌었으며 빅 12 토너먼트의 챔피언이 되는 데 도움을 주었다. 래틀리프는 팀의 주전으로서 평균 13.9점, 7.5 리바운드, 1.0 블록을 기록했다.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래틀리프는 All-Big 12 Second Team에 선정되었다. 해당 시즌 래틀리프의 필드골 성공률은 69.3%였으며, 이는 2011-12 시즌의 해당 대학과 빅 12 컨퍼런스의 최고기록이었다.
정규 시즌이 끝나고 래틀리프는 2012년 Final Four에서 2012년 Reese's College All-Star Game에서 경쟁했다. 그는 서부 팀의 "Perfect Player"상을 받기 위해 21점을 얻었고 10리바운드를 얻었다.
3. 프로 선수 경력
라건아는 대학 졸업 후 2012년 NBA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는 않았지만, 한국 농구 리그(KBL)에 진출한 최초의 미국 대학 농구 선수였다. 울산 모비스 피버스에 6순위로 지명되어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2014년 윌리엄 존스 컵에서는 MVP를 수상했고, 문태영, 송창용과 함께 베스트 5에 선정되었다. 윌리엄 존스 컵에서 평균 24.3득점, 15.7리바운드, 1.7블록을 기록했다.[1]
2016년에는 필리핀 프로농구의 스타 핫샷스에서 뛰기도 했다.
2018년에는 대한민국으로 귀화하여 '라건아'라는 한국 이름을 얻었다.
2019-2020 시즌 중반, 이대성과 함께 전주 KCC 이지스로 이적했으며,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리온 윌리엄스, 김국찬, 박지훈, 김세창이 이적하는 2:4 트레이드가 단행되었다.
3. 1. 한국 농구 리그 (KBL)
래틀리프는 2012년 NBA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지 않았지만, 한국 농구 리그(KBL)에 진출한 최초의 미국 대학 농구 선수였다. 울산 모비스 피버스에 6순위로 지명되어 2012-13 시즌부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1] 2014년 윌리엄 존스 컵에서는 MVP를 수상했고, 문태영, 송창용과 함께 베스트 5에 선정되었다. 이 대회에서 평균 24.3득점, 15.7리바운드, 1.7블록을 기록했다.[1]2016년 3월 5일에는 친척의 사망으로 미국으로 떠나야 했던 덴젤 보울스를 대신해 필리핀 프로농구의 스타 핫샷스에서 뛰기도 했다.
2018년 1월, 래틀리프는 대한민국으로 귀화해 '라건아'라는 한국 이름을 얻었다.
2019-2020 시즌 중반, 팀 동료 이대성과 함께 전주 KCC 이지스로 이적했다. 이와 동시에 전주 KCC 이지스의 리온 윌리엄스, 김국찬, 박지훈, 김세창이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이적하는 2:4 트레이드가 단행되었다.
4. 인종차별 피해
라건아는 소셜 사이트 페이지에서 한국인들의 인종차별적 메시지에 시달려왔다고 밝혔다. 그는 비방 메시지는 무시하고 차단하지만 매일같이 쏟아지는 메시지를 견디기는 힘들다고 심정을 토로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