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라덴 위자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덴 위자야는 여러 설이 존재하는 혈통을 가지고 있으며, 싱하사리 왕국의 왕자였다는 설, 순다-갈루 왕국의 왕자와 싱하사리 왕국의 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 등이 있다. 그는 1289년 쿠빌라이 칸의 사신을 모욕한 사건 이후 싱하사리 왕국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아리아 위라라자와 함께 마두라로 피신하여 새로운 왕국을 건설하려 했다. 1292년 원나라 군대와 연합하여 케디리 왕국을 공격하고 멸망시킨 후, 몽골군을 공격하여 자바에서 몰아낸 뒤 마자파힛 왕국을 건국하고 크리타라자사 자야바르다나라는 칭호를 사용했다. 라덴 위자야는 유능한 군주로서 정치를 펼쳤으며, 아리아 위라라자를 중용하고, 7명의 근위병을 조직했다. 그는 케르타나가라의 딸들과 결혼하여 자신의 정통성을 강화했으며, 다라 페탁을 멜라유 왕국에서 데려오기도 했다. 라덴 위자야는 1309년에 사망했으며,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자야네가라가 왕위를 계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라덴 위자야 - [인물]에 관한 문서
통치
작위마자파힛 제국의 마하라자
재위 기간1293년 – 1309년
이전없음
계승자자야네가라
왕조
가문라자사 왕조
가문 유형왕조
개인 정보
출생일알 수 없음
출생지알 수 없음
사망일1309년
사망 장소마자파힛 왕국
매장 장소블리타르 리젠시 심핑 사원
매장 날짜알 수 없음
가족 관계
아버지디야 렘부 탈
배우자라자파트니 가야트리
트리부와네스와리
나렌드라두히타
프라즈나파라미타
인드레스와리
배우자 유형배우자
자녀트리부와나, 마자파힛 제3대 여왕
자야나가라, 마자파힛 제2대 왕
라자데위 마하라자사, 다하 제2 공주
종교
종교힌두교

2. 혈통

라덴 위자야의 혈통에 대해서는 몇 가지 설이 존재한다.

파라라톤, 푸스타카 라쟈라쟈 이 부미 누산타라, 나가라크레타가마 등의 기록에 따르면, 라덴 위자야는 싱하사리 왕국의 왕자 마히사 캄파카의 아들이거나, 순다-갈루 왕국의 국왕 프라부 구루 다르마시크사의 아들 라케얀 자야다르마와 싱하사리 왕국 마히사 캄파카의 딸 디야 렘부 탈의 아들, 혹은 디야 싱하무르티로도 알려진 디야 렘부 탈의 아들이라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2. 1. 파라라톤 기록

파라라톤에 따르면, 라덴 위자야는 싱하사리 왕국의 왕자 마히사 캄파카의 아들이다.[4]

2. 2. 푸스타카 라쟈라쟈 이 부미 누산타라 기록

17세기 이후의 문헌인 푸스타카 라쟈라쟈 이 부미 누산타라(Pustaka Rajyarajya i Bhumi Nusantara)에 따르면, 라덴 위자야는 순다-갈루 왕국(Sunda-Galuh kingdom)의 국왕 프라부 구루 다르마시크사(Prabu Guru Darmasiksa)의 아들 라케얀 자야다르마(Rakeyan Jayadarma)와 싱하사리 왕국 마히사 캄파카의 딸 디야 렘부 탈(Dyah Lembu Tal)의 아들이었다. 라케얀 자야다르마는 독살되었고, 이후 디야 렘부 탈은 아들 라덴 위자야와 함께 순다-갈루 왕국에서 친정인 싱하사리 왕국으로 돌아갔다. 이 이야기는 순다 왕국 파자자란의 왕자 자카 세수루(Jaka Sesuruh)가 마자파힛의 창립자라는 바바트 타나 자위(Babad Tanah Jawi)의 이야기와 유사하다. 자카 세수루는 이복 형제 시융 와나라와의 경쟁 때문에 동쪽으로 도망갔다.[4][5]

2. 3. 나가라크레타가마 기록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디야 싱하무르티(Dyah Singhamurti)로도 알려진 디야 렘부 탈은 남성이었으며, 싱하사리 왕국의 국왕 켄 아록(1222~1227)과 왕비 켄 데데스의 증손자이자, 마히사 웡아 텔렝의 손자이자, 마히사 캄파카 혹은 나라 싱하무르티의 아들이었다. 나가라크레타가마는 라덴 위자야가 사망한 지 56년 뒤인 1365년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나가라크레타가마의 기록을 따르는 것이 중론이다.[4]

3. 마자파힛 건국 이전

1289년, 쿠빌라이 칸싱하사리 왕국에 조공을 요구하는 사절단을 보냈으나 국왕 케르타나가라는 이를 거절했고, 사신은 귀를 잘리는 모욕을 당했다.[6] 그 직후, 마디운의 겔랑겔랑 공작령에서 자야카트왕이 싱하사리에 대항하는 반란을 일으켰다. 1292년, 케르타나가라는 반란 진압 시도 중 살해되었고, 라덴 위자야는 아리아 위라라자와 함께 마두라 수메넵으로 피신했다. 라덴 위자야는 새로운 왕국을 세울 계획을 세웠고, 아리아 위라라자에게 케디리 왕국을 무너뜨리는 것을 도와주면 자바를 함께 다스리겠다고 약속했다.[7]

마자파힛이라는 이름은 타릭 숲에 쓴맛이 나는 마자(mojo) 열매가 많았기 때문에 붙여졌다. 라덴 위자야는 1293년, 마자파힛 왕국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아리아 위라라자는 '라크리얀 만트리 아리아 위라라자 마카프라무카'라는 칭호를 받고 마자파힛의 파상구한(군벌)으로 임명되었다.[7]

3. 1. 싱하사리 왕국의 혼란

1289년, 쿠빌라이 칸싱하사리 왕국에 조공을 요구했으나, 국왕 케르타나가라는 이를 거부하고 사신의 귀를 잘라 모욕을 주었다.[6] 그 직후, 마디운 겔랑겔랑 공국에서 자야카트왕이 반란을 일으켰다. 1292년, 케르타나가라는 반란을 진압하려다 살해되었고, 라덴 위자야는 아리아 위라라자와 함께 마두라 수메넵으로 피신했다. 위자야는 아리아 위라라자에게 케디리 왕국을 무너뜨리는 것을 도와주면 자바를 나누어 통치하겠다고 약속했다.[7]

위라라자의 아들 랑갈라웨는 위자야의 군벌(세나파티) 중 한 명이었으나, 이후 새로운 왕에게 반란을 일으켰다.[7] 렘부 소라와 남비 역시 마자파힛 건국 이후 위자야에게 반란을 일으켰는데, 이들은 자신들의 지위에도 불구하고 불만을 품었기 때문이다.[8][9] 1295년에 처음 기록된 랑갈라웨의 반란에서, 랑갈라웨는 마자파힛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탐박 베라스 강에서 마히사 아나브랑에게 죽었다. 1301년에 발생한 렘부 소라의 반란에서, 렘부 소라와 그의 추종자 주루 데뭉, 가자 비루는 전투에서 사망했다. 남비의 반란은 자야네가라 왕 시대에 발생하여 1316년에 진압되었다.[10]

3. 2. 라덴 위자야의 피신과 복수 계획

1289년, 쿠빌라이 칸은 싱하사리 왕국에 조공을 요구했으나, 싱하사리의 국왕 케르타나가라는 이를 거부하고 사신의 귀를 잘라 굴욕을 안겼다.[6] 그 직후, 마디운(현재의 마디운)의 겔랑겔랑 공국에서 자야카트왕이 이끄는 싱하사리 반란이 일어났다. 커르타나가라는 1292년 반란 진압을 시도하다가 살해되었고, 라덴 위자야는 그 지역의 지사인 아리아 위라라자와 함께 마두라의 수메넵으로 도망쳤다. 그곳에서 라덴 위자야는 새로운 왕국을 세울 계획을 세웠다. 위자야는 아리아 위라라자에게 자야카트왕의 가디리 왕국을 타도하는 데 도움을 주면 자바 섬을 나눠 갖겠다고 약속했다.[7]

젊은 시절 위라라자는 라덴 위자야의 조부인 나라싱가무르티를 섬겼기에, 그는 왕자의 자야카트왕 타도를 기꺼이 도왔다. 라덴 위자야는 장인의 왕위를 되찾는 데 성공하면 권력을 자신과 위라라자에게 나누어 갖겠다고 맹세했다. 1293년, 몽골군이 1289년 쿠빌라이 칸의 사신을 모욕한 커르타나가라를 응징하기 위해 왔다. 커르타나가라의 상속자인 라덴 위자야는 자야카트왕에게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받는 대가로 자신을 넘겨줄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래서 몽골군과 마자파힛군은 연합하여 가디리의 수도를 침공했다. 그때 가디리 왕국은 멸망했다. 이어서 라덴 위자야는 위라라자의 조언에 따라 가디리 왕국을 정복한 승리에 도취된 몽골군을 공격했다. 결국 위라라자는 다양한 전술로 라덴 위자야가 몽골군을 물리치도록 이끌었다. 이것이 라덴 위자야가 권력을 잡고 나중에 마자파힛 왕국이 된 타릭(트로울란, 모조케르토)을 중심지로 삼은 출발점이었다.[7]

4. 마자파힛의 건국

1292년 11월, 몽골군은 케르타나가라가 원나라 사신에게 모욕을 준 것에 대한 보복을 위해 동자와 투반에 상륙하였다. 그러나 케르타나가라는 이미 자야카트왕이 일으킨 반란으로 사망한 상태였다. 라덴 위자야는 우선 몽골군과 동맹을 맺고 자바의 최강 국가였던 케디리 왕국을 공격했다. 1293년 자야카트왕은 패배했고 케디리 왕국은 멸망했다. 이때 라덴 위자야는 창끝을 돌려 몽골군을 공격했다. 몽골군은 이미 열대병과 기후로 인해 약화된 상태였기 때문에 자바에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15] 라덴 위자야는 이후 마자파힛 왕국을 세웠고 크리타라자사 자야바르다나(Kritarajasa Jayavardhana)라는 칭호를 얻었다.[16]

4. 1. 원나라 군대와의 연합과 배신

1292년 11월, 원나라 군대가 케르타나가라가 원나라 사신을 모욕한 것에 대한 보복으로 동자와 투반에 상륙했다.[11] 그러나 케르타나가라는 이미 자야카트왕이 일으킨 반란으로 사망한 상태였다. 라덴 위자야는 우선 원나라 군대와 동맹을 맺고 자바의 최강 국가였던 케디리 왕국을 공격했다. 1293년 자야카트왕은 패배했고 케디리 왕국은 멸망했다.[15]

이때 라덴 위자야는 창끝을 돌려 원나라 군대를 공격했다. 원나라 군대는 이미 열대병과 기후, 그리고 제국주의적 과잉 확장으로 약화된 상태였기 때문에 자바에서 퇴각할 수밖에 없었다.[11] 이후 라덴 위자야는 마자파힛 왕국을 세웠고 크리타라자사 자야바르다나(Kritarajasa Jayavardhana)라는 칭호를 얻었다.[12][16]

4. 2. 마자파힛 제국 선포

1292년 11월, 원나라 군대가 케르타나가라가 원나라 사신을 모욕한 것에 대한 보복을 목적으로 동자와의 투반에 상륙했다.[11] 그러나 케르타나가라는 이미 사망한 상태였다. 라덴 위자야는 우선 몽골군과 동맹을 맺고 자바의 최강 국가 케디리를 공격하였다. 1293년 자야카트왕은 패배하였고 파멸하였다. 이때 라덴 위자야는 창끝을 돌려 몽골군을 공격하였다. 몽골군은 이미 열대병과 기후로 인하여 기세가 꺾인 상태에서 자바를 떠날 수 밖에 없었다.[15] 라덴 위자야는 이후 마자파힛 왕국을 세웠고 크리타라자사 자야바르다나(Kritarajasa Jayavardhana)라는 칭호로 불렸다.[16]

1289년, 쿠빌라이 칸은 싱하사리 왕국에 조공을 요구했으나, 싱하사리의 국왕 커르타나가라는 이를 거부하고 사신의 귀를 잘라 굴욕을 안겼다.[6] 그 직후, 마디운의 겔랑겔랑 공국에서 자야카트왕이 이끄는 싱하사리 반란이 일어났다. 커르타나가라는 1292년 반란 진압을 시도하다가 살해되었고, 라덴 위자야는 아리아 위라라자와 함께 마두라의 수메넵으로 도망쳤다. 그곳에서 라덴 위자야는 새로운 왕국을 세울 계획을 세웠다. 위자야는 아리아 위라라자에게 자야카트왕의 가디리 왕국을 타도하는 데 도움을 주면 자바 섬을 나눠 갖겠다고 약속했다. 1293년, 몽골군이 1289년 쿠빌라이 칸의 사신을 모욕한 커르타나가라를 응징하기 위해 왔다. 커르타나가라의 상속자인 라덴 위자야는 자야카트왕에게서 벗어나는 데 도움을 받는 대가로 자신을 넘겨줄 준비가 되어 있었다. 그래서 몽골군과 마자파힛군은 연합하여 가디리의 수도를 침공했고, 가디리 왕국은 멸망했다. 이어서 라덴 위자야는 위라라자의 조언에 따라 가디리 왕국을 정복한 승리에 도취된 몽골군을 공격했다. 결국 위라라자는 다양한 전술로 라덴 위자야가 몽골군을 물리치도록 이끌었다. 이것이 라덴 위자야가 권력을 잡고 나중에 마자파힛 왕국이 된 타릭(트로울란, 모조케르토)을 중심지로 삼은 출발점이었다. 마자파힛이라는 이름은 타릭 숲 지역에 쓴맛이 나는 마자(mojo) 열매가 많았기 때문에 생겨났다. 라덴 위자야는 1293년 독립한 마자파힛 왕국의 초대 국왕이 되었다. 아리아 위라라자는 '라크리얀 만트리 아리아 위라라자 마카프라무카'라는 칭호를 받고 마자파힛의 파상구한/세나파티(군벌)로 임명되었다.[7]

5. 통치(1293년–1309년)

라덴 위자야는 굳건하고 유능한 군주였다. 왕국 건립에 큰 공을 세운 아리아 위라라자에게는 마두라 섬과 루마장(Lumajang) 주변 자치 구역, 블람방안 반도(Blambangan Peninsula)를 주었고, 그의 아들 남비(Nambi)는 재상에 임명되었다. 라덴 위자야는 라 쿠티(Ra Kuti), 라 세미(Ra Semi), 라 탄카(Ra Tanca), 라 웨뎅(Ra Wedeng), 라 유유(Ra Yuyu), 라 바냑(Ra Banyak), 라 팡사(Ra Pangsa) 7명으로 구성된 근위병을 조직하였다.

5. 1. 정치 및 행정 정책

라덴 위자야는 굳건하고 유능한 군주였다. 왕국 건립 시기에 큰 공을 세운 아리아 위라라자에게는 마두라 섬과 함께 특별한 지위가 주어졌다. 또한 아리아 위라라자는 루마장 주변 자치 구역과 블람방안 반도 지역을 할양받았고, 그의 아들 남비(Nambi)는 재상에 임명되었다. 라덴 위자야는 라 쿠티(Ra Kuti), 라 세미(Ra Semi), 라 탄카(Ra Tanca), 라 웨뎅(Ra Wedeng), 라 유유(Ra Yuyu), 라 바냑(Ra Banyak), 라 팡사(Ra Pangsa) 등 7명으로 구성된 특별 왕실 근위대를 편성했다.

5. 2. 내부 반란 진압

라덴 위자야는 굳건하고 유능한 군주였다. 왕국 건립에 큰 공을 세운 아리아 위라라자에게는 마두라 섬과 루마장 주변 자치 구역, 블람방안 반도를 주었고, 그의 아들 남비(Nambi)는 재상에 임명되었다.[7] 그러나 아리아 위라라자의 아들 랑갈라웨는 위자야의 공작으로 봉직했지만, 후에 새 국왕에게 반기를 들었다. 다른 유명한 장교들인 렘부 소라와 남비도 마자파힛 왕국 건국 후 각각 위자야에 반기를 들었다. 이들은 지위를 얻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만을 품었기 때문에 반란을 일으켰다.[8][9]

1295년에 처음 기록된 랑갈라웨의 반란에서, 랑갈라웨는 마자파힛 왕국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탐박 베라스 강에서 마히사 아나브랑의 손에 죽었다. 1301년에는 렘부 소라의 반란이 발생했다. 마자파힛군과 렘부 소라 추종자들 사이의 전투는 피할 수 없었고, 렘부 소라와 그의 추종자 주루 데뭉과 가자 비루는 이 전투에서 사망했다. 남비의 반란은 자야네가라 왕 시대에 발생했는데, 1316년에 진압되었다.[10]

6. 개인 생애

조지 코에데스에 의하면, 싱하사리 왕국 몰락에 앞서 위자야는 케르타나가라의 딸 가야트리 라자파트니와 결혼하였다. 그러나 마자파힛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케르타나가라의 네 딸과 모두 결혼하였다.

네 딸 중 첫째는 파라메스와리 트리부와나(Parameswari Tribhuwana), 둘째는 프라즈나파라미타(Prajnaparamitha), 셋째는 나렌드라 두히타(Narendra Duhita), 넷째는 가야트리 라자파트니였다. 위자야가 이들과 결혼한 것은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싱하사리의 잔류 세력과의 대립을 피하고자 한 것이었다. 또한 위자야는 케르타나가라의 파말라유 원정을 통해, 멜라유 왕국 공주 인드레스와리(Indreswari) 혹은 다라 페탁을 얻었다. 파라라톤에는 다라 페탁이 칼라 게멧(Kala Gemet)을 낳았다고 하지만, 나가라크레타가마에는 인드레스와리가 칼라 게멧을 낳았다고 전한다. 이를 통해 인드레스와리가 다라 페탁의 다른 이름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

라덴 위자야는 왕이 된 이후에 5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라덴 위자야 사후에는 심핑 사원의 신 하리하라로 그려지고, 좌우에는 프라메스바리(왕후)가 2명 있어서 한 명은 가야트리이고 다른 한 명은 트리부와나이거나 다라 페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1]

6. 1. 결혼과 가족 관계

라덴 위자야의 혈통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파라라톤'''에 따르면, 라덴 위자야는 싱하사리의 왕자 마히사 캄파카의 아들이다.
  • 17세기 문헌인 '''푸스타카 라쟈라쟈 이 부미 누산타라'''에 따르면, 라덴 위자야는 순다-갈루 왕국의 국왕 프라부 구루 다르마시크사의 아들 라케얀 자야다르마와 싱하사리 왕국 마히사 캄파카의 딸인 디야 렘부 탈의 아들이었다. 라케얀 자야다르마는 독살되었고, 이후 디야 렘부 탈은 아들 라덴 위자야를 데리고 순다-갈루 왕국에서 친정 싱하사리 왕국으로 돌아갔다. 이 이야기는 순다 왕국에 있는 파자자란의 왕의 아들이라는 자카 세수루가 마자파힛의 창립자라는 바바트 타나 자위의 이야기와 유사하다.
  • '''나가라크레타가마'''에 따르면, 디야 싱하무르티로도 알려진 디야 렘부 탈은 남성이었으며, 싱하사리 왕국의 국왕 켄 아록과 왕비 켄 데데스의 증손자이자, 마히사 웡아 텔렝의 손자이자, 마히사 캄파카 혹은 나라 싱하무르티의 아들이었다. 나가라크레타가마는 라덴 위자야가 사망한 지 56년 뒤인 1365년에 작성되었기 때문에 나가라크레타가마의 기록을 따르는 것이 중론이다.


조지 코에데스에 의하면, 싱하사리 왕국 몰락에 앞서 위자야는 케르타나가라의 딸 가야트리 라자파트니와 결혼하였다. 그러나 마자파힛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케르타나가라의 네 딸과 모두 결혼하였다.

부인비고
가야트리 라자파트니케르타나가라의 막내딸, 왕호는 라자파트니 스리 라젠드라 디야 데위 가야트리
스리 파라메스와리 디야 데위 트리부와네스와리케르타나가라의 장녀
스리 마하데위 디야 데위 나렌드라두히타케르타나가라의 딸
스리 자옌드라 디야 데위 프라냐 파라미타케르타나가라의 딸
스리 인드레스와리본명 다라 페탁, 다르마스라야 국왕 스리맛 트리부와나라자 마우리아와르마데와의 딸



위자야가 케르타나가라의 네 딸과 모두 결혼한 것은 자신의 정통성을 확보하고 싱하사리의 잔류 세력과의 대립을 피하고자 한 것이었다. 또한 위자야는 케르타나가라의 파말라유 원정을 통해, 멜라유 왕국 공주 스리 인드레스와리(다라 페탁)를 얻었다.

라덴 위자야는 왕이 된 이후에 5명의 아내가 있었는데, 라덴 위자야 사후에는 심핑 사원의 신 하리하라로 그려지고, 좌우에는 프라메스바리(왕후)가 2명 있어서 한 명은 가야트리이고 다른 한 명은 트리부와나이거나 다라 페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자녀생모비고
트리부와나 위자야퉁가데위가야트리 라자파트니마자파힛 3대 왕, 여왕, 본명 디야 티아
자야네가라다라 페탁마자파힛 2대 왕
라자데위 마하라자사가야트리 라자파트니제2 다하공주, 본명 디야 위얏


6. 2. 자녀

배우자자녀
라자파트니 스리 라젠드라 디야 데위 가야트리 (싱하사리 왕국 케르타나가라 왕의 막내딸)
스리 파라메스와리 디야 데위 트리부와네스와리 (싱하사리 왕국 케르타나가라 왕의 장녀)(자녀 없음)
스리 마하데위 디야 데위 나렌드라두히타 (싱하사리 왕국 케르타나가라 왕의 딸)(자녀 없음)
스리 자옌드라 디야 데위 프라즈냐 파라미타 (싱하사리 왕국 케르타나가라 왕의 딸)(자녀 없음)
스리 인드레스와리 (다르마스라야의 스리맛 트리부와나라자 마울리아와르마데와 왕의 딸)


7. 사망

나가라크레타가마에 의하면, 1309년 라덴 위자야는 사망하여 심핑 사원에 비슈누시바 신의 합성인 하리하라 신으로서 매장되었다.[17] 그의 뒤를 이어 아들 자야네가라가 왕위를 계승했다.

참조

[1] 서적 Runtuhnya Kerajaan Hindu-Jawa dan Timbulnya Negara-negara Islam di Nusantara LKiS
[2] 웹사이트 Masa Kejayaan (1293-1389) https://direktorimaj[...] 2023-12-20
[3] 웹사이트 Cara Raden Wijaya Menghadapi Kedatangan Pasukan Mongol di Singasari https://www.kompas.c[...] 2022-10-18
[4] 웹사이트 Dua Naga Singasari https://www.kompasia[...] 2013-09-21
[5] 웹사이트 Sosok Rakyan Jayadarma: Tanpa Kematian Tragisnya, Konsep Majapahit Bisa Jadi Tak akan Pernah Muncul https://intisari.gri[...] 2023-04-24
[6] 웹사이트 Tega Mengiris Kuping Utusan Kubilai Khan dari Mongol, Raja dari Kerajaan Terkuat di Jawa Waktu Itu 'Wariskan' Kelicikan pada Bakal Pendiri Majapahit https://intisari.gri[...] 2022-03-11
[7] 웹사이트 Arya Wiraraja I, Raja I Sumenep http://pancamr.lectu[...] 2023-12-28
[8] 웹사이트 Ranggalawe Melawan Majapahit https://historia.id/[...] 2018-07-10
[9] 웹사이트 Pemberontakan Terhadap Majapahit https://historia.id/[...] 2018-07-06
[10] 웹사이트 Peristiwa Pemberontakan di Kerajaan Majapahit https://idsejarah.ne[...] 2020-12-02
[11] 웹사이트 Beginning of the Mongol Collapse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12]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3] 서적 Sejarah: Untuk kelas 2 SMA https://books.google[...] Yudhisthira
[14] 서적 Runtuhnya Kerajaan Hindu-Jawa dan Timbulnya Negara-negara Islam di Nusantara LKiS
[15] 웹사이트 Beginning of the Mongol Collapse http://afe.easia.col[...] Columbia University
[16] 서적 The Indianized states of Southeast Asia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17] 서적 Sejarah: Untuk kelas 2 SMA https://books.google[...] Yudhisthir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