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래더 로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래더 로직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언어이다. 릴레이 로직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하며, 접점과 코일을 사용하여 논리 연산을 수행한다. 래더 로직은 AND, OR, NOT 등의 논리 연산을 통해 복잡한 제어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으며, 래치 회로와 같은 특수한 회로 구성도 가능하다. 타이머, 카운터, 수치 연산 등의 고급 기능을 제공하며, PLC 제조업체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블록을 추가하기도 한다. 래더 로직은 이진 변수를 사용하는 제어에 적합하며, 아날로그 값이나 복잡한 알고리즘 처리는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자 설계 자동화 - FPGA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는 사용자가 하드웨어 설계를 변경할 수 있는 집적 회로이며, CPLD에서 파생되어 다양한 제조 기술을 사용하고 디지털 신호 처리, 통신 등 여러 분야에 활용된다.
  • 전자 설계 자동화 - 시스템 설계
    시스템 설계는 제품 개발 과정에서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해 전자 제어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및 데이터와 같은 시스템을 정의하고 개발하는 과정으로, 시스템 분석, 시스템 아키텍처, 시스템 엔지니어링과 내용이 겹치며, 입력, 출력, 저장, 처리, 시스템 제어, 백업/복구 요구 사항과 확장 가능하고 가용성이 높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고, 최근에는 기계 학습 모델 통합 시스템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 - 맥스 (소프트웨어)
    맥스는 시각적 프로그래밍 기반의 실시간 음향 및 영상 처리 소프트웨어로, MSP와 Jitter 모듈 추가를 통해 기능이 확장되었으며, 음악 제작, 사운드 디자인, 인터랙티브 아트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Ableton Live와의 통합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졌다.
  • 시각적 프로그래밍 언어 - 앨리스 (소프트웨어)
    앨리스는 교육용 프로그래밍 소프트웨어로, 드래그 앤 드롭 방식을 통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을 배우도록 설계되었으며,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이 프로그래밍에 접근하도록 돕는다.
래더 로직
기본 정보
래더 로직의 애니메이션 시퀀스
래더 로직의 애니메이션 시퀀스
유형프로그래밍 언어
패러다임명령형 프로그래밍, 그래픽 프로그래밍 언어
설계자딕 몰
첫 공개1960년대
영향을 준 언어릴레이 로직
영향을 받은 언어함수 블록 다이어그램
순차 기능 차트
구조화 텍스트
명령어 목록
특징
영역프로그래밍 가능 논리 컨트롤러
다른 이름릴레이 로직
역사
기원1960년대 말
개발 배경공장 자동화
초기 목적릴레이 로직의 대체
장점전기 기술자에게 친숙한 형식
하드웨어 로직을 쉽게 시각화
표준화IEC 61131-3 표준에 포함
구조 및 작동
기반전력 흐름 모델
"레일" 사이의 논리 연결
레일전원 공급 장치의 도체 표현
"핫" 레일과 "중성" 레일
렁 (rung)레일 사이에 배치된 명령어
각 렁은 특정 제어 작업을 수행
접점입력 조건 표현
물리적 스위치 또는 내부 변수
코일출력 동작 표현
물리적 장치 또는 내부 변수
작동 방식전력이 왼쪽 레일에서 오른쪽 레일로 "흐름"
접점이 닫히면 전력 흐름 허용
코일이 활성화되면 해당 출력 동작 수행
명령어
기본 명령어접점 (정상 개방, 정상 폐쇄)
코일 (출력)
고급 명령어타이머
카운터
수학 연산
데이터 이동
응용
주요 응용 분야공장 자동화
프로세스 제어
로봇 공학
사용 예시컨베이어 벨트 제어
모터 제어
온도 제어
압력 제어
장점 및 단점
장점이해하기 쉬움
시각적
디버깅 용이
유지 보수 용이
단점복잡한 논리 구현 어려움
대규모 시스템에 부적합
유연성 제한
대안
대안 언어함수 블록 다이어그램
순차 기능 차트
구조화 텍스트
명령어 목록
표준
표준IEC 61131-3

2. 역사

래더 로직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의 주요 언어 중 하나이다. 래더 다이어그램을 통해 순차 제어 논리를 표현하려는 목적은 공장 엔지니어와 기술자가 FORTRAN 등 다른 범용 컴퓨터 언어를 배우기 위한 추가 교육 없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었다.[2] 래더 로직은 단순하지만 중요한 제어가 요구되는 시스템, 또는 종래의 릴레이와 실제 배선에 의한 회로의 대체에도 이용된다.

2. 1. 래더 로직의 발전

래더 로직은 릴레이를 사용한 회로와 유사하게 만들어져, 이러한 시스템에 익숙한 엔지니어와 기술자들이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었다.[2] 초기에는 단순한 제어 시스템이나 기존의 릴레이 회로를 대체하는 데 주로 사용되었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기술이 발전하면서 래더 로직도 함께 발전했다. 최신 PLC는 타이머, 카운터, 수학 연산, HMI 프로그램과의 통신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매우 복잡한 자동화 시스템도 래더 로직으로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2]

대부분의 PLC 제조사는 자체적인 래더 로직 프로그래밍 도구를 제공한다. 그러나 이들 도구는 제조사 간에 완벽하게 호환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래더 로직은 단일 언어라기보다는, 서로 유사한 프로그래밍 언어군으로 볼 수 있다. 심지어 같은 시리즈의 PLC라도 모델에 따라 기술 방법이 다를 수 있어 프로그램 이식이 쉽지 않다.

래더 로직은 절차적 언어보다는 규칙 기반 언어에 가깝다. 래더 다이어그램의 각 "가로대(rung)"는 하나의 규칙을 나타낸다. 릴레이로 구현될 때는 모든 규칙이 동시에 실행되지만, PLC에서는 소프트웨어가 순차적으로 규칙을 실행한다. 그러나 실행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밀리초 단위) 사용자는 마치 모든 규칙이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느낀다.

2. 2. 한국에서의 래더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의 주요 언어 중 하나인 래더 프로그래밍은 1980년대부터 한국 산업 자동화가 본격화되면서 도입되기 시작했다. 현재 래더 로직은 PLC 기반 자동화 시스템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았으며, 국내 PLC 제조업체들은 래더 로직을 지원하는 다양한 프로그래밍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3. 기본 구조 및 문법

래더 로직은 릴레이 로직 다이어그램을 기반으로 만들어졌으며, "렁(rung)"이라고 불리는 가로 행으로 구성된다. 각 렁은 입력 조건(접점)과 출력(코일)으로 구성되며, 논리 연산을 통해 출력을 제어한다.[2] 래더 로직은 절차적 언어보다는 규칙 기반 언어로 간주된다. 렁은 규칙을 나타내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로 구현될 때는 일반적으로 규칙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지만, 충분히 빠른 속도로 실행되어 동시적이고 즉각적인 실행 효과를 얻을 수 있다.[2]

래더 로직은 논리 검사기(접점)와 액추에이터(코일) 간의 연결 집합으로 볼 수 있다. 렁의 왼쪽에서 출력 사이에 참(true 또는 "닫힘") 접점을 통해 경로를 추적할 수 있으면 렁은 참이 되고 출력 코일은 참(1)이 된다. 경로를 추적할 수 없으면 출력은 거짓(0)이 된다.[2]

래더 로직은 회로를 연결하거나 끊어 코일을 제어하는 접점을 가지고 있다. 각 코일 또는 접점은 프로그래머블 컨트롤러 메모리에서 단일 비트의 상태에 해당한다. 전기 기계식 릴레이와 달리 래더 프로그램은 단일 비트의 상태를 여러 번 참조할 수 있다.[2]

일반적으로 래더 로직의 각 렁은 맨 오른쪽에 하나의 코일을 갖지만, 일부 제조업체는 렁에 둘 이상의 출력 코일을 허용하기도 한다.[2]

3. 1. 접점 (Contact)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에서 사용되는 래더 로직의 접점은 입력 조건을 나타내는 기호이다. 래더 로직에서 접점은 평상시 열린 접점과 평상시 닫힌 접점,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 평상시 열린 접점 (Normally Open Contact, NO): `—[ ]—` 기호로 표시되며, 해당 접점을 제어하는 입력 또는 코일이 활성화(참, True, 1)될 때 닫히는(회로가 연결되는) 접점이다. 즉, 평상시에는 열려 있다가 조건이 만족되면 닫힌다.
  • 평상시 닫힌 접점 (Normally Closed Contact, NC): `—[\]—` 기호로 표시되며, 해당 접점을 제어하는 입력 또는 코일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거짓, False, 0) 닫히는 접점이다. 즉, 평상시에는 닫혀 있다가 조건이 만족되면 열린다.


이러한 접점들은 릴레이 회로의 접점과 유사하게 작동하며, 클로드 섀넌이 이러한 논리와 릴레이 접점 상태 사이의 유사성을 제시하였다.

3. 2. 코일 (Coil)

Ladder logic영어에서 코일(Coil)은 렁(rung)의 출력 결과를 나타낸다. 코일은 렁의 논리 연산 결과에 따라 활성화되거나 비활성화된다. 코일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일반 코일 ( --( )-- ): 렁의 논리 연산 결과가 참(true)일 때 활성화된다.
  • 반전 코일 ( --(/)-- ): 렁의 논리 연산 결과가 거짓(false)일 때 활성화된다.


코일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에 연결된 실제 장치를 제어하는 물리적 출력을 나타내거나, 프로그램 내에서 사용되는 내부 저장 비트를 나타낼 수 있다.[1] 예를 들어, 코일은 전구를 켜거나 모터를 작동시키는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3. 3. 논리 연산

래더 로직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에 사용되는 주요 언어 중 하나로, 복잡한 조건을 표현하기 위해 AND, OR, NOT 등의 기본적인 논리 연산을 사용한다.

  • AND 연산: 여러 개의 접점이 직렬로 연결된 형태로 표현된다. 모든 접점이 닫혀야만(참) 출력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은행 금고 문의 경우, 두 개의 키 스위치(키 스위치 1 AND 키 스위치 2)가 모두 닫혀야 모터가 작동하여 문이 열린다.


  • OR 연산: 여러 개의 접점이 병렬로 연결된 형태로 표현된다. 하나 이상의 접점이 닫히면(참) 출력이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전동 도어록은 내부 잠금 해제 스위치나 외부 잠금 해제 신호 중 하나만 참이 되어도(내부 잠금 해제 OR 외부 잠금 해제) 잠금이 해제된다.

잠금 해제|


  • NOT 연산: 평상시 닫힌 접점(—[\]—)을 사용하여 표현되며, 입력 조건의 반대 결과를 출력한다. 즉, 입력이 거짓일 때 출력이 참이 된다. 예를 들어, 문을 닫는 버튼을 누르고(문 닫기) 장애물이 없는 경우(NOT 장애물)에만 문이 닫히도록 할 수 있다.



래더 로직에서 렁(rung)은 규칙을 나타내며, 각 렁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평가된다. 복잡한 시스템에서는 여러 개의 렁이 순차적으로 실행되어 복잡한 논리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3. 4. 래치 회로 (자기 유지 회로)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에서 자주 사용되는 래치 회로는 한 번 활성화된 출력을 계속 유지하는 회로이다. 래치 회로는 보통 "시작" 버튼과 "정지" 버튼으로 구성된다.

"시작" 버튼을 누르면, "정지" 버튼의 상시 닫힘(NC) 접점을 통해 입력이 참(True)이 된다. "실행" 입력이 참이 되면, "시작" 상시 열림(NO) 접점과 병렬로 연결된 "실행" NO 접점이 닫히면서 입력 로직을 참 상태로 유지한다. 이를 래치 또는 실-인(seal-in)이라고 한다. 회로가 래치된 후에는 "정지" 버튼을 눌러 NC 접점을 열 때까지 출력이 유지된다. "정지" 버튼을 누르면 "실행" NO 접점이 열리고 회로 로직은 비활성 상태로 돌아간다.

래더 로직 다이어그램에서 래치 회로는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정지 실행|



이는 Run = (시작 OR 실행) AND (NOT 정지) 기능을 구현한다.

"시작" 스위치는 순간 스위치(사용자가 버튼에서 손을 떼면 스위치가 다시 열림)이기 때문에, "실행" 솔레노이드가 작동하면 "실행" NO 접점이 닫혀 솔레노이드를 래치한다. "시작" 스위치가 열려도 회로는 계속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래치 회로 또는 자기 유지 회로라고 한다.

참고로, 위 예시에서 "실행"은 PLC의 비트 상태를, "모터"는 모터의 실제 회로를 닫는 릴레이에 대한 실제 출력을 나타낸다.

안전을 위해 비상 정지("ES") 스위치를 "시작" 스위치와 직렬로 연결할 수 있다. 릴레이 로직은 이를 반영해야 한다.

|



이는 Run = (NOT ES) AND (NOT 정지) AND (시작 OR 실행) 기능을 구현한다.

4. 고급 기능

현대의 래더 로직은 기본적인 논리 연산 외에도 다양한 고급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특수 블록 형태로 제공되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제조업체에 따라 추가될 수 있다.[2]

PLC는 타이머, 수치 연산, 비교, 테이블 조회, 텍스트 처리, PID 제어, 필터링 기능 등 다양한 특수 블록을 가지고 있다.[1] 더 강력한 PLC는 일련의 내부 메모리 위치에서 작동하여, 일련의 주소에 대한 연산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 순차 드럼 컨트롤러 또는 유한 상태 머신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1] 사용자는 자신만의 특수 블록을 정의하여 서브루틴 또는 매크로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1]

특수 블록의 예로, 원격 및 내부 잠금 해제 버튼이 눌린 횟수를 계산하고, 이 정보를 메모리 위치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들 수 있다.[1]

4. 1. 타이머 (Timer)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는 타이머, 산술 연산자, 비교, 테이블 조회, 텍스트 처리, PID 제어, 필터링 기능 등 여러 유형의 특수 블록을 가지고 있다.[1] 타이머는 특정 시간 지연을 구현하는 데 사용된다.[1] 입력 조건이 만족되면 설정된 시간만큼 지연된 후 출력이 활성화된다.[1]

4. 2. 카운터 (Counter)

카운터는 특정 이벤트의 발생 횟수를 세는 데 사용된다. 설정된 횟수에 도달하면 출력이 활성화된다.

예시에서 시스템은 원격 및 내부 잠금 해제 버튼이 눌린 횟수를 계산한다. 이 정보는 메모리 위치 A와 B에 각각 저장된다. 메모리 위치 C는 문이 전자적으로 잠금 해제된 총 횟수를 저장한다.

메모리 위치설명
A원격 잠금 해제 횟수
B내부 잠금 해제 횟수
C총 잠금 해제 횟수 (A + B)


4. 3. 수치 연산

래더 로직은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등 기본적인 수치 연산을 지원한다. 이를 통해 아날로그 값을 처리하거나 복잡한 계산을 수행할 수 있다.[1]

예시에서 시스템은 내부 및 원격 잠금 해제 버튼이 눌린 횟수를 계산하며, 이 정보는 메모리 위치 A와 B에 저장된다. 메모리 위치 C는 문이 전자적으로 잠금 해제된 총 횟수를 저장한다.[1]

메모리 위치설명
A내부 잠금 해제 횟수
B원격 잠금 해제 횟수
C총 잠금 해제 횟수 (A + B)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는 타이머, 산술 연산, 비교, 테이블 조회, 텍스트 처리, PID 제어, 필터링 기능 등 다양한 특수 블록을 지원한다. 사용자가 직접 특수 블록을 정의하여 서브루틴이나 매크로처럼 사용할 수도 있다.[1]

4. 4. 특수 명령 (Special Instructions)

PLC 제조업체는 특수한 기능을 가진 블록 형태의 특수 명령을 래더 로직 구현에 추가하는 경우가 있다. 특수 명령을 모선에 연결하면 인수를 사용한 처리를 실행할 수 있으며, 블록은 이러한 인수를 표시할 수도 있다.[2]

```

remote unlock +-------+ |Remote counter |
interior unlock +-------+ |Interior counter |



```

위의 예시 시스템은 "interior unlock" 과 "remote unlock" 버튼을 누른 횟수를 카운트한다. 카운트 정보는 메모리 A와 메모리 B에 저장된다. 메모리 C에는 문이 자동 잠금 해제된 총 횟수를 보관한다.[2]

PLC의 특수 명령에는 타이머, 수치 연산, 비교기, 데이터 검색, 문자열 처리, PID 제어, 필터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고기능 PLC에서는 여러 내부 메모리 세트의 처리 및 주소 계산, 예를 들어 물리적인 드럼 컨트롤러나 유한 오토마타를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 것도 있다. 사용자가 직접 특수 명령을 정의할 수 있는 것도 있다(실제로는 서브루틴이나 매크로이다). 충실한 특수 명령 라이브러리와 고속성으로 인해 매우 복잡한 자동화 시스템에도 PLC가 이용될 수 있게 되었다.[2]

5. 래더 로직의 한계 및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

래더 로직은 주로 이진 변수를 다루고 이진 값의 연동과 시퀀싱이 주된 제어 문제인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아날로그 값이나 수치 연산은 래더 로직으로 표현하기 어렵고, 각 PLC 제조업체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확장 표기법을 사용한다.[2] 또한 배열과 루프에 대한 지원이 제한적이어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인덱싱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코드 중복이 발생할 수 있다.[2]

모든 병렬 프로그래밍 언어와 마찬가지로, 래더 로직은 연산의 순차적 순서가 정의되지 않거나 모호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예기치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논리 경쟁 조건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복잡한 렁(rung)은 여러 개의 더 간단한 단계로 나누는 것이 좋다.[2]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더욱 강력해짐에 따라, 순차 기능 차트,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과 같은 표기법이 일부 제한된 응용 분야에서 래더 로직을 대체하고 있다. 일부 최신 PLC는 BASIC, C 등 실시간 응용 환경에 적합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지원하기도 한다.[2]

5. 1. 한계

래더 로직은 이진 변수를 다루고 이진 값의 연동과 시퀀싱이 주된 제어 문제인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하지만 아날로그 값이나 수치 연산은 래더 로직으로 표현하기 어렵고, 각 PLC 제조업체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확장 표기법을 사용한다.[2] 또한 배열과 루프에 대한 지원이 제한적이어서,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인덱싱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에도 코드 중복이 발생할 수 있다.[2]

래더 로직은 인터록이나 시퀀스 처리와 같이 부울 값만 필요한 제어 대상에 적합하다. 래더 프로그램은 위에서 아래로 실행되지만, 래더 내에서의 실행 순서가 명확하게 정의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로 인해 실행 순서가 예상과 다르면 예측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는 로직 "경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복잡한 래더는 여러 개의 더 간단한 래더로 나누는 것이 좋다.[2]

최근에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발전으로 인해 래더 로직 대신 시퀀셜 기능 차트나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과 같은 다른 언어로 애플리케이션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2] 매우 큰 규모의 PLC에서는 프로그램의 일부 또는 전부를 BASIC, C 언어 등 실시간 애플리케이션 환경에 맞춘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도 있다.[2]

5. 2.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의 비교

래더 로직은 절차적 언어보다 규칙 기반 언어로 간주된다. 래더의 "가로대"는 규칙을 나타내며,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에서 소프트웨어에 의해 순차적으로 실행된다. 루프를 빠르게 실행하여 동시적이고 즉각적인 실행 효과를 얻는다.[2]

래더 로직은 이진 변수만 필요하고 이진 값의 연동과 시퀀싱이 주요 제어 문제인 경우에 가장 적합하다. 그러나 아날로그 값과 산술 연산은 래더 로직으로 표현하기 어렵고, 각 제조업체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다르다. 배열과 루프에 대한 지원도 제한적이다.[2]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발전함에 따라, 다음과 같은 표기법들이 일부 제한된 응용 분야에서 래더 로직을 대체하고 있다.

  • 순차 기능 차트(SFC): 복잡한 순차적 제어 로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유용하다.
  • 기능 블록 다이어그램(FBD): 데이터 흐름을 중심으로 제어 로직을 표현하며, 아날로그 신호 처리에 적합하다.
  • 구조화 텍스트 (Structured Text, ST): C 언어와 유사한 문법을 가지며, 복잡한 알고리즘 및 데이터 처리에 유용하다.


일부 최신 PLC는 BASIC, C와 같은 고급 언어를 지원하여 래더 로직의 한계를 보완하고 있다.

5. 3. 한국 PLC 시장의 특징

래더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PLC) 프로그래밍의 주요 언어 중 하나이다.

6. 래더 로직과 니모닉

니모닉(Mnemonic)은 컴퓨터 과학에서 사람이 기억하기 쉬운 형태로 이름을 나타내는 기호이다.[1] 예를 들어, 어셈블리 언어에서 덧셈을 나타내는 ADD나 곱셈을 나타내는 MUL 등이 니모닉에 해당한다.[1] 니모닉 코드라고도 한다.[1]

참조

[1] 웹사이트 The Basics of Ladder Logic http://ecmweb.com/ar[...]
[2] 서적 Industrial Controls and Manufacturing Academic Press 1999
[3] 웹사이트 Interactive: The Top Programming Languages https://spectrum.ie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