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응우군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응우군은 태국 남부 끄라비 주 북서쪽에 위치한 군으로, 1988년 7개의 땀본으로 시작하여 행정 구역 조정 과정을 거쳐 현재 6개의 땀본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다만 해에 접해 있으며 무코펫트라 국립공원을 포함한다. 라응우군은 1개의 읍과 8개의 땀본, 80개의 무반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하며 특히 마니족이 알려져 있다. 팍 바라 심해 항만 건설 계획은 환경 문제와 지역 사회에 미치는 영향으로 논란이 있었으며, 사업 보류와 재개를 반복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뚠주의 군 - 마낭군
    마낭군은 네팔 중부 히말라야 산맥에 위치한 행정 구역으로, 티베트와 몽골의 영향을 거쳐 겐드룽 왕국에 편입된 후 네팔에 귀속되었으며, 험준한 지형으로 독특한 문화를 유지하며 티베트와의 교역과 관광 산업으로 발전했다.
  • 사뚠주의 군 - 므앙사뚠군
    므앙사뚠군은 안다만 해에 면하고 말레이시아와 국경을 접한 태국 사뚠 주의 행정 구역으로, 농업, 어업에 의존하며 국립 해양 공원과 사툰 공항 등의 특징을 가진다.
라응우군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일반 정보
공식 명칭라응우군
현지 명칭ละงู
현지 명칭 (언어)th
지리적 구분
위치사툰주
좌표북위 6° 51′ 50″, 동경 99° 48′ 9″
행정
중심지라응우
통계
총 인구 (2005년)63933명
인구 밀도168.1명/km²
면적380.35km²
우편 및 지리 코드
우편 번호91110
지리 코드9105

2. 역사

(내용 없음 - 하위 섹션에서 상세 내용을 다루므로 중복 방지를 위해 본문 생략)

2. 1. 초기 역사

라응우군은 사툰주 설치 당시부터 있던 세 개의 군 중 하나로, 초기에는 툰와군 관할의 소구(''킹 암푀'')였다. 1910년대 툰와군의 후추 생산이 감소하자 많은 주민들이 라응우 지역의 농장으로 이주했다. 1930년 정부는 이러한 경제적 변화를 고려하여 행정 구조를 개편했고, 라응우를 군으로 승격시키는 동시에 툰와군을 소구로 강등시켰다.[14]

군 승격 초기에는 7개의 ''탐본''으로 구성되었으나, 1940년에는 5개로 줄었다.[15] 이후 1978년 8월 1일, 여섯 번째 ''탐본''으로 탐본 카오카오를 신설했다.[16]

2. 2. 행정 구역 변화

라응우군은 사툰주 설치 당시부터 있던 세 개의 군 중 하나로, 처음에는 툰와군 관할의 소구였다. 1910년대 툰와군의 후추 생산이 줄어들자 많은 주민이 라응우 지역의 농장으로 이주했다. 1930년 정부는 이러한 경제 상황 변화를 고려하여 행정 구조를 개편했고, 라응우 소구를 군으로 승격시키는 대신 툰와군을 소구로 강등시켰다[1][14]

군 승격 초기 라응우군은 7개의 탐본으로 구성되었으나, 1940년에는 5개로 줄었다[2][15]。 이후 1978년 8월 1일에 여섯 번째 탐본인 카오카오가 새로 설치되었다[3][16]

3. 지리

(내용 없음)

3. 1. 위치 및 경계

라응우군은 북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퉁와군, 마낭군, 쿠안칼롱군, 타패군과 접한다. 서쪽으로는 안다만 해에 면해 있다. 이 지역 해안선의 상당 부분과 여러 섬은 무꼬페트라 국립공원의 일부를 이룬다.

3. 2. 무코펫트라 국립공원

라응우군의 해안선 상당 부분과 여러 섬은 무코펫트라 국립공원의 일부에 해당한다.

4. 행정 구역

라응우군은 6개의 땀본으로 나뉘며, 그 아래에 64개의 무반(마을)이 있다. 군에는 1개의 테사반 땀본인 캄팽이 있으며, 이는 땀본 캄팽의 일부를 관리한다. 그 외의 각 땀본은 땀본 행정 기구(TAO)에 의해 행정이 이루어진다.

4. 1. 땀본 정보

라응우군은 6개의 하위 행정 구역인 땀본(tambon)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땀본들은 다시 총 64개의 무반(muban, 마을)으로 나뉜다. 군 내에는 1개의 테사반 땀본(thesaban tambon, 읍)인 캄팽이 있으며, 이는 땀본 캄팽의 일부 지역을 관할한다. 그 외 6개의 땀본은 각각의 땀본 행정 기구(TAO)에 의해 관리된다.

라응우군의 땀본 목록
번호이름태국어 이름마을 수인구
1.캄팽กำแพงtha1216,915
2.라응우ละงูtha1819,796
3.카오 카오เขาขาวtha76,020
4.팍 남ปากน้ำtha119,757
5.남 풋น้ำผุดtha67,982
6.램 손แหลมสนtha103,463


5. 민족

라응우군에는 소수 민족인 마니족이 거주한다.[4]

5. 1. 마니족

마니족은 말레이 반도 북부에서 이주한 네그리토 계열 민족 집단으로, 라응구군 남풋 땀본의 반탇 산맥에 거주한다.[4]

6. 팍 바라 심해 항만

라응우군 팍 바라 지역에 심해항을 건설하려는 계획은 20년 이상 논의되어 왔으며, 정부에 의해 검토, 폐기, 부활이 반복되었다.[5] 이 항만은 태국만의 송클라 항만과 연결되어 연간 825,000 TEU의 화물[6] 및 초대형 유조선을 처리하고, 말라카 해협을 우회하는 새로운 물류 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총 면적 약 4,734 라이(757ha) 규모의 이 대형 프로젝트는[5][7] 쁘라윳 짠오차 총리 재임 시절 강력하게 추진되었으나,[8] 펫트라 섬 국립공원 침해 등 심각한 환경 파괴 우려와 지역 주민들의 거센 반대에 부딪혔다.[9][10] 이러한 갈등 속에 환경 평가 절차가 지연되고,[5][6] 2018년에는 사업이 잠정 보류되기도 했으나[11] 정치적 논란 끝에 다시 재개되었다.[12][13]

6. 1. 배경 및 계획

라응우군 팍 바라에 심해항을 건설하려는 계획은 20년 넘게 정부의 검토와 폐기, 부활을 반복해 왔다.[5] 이 항만은 태국만의 송클라에 있는 항만과 연결될 예정이며, 연간 825,000 TEU의 화물[6]과 초대형 유조선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완공 시 선박들은 해적 공격 위험이 있는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지 않고도 라엠 차방이나 방콕의 심해 항만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항만 건설 계획에는 폭 430m, 길이 1km의 인공 섬을 만들고, 해안에서 약 4km 떨어진 292 라이 면적의 지역을 다리로 연결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도로, 항만 시설, 철도 건설을 포함한 이 프로젝트의 총 면적은 약 4,734 라이(757ha)에 달한다.[5][7]

2014년 4월 17일, 당시 쁘라윳 짠오차 총리는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이 프로젝트를 다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8] 그는 이 항만이 태국과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안다만 해의 관문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프로젝트로 피해를 입는 사람들을 정부가 도울 것이라고 덧붙였다.[8]

그러나 이 계획은 환경 단체와 많은 지역 주민들의 격렬한 반대에 부딪혔다. 주민들은 해상 교통 증가, 오염, 물류 및 석유 관련 활동으로 인한 환경 파괴를 우려한다. 특히 심해 항만과 항로가 지역 주민들의 식량원이자 관광 수입원인 펫트라 섬 국립공원을 침해한다는 점이 주요 반대 이유이다.[9] 항만 건설은 국립 공원 일부의 보호 구역 지위 해제를 의미하기 때문이다.[10]

환경 평가 절차는 오랜 기간 진행되었다. 2003년에 시작된 전략 환경 평가(SEA)는 5000만태국 밧의 비용으로 2016년 4월 제출될 예정이었다.[5] 환경 영향 평가(EIA)는 2009년 6월 완료 및 승인되었으며, 이후 프로젝트 소유주인 해양부는 1.18억태국 밧 예산을 투입하여 환경 및 건강 영향 평가(EHIA)를 2015년 3월부터 수행하도록 지시받았다.[6]

2018년 7월, 태국 교통부는 97억태국 밧 규모의 이 프로젝트를 "주민과 정부 관리 간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보류한다고 발표했다.[11] 항만 건설에는 펫트라 해양 국립공원 인근 약 7,400 라이의 토지 수용이 필요했는데, 정부 소식통은 지역 주민들의 참여 거부로 환경 영향 평가 및 공청회 진행이 어려워 프로젝트를 보류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11] 하지만 이 결정은 2019년 선거를 앞두고 정부가 일련의 홍보 실패 이후 인기를 회복하려는 정치적 술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방콕 포스트''는 사설에서 "태국에서 '보류'는 시간을 벌기 위한 동의어이며, 대부분의 논란 많은 프로젝트는 대중의 관심이 사라진 후에 다시 나타난다"고 지적했다.[12] 이러한 예측대로, 프로젝트는 2019년 12월 다시 부활했다.[13]

6. 2. 환경 및 지역 사회 영향

팍 바라 심해 항만 건설 계획은 20년 넘게 정부의 검토, 폐기, 부활을 반복해 왔다.[5] 이 항만은 태국만의 송클라 항만과 연결되어 연간 825,000 TEU의 화물[6]과 초대형 유조선을 처리할 목적으로 계획되었다. 이를 통해 선박들은 해적 출몰 위험이 있는 말라카 해협을 통과하지 않고도 라엠 차방이나 방콕의 심해 항만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항만 건설 계획에는 폭 430m, 길이 1km의 인공 섬을 만들고, 해안에서 약 4km 떨어진 292 라이 면적의 지역을 다리로 연결하는 내용이 포함된다. 도로, 항만 시설, 철도 건설까지 포함하면 총 필요 면적은 약 4,734 라이에 달한다.[5][7]

2014년 4월 17일, 당시 쁘라윳 짠오차 총리는 텔레비전 연설을 통해 다시 한번 이 프로젝트 추진 의사를 밝혔다.[8] 그는 이 항만이 태국과 유럽, 중동, 아프리카를 연결하는 안다만해의 중요한 관문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이 지역의 갈등을 멈추기를 바랍니다. 정부는 이 프로젝트로 인해 피해를 입는 사람들을 도울 것입니다."라고 말했다.[9] 그러나 이 프로젝트는 환경 단체와 다수의 지역 주민들로부터 격렬한 반대에 직면했다. 주민들은 증가할 해상 교통량, 물류 및 석유 관련 활동으로 인한 오염이 지역 환경을 심각하게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특히, 항만 건설 예정지와 항로는 지역 주민들의 식량 확보 및 관광 수입의 원천인 펫트라 섬 국립공원을 침해하게 되며,[9] 이로 인해 국립공원 일부가 보호 구역 지위를 잃게 될 것이라는 우려가 크다.[10]

환경 평가 과정 역시 논란과 지연을 겪었다. 2003년에 시작된 전략 환경 평가(SEA)는 5000만태국 밧의 비용이 투입되었으나 2016년 4월에야 제출될 예정이었다.[5] 환경 영향 평가(EIA)는 2009년 6월에 완료되어 승인되었지만, 프로젝트 소유주인 해양부는 추가로 1.18억태국 밧의 예산을 들여 환경 및 건강 영향 평가(EHIA)를 수행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이는 2015년 3월에 시작되었다.[6]

결국 2018년 7월, 태국 교통부는 97억태국 밧 규모의 이 프로젝트를 "...주민과 정부 관리 간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 보류한다고 발표했다.[11] 항만 건설에는 펫트라 해양 국립공원 인근 약 7,400 라이의 토지 수용이 필요했는데, 정부 관계자는 "...지역 주민들이 일반적으로 참여를 거부하기 때문에 환경 영향 평가 및 공청회를 진행할 수 없으므로 이 프로젝트를 보류할 때가 되었다..."고 설명했다.[11] 그러나 이러한 결정은 당시 정부의 지지율 하락과 맞물려, 2019년 선거를 앞두고 민심을 달래기 위한 정치적 술책이라는 비판을 즉각적으로 받았다. ''방콕 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태국에서 '보류'는 시간을 벌기 위한 동의어이며, 대부분의 논란이 많은 프로젝트는 대중의 관심이 사라진 후에 다시 나타난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진정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2] 실제로 ''방콕 포스트''의 예측대로, 이 프로젝트는 2019년 12월에 다시 추진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13]

6. 3. 사업 보류 및 재개

2018년 7월, 태국 교통부는 97억태국 밧 규모의 팍 바라 심해 항만 건설 프로젝트를 보류한다고 발표했다.[11] 공식적인 이유는 "...주민과 정부 관리 간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였지만,[11] 실제 배경으로는 펫트라 섬 국립공원 인근 약 7,400 라이의 토지 수용 문제와 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환경 영향 평가(EIA) 및 공청회를 진행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되었다.[11]

이러한 결정은 당시 여러 홍보 실패를 겪던 정부가 2019년 태국 총선거를 앞두고 인기를 회복하기 위한 정치적 술책이라는 의혹을 즉시 불러일으켰다. 유력 언론인 ''방콕 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태국에서 '보류'는 시간을 벌기 위한 동의어이며, 대부분의 논란이 많은 프로젝트는 대중의 관심이 사라진 후에 다시 나타난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결정 과정 투명성에 의문을 제기했다.[12]

''방콕 포스트''의 예측대로, 이 프로젝트는 2019년 12월에 다시 추진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13] 이는 대규모 개발 사업을 둘러싼 사회적 합의 과정의 어려움과 정부 정책 결정의 신뢰성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로 평가된다.

참조

[1] 간행물 ประกาศกระทรวงมหาดไทย เรื่อง ย้ายสับเปลี่ยนที่ว่าการอำเภอ https://web.archive.[...] 1930-09-14
[2] 웹사이트 ข้อมูลทั่วไป http://la-ngu.satun.[...] La-ngu police station
[3] 간행물 ประกาศกระทรวงมหาดไทย เรื่อง ตั้งและเปลี่ยนแปลงเขตตำบลในท้องที่อำเภอละงู จังหวัดสตูล https://web.archive.[...] 1978-09-12
[4] 뉴스 Sea gypsies want a chance to settle down https://www.bangkokp[...] 2017-12-23
[5] 뉴스 Prajin sets deadline for Pak Bara port plan http://www.bangkokpo[...] 2015-05-12
[6] 뉴스 Protesters celebrate as public hearing on proposed Pak Bara seaport is cancelled http://www.nationmul[...] 2017-03-17
[7] 뉴스 Rally blocks deep-sea port public hearing http://www.bangkokpo[...] 2017-03-17
[8] 뉴스 PM intends to pursue Pak Bara seaport project http://www.nationmul[...] 2015-04-19
[9] 웹사이트 Mu Ko Phetra National Park https://web.archive.[...] 2015-04-19
[10] 뉴스 PM under fire for reviving Pak Bara port http://www.bangkokpo[...] 2015-04-19
[11] 뉴스 Pak Bara port plans shelved, source says https://www.bangkokp[...] 2018-07-19
[12] 뉴스 Pak Bara port delay move raises doubts https://www.bangkokp[...] 2018-07-22
[13] 뉴스 Govt to push ahead with unpopular Satun, Songkhla deep-sea ports https://www.bangkokp[...] 2019-12-03
[14] 간행물 ประกาศกระทรวงมหาดไทย เรื่อง ย้ายสับเปลี่ยนที่ว่าการอำเภอ http://www.ratchakit[...] 1930-09-14
[15] 웹사이트 La-ngu police station"ข้อมูลทั่วไป" http://la-ngu.satun.[...]
[16] 간행물 ประกาศกระทรวงมหาดไทย เรื่อง ตั้งและเปลี่ยนแปลงเขตตำบลในท้องที่อำเภอละงู จังหวัดสตูล http://www.ratchakit[...] 1978-09-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