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1997년 한국프로농구(KBL) 출범과 함께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로 창단되어, 이후 현대모비스에 인수되면서 울산으로 연고지를 옮겼다. KBL에서 7번의 챔피언 결정전 우승과 7번의 정규리그 우승을 기록하며, KBL 역대 최다 우승 및 최다 통합 우승 기록을 보유한 명문 구단이다. 허재, 김유택, 강동희 트리오를 중심으로 아마 농구 최강자로 군림했던 기아 농구단을 모체로 하며, 현재 조동현 감독, 양동근 코치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함지훈
    함지훈은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서 뛰는 대한민국의 농구 선수로, 경복고와 중앙대를 졸업 후 2007년 드래프트에서 지명되어 입단, 대학 시절 센터로 포지션을 변경하여 팀의 우승을 이끌고 MVP를 수상했으며, 프로 입단 후 팀의 핵심 선수로 활약하며 주장을 맡고 있다.
  •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동천체육관
    죄송합니다. 제공된 본문이 없어 위키 페이지 "동천체육관"의 도입부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본문을 제공해주시면 작성해 드리겠습니다.
  • 울산광역시의 스포츠 - 울산종합운동장
    울산종합운동장은 2005년에 재개장한 다목적 경기장으로, 축구, 육상 경기를 수용하며, 울산시민축구단의 홈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있다.
  • 울산광역시의 스포츠 - 울산시민축구단
    울산시민축구단은 2018년에 창단되어 K4리그에 소속되어 있으며, 울산 지역의 축구팀 부재를 해결하고 지역 축구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창단되었고, 2019년 K3리그 베이직에서 우승을 차지했다.
  • 1986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대한항공 점보스
    대한항공 점보스는 1969년 창단되어 V-리그에서 활동하는 대한민국의 프로 배구단으로, 2017-18시즌 첫 우승 이후 V-리그 5회 우승, KOVO컵 5회 우승을 기록하였으며 현재는 토미 틸리카이넨 감독이 이끌고 인천 계양체육관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한다.
  • 1986년 설립된 스포츠 클럽 -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는 1986년 창단하여 신한은행에 인수된 여자 프로 농구단으로, 2004년 안산에서 인천으로 연고지를 이전했으며, 임달식 감독 체제에서 6시즌 연속 통합 우승을 달성하는 등 WKBL에서 뛰어난 성적을 기록했다.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 [스포츠팀]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로고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로고
팀명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영문 표기Ulsan Hyundai Mobis Phoebus
연고지울산광역시
창단1986년
소속 리그KBL
모기업현대모비스
경기장동천체육관 (수용인원: 5,831석)
웹사이트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공식 웹사이트
색상빨강, 어두운 파랑, 하양
역사
팀 역사기아자동차 농구단 (1986년–1996년)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7년–2001년)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2001년–2004년)
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4년–2017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17년–현재)
선수단
감독조동현
구단주조 성환
단장이승민
총감독유재학
주장함지훈
성적
리그 우승7회 KBL 리그
영구 결번
번호6번 양동근
10번 우지원
14번 김유택

2. 연혁

실업팀 농구 시절, 한국 농구 페스티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명문 기아자동차 농구단을 모체로, 1997년,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한국프로농구에 가입했다. 첫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

2001년, 기아가 프로야구 해태 타이거즈를 인수하면서 야구와 농구 두 개의 프로 스포츠 팀을 운영하는 것은 재정적으로 무리이며 광고 효과 또한 비례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현대모비스에 팀을 양도했다. 모비스는 팀의 연고지를 본사가 위치한 울산광역시로 이전하고 팀 이름도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로 변경했다.[5][6]

2004-2005 시즌부터 현 팀명이 되었다. "피버스"는 라틴어로 태양신 "포이보스"를 의미한다.

2005-2006 시즌에는 정규 시즌 1위를 차지했지만, 챔피언십에서 서울 삼성 썬더스에 한국 프로농구 사상 최초로 4연패를 당했다.

2006-2007 시즌에는 10시즌 만에 우승을 차지했다. KBL 챔피언십에서도 우승을 거머쥐었다.

2009-2010 시즌에는 3시즌 만에 3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2012-2013 시즌에는 3시즌 만에 4번째 우승을 차지했다.

2. 1. 기아 농구단 (1986-1996)

1986년 4월, 기아자동차의 후원을 받아 기아산업 농구단이 창단되었다.[1] 이후 사명 변경으로 '기아자동차 농구단'으로 이어졌다. 부산광역시에 연고지를 두었으며,[1] 1997년 한국프로농구(KBL)가 출범하기 전까지 아마추어 농구팀으로 활동했다.

기아 농구단은 1988년 코리안리그 1차대회 우승과 제69회 전국체전 우승을 시작으로, 1989년에는 농구대잔치 종합우승과 코리안리그 1차대회 우승을 차지했다. 1990년에도 농구대잔치 종합우승과 제71회 전국체전 우승을 달성하며 꾸준한 성적을 냈다. 1991년부터 1993년까지 3년 연속 농구대잔치 종합우승을 이루었고, 1992년에는 제5회 ABC 아시아 클럽선수권 우승, 코리안리그 1차대회 우승, 제73회 전국체전 우승을 모두 석권하는 쾌거를 이뤘다. 1993년 제74회 전국체전 우승, 1994년 코리안리그 1, 2차 대회 우승, 1995년 농구대잔치 종합우승 및 코리안리그 1차대회 우승, 그리고 1996년 농구대잔치 종합우승까지, 실업 기아자동차 시절 마지막 우승을 기록했다.

중앙대학교 출신의 한기범, 김유택, 허재, 강동희로 구성된 기아 농구단은,[2] 특히 "허-동-택 트리오"로 불린 허재, 강동희, 김유택을 중심으로 농구대잔치에서 7회 우승을 달성하며 아마농구 최강자로 군림했다.[2]

2. 2.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 (1996-2001)

1996년 12월, 프로 출범을 앞두고 기아 엔터프라이즈라는 이름으로 창단되었으며, 당시 연고지는 부산광역시였다.[3] 1997년 5월, 1997 FILA배 KBL 프로농구 원년 우승과 제8회 ABC 아시아 클럽선수권 준우승을 차지했다.[3] 실업팀 농구 시절, 한국 농구 페스티벌 대회에서 여러 차례 우승을 차지한 명문 기아자동차 농구단을 모체로, 1997년 한국프로농구 출범과 함께 부산광역시에서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로 재창단하여 리그에 참가, 첫해 리그 우승을 차지했다.[3]

1998년 5월, 1997-98 FILA배 프로농구 준우승을, 1999년 5월에는 1998-99 현대 걸리버배 프로농구 준우승을 차지했다.[3] 1997년 아시아 외환 위기로 모기업 기아자동차가 현대자동차에 인수되었지만, 농구팀은 기아 소속으로 남아 이름을 유지했다.[3] 하지만, 재정적 제약으로 인해 세대교체를 이루지 못하고, 대전 현대 다이너스의 이상민, 추승균 등 젊은 선수들을 중심으로 한 팀에 뒤처지며 어려움을 겪었다.[2] 2000년 3월, 1999-2000 애니콜 프로농구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3]

2. 3.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 / 피버스 (2001-2017)

2001년, KIA 타이거즈의 창단으로 인해 모기업이 현대모비스로 변경되면서 팀명이 울산 모비스 오토몬스로 변경되었고, 연고지도 부산광역시에서 울산광역시로 이전했다.[5][6] 같은 해 9월 초대 농구단 단장으로 신일규 전무가 선임되었고, 12월에는 울산 지역 선수단 전용 숙소가 개관되었다. 2002년 8월에는 용인에 구단 전용 숙소 및 체육관이 개관되었고, 10월에는 오토몬스 캐릭터가 변경되었다.

2004년에는 유재학 감독이 부임하면서 팀 체질 개선에 성공했다.[5][6] 같은 해 5월에는 유재학 감독과 임근배 코치가 신임 코치진으로 선임되었고, 9월에는 팀 명칭이 오토몬스에서 피버스로 변경되었다. '피버스'는 라틴어로 태양신 포이보스를 의미한다.

2005년 4월, 2004-05 애니콜 프로농구 정규리그 시상식에서 양동근이 신인상과 수비5걸상을 수상하고, 이병석이 기량발전상(MIP), 수비5걸상, 우수 후보선수상을 수상했다. 구단 프런트는 50만 관중동원상을 수상했다.

2005-06 시즌부터 전성기를 맞이하여, 2006년 3월 KCC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우승했지만, 4월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에서는 서울 삼성 썬더스에 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같은 해 3월 정규리그 시상식에서는 9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정규리그 MVP / 시즌 베스트5 - 양동근, 감독상 - 유재학 감독, 외국인선수상 / 이성구기념상 / 시즌 베스트5 - 윌리엄스, 우수후보선수상 - 이창수, 수비5걸상 - 이병석, 구단 프런트 - 클린팀상) 10월에는 황열헌 부사장이 제3대 모비스 농구단 단장으로 선임되었다.

2007년 1월, 2007 한중 프로농구 올스타전에서 양동근이 MVP를 수상했다. 3월에는 2006-2007 현대 모비스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우승했고, 5월에는 플레이오프 챔피언 결정전에서 부산KTF를 꺾고 우승을 차지하며 양동근이 플레이오프 MVP를 수상했다. 4월 정규리그 시상식에서는 7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정규리그 MVP, 이성구 기념상, 시즌 베스트5 - 양동근, 감독상 - 유재학 감독, 우수후보선수상 - 우지원, 수비5걸상 - 이병석, 구단 프런트 - 타이틀 스폰서 공로상)

2008년 5월, 2007-2008 스포츠토토 프로농구 대상 클린팀상을 수상했다.

2009년 3월, 2008-2009 동부 프로미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우승했고, 5월 정규리그 시상식에서는 6개 부문에서 수상했다. (감독상 - 유재학, 베스트5상 - 김효범, 이성구 기념상 / 수비5걸상 - 브라인언 던스톤, 우수후보선수상 - 함지훈, 기량발전상(MIP) - 박구영)

2010년 3월, kt와 접전 끝에 2009-2010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우승했다. 40승 14패로 kt와 승률이 동률이었고, 상대전적도 3승 3패였지만, 득실차에서 48점 차이로 앞섰다. 같은 해 3월 정규리그 시상식에서는 함지훈이 정규리그 MVP, 양동근함지훈이 시즌 베스트 5를 수상했다. 4월에는 2009-2010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와 챔피언 결정전 통합우승을 달성했다. 이는 기아 시절을 포함하여 통합우승 3회 달성으로, 프로농구 사상 최초이자 최다 기록이다. 함지훈은 챔피언 결정전 MVP를 수상했다.

2012년 5월, 귀화혼혈선수인 문태영을 영입했다.

양동근, 함지훈 등 국내 선수들과 외국인 선수들의 조화를 통해 2012-13, 2013-14, 2014-15 시즌 챔피언 결정전 우승을 차지하며 KBL 대표 명문 구단으로 자리매김했다.

2013년 4월, 2012-2013 KB국민카드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며 양동근이 MVP를 수상했다. (정규리그 2위)

2014년 4월 10일, 2013-2014 KB국민카드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에서 우승하며 문태영이 MVP를 수상했다. (정규리그 2위)

2015년 3월 5일, 2014-2015 KCC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우승했고, 4월 4일에는 챔피언 결정전에서도 우승하며 양동근이 MVP를 수상했다.

2016년 10월 18일, 드래프트에서 전체 1순위로 이종현을 지명했다.

2. 4.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 (2017-현재)

2017년 9월 1일, 팀명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변경했다. 2019년 3월 9일에는 2018-2019 SKT 5GX 프로농구 정규리그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이어 2019년 4월 21일에는 2018-2019 SKT 5GX 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에서도 우승을 차지하며 통합 우승을 달성했다. 챔피언 결정전 MVP는 이대성이 수상했다. 이로써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KBL 역대 최다 우승 (7회) 및 최다 통합우승 (4회) 기록을 세웠다.

3. 우승 기록

3. 1. 국내 대회

'''KBL 챔피언 결정전'''

: '''우승 (7)''': 1997, 2006-07, 2009-10, 2012-13, 2013-14, 2014-15, 2018-19

: 준우승 (3): 1997-98, 1998-99, 2005-06

'''KBL 정규시즌'''

: '''우승 (7)''': 1997, 2005-06, 2006-07, 2008-09, 2009-10, 2014-15, 2018-19

: 준우승 (5): 1998-99, 2012-13, 2013-14, 2015-16, 2020-21

'''KBL컵'''

:: 준우승: 2022년, 2023년

'''농구대잔치'''

: '''우승 (7)''':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4-95, 1995-96

: 준우승 (1): 1987-88

'''KBL 컵대회'''

:
준우승 (1) : 2022

3. 1. 1. 리그


  • '''KBL 챔피언 결정전'''

: '''우승 (7)''': 1997, 2006-07, 2009-10, 2012-13, 2013-14, 2014-15, 2018-19

: 준우승 (3): 1997-98, 1998-99, 2005-06
: '''우승 (7)''': 1997, 2005-06, 2006-07, 2008-09, 2009-10, 2014-15, 2018-19

: 준우승 (5): 1998-99, 2012-13, 2013-14, 2015-16, 2020-21

  • '''KBL컵'''

:: 준우승: 2022년, 2023년

3. 1. 2. 컵

wikitext

  • '''농구대잔치'''
  • * '''우승 (7)''': 1988-89, 1989-90, 1990-91, 1991-92, 1992-93, 1994-95, 1995-96
  • * 준우승 (1): 1987-88
  • '''KBL 컵대회'''
  • * 준우승 (1) : 2022

3. 2. 아시아 대회

ABA 클럽 챔피언십에서는 2013년에 준우승을 기록했다. 아시아 프로농구 챔피언십에서는 2015년과 2016년에 우승을 차지했다. FIBA 아시아 챔피언스컵에서는 1992년에 우승했고, 1997년에는 준우승을 기록했다.

4. 역대 기록

4. 1. 역대 정규리그 성적

시즌성적비고
19971165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로 프로 창단, 정규리그 우승
1997~199832619
1998~199923114
1999~200062124
2000~200191728
2001~2002101836울산 모비스 오토몬스로 연고지 및 팀명 변경
2002~200362529
2003~2004101539
2004~200572430울산 모비스 피버스로 팀명 변경
'''2005~2006'''13618정규리그 우승
'''2006~2007'''13618정규리그 우승
2007~200891440
'''2008~2009'''13519정규리그 우승
'''2009~2010'''14014수원 KT 소닉붐와 승률 같지만 득실차로 정규리그 우승
2010~201182034
2011~201252925
2012~201324113
2013~201424014창원 LG 세이커스와 승률 같지만 득실차로 정규리그 준우승
'''2014~2015'''13915정규리그 우승
2015~201623618부산 KCC 이지스와 승률 같지만 상대전적 밀려 정규리그 준우승
2016~201742826
2017~201843321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로 팀명 변경
'''2018~2019'''14311정규리그 우승(7회-역대 최다 정규리그 우승)
2019~202081824
2020~202123222
2021~202243024
2022~202343420


4. 2. 역대 플레이오프 성적

연도최종 결과라운드상대승/패승리패전
1997통합우승4강 플레이오프대구 동양 오리온스32
챔피언 결정전원주 나래 블루버드31
1997-1998준우승6강 플레이오프인천 대우증권 제우스31
4강 플레이오프창원 LG 세이커스31
챔피언 결정전대전 현대 걸리버스34
1998-1999준우승4강 플레이오프수원 삼성 썬더스31
챔피언 결정전대전 현대 걸리버스14
1999-2000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수원 삼성 썬더스13
2002-2003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원주 TG 엑써스02
2005-2006준우승4강 플레이오프전주 KCC 이지스31
챔피언 결정전서울 삼성 썬더스04
2006-2007통합우승4강 플레이오프대구 오리온스30
챔피언 결정전부산 KTF 매직윙스43
2008-20094강 진출4강 플레이오프서울 삼성 썬더스13
2009-2010통합우승4강 플레이오프원주 동부 프로미31
챔피언 결정전전주 KCC 이지스42
2011-20124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전주 KCC 이지스30
4강 플레이오프원주 동부 프로미13
2012-2013우승4강 플레이오프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30
챔피언 결정전서울 SK 나이츠40
2013-2014우승4강 플레이오프서울 SK 나이츠31
챔피언 결정전창원 LG 세이커스42
2014-2015통합우승4강 플레이오프창원 LG 세이커스32
챔피언 결정전원주 동부 프로미40
2015-20164강 진출4강 플레이오프고양 오리온 오리온스03
2016-2017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원주 동부 프로미30
4강 진출4강 플레이오프안양 KGC인삼공사03
2017-2018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안양 KGC인삼공사13
2018-2019통합우승4강 플레이오프전주 KCC 이지스31
챔피언 결정전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41
2020-20214강 진출4강 플레이오프안양 KGC 인삼공사03
2021-2022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고양 오리온 오리온스03
2022-2023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고양 캐롯 점퍼스23
2023-20246강 진출6강 플레이오프수원 KT 소닉붐13



4. 3. 역대 감독

순번재임 기간이름
1대1997.2.1-1998.5.31최인선한국어
2대1998.6.1-1999.5.31박인규한국어
3대1999.6.1-2002.3.31박수교한국어
4대2002.4.1-2003.12.5최희암한국어
감독대행2003.12.6-2004.3.31장일한국어
5대2004.4.1-2022.6.21유재학한국어
6대2022.6.21-조동현한국어


5. 선수단

'''현재 선수단'''

2022년 11월 15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등번호국적이름신장생년월일
G0RJ 아바리엔토스}}1.81m1999년 9월 14일
G1김영현1.86m1991년 5월 18일
F2신민석1.97m1999년 8월 31일
G3박재한1.74m1994년 5월 24일
G5윤성준1.82m1999년 4월 15일
G7서명진1.87m1999년 6월 29일
G8김지후1.87m1992년 1월 20일
F9이진석1.96m1997년 5월 24일
G11이우석1.96m1999년 7월 10일
F12함지훈1.98m1984년 12월 11일
C13김현민2.00m1987년 9월 15일
F17전준우1.92m2001년 1월 23일
G21김태완1.80m2001년 4월 27일
G22김동준1.75m1999년 3월 15일
F23최진수2.03m1989년 5월 11일
F24김영훈1.90m1992년 5월 21일
C25정종현2.02m1999년 6월 1일
G26염재성1.76m2000년 5월 3일
F30김국찬1.90m1996년 2월 15일
C31장재석2.03m1991년 2월 3일
C352.08m1990년 3월 27일
F40저스틴 녹스2.06m1989년 1월 13일
F44{{USA/Henry Sims영어게이지 프림/Gauge Prim영어2.06m1999년 4월 8일



감독은 조동현이며, 양동근 등이 코치를 맡고 있다.

참고: 국기는 국제농구연맹에서 인정하는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나타낸다. 선수는 표시되지 않은 다른 비 FIBA 국적을 가질 수 있다.

'''코칭 스태프'''

허재는 2004-05 시즌 중반 감독 대행으로 부임하여 2005-06 시즌부터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다. 김유택, 강동희 등이 코치를 맡았다.

'''국군체육부대 (상무 농구단)'''

전준범은 2013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 입단하여 2018년에 상무 농구단에 입대했다. 정성호는 2015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 입단하여 2019년에 상무 농구단에 입대했다.

5. 1. 현재 선수단

2022년 11월 15일 기준 현재 선수 명단은 다음과 같다.

포지션등번호국적이름신장생년월일
G0RJ 아바리엔토스}}1.81m1999년 9월 14일
G1김영현1.86m1991년 5월 18일
F2신민석1.97m1999년 8월 31일
G3박재한1.74m1994년 5월 24일
G5윤성준1.82m1999년 4월 15일
G7서명진1.87m1999년 6월 29일
G8김지후1.87m1992년 1월 20일
F9이진석1.96m1997년 5월 24일
G11이우석1.96m1999년 7월 10일
F12함지훈1.98m1984년 12월 11일
C13김현민2.00m1987년 9월 15일
F17전준우1.92m2001년 1월 23일
G21김태완1.80m2001년 4월 27일
G22김동준1.75m1999년 3월 15일
F23최진수2.03m1989년 5월 11일
F24김영훈1.90m1992년 5월 21일
C25정종현2.02m1999년 6월 1일
G26염재성1.76m2000년 5월 3일
F30김국찬1.90m1996년 2월 15일
C31장재석2.03m1991년 2월 3일
C352.08m1990년 3월 27일
F40저스틴 녹스2.06m1989년 1월 13일
F44{{USA/Henry Sims영어게이지 프림/Gauge Prim영어2.06m1999년 4월 8일



감독은 조동현이며, 양동근 등이 코치를 맡고 있다.

참고: 국기는 국제농구연맹에서 인정하는 국제 대회 출전 자격을 나타낸다. 선수는 표시되지 않은 다른 비 FIBA 국적을 가질 수 있다.

5. 2. 코칭 스태프

허재는 2004-05 시즌 중반 감독 대행으로 부임하여 2005-06 시즌부터 정식 감독으로 승격했다. 김유택, 강동희 등이 코치를 맡았다.

5. 3. 국군체육부대 (상무) 농구단

전준범은 2013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 입단하여 2018년에 상무 농구단에 입대했다. 정성호는 2015년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에 입단하여 2019년에 상무 농구단에 입대했다.

6. 영구 결번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는 뛰어난 실력과 헌신으로 팀에 공헌한 선수들을 기리기 위해 영구 결번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 10 우지원: 팀에 헌신한 선수이다.
  • 14 김유택: 기아 농구단 시절 농구대잔치 우승을 이끈 주역이다.
  • 6 양동근: 팀의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KBL 역대 최고의 선수 중 한 명이다.

7. 기타 정보

참조

[1] 뉴스 [최기성의 허브車]'바퀴의 제왕' 기아차, '한국 최초' 자전거·삼륜차도 제작 https://www.mk.co.kr[...] 2021-01-07
[2] 뉴스 코트의 전설, 그 이름 허동택 http://legacy.h21.ha[...] 2000-03-21
[3] 뉴스 INTERNATIONAL BRIEFS; Hyundai Completes Deal For Takeover of Kia https://www.nytimes.[...] 1998-12-02
[4] 뉴스 [안테나] 현대모비스, 기아농구단 인수 外 https://www.joongang[...] 2001-09-01
[5] 뉴스 오빠들 플레이 여전히 멋있네 https://weekly.donga[...] 2004-02-19
[6] 뉴스 규율과 자율 사이…유재학은 90년대생도 움직인다 https://www.joongang[...] 2020-05-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