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츤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라츤구는 아제르바이잔 남서부에 위치한 지역으로, 1923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고 1926년 라친으로 개명되었다. 역사적으로 아르메니아 왕국과 아트로파테네 왕국의 영토였으며, 1930년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면서 라친 현이 설치되었다. 1992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 아르메니아군에 점령되었으나, 2020년 휴전 협정에 따라 아제르바이잔에 반환되었고, 라친 회랑은 러시아 평화 유지군이 관리하게 되었다. 라친구는 산악 지형으로 수은, 다금속 등의 광물 자원이 있으며, 농업이 주요 산업이다. 1936년에는 아제르바이잔인이 다수를 차지했으며, 1979년에는 아제르바이잔인 외 쿠르드족, 아르메니아인 등이 거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제르바이잔의 구 - 샤브란구
샤브란구는 아제르바이잔 북동부에 위치한 구로, 다양한 지형과 머드 볼케이노, 석유 및 천연가스 매장량이 풍부하며 건설업과 농업이 주요 산업이고 실크로드의 경유지로서 역사적 기념물을 보유하고 있다. - 아제르바이잔의 구 - 캘배재르구
캘배재르구는 아제르바이잔의 한 현으로,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아르메니아 세력에 점령되었다가 2020년 분쟁 이후 아제르바이잔으로 반환되었으며, 역사적 문화 유적과 인구 변동을 겪은 지역이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브루클린 미술관
브루클린 미술관은 1823년 브루클린 견습생 도서관으로 시작하여 현재 약 50만 점의 소장품을 보유한 뉴욕 브루클린 소재의 미술관으로, 다양한 분야의 예술 작품을 전시하며 특히 아프리카 미술과 여성주의 미술에 대한 기여가 크다. - 공식 웹사이트에 알 수 없는 변수를 사용한 문서 - 광주지방기상청
광주지방기상청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의 기상 예보, 특보, 관측, 기후 정보 제공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기상청 소속 기관으로, 1949년 광주측후소로 설치되어 1992년 광주지방기상청으로 개편되었으며, 기획운영과, 예보과, 관측과, 기후서비스과와 전주기상지청, 목포기상대를 두고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라우토카
라우토카는 피지 비치레부섬 서부에 위치한 피지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이자 서부 지방의 행정 중심지로, 사탕수수 산업이 발달하여 "설탕 도시"로 알려져 있으며, 인도에서 온 계약 노동자들의 거주와 미 해군 기지 건설의 역사를 가지고 있고, 피지 산업 생산의 상당 부분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들이 위치해 있다. - 표시 이름과 문서 제목이 같은 위키공용분류 - 코코넛
코코넛은 코코넛 야자나무의 열매로 식용 및 유지로 사용되며, 조리되지 않은 과육은 100g당 354kcal의 열량을 내는 다양한 영양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코코넛 파우더의 식이섬유는 대부분 불용성 식이섬유인 셀룰로오스이며, 태국 일부 지역에서는 코코넛 수확에 훈련된 원숭이를 이용하는 동물 학대 문제가 있다.
라츤구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라친구 (Laçın rayonu) |
위치 | 아제르바이잔 |
경제 지역 | 동부 잔게주르 경제 지역 |
설치 | 1930년 8월 8일 |
수도 | 라친 |
행정 | |
행정 구역 종류 | 구 |
하위 구역 | 127개 정착지 |
군수 | 아길 나자를리 |
우편 번호 | 4100 |
지리 | |
면적 | 1840km² |
인구 통계 | |
인구 (2020년) | 78,600명 |
인구 밀도 | 자동 계산 |
기타 정보 | |
시간대 | AZT |
UTC 오프셋 | +04:00 |
웹사이트 | 라친구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라츤구는 고대부터 사람이 거주해 온 유서 깊은 지역으로, 여러 왕국과 제국의 지배를 거쳐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고대에는 아르메니아 왕국과 아트로파테네 왕국의 영토였으며, 이후 카라바흐 칸국과 러시아 제국의 지배를 받았다.
소비에트 연방 시기에는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고, 1930년에 공식적으로 라친 구역(Rayon)이 설치되었다. 원래 이 지역은 '압달야르'(Abdalyar) 등으로 불렸으나, 1926년 '라친'으로 개명되었다.[10][16]
소련 말기부터 시작된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라츤구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인 1992년 5월 18일, 아르메니아군에 의해 점령되었고[21], 이 과정에서 많은 아제르바이잔인 주민들이 국내 실향민이 되어 지역을 떠나야 했다. 이후 라츤구는 아르메니아의 지원을 받는 아르차흐 공화국의 실질적인 통제 하에 놓였다.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 체결된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휴전 협정에 따라, 2020년 12월 1일 라츤구의 대부분 지역이 아제르바이잔으로 반환되었다.[5] 다만,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잇는 라친 회랑은 러시아 평화 유지군의 관리 하에 남게 되었다.[14] 같은 날 아제르바이잔군이 반환된 지역에 진주하였다.[20]
2. 1. 고대와 중세

고대에는 아르메니아 왕국과 아트로파테네 왕국 영토의 일부였으며, 사람들이 거주했던 지역이다. 라츤구 내에는 기원전 시기의 예술 작품을 비롯하여 중세 시대에 건설된 성과 다리 등 수많은 역사적 건축물이 남아 있다. 아제르바이잔 정부가 공식 인정한 역사 건조물만 해도 200개가 넘는다.[16]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5세기에 지어진 동굴 사원과 14세기부터 19세기에 걸쳐 만들어진 영묘 등이 있다. 고대에 세워진 치체르나방크 수도원 역시 이 지역의 중요한 역사 유적 중 하나이다.
2. 2. 근대
근대 이전 라츤 지역은 카라바흐 칸국과 러시아 제국 옐리자베트폴 현(Elisabethpol Governorate)의 일부였다. 소비에트 연방 성립 후에는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에 속하게 되었다.원래 이 지역은 튀르크계 압달 부족의 이름을 따서 '''압달야르'''(Abdalyar)로 불렸다.[10][11][12] 1923년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고, 같은 해부터 1929년까지는 자치 소비에트 구역인 쿠르디스탄 우예즈드의 일부였다.[13] 1924년 작가 타기 샤흐바지 시무르그(Tağı Şahbazi Simurğ)가 현도 근처 산 이름에서 유래한 '라친'(Lachin, '자부심'이라는 뜻)이라는 이름을 제안했고[16], 1926년 도시 이름이 공식적으로 라친으로 변경되었다.[10] 이후 1930년에 라친 현(Rayon)이 설치되었다.
2. 3. 소비에트 연방 시대
소비에트 연방이 성립된 후, 라츤 지역은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원래 이곳은 튀르크계 압달 부족의 이름을 따 Abdalyar|압달야르az로 불렸으나[10][11][12], 1923년에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10] 같은 해부터 1929년까지 라츤은 자치 소비에트 구역인 쿠르디스탄 우예즈드의 일부로 편제되었다.[13]1924년, 라츤이 시로 승격된 것을 기념하여 작가 Tağı Şahbazi Simurğ|타기 샤흐바지 시무르그az가 도시 이름을 '라친'으로 지었으며[16], 1926년에 공식적으로 개명되었다.[10] '라친'은 튀르크어로 '매'를 의미한다.[10] 이후 1930년, 아제르바이잔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내에 라친 구역(현)이 공식적으로 설치되었다.
소비에트 연방 말기에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를 둘러싼 영토 문제로 인해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간의 민족 갈등이 심화되었고, 이는 결국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으로 이어지는 배경이 되었다.
2. 4.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
소비에트 연방 말기,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를 둘러싸고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 사이에 전쟁이 발발했다. 소련 붕괴 후인 1992년 5월 18일, 아르메니아군은 라츤구를 침공하여 점령했다.[21] 이 과정에서 현 전체가 아르메니아의 통제 하에 들어갔으며, 다수의 역사적 건조물이 피해를 입었다. 원래 거주하던 아제르바이잔인들은 살해당하거나 국내 실향민이 되어 현 밖으로 피난해야 했다. 라츤구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외 지역 중 처음으로 아르메니아 세력에게 점령당한 곳이었고[21], 이 사건은 아제르바이잔 국민들에게 큰 충격을 주어 당시 대통령이었던 아야즈 무탈리보프가 사임하는 결과로 이어졌다.[22] 점령 이후 라츤구는 사실상 아르차흐 공화국의 Քաշաթաղի շրջան|카샤타그hy(카샤타그 구역) 일부로 편입되었고, 아르메니아인들이 다수 이주해 왔다.2020년 9월 말 시작된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분쟁은 아제르바이잔의 군사적 우위 속에 휴전으로 이어졌다.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휴전 협정에 따라, 2020년 12월 1일까지 라츤구의 대부분 지역을 아제르바이잔에 반환하기로 결정되었다.[5][23] 같은 날 아제르바이잔군이 해당 지역에 진주했다.[20] 다만, 아르메니아와 아르차흐 공화국(나고르노-카라바흐)를 연결하는 라친 회랑은 휴전 협정에 따라 러시아 평화유지군의 관리 하에 놓이게 되었다.[14][24][25]
2. 5.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및 이후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중인 1992년 5월 18일, 아르메니아군은 라츤을 점령하였다.[21] 이로써 라츤구는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 외의 지역 중에서는 처음으로 아르메니아 세력의 통제 하에 들어갔다.[21] 점령 과정에서 많은 아제르바이잔인 주민들이 살해당하거나 국내 실향민이 되어 현을 떠나야 했으며, 다수의 역사적 건조물도 피해를 입었다.[16] 라츤 점령은 아제르바이잔 사회에 큰 충격을 주었고, 당시 대통령이었던 아야즈 무탈리보프가 사임하는 결과로 이어지기도 했다.[22] 이후 라츤구는 사실상 아르차흐 공화국의 카샤타그 구역 일부로 편입되었고, 아르메니아인들이 이주하여 거주하게 되었다.2020년 9월 말에 시작된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은 아제르바이잔의 군사적 우위 속에 진행되었고, 같은 해 11월 10일 2020년 나고르노-카라바흐 휴전 협정이 체결되면서 종결되었다. 이 협정에 따라 라츤구의 대부분 지역은 2020년 12월 1일까지 아제르바이잔으로 반환되기로 결정되었다.[5][23] 다만, 아르메니아와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을 연결하는 주요 통로인 라친 회랑은 협정에 의거하여 러시아 평화 유지군의 관리 하에 남게 되었다.[14][24][25] 2020년 12월 1일, 협정대로 라츤구는 아제르바이잔에 반환되었으며, 같은 날 아제르바이잔군이 해당 지역에 진주하였다.[20]
3. 행정 구역
4. 인구
라츤구의 인구는 시대에 따라 큰 변화를 겪었다. 1936년에는 총 20,356명이었으며, 아제르바이잔인이 약 89.8%로 다수를 차지했고 쿠르드족, 러시아인, 아르메니아인 등이 소수 거주했다.[7] 1979년 소련 인구 조사에서는 인구가 47,261명으로 증가했으며, 아제르바이잔인 비율은 94.5%로 더욱 높아졌다.[7][27] 1981년에는 인구가 51,000명에 달했고, 121개의 정착지 중 9곳은 쿠르드족 정착지였다.[8] 1989년 인구는 47,339명이었다.[9]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 아르메니아 군대가 라츤구를 점령하면서 인구 구성에 극적인 변화가 발생했다. 아제르바이잔 정부가 2009년에 실시한 명목상 인구 조사에서는 "라친 현"의 총 인구가 69,087명으로 집계되었으나,[17] 이는 당시 해당 지역이 아르차흐의 실효 지배 하에 있었기 때문에 실제 현지 상황과는 거리가 멀었다. 실제로 아르차흐가 2005년에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라츤구를 포함한 더 넓은 행정 구역인 카샤타그 구의 인구는 9,763명이었고, 이들 대부분은 아르메니아인이었다. 분쟁 이전에 인구의 절대다수를 차지했던 아제르바이잔인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이는 전쟁 과정에서 기존의 아제르바이잔계 및 쿠르드계 주민들이 추방되고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이 새로 정착했음을 보여준다.
4. 1. 1936년
1936년 당시 라츤구의 총인구는 20,356명이었다.[7] 주요 민족 구성은 다음과 같다.
4. 2. 1979년
1979년 소련 인구 조사에 따르면, 라츤구의 총 인구는 47,261명이었다.[7][27] 당시 민족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민족 | 인구 (명) | 비율 (%) |
---|---|---|
아제르바이잔인 | 44,665 | 94.5 |
쿠르드인 | 2,437 | 5.2 |
아르메니아인 | 34 | 0.1 |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 | 28 | - |
레즈긴인 | 23 | - |
아바르인 | 10 | - |
그루지야인 | 9 | - |
유대인 | 1 | - |
타타르인 | 1 | - |
총계 | 47,261 | ~100 |
4. 3. 1989년
1989년 라츤구의 총 인구는 47,339명이었다.[9]4. 4. 아르메니아 점령기 (2009년)
2009년에 아제르바이잔 정부가 실시한 인구 조사에 따르면, 명목상 "라친 현"의 총 인구는 69,087명으로 집계되었다.[17] 하지만 이 조사가 실시될 당시 라츤구 전 지역은 아르차흐의 실효 지배 하에 있었기 때문에, 이 통계는 실제 현지 상황을 반영한다고 보기 어렵다. 해당 조사의 민족별 인구 구성은 다음과 같다.- 아제르바이잔인: 66,671명 (약 96.5%)
- 쿠르드인: 1,914명 (약 2.8%)
- 튀르크인: 464명
- 러시아인: 28명
- 기타: 10명
실제 점령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조사는 아르차흐가 2005년에 실시한 인구 조사이다. 이 조사에 따르면, 라친 현을 포함하는 더 넓은 행정 구역인 카샤타그 구의 총 인구는 9,763명이었으며, 민족 구성은 거의 대부분 아르메니아인이었고 아제르바이잔인은 단 한 명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26] 이는 제1차 나고르노카라바흐 전쟁 이후 아르메니아계가 정착하고 기존의 아제르바이잔계 주민들이 추방되었음을 보여준다.
분쟁 이전인 1979년 소련 인구 조사 당시 라츤구의 인구 구성과 비교하면 변화가 더욱 뚜렷하다. 당시 총 인구는 47,261명이었으며, 그중 절대다수인 94.5%가 아제르바이잔인이었다.[27]
조사 연도 | 총 인구 | 아제르바이잔인 (%) | 쿠르드인 (%) | 아르메니아인 (%) | 기타 민족 및 비율 | 비고 |
---|---|---|---|---|---|---|
1979년 소련 인구 조사[27] | 47,261 | 44,665 (94.5%) | 2,437 (5.2%) | 34 (0.07%) | 러시아인·우크라이나인 28, 레즈긴인 23, 아바르인 10, 그루지야인 9, 유대인 1, 타타르인 1 | 분쟁 이전 |
2005년 아르차흐 조사[26] | 9,763 | 0 (0%) | - | ~9,763 (~100%) | - | 아르차흐의 카샤타그 구 기준 (아르메니아 점령기) |
2009년 아제르바이잔 조사[17] | 69,087 | 66,671 (96.5%) | 1,914 (2.8%) | - | 튀르크인 464, 러시아인 28, 기타 10 | 아르차흐 실효 지배 하 진행된 명목상 통계 |
참조
[1]
웹사이트
İnzibati-ərazi vahidləri
https://files.presli[...]
2021-02-28
[2]
웹사이트
Population of Azerbaijan
https://www.stat.gov[...]
State Statistics Committee
2021-02-22
[3]
웹사이트
Azərbaycan Respublikasında iqtisadi rayonların yeni bölgüsü haqqında Azərbaycan Respublikası Prezidentinin Fərmanı » Azərbaycan Prezidentinin Rəsmi internet səhifəsi
https://president.az[...]
[4]
웹사이트
The conflict over the Nagorno-Karabakh region dealt with by the OSCE Minsk Conference
https://rm.coe.int/0[...]
2020-05-09
[5]
뉴스
Azerbaijani Forces Enter Third District Under Nagorno-Karabakh Truce
https://www.rferl.or[...]
2020-11-30
[6]
웹사이트
Armenia cancels military drills, widening rift with Moscow
https://abcnews.go.c[...]
2023-05-26
[7]
웹사이트
население азербайджана
http://www.ethno-kav[...]
2020-10-11
[8]
간행물
The Kurds of Soviet Azerbaijan, 1920–91.
https://www.tandfonl[...]
2021-04-17
[9]
웹사이트
Демоскоп Weekly - Приложение. Справочник статистических показателей.
http://www.demoscope[...]
2020-10-11
[10]
문서
Pospelov, p. 23
[11]
서적
Armenian Cultural Monuments in the Region of Karabagh
Gitutiun Publishing House
2001
[12]
서적
'Map of Armenia and Adjacent Countries'
Longmans
1901
[13]
웹사이트
срок регистрации доменного имени www.rau.su истек
http://www.rau.su/ob[...]
[14]
뉴스
Nagorno-Karabakh: Russia deploys peacekeeping troops to region
https://www.bbc.co.u[...]
BBC News
2020-11-17
[15]
웹사이트
İcra hakimiyyətinin başçısı
http://lachin-ih.gov[...]
ラチン県政府
2020-11-21
[16]
웹사이트
Tarixi
http://lachin-ih.gov[...]
ラチン県政府
2020-11-21
[17]
웹사이트
Rayon haqqında
http://lachin-ih.gov[...]
ラチン県政府
2020-11-21
[18]
웹사이트
Əhalisi
http://lachin-ih.gov[...]
ラチン県政府
2020-11-21
[19]
뉴스
Ethnic Armenian villagers burn houses before Azerbaijan takeover
https://www.aljazeer[...]
アルジャジーラ
2020-11-22
[20]
뉴스
アルメニア占領地、返還完了 アゼルバイジャンに―ナゴルノ紛争
https://web.archive.[...]
2020-12-01
[21]
웹사이트
Results of the military aggression of Armenia against the Republic of Azerbaijan
https://m.mia.gov.az[...]
アゼルバイジャン内務省
2020-11-21
[22]
웹사이트
South Caucasus deal echoes plan from 30 years ago
https://www.al-monit[...]
Al-Monitor
2020-11-22
[23]
웹사이트
Azerbaijanis celebrate Karabakh deal
https://www.aa.com.t[...]
アナドル通信社
2020-11-22
[24]
웹사이트
Armenia and Azerbaijan agree peace deal over Nagorno-Karabakh
https://oc-media.org[...]
OC Media
2020-11-22
[25]
웹사이트
Live Updates: Russian Peacekeepers Inspecting All Vehicles in Lachin Corridor
https://sputniknews.[...]
スプートニク
2020-11-22
[26]
웹사이트
Nagorno-Karabakh - Ethnic composition: 2005 census
http://pop-stat.mash[...]
pop-stat.mashke.org
2020-11-22
[27]
웹사이트
ЛАЧИНСКИЙ РАЙОН (1979 г.)
http://www.ethno-kav[...]
ethno-kavkaz.ru
2020-11-22
[28]
웹사이트
Lachin Kurdish Republic is declared
http://www.kurdmedia[...]
Kurdish Media.com
2020-11-22
[29]
웹사이트
Former leader of short-lived Soviet Kurdish republic buried in Erbil
https://www.kurdista[...]
Kurdistan 24
2020-11-2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