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오스의 주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오스의 주석은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을 대내외적으로 대표하며 국가의 독립과 영토를 수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주석은 라오스 국회의 동의를 받아 총리, 부주석, 각 부 장관 등을 임명하며, 라오스 인민군의 통수권자이다. 라오스는 일당제 국가이므로 모든 주석은 라오스 인민혁명당 당원이며, 당 총비서가 실질적인 지도자 역할을 한다. 주석은 5년 임기로 국민 의회에서 선출되며, 2번까지 연임할 수 있다. 초대 주석은 수파누봉이었으며, 현재 통룬 시술릿이 주석직을 수행하고 있다. 부주석은 1996년에 설치되어 주석을 보좌하며, 주석 유고 시에는 그 직무를 대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라오스의 주석 - 수파누봉
    수파누봉은 라오스의 정치인이자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초대 대통령으로, 프랑스 식민 통치 시대에 토목 기사로 일하며 라오스 독립운동에 참여했고, 라오스 자유전선 의장을 역임했으며, 공산당 집권 후 초대 대통령으로 1991년까지 재임했다.
  • 라오스의 주석 - 분냥 보라치트
    분냥 보라치트는 라오스의 정치인으로, 사바나켓 주지사, 재무장관, 총리를 거쳐 라오스 인민혁명당 서기장 겸 국가주석으로서 라오스의 최고 지도자를 역임하며 라오스의 사회주의 발전과 경제 성장에 기여했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라오스의 주석
개요
직위 명칭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주석
국가라오스
종류국가 원수
스타일각하
거주지비엔티안 주석부
임명 기관국민 의회
임기5년, 1회 연임 가능
급여1,170,000 킵/월
권한 및 소속
소속국가 행정부
주석실
구성원라오인혁당 중앙위원회
라오인혁당 정치국
라오인혁당 서기국
라오인혁당 국방위원회
현직
현직 대통령통룬 시술릿
취임일2021년 3월 22일
부통령분통 칫마니, 파니 야토투
역사
설립일1975년 12월 2일
초대 주석수파누봉
상징
통룬 시술릿 대통령 (2023년)
국가 문장
국기
관련 정보
이전 직위라오스 왕국의 국가 원수

2. 역사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 주석의 직무는 라오스 왕족 출신이자 3공 중 한 명인 수파누봉 왕자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는 1975년 라오스 내전 종식과 함께 파테트 라오에 의해 구 라오스 왕국이 전복되었을 때 주석이 되었다.[3]

2. 1. 제도 도입 배경

1975년 12월 1일부터 12월 2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라오스는 왕정을 폐지하고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의 건국을 선언했다. 이 대회 결의에 따라 국가주석직이 설치되어 국가 원수로 규정되었다.[3] 초대 국가주석에는 네오 라오 핫삿의 의장이자 라오스 인민혁명당 정치국원인 수파누봉이 취임했다.

국가주석은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을 대표하는 원수이지만, 구체적인 행정은 총리가 집행한다. 라오스는 라오스 인민혁명당에 의한 일당 독재 체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인민혁명당의 당수인 서기장이 사실상의 라오스 최고 지도자가 된다. 따라서 건국 초기의 국가주석은 의례적·명예직적인 존재였으며, 국가의 최고 권력자는 당 서기장 겸 총리인 카이손 폼비한이었다.

1991년에 라오스 최초의 헌법이 제정됨에 따라, 구체적인 행정을 총리가 집행하는 상황은 변함없지만, 국가주석의 권능이 강화되어 정치적인 실권을 갖게 되자, 당 의장[4]인 카이손 폼비한이 국가주석을 겸임했다. 카이손이 1992년에 사망하자, 한때는 당 의장과 국가주석이 분리되었지만, 카이손의 뒤를 이어 당 의장에 취임했던 캄타이 시판돈이 1998년에 국가주석을 겸임한 이후,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최고 지도자[5]가 국가주석을 겸임하여 당·국가·군의 삼권을 집중시키고 있다.

2. 2. 권한 변화

대통령은 국내외적으로 라오스를 대표하며, 국가 정부 시스템의 안정성을 유지하고 국가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며 업무를 감독한다. 대통령은 총리, 부통령, 각료 및 기타 공무원을 국회의 동의를 얻어 임명한다. 또한 대통령은 라오스 인민군의 최고사령관이다.[3]

그러나 라오스는 일당제 공산주의 국가이므로, 최고 권력은 대통령이 아니라 라오 인민혁명당 총비서가 가진다. 총비서는 라오스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정치국과 비서국을 통제하며, 이 직책을 맡은 사람이 라오스의 ''실질적인'' 지도자이다. 그러나 1998년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 두 직책은 겸임되었다. 따라서 대통령은 총비서직에서 대부분의 권한을 얻는다. 라오스는 일당제 국가이므로, 라오스 인민민주공화국의 모든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당원이었다.

1975년 12월 1일부터 12월 2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라오스는 왕정을 폐지하고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의 건국을 선언했다. 동 대회 결의에 따라 국가주석직이 설치되어 국가 원수로 규정되었다.[3] 초대 국가주석에는 네오 라오 핫삿의 의장이자 라오스 인민혁명당 정치국원인 수파누봉이 취임했다.

국가주석은 원수로서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을 대표하지만, 구체적인 행정은 총리가 집행한다. 또한, 라오스는 라오스 인민혁명당에 의한 일당 독재 체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인민혁명당의 당수인 서기장이 사실상의 라오스 최고 지도자가 된다. 따라서 건국 초기의 국가주석은 의례적·명예직적인 존재였으며, 국가의 최고 권력자는 당 서기장 겸 총리인 카이손 폼비한이었다.

1991년에 동국 최초의 헌법이 제정됨에 따라, 구체적인 행정을 총리가 집행하는 상황은 변함없지만, 국가주석의 권능이 강화되어 정치적인 실권을 갖게 되자, 당 의장[4]인 카이손 폼비한이 국가주석을 겸임했다. 카이손이 1992년에 사망하자, 한때는 당 의장과 국가주석이 분리되었지만, 카이손의 뒤를 이어 당 의장에 취임했던 캄타이 시판돈1998년에 국가주석을 겸임한 이후,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최고 지도자[5]가 국가주석을 겸임하여 당·국가·군의 삼권을 집중시키고 있다.

3. 권한 및 역할

라오스의 주석은 대내외적으로 라오스를 대표하며, 국가 체제의 안정을 보장하고 국가의 독립과 영토 보전을 수호하는 역할을 한다. 라오스 주석은 라오스 국회의 동의를 얻어 라오스의 정부수상, 라오스의 부주석, 각 부 장관 및 성원 등을 임명한다.

라오스 주석은 라오인민군의 통수권자이다. 라오스는 라오스 헌법에 따라 라오인민혁명당만이 유일한 정당으로 기능하는 일당제 국가이므로, 모든 주석은 라오인민혁명당 당원으로 활동한다.

그러나 라오스는 일당제 공산주의 국가이므로, 최고 권력은 주석이 아니라 라오 인민혁명당 총비서가 가진다. 총비서는 라오스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인 정치국과 비서국을 통제하며, 이 직책을 맡은 사람이 라오스의 실질적인 지도자이다. 다만, 1998년 이후 대부분의 기간 동안 이 두 직책은 겸임되었다. 따라서 주석은 총비서직에서 대부분의 권한을 얻는다.

2003년 개정된 현행 헌법에 따른 국가 주석의 직권은 다음과 같다.

번호내용
1헌법 및 법률 공포
2국민 의회 상무위원회의 제안에 따른 국가 주석령 및 국가 주석 포고 발포
3총리 선임 또는 해임을 국민 의회에 제안
4국민 의회 결의에 따른 총리 및 장관 임면·이동
5최고 인민 법원장 제안에 따른 최고 인민 법원 부원장 임면
6최고 인민 검찰원장 제안에 따른 최고 인민 검찰원 부원장 임면
7총리 제안에 따른 각 현 지사 및 각 시 시장 임면
8라오스 인민군 수장
9총리 제안에 따른 군 및 치안 부대 장의 승진 또는 강등 결정
10필요시 정부 회의 의장
11국가 황금 훈장, 공적 훈장, 승리 훈장 및 국가 최고 명예 칭호 수여 결정
12은사 부여
13총동원령 혹은 부분 동원령 발령, 전국 혹은 일부 지역 비상사태 선언
14외국과의 조약, 협정 비준 또는 파기 공포
15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외국 주재 전권 대표자(특명 전권 대사) 임명 및 소환, 외국 전권 대표자 접수
16법률안을 국민 의회에 제안
17국민 의회 채택 법률에 대해, 채택 후 30일 이내 법률 재심의를 국민 의회에 요구 가능


4. 임기

대통령은 5년 임기로 라오스 국민의회에서 선출되며, 연임은 2번까지 가능하다.[2] 후보자는 선출되기 위해 출석 및 투표 의원의 3분의 2 이상의 지지를 얻어야 한다.[2] 1991년 헌법 제54조에 의해 임기가 5년으로 정해졌으며,[7] 2003년 개정 헌법 제66조에서는 "국민 의회의 존속 기간과 동일"(즉, 5년)로 규정되어 있다.

5. 역대 주석

순번이름출생년도 - 사망년도취임퇴임정당
1수파누봉1909년 ~ 1995년1975년 12월 2일1991년 8월 15일라오인민혁명당
푸미 봉비치트
(수파누봉의 권한 대행)
1909년 ~ 1994년1986년 10월 31일1991년 8월 15일라오인민혁명당
2카이손 폼비한1920년 ~ 1992년1991년 8월 15일1992년 11월 21일라오인민혁명당
3누하크 품사반1910년 ~ 2008년1992년 11월 25일1998년 2월 24일라오인민혁명당
4캄타이 시판돈1924년 ~1998년 2월 24일2006년 6월 8일라오인민혁명당
5추말리 사야손1936년 ~2006년 6월 8일2016년 4월 20일라오인민혁명당
6분냥 보라치트1937년 ~2016년 4월 20일2021년 3월 22일라오인민혁명당
7통룬 시술릿1945년 ~2021년 3월 22일현직라오인민혁명당



1975년 12월 1일부터 12월 2일에 걸쳐 개최된 전국인민대표자대회에서 라오는 왕정을 폐지하고 라오스 인민민주주의 공화국의 건국을 선언했다. 이 대회 결의에 따라 국가주석직이 설치되어 국가 원수로 규정되었다.[3] 초대 국가주석에는 네오 라오 핫삿의 의장이자 라오스 인민혁명당 정치국원인 수파누봉이 취임했다.

1991년에 라오스 최초의 헌법이 제정됨에 따라 국가주석의 권능이 강화되어 정치적인 실권을 갖게 되자, 당 의장[4]카이손 폼비한이 국가주석을 겸임했다. 카이손이 1992년에 사망하자 한때는 당 의장과 국가주석이 분리되었지만, 카이손의 뒤를 이어 당 의장에 취임했던 캄타이 시판돈1998년에 국가주석을 겸임한 이후, 라오스 인민혁명당의 최고 지도자[5]가 국가주석을 겸임하여 당·국가·군의 삼권을 집중시키고 있다.

6. 라오스의 부주석

1996년에 설치된 라오스의 부주석은 국가 주석을 보좌하는 관직이다. 국가 주석으로부터 위임받은 직무를 집행하며, 국가 주석 유고 시에는 국가 주석 대리가 된다. 국가 부주석은 국민 의회에서 출석 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선출된다.[1]

6. 1. 역대 부주석

ສີສະຫວາດ ແກ້ວບຸນພັນ|시사왓 깨오분판lo라오스 인민 혁명당1996년 6월
- 1998년 2월 24일누하크 품사반2오둠 카티냐
ອຸດົມ ຂັດຕິຍະ|오둠 카티냐lo--라오스 인민 혁명당1998년
- 1999년캄타이 시판돈부재(1999년-2001년)3춤말리 사이냐손
ຈູມມະລີ ໄຊຍະສອນ|춤말리 사이냐손lo--라오스 인민 혁명당2001년 3월 27일
- 2006년 6월 8일캄타이 시판돈4분냥 보라칫
ບຸນຍັງ ວໍລະຈິດ|분냥 보라칫lo--라오스 인민 혁명당2006년 6월 8일
- 2016년 4월 20일춤말리 사이냐손5판캄 비파반
ພັນຄຳ ວິພາວັນ|판캄 비파반lo--라오스 인민 혁명당2016년 4월 20일
- 2021년 3월 22일분냥 보라칫6분통 칫마니
ບຸນທອງ ຈິດມະນີ|분통 칫마니lo--라오스 인민 혁명당2021년 3월 22일
- (현직)통룬 시술릿6파니 야토투
ປານີ ຍາທໍ່ຕູ້|파니 야토투lo--


참조

[1] 웹사이트 Comparison on Salary System for Government between Lao PDR and Japan https://www.mof.go.j[...] 2019-07-18
[2] 웹사이트 Lao People's Democratic Republic 1991 (rev. 2015) https://www.constitu[...] 2024-08-18
[3] 서적 上東(1992年)、52頁、92頁。ヴォーラペット(2010年)、58頁。
[4] 문서 1991年の第5回党大会で書記長および書記局が廃止され、最高職として新たに党議長職が設置された。
[5] 문서 2006年の第8回党大会で党議長職が廃止され、再び書記長および書記局が設置された。
[6] 서적 上東(1992年)、52頁。
[7] 서적 青山(1995年)、214-226頁所収、資料(1)「ラオス人民民主共和国憲法」
[8] 문서 2003年憲法改正時に追加。
[9] 문서 ただし、国民議会が従前の議決を維持したときは、15日以内にその法律を公布しなければならない。
[10] 웹사이트 https://overseas.mof[...]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