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생문의 오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생문의 오니는 미나모토노 요리미츠가 슈텐도지를 토벌한 후, 와타나베노 츠나가 라쇼몬에 나타난 오니와 싸우는 설화를 다룬다. 이 설화는 『헤이케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며, 요곡 『라쇼몬』과 『이바라키』로 재창작되었다. 라쇼몬의 오니는 종종 이바라키도지와 동일시되며, 츠나가 오니의 팔을 자르는 장면은 이치조 모도리바시를 배경으로 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토부의 요괴 - 다마모노마에
    다마모노마에는 일본의 전설에 등장하는 구미호 요괴로, 미모와 지혜로 총애를 받았으나 정체가 드러나 도망친 후 토벌되어 살생석으로 변했으며, 일본 3대 요괴 중 하나로 꼽힌다.
  • 교토부의 요괴 - 슈텐도지
    슈텐도지는 일본 오니 전설에 등장하는 요괴로, 오에 산이나 이부키 산을 거점으로 교토를 위협하는 존재로 묘사되며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와 사천왕에게 토벌되는 이야기와 함께 다양한 문화 콘텐츠의 소재로 활용된다.
  • 오니 - 미시하세
    미시하세 또는 아시하세는 일본서기에 등장하는 숙신을 지칭하는 명칭으로, 숙신의 위치와 정체성은 논쟁 중이며, 다양한 지역과 민족과의 관련성이 추정되지만 일본 중심적인 기록이므로 객관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 오니 - 나마하게
    나마하게는 일본 아키타현 오가 지역에서 섣달 그믐날 밤에 도깨비 가면과 짚으로 만든 의상을 입은 남성이 아이들을 훈계하고 재앙을 쫓는 방문신 역할을 하는 민속 행사로, 유네스코 무형 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으며, 저출산 고령화로 인한 쇠퇴 위기 속에서 지역 사회가 전통 계승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살생석
    살생석은 일본 도치기현 나스 지역의 화산암으로, 구미호가 변한 것이라는 전설이 깃들어 있으며, 유독성 가스를 분출하여 주변 생물에게 해를 끼쳐 '살생석'이라 불리며, 승려 겐노의 퇴마 의식으로 원한이 달래졌다고 전해지고, 2022년 3월에는 두 조각으로 갈라져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도리야마 세키엔의 요괴 - 텐구
    텐구는 일본의 요괴로, 긴 코와 붉은 얼굴을 가진 인간형의 모습에 야마부시 복장을 하고 하늘을 나는 능력과 뛰어난 무술 실력을 지녔으며, 중국의 티앤거우나 힌두교의 가루다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있고, 산악 신앙과 결합되어 발전, 오만함의 상징이자 산의 신으로 숭배받기도 하며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라생문의 오니
개요
유형오니
출현 장소라쇼몬
관련 인물와타나베노 쓰나
상세 정보
특징강력한 힘
변신 능력
인간을 잡아먹음
퇴치 방법
지혜
용기
라쇼몬과의 관계
배경헤이안 시대 말기 교토의 황폐화
라쇼몬의 흉흉한 분위기
오니의 역할라쇼몬을 점거하고 인간을 위협하는 존재
와타나베노 쓰나와의 전투
경위미나모토노 요리미쓰의 명령을 받은 와타나베노 쓰나가 오니 퇴치에 나섬
결말와타나베노 쓰나가 오니의 팔을 잘라 퇴치
문화적 영향
문학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소설 라쇼몬
다양한 요괴 이야기의 소재
연극노의 레퍼토리
영화구로사와 아키라 감독의 영화 라쇼몬
추가 정보
변종다양한 모습과 능력을 가진 오니 존재
전승 지역일본 각지에 유사한 오니 전승 존재

2. 설화의 내용

라쇼몬의 오니에 관한 설화는 주로 『헤이케 이야기』 검의 권(剣の巻)과 이를 바탕으로 각색된 요곡 『라쇼몬』 등을 통해 전해진다.[1][3][4][6]

이야기는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슈텐도지를 토벌한 후 시작된다. 요리미쓰는 자신의 저택에서 요리미쓰 사천왕과 히라이 야스마사와 함께 연회를 열었다.[4][5] 이 자리에서 히라이 야스마사(혹은 사천왕 중 한 명인 우라베노 스에타케)가 라쇼몬에 오니가 나타난다는 소문을 언급했다.[1][2][4][5] 사천왕 중 한 명인 와타나베노 츠나는 왕궁의 정문인 라쇼몬에 오니가 산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며[1][2] 사실 확인을 위해 홀로 라쇼몬으로 향하기로 한다. 그는 가보로 전해지는 갑옷과 투구, 타치로 무장하고 종자 없이 말에 올랐다.[4][5]

구조 거리에 이르러 라쇼몬이 정면으로 보일 때쯤, 갑자기 거센 바람이 불어 말이 움직이지 않게 되었다.[5] 츠나가 말에서 내려 라쇼몬으로 향하자, 뒤에서 나타난 오니가 그의 투구를 움켜잡았다.[2][5] 츠나는 재빨리 타치로 오니를 베었지만, 투구를 빼앗기고 말았다.[2][5] 츠나의 타치와 오니의 쇠몽둥이가 격렬하게 부딪힌 끝에, 츠나는 마침내 오니의 팔 한쪽을 베어내는 데 성공한다.[2][5] 오니는 "때를 기다려 되찾으러 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하늘을 뒤덮은 검은 구름 속으로 사라졌다고 전해진다.[5]

한편, 『헤이케 이야기』에서는 이 사건의 무대가 라쇼몬이 아닌 이치조 모도리바시이며, 이후 오니가 츠나의 유모나 어머니로 변장하여 팔을 되찾아가는 후일담이 이어진다.[1][3][4][6] 요곡 『라쇼몬』은 『헤이케 이야기』의 내용을 바탕으로 무대를 라쇼몬으로 바꾸고 츠나와 오니의 전투까지만 다루며, 오니가 팔을 되찾는 이야기는 별개의 요곡 『이바라키』(茨木)에서 다루어진다.[1][3][4][6] 이러한 각색 과정 때문에 라쇼몬의 오니는 종종 이바라키도지와 동일시되기도 한다.[1][3][4][6]

2. 1. 『헤이케 이야기』

『헤이케 이야기』 츠루기노 마키(剣の巻, 검의 권)에는 이치조 모도리바시의 오니에 관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1][3][4][6] 이 이야기에서 와타나베노 츠나가 오니의 팔을 잘라내는 사건은 라쇼몬이 아닌 이치조 모도리바시라는 다리에서 벌어진다.[1][3][4][6] 이후 오니는 츠나의 유모[4][6](혹은 어머니[1])로 변장하여 츠나가 보관하고 있던 자신의 팔을 되찾아 간다고 묘사된다.[1][3][4][6]

요곡 『라쇼몬』[1](羅生門)은 『헤이케 이야기』에 등장하는 츠나와 오니의 전투 이야기를 기반으로 창작되었으나, 이야기의 배경을 이치조 모도리바시에서 라쇼몬으로 변경하였다.[1][3][4][6] 오니가 팔을 되찾으러 오는 후속 이야기는 요곡 『라쇼몬』과는 별개의 작품인 『이바라키』[1](茨木)에서 다루어진다.[1][3][4][6] 이러한 각색 과정 때문에, 본래는 서로 다른 이야기 속 존재인 라쇼몬의 오니와 이바라키도지가 종종 동일시되기도 한다.[1][3][4][6]

2. 2. 요곡 『라쇼몬』

요곡 『라쇼몬』은 『헤이케 이야기』 검의 권에 나오는 이치조 모도리바시의 오니 이야기를 바탕으로 한다. 원작에서는 와타나베노 츠나가 오니의 팔을 자르는 무대가 이치조 모도리바시이지만, 요곡에서는 이를 라쇼몬으로 옮겨 각색했다.[4][6] 오니가 츠나의 유모나 어머니로 변장하여 팔을 되찾아가는 후속 이야기는 요곡 『라쇼몬』에는 포함되지 않고, 별개의 요곡인 『이바라키』(茨木)에서 다루어진다.[1][3][4][6] 이러한 배경 때문에 라쇼몬의 오니는 종종 이바라키도지와 동일시되기도 한다.[1][3][4][6]

요곡 『라쇼몬』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미나모토노 요리미쓰슈텐도지를 토벌한 후, 자신의 저택에서 요리미쓰 사천왕 및 히라이 야스마사와 연회를 열었다.[4][5] 이 자리에서 히라이 야스마사(혹은 사천왕 중 한 명인 우라베노 스에타케)가 라쇼몬에 오니가 나타난다는 소문을 언급한다.[1][2][4][5] 사천왕 중 한 명인 와타나베노 츠나는 왕궁의 정문인 라쇼몬에 오니가 산다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다며[1][2] 사실 확인을 위해 홀로 라쇼몬으로 향한다. 그는 가보로 전해지는 갑옷과 투구, 타치로 무장하고 종자 없이 말에 올랐다.[4][5]

구조 거리에 이르러 라쇼몬이 정면으로 보일 때쯤, 갑자기 거센 바람이 불어 말이 움직이지 않았다.[5] 츠나가 말에서 내려 라쇼몬으로 향하자, 뒤에서 나타난 오니가 그의 투구를 움켜잡았다.[2][5] 츠나는 지체 없이 타치로 베었지만, 투구를 빼앗기고 말았다.[2][5] 츠나의 타치와 오니의 쇠몽둥이가 격렬하게 부딪힌 끝에, 츠나는 마침내 오니의 팔 한쪽을 베어내는 데 성공한다.[2][5] 오니는 "때를 기다려 되찾으러 오겠다"는 말을 남기고 하늘을 뒤덮은 검은 구름 속으로 사라졌다고 전해진다.[5]

2. 3. 요곡 『이바라키』

『헤이케 이야기』 츠루기노 마키(剣巻)에 나오는 이치조 모도리바시에서의 오니 이야기가 원형이다. 이 이야기에서는 와타나베노 츠나가 오니의 팔을 잘라내고, 이후 오니가 츠나의 유모(혹은 어머니)로 변장하여 팔을 되찾아 간다.[1][3][4][6] 요곡 『라쇼몬』은 이 『헤이케 이야기』를 바탕으로 하되, 츠나와 오니의 싸움이 벌어지는 장소를 이치조 모도리바시에서 라쇼몬으로 바꾸어 각색했다. 하지만 이 작품은 츠나가 오니의 팔을 자르는 장면까지만 다룬다.[1][3][4][6]

오니가 팔을 되찾으러 오는 후속 이야기는 요곡 『라쇼몬』과는 별개인 요곡 『이바라키』(茨木)라는 작품으로 만들어졌다. 이 작품은 『라쇼몬』의 후일담에 해당하며, 오니가 츠나에게 복수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1][3][4][6] 이처럼 이야기가 분리되면서, 본래는 다른 존재였던 라쇼몬의 오니와 이바라키도지가 동일한 존재로 여겨지는 경우가 많아졌다.[1][3][4][6]

3. 설화의 배경과 의미

라쇼몬(羅生門)은 본래 헤이안 시대 교토(京都)의 남쪽 정문이었다. 당시에는 '라조몬'(羅城門)이라 불렸으며, 수도의 위용을 상징하는 중요한 건축물이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헤이안 시대 후기에는 점차 관리가 소홀해지고 황폐해졌다. 지진이나 화재 등으로 여러 차례 파괴되고 복구되는 과정을 겪었으나, 결국에는 제대로 관리되지 못하고 버려진 상태가 되었다.

이렇게 황폐해진 라쇼몬 주변에는 시체를 버리거나 도둑, 강도들이 은신하는 장소로 변모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이러한 음산한 분위기 속에서 라쇼몬에는 오니(鬼)와 같은 초자연적인 존재가 나타난다는 설화가 생겨나게 되었다. 이는 당시 사회의 혼란과 불안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4. 대중문화 속 라쇼몬의 오니

(내용 없음)

참조

[1]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000
[2] 서적 絵で見て不思議! 鬼ともののけの文化史 遊子館 2005
[3] 서적 歴史読本特別増刊・事典シリーズ〈第16号〉日本「神話・伝説」総覧 新人物往来社 1992
[4]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000
[5] 서적 絵で見て不思議! 鬼ともののけの文化史 遊子館 2005
[6] 서적 歴史読本特別増刊・事典シリーズ〈第16号〉日本「神話・伝説」総覧 新人物往来社 1992
[7] 서적 妖怪事典 毎日新聞社 2000
[8] 서적 絵で見て不思議! 鬼ともののけの文化史 遊子館 2005
[9] 서적 歴史読本特別増刊・事典シリーズ〈第16号〉日本「神話・伝説」総覧 新人物往来社 199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