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자사 왕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자사 왕조는 1222년부터 1498년까지 존재했던 왕조로, 싱하사리 왕조(1222-1292)와 마자파힛 왕조(1293-1498)로 구성된다. 싱하사리 왕조는 켄 아록에 의해 시작되어 케르타네가라까지 이어졌으며, 마자파힛 왕조는 라덴 위자야에 의해 건국되었다. 마자파힛 왕조는 자야네가라,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하얌 우룩 등을 거쳐 기린드라와르다나까지 이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자사 왕조 | |
---|---|
개요 | |
국가 | 인도네시아 |
존속 기간 | 1222년 ~ 1478년 |
별칭 | 싱아사리-마자파히트 왕조 동자와 왕조 |
위치 | 자바 |
수도 | 쿠타라자 (1222년~1293년) 마자파히트 (1293년~1478년) |
역사 | |
설립 | 1222년 |
멸망 | 1478년 |
중요 사건 | 1222년: 앙록 전투 1293년: 마자파히트 건국 1309년~1328년: 자야나가라 왕의 통치 1350년~1389년: 하얌 우루크 왕의 통치 1478년: 브레 케르타부미의 패배 |
이전 | |
국가 | 케디리 왕국 |
이후 | |
국가 | 데마크 술탄국 |
정치 | |
정부 | 군주제 |
왕조 | 라자사 왕조 |
역대 군주 | |
1대 왕 | 스리 랑가라자사 (1222년~1227년) |
마지막 왕 | 브레 케르타부미 (1468년~1478년) |
2. 싱하사리 왕조 (1222-1292)
켄 아록이 싱하사리 왕국(1222년~1292년)을 건국하면서 라자사 왕조가 시작되었다. 싱하사리 왕조의 역대 왕은 다음과 같다.[8]
- 켄 아록 (1222-1227)
- 아누사파티 (1227-1248)
- 판지 토자야 (1248)
- 비슈누와르다나-나라심하무르티 (1248-1268)
- 케르타네가라 (1268-1292)
2. 1. 켄 아록 (1222-1227)
켄 아록(1222년 ~ 1227년)은 싱하사리 왕국을 세운 왕이다.[8] 켄 아록은 켄 우망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스리 랑가 라자사라는 이름을 가졌다. 그는 1222년부터 1227년까지 재위했다.[8]
2. 2. 아누사파티 (1227-1248)
켄 아록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오른 아누사파티는 1227년부터 1248년까지 재위하였다.[8] 그는 켄 아록의 친아들은 아니었으나, 켄 아록의 전 부인이었던 켄 데데스의 아들이었다. 아누사파티는 아버지 퉁굴 아메퉁을 살해한 켄 아록에게 복수하기 위해 자신의 의붓아들인 판지 토자야를 시켜 켄 아록을 살해했다.[8]2. 3. 판지 토자야 (1248)
판지 토자야는 켄 아록과 켄 우망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로, 1248년에 싱가사리 왕국의 왕위에 올랐다.[8] 그의 재위 기간은 매우 짧았다.2. 4. 비슈누와르다나-나라심하무르티 (1248-1268)
Vishnuwardhana-Narasimhamurtiid (1248-1268)는 싱가사리 왕국의 왕이다.[8]2. 5. 케르타네가라 (1268-1292)
싱가사리 왕국의 마지막 왕인 케르타네가라(1268년 ~ 1292년)는 비슈누와르다나-나라심하무르티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8]3. 마자파힛 왕조 (1293-1498)
마자파힛 왕조는 라덴 위자야가 1293년에 건국하여 1498년까지 이어진 왕조이다.[8]
통치자 | 재위 기간 |
---|---|
라덴 위자야 | 1293년 ~ 1309년 |
자야네가라 | 1309년 ~ 1328년 |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 1328년 ~ 1350년 |
하얌 우룩 | 1350년 ~ 1389년 |
위크라마와르다나 | 1389년 ~ 1429년 |
수히타 | 1429년 ~ 1447년 |
케르타위자야 | 1447년 ~ 1451년 |
라자사와르다나 | 1451년 ~ 1453년 |
기리샤와르다나 | 1456년 ~ 1466년 |
수라프라바와 | 1466년 ~ 1474년 |
기린드라와르다나 | 1474년 ~ 1498년 |
- '''라덴 위자야''' (1293-1309): 마자파힛 제국의 초대 국왕[8]
- '''자야네가라''' (1309-1328): 라덴 위자야의 아들[8]
-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1328-1350, 섭정 여왕): 라덴 위자야의 딸이자 하얌 우룩의 어머니[8]
- '''하얌 우룩''' (1350-1389): 마자파힛 제국의 전성기를 이끈 왕[8]
- '''위크라마와르다나''' (1389-1429): 하얌 우룩의 사위이자 후계자[4]
- '''수히타''' (1429-1447, 섭정 여왕): 위크라마와르다나의 딸[4]
- '''케르타위자야''' (1447-1451): 위크라마와르다나의 아들[4]
- '''라자사와르다나''' (1451-1453): 케르타위자야의 후계자, 3년간 공위 시대[4]
- '''기리샤와르다나''' (1456-1466): 라자사와르다나의 후계자[4]
- '''수라프라바와''' (1466-1474): 기리샤와르다나의 후계자[4]
- '''기린드라와르다나''' (1474-1498): 마자파힛 제국의 마지막 왕[4]
3. 1. 라덴 위자야 (1293-1309)
라덴 위자야는 마자파힛 제국의 초대 국왕으로, 1293년부터 1309년까지 재위하였다.[8] 그는 싱하사리 왕국의 마지막 왕인 케르타네가라의 사위였다.
라덴 위자야는 인드레스와리와 가야트리 라자파트니를 아내로 두었다. 그의 아들 자야네가라는 이후 마자파힛 제국의 왕위를 계승하였다.
3. 2. 자야네가라 (1309-1328)
라덴 위자야의 아들인 자야네가라[8]는 1309년부터 1328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다스렸다. 자야네가라는 스리 순다라판디야 데와 아디스와라(Sri Sundarapandya Dewa Adhiswara)라는 공식 칭호를 사용했다.[4] 그는 다라 페탁의 아들이었다.3. 3.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 (1328-1350)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는 자야네가라의 뒤를 이어 1328년부터 1350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다스린 섭정 여왕이다.[8] 그녀는 라덴 위자야와 가야트리 라자파트니의 딸이자, 하얌 우룩의 어머니이다.
그녀의 통치 기간은 마자파힛 제국의 확장기로, 1331년에는 가자 마다의 도움을 받아 반란을 진압하고 권력을 공고히 하였다. 1343년에는 마자파힛 군대가 발리 섬을 정복하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는 아들인 하얌 우룩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1350년에 통치를 마감하였다.
3. 4. 하얌 우룩 (1350-1389)
하얌 우룩은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와 차크라다라(Cakradhara) 사이에서 1334년에 태어났다.[8] '스리 라자사나가라'(Sri Rajasanagara)라는 칭호를 가졌다.[8] 그의 통치 기간은 인도네시아 역사에서 마자파힛 제국의 전성기로 널리 알려져 있다.1350년, 하얌 우룩은 어머니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8] 1389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통치하였으며, 그의 통치 기간 동안 마자파힛은 그 세력과 영토가 정점에 달했다.[8] 그의 뒤를 이어 위크라마와르다나가 왕위를 계승했다.
3. 5. 위크라마와르다나 (1389-1429)
위크라마와르다나는 하얌 우룩의 사위이자 후계자로, 1389년부터 1429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통치했다. 그의 통치 기간은 마자파힛 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기록된다.[4]3. 6. 수히타 (1429-1447)
수히타는 1429년부터 1447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다스린 섭정 여왕이다. 위크라마와르다나의 딸이자 하얌 우룩의 손녀인 수히타는 아버지의 뒤를 이어 마자파힛 제국의 여섯 번째 통치자가 되었다.수히타의 통치 기간은 마자파힛 제국의 역사에서 중요한 시기로 기록된다.
3. 7. 케르타위자야 (1447-1451)
케르타위자야는 1447년부터 1451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의 왕이었다. 그는 위크라마와르다나의 아들이자 수히타의 후계자였다. 그의 공식적인 칭호는 스리 위자야 파라크라마와르다나였다.3. 8. 라자사와르다나 (1451-1453)
라자사와르다나는 1451년부터 1453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다스린 왕이다. 케르타위자야의 후계자이자 기리샤와르다나의 전임자였다. 그의 사후 3년 동안 왕위가 공석 상태였다.[4]3. 9. 기리샤와르다나 (1456-1466)
기리샤와르다나는 1456년부터 1466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통치한 왕이다. 그는 라자사와르다나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재위 기간은 10년이었다. 기리샤와르다나 사후 수라프라바와가 왕위를 계승했다.[4]3. 10. 수라프라바와 (1466-1474)
수라프라바와(싱하위크라마와르다나)는 1466년부터 1474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통치한 왕이다. 그는 기리샤와르다나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으며, 기린드라와르다나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4]3. 11. 기린드라와르다나 (1474-1498)
기린드라와르다나는 1474년부터 1498년까지 마자파힛 제국을 통치한 왕이다. 그는 라자사 왕조의 일원이었으며, 그의 통치 기간은 마자파힛 제국의 후반기에 해당한다.4. 라자사 왕조 계보도
참조
[1]
웹사이트
Rajasa Dynasty
http://www.eastjava.[...]
East Java.com
2010-07-25
[2]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0-07-25
[3]
웹사이트
Rajasa
http://sanskritdicti[...]
Sanskrit dictionary
[4]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5]
웹인용
Rajasa Dynasty
http://www.eastjava.[...]
East Java.com
2010-07-25
[6]
서적
Southeast Asia: a historical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Bloomsbury Academic
2010-07-25
[7]
웹인용
Rajasa
http://sanskritdicti[...]
Sanskrit dictionary
[8]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